KR100676141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141B1
KR100676141B1 KR1020050030859A KR20050030859A KR100676141B1 KR 100676141 B1 KR100676141 B1 KR 100676141B1 KR 1020050030859 A KR1020050030859 A KR 1020050030859A KR 20050030859 A KR20050030859 A KR 20050030859A KR 100676141 B1 KR100676141 B1 KR 10067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air conditioner
closing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보다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토출구의 개폐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개시한 공기조화기는 토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회전체와, 일단이 회전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개폐도어에 연결되며 회전체의 외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토출구 개폐장치의 승강장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토출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토출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개폐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열교환기,
12: 송풍장치, 14: 흡입구,
15: 제1토출구, 16: 제2토출구,
20: 토출구 개폐장치, 21: 개폐도어,
30: 안내장치, 40: 승강장치,
41: 구동모터, 42: 회전체,
43: 연결부재, 44: 절곡홈,
45: 걸림부, 46: 걸림홈.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때 토출구를 열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 토출구를 닫을 수 있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의 일 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1457호(2004년 02월 11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토출구 개폐장치는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공기조화기의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 셔터의 하단에 연결되는 작동링크, 작동링크와 연결되며 피니언기어를 갖춘 구동모터가 장착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장치는 커넥터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레일, 구동모터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레일 쪽에 장착된 랙기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는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기어가 회전할 때 커넥터가 레일을 따라 승강하고, 작동링크를 매개로 커넥터와 연결된 셔터가 승강하면서 토출구를 개폐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는 셔터의 승강을 위한 커넥터, 피니언기어, 랙기어 등을 구비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 은 문제가 있었다. 또 구동모터가 회전할 때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작용에 의해 셔터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동소음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토출구의 개폐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출구의 개폐동작을 정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회전체와,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체의 외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굽힘이 가능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체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감기기 용이하도록 외면에 형성되는 복 수의 절곡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개폐도어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 본체(10), 본체(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11), 공기의 송풍을 위해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12)를 구비한다. 또 본체(10)의 전면은 하부가 하부패널(13)을 통해 폐쇄되고 상부가 승강 가능한 개폐도어(21)에 의해 가려진다.
본체(10) 하부의 양쪽 측면에는 실내공기를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들(14)이 형성되고, 본체(10) 상부의 양쪽 측면에는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1토출구들(15)이 형성된다. 또 본체(10)의 전면 중앙부에는 본체(10)의 전방으로도 조화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2토출구(16)가 형성된다.
열교환기(11)는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본체(10) 내부의 상부공간에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다. 송풍장치(12)는 본체(10) 내부의 하부공간에 설치되며, 양측의 흡입구들(14)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부의 열교환기(11)를 거친 후 제1토출구들(15) 및 제2토출구 (16) 쪽으로 송풍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부호 17은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기(11) 쪽으로 안내하는 팬 케이싱이다.
본체(10) 상부의 전방 쪽에는 열교환기(11)를 거친 공기가 양측의 제1토출구들(15)과 전면의 제2토출구(16) 쪽으로 원활히 송풍될 수 있도록 토출공기의 송풍을 안내하는 송풍안내판(18)이 설치된다. 송풍안내판(18)은 송풍되는 공기가 양 측면의 제1토출구들(15) 쪽으로 분산되기 용이하도록 중앙부분이 후방을 향하여 산형으로 함몰되어 양측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또 송풍안내판(18)은 본체(10) 전면의 제2토출구(16) 쪽으로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에도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송풍장치(12)가 동작할 때 하부 양측의 흡입구들(14)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11)를 거쳐 열교환 된 후, 상부 양측의 제1토출구들(15) 및 전면의 제2토출구(16)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조화(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2토출구(16)를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장치(20)를 구비한다.
토출구 개폐장치(20)는 승강 동작에 의해 제2토출구(16)를 개폐함과 동시에 본체(10)의 전면 상부를 덮음으로써 미려한 전면외관을 제공하는 평판형 개폐도어(21)와, 개폐도어(21)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개폐도어(21)를 지지하는 안내장치(30)와,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40)를 포함한다.
안내장치(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안내판(18) 전면의 양 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안내홈(32)이 형성된 안내레일들(31)과, 각 안내레일들(31)의 위치와 대응하는 개폐도어(21) 내면으로부터 안내레일(31) 쪽으로 연장된 지지부들(33)과, 지지부들(33)로부터 안내레일(31)의 안내홈(32)에 진입하도록 돌출하는 안내돌기들(34)를 포함한다. 이는 안내돌기들(34)이 안내레일(31)의 안내홈(32)에 진입하여 승강함으로써 개폐도어(21)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승강장치(40)는 개폐도어(21)의 후방 중앙부에 배치되며 송풍안내판(18)에 고정되는 구동모터(41),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전체(42), 그리고 개폐도어(21)와 회전체(4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1)는 개폐도어(2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43)는 일단이 회전체(42)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개폐도어(21)의 내면에 연결되며, 회전체(42)가 회전할 때 회전체(42)의 외면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굽힘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재(43)는 개폐도어(2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구비하며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이나 연질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체(42)와 연결부재(43)는 각각 별도로 제조한 후 상호 연결시킬 수 있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써 승강장치(40)의 구성이 단순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연결부재(43)에는 회전체(42)에 감길 때 쉽게 굴절될 수 있도록 외면에 다수의 절곡홈들(44)이 형성된다. 이들 절곡홈(44)은 연결부재(4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등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개폐도어(21)와 연결되는 연결부재(43)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T형으로 형성된 걸림부(45)가 마련되고, 개폐도어(21)의 내면에는 걸림부(45)의 양측이 걸려서 결속될 수 있는 걸림홈(46)을 형성하는 결합턱들(47)이 마련된다. 이는 연결부재(43)의 T형 걸림부(45)를 개폐도어(21)의 걸림홈(46)에 걸어 주는 동작만으로 연결부재(43)와 개폐도어(21)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승강장치(40)의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연결부재(43)가 회전체(42)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고무나 수지재질로 된 경우를 바람직한 예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부재(43)는 소정의 인장응력을 가지면서 회전체(4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는 것이라면 가능하다. 즉 가죽벨트, 직물벨트, 로프, 체인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토출구(16)가 열릴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의 동작에 의해 회전체(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연결부재(43)가 회전체(42)의 외면에 감기면서 상부로 당겨진다. 따라서 연결부재(43)와 연결된 개폐도어(21)가 상승을 하게 되므로 제2토출구(16)가 개방된다. 개폐도어(21)는 안내돌기들(34)이 안내레일(31)의 안내홈(32)에 의해 안내되므로 원활한 상승이 이루어진다.
제2토출구(16)가 닫힐 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의 동작에 의해 회전체(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회전체(42)에 감겼던 연결부재(43)가 다시 풀린다. 따라서 연결부재(43)와 연결된 개폐도어(21)가 자중에 의해 다시 하강을 하게 되므로 제2토출구(16)가 닫힌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는 승강장치의 연결부재가 회전체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의해 개폐도어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보다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토출구의 개폐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가 회전체에 감기면서 개폐도어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연결부재가 회전체로부터 풀리면서 개폐도어의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출구의 개폐동작이 정숙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토출구 전면의 개폐를 위해 토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평판형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개폐도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체의 외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굽힘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체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감기기 용이하도록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곡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개폐도어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T형 걸림부와, 상기 T형 걸림부가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030859A 2005-04-13 2005-04-13 공기조화기 KR10067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59A KR100676141B1 (ko) 2005-04-13 2005-04-1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59A KR100676141B1 (ko) 2005-04-13 2005-04-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141B1 true KR100676141B1 (ko) 2007-02-02

Family

ID=3810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859A KR100676141B1 (ko) 2005-04-13 2005-04-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1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9724A (zh) * 2018-07-03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2611019A (zh) * 2020-12-21 2021-04-06 武汉思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开合式空调器开关门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048B1 (ko) *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048B1 (ko) *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150480000 *
201998000903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9724A (zh) * 2018-07-03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08679724B (zh) * 2018-07-03 2023-08-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2611019A (zh) * 2020-12-21 2021-04-06 武汉思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开合式空调器开关门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591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106583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0007362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8267777A (ja) 空気調和機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100419198B1 (ko) 공기조화기
KR100676141B1 (ko) 공기조화기
KR100626702B1 (ko) 공기조화기
CN101344303B (zh) 空调
JP5342026B2 (ja) 空気調和機
KR0168254B1 (ko) 자동흡입그릴의 열림각 조절장치
KR100715535B1 (ko) 공기조화기
KR101191415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060108464A (ko) 공기조화기
KR20060108462A (ko) 공기조화기
KR100737319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05337A (ko) 공기조화기
KR100554285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KR200463973Y1 (ko) 공기조화기
KR100429647B1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040005338A (ko) 공기조화기
JP7055238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40079628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