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574B1 -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 Google Patents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574B1
KR100675574B1 KR1020050020809A KR20050020809A KR100675574B1 KR 100675574 B1 KR100675574 B1 KR 100675574B1 KR 1020050020809 A KR1020050020809 A KR 1020050020809A KR 20050020809 A KR20050020809 A KR 20050020809A KR 100675574 B1 KR100675574 B1 KR 10067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ssage
protrusion
blocking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549A (ko
Inventor
시종민
Original Assignee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5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선박에서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너에 장착되며, 그 끝단에는 오일스프레이노즐이 부착되는 노즐건에 있어서, 상기 노즐건은 원형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로와, 상기 중앙통로의 외주에 형성된 외주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외주통로로 오일이 제공되고, 상기 외주통로로 제공된 오일은 상기 오일스프레이노즐을 통하여 유동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고, 상기 버너로 유입되지 않은 오일은 불활성 가스의 연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리턴(return)되어 상기 중앙통로를 통과하여 저장되며, 상기 외주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외주통로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제1체크밸브부재 및 상기 중앙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통로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제2체크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노즐건으로 오일이 제공되지 않게 되었을 때, 그 노즐건의 내부에 남아있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오일의 유출이 방지되는 노즐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Nozzle-gun having check-valve using for mar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즐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주통로 20. 중앙통로
30. 제1체크밸브부재 32. 제1막음돌기
34. 제1받침돌기 36. 제1몸체부
38. 제1스프링 40. 제2체크밸브부재
42. 제2막음돌기 44. 제1받침돌기
46. 제2몸체부 48. 제2스프링
본 발명은 노즐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불활성 가스가 필요하다. 이는 선박에서 석유류 및 엘인지/엘피지(LNG/LPG) 제품을 운반하면서 유증기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등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박에서는 불활성 가스를 생성 및 보관하는 장치가 탑재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버너 등이 사용되며, 이 버너에 원료인 오일을 제공하는 노즐이 부착된다.
상기 노즐은 보통 노즐건(nozzle-gun)이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건의 끝단에는 오일스프레이노즐이 부착되어 제공되는 오일을 스프레이 형태로 뿌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노즐건은 통상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두 개의 통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노즐건의 한 쪽의 통로로는 보통 오일이 공급되며, 공급된 오일은 상기 오일스프레이노즐에 의해서 버너로 공급되며, 불활성 가스의 산소 농도를 조졸하기 위하여 버너로 공급되지 아니한 오일은 다시 상기 노즐건의 또 다른 하나의 통로를 통해서 유동되어 별도의 오일저장 탱크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선박에서 사용되는 노즐건을 상기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버너와 함께 사용하다가 그 사용을 멈추게 되면, 상기 노즐건에 남아 있던 오일이 유출된다.
이러한 오일은 해양으로 스며들어 해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오일의 유출이 없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노즐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은, 선박에서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너에 장착되며, 그 끝단에는 오일스프레이노즐이 부착되는 노즐건에 있어서, 상기 노즐건은 원형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로와, 상기 중앙통로의 외주에 형성된 외주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외주통로로 오일이 제공되고, 상기 외주통로로 제공된 오일은 상기 오일스프레이노즐을 통하여 유동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고, 상기 버너로 유입되지 않은 오일은 불활성 가스의 산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리턴(return)되어 상기 중앙통로를 통과하여 저장되며, 상기 외주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외주통로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제1체크밸브부재 및 상기 중앙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통로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제2체크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노즐건으로 오일이 제공되지 않게 되었을 때, 그 노즐건의 내부에 남아있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의 상기 제1체크밸브부재는, 상기 외주통로의 측벽에서 돌출된 제1막음돌기와, 상기 제1막음돌기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외주통로의 측벽에 돌출된 제1받침돌기와, 상기 제1막음돌기와 제1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이동하여 상기 제1막음돌기와 밀착되며, 오일이 통과되도록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를 상기 제1막음돌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체크밸브부재는, 상기 중앙통로의 측벽에서 돌출된 제2막음돌기와, 상기 제2막음돌기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중앙통로의 측벽에 돌출된 제2받침돌기와, 상기 제2막음돌기와 제2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이동하여 상기 제2막음돌기와 밀착되며, 오일이 통과되도록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몸체부를 상기 제2막음돌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막음돌기는 상기 외주통로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받침돌기는 상기 외주통로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막음돌기는 상기 중앙통로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상기 중앙통로의 상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의 단면도를,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즐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100)은 외주통로(10)와, 중앙통로(20)와, 제1체크밸브부재(30)와 제2체크밸브부재(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즐건(100)은 선박에서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너에 장착되며, 상기 노즐건(100)의 끝단에는 오일스프레이노즐(5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건(100)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외주통로(10)와 중앙통로(20)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주통로(10)는 상기 노즐건(100)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통로(20)는 노즐건(10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통로(10)로는 오일이 제공되고, 상기 외주통로(10)로 제공된 오일은 상기 오일스프레이노즐(50)을 통하여 유동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고, 상기 버너로 유입되지 않은 오일, 즉 버너로 유입되지 않은 여분의 오일은 불활성 가스의 산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리턴(return)되어 상기 중앙통로(20)를 통과하여 별도의 탱크에 저장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부재(30)는 상기 외주통로(10)에 위치되며, 상기 외주통로(10)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한다. 상기 제1체크밸브부재(30)는 제1막음돌 기(32)와, 제1받침돌기(34)와, 제1몸체부(36)와, 제1스프링(3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막음돌기(32)는 상기 외주통로(10)의 측벽에서 돌출된다.
상기 제1받침돌기(34)는 상기 제1막음돌기(32)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외주통로(10)의 측벽에 돌출된다.
상기 제1몸체부(36)는 상기 제1막음돌기(32)와 제1받침돌기(34) 사이에 위치되며, 이동하여 상기 제1막음돌기(32)와 밀착되며, 오일이 통과되도록 제1관통공(362)을 가진다.
상기 제1스프링(38)은 상기 제1몸체부(36)와 상기 제1받침돌기(34)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36)를 상기 제1막음돌기(32)가 위치된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부재(40)는 상기 중앙통로(20)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통로(20)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부재(40)는 제2막음돌기(42)와, 제2받침돌기(44)와, 제2몸체부(46)와, 제2스프링(4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막음돌기(42)는 상기 중앙통로(20)의 측벽에서 돌출된다.
상기 제2받침돌기(44)는 상기 제2막음돌기(42)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중앙통로(20)의 측벽에 돌출된다.
상기 제2몸체부(46)는 상기 제2막음돌기(42)와 제2받침돌기(44) 사이에 위치되며, 이동하여 상기 제2막음돌기(42)와 밀착되며, 오일이 통과되도록 제2관통공(462)을 가진다.
상기 제2스프링(48)은 상기 제2몸체부(46)와 상기 제2받침돌기(44)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몸체부(46)를 상기 제2막음돌기(42)가 위치된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막음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주통로(10)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받침돌기(34)는 상기 외주통로(10)의 하방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막음돌기(42)는 상기 중앙통로(20)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받침돌기(44)는 상기 중앙통로(20)의 상방에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외주통로(10)를 통해서 오일이 유입이 되면(도 1의 화살표 A 방향), 상기 제1몸체부(36)가 도 1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1스프링(38)이 압축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제1막음돌기(32)와 제1몸체부(36)가 이격되면서 상기 제1막음돌기(32)와 제1몸체부(36) 사이로 오일이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오일은 상기 제1관통공(362)을 통과하여, 상기 외주통로(10)의 끝단으로 이동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건(100)의 끝단에 부착된 오일스프레이노즐(50)로 유동된다. 상기 오일스프레이노즐(50)에서 오일은 스프레이 형태로 분무되어 버너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스프레이노즐(50)에서 분무되지 않은 여분의 오일은 다시 리턴(return)되어 상기 중앙통로(20)를 유입된다.(도 1의 화살표 B 방향)
상기 오일이 중앙통로(20)를 유입하는 압력으로 상기 제2몸체부(46)가 도 1 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2스프링(48)이 압축됨은 물론이다. 상기 오일은 상기 제2막음돌기(42)와 제2몸체부(46) 사이 공간을 통과하고 이어서 상기 제2관통공(462)을 관통하여 유동되어 상기 중앙통로(20)를 유동한다. 이렇게 상기 중앙통로(20)를 유동한 오일, 즉 도 1의 상방으로 유동된 오일은 별도의 저장 탱크(미도시)에 수용되어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이 유동되다가 그 오일의 유동이 멈추게 되면, 상기 제1스프링(38)의 복원력으로 상기 제1몸체부(36)가 도 1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1몸체부(36)와 상기 제1막음돌기(32)가 서로 견고히 밀착되어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오일이 상기 제1막음돌기(32)와 제1몸체부(36)를 넘어서 도 1의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오일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2스프링(48)의 복원력으로 상기 제2몸체부(46)도 마찬가지로 도 1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막음돌기(42)와 제2몸체부(46)가 서로 견고히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오일이 상기 제2막음돌기(42)와 제2몸체부(46)의 접촉면을 넘어서 도 1의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일이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상기 오일은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건(100)의 외부로 유출이 되지 않으므로 해양을 오염시킬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체크밸브부재(30)와 제2체크밸브부재(40)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상기 제1체크밸브부재(30)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에 의하면, 오일의 유출이 없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선박에서 불활성 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너에 장착되며, 그 끝단에는 오일스프레이노즐이 부착되는 노즐건에 있어서,
    상기 노즐건은 원형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로와, 상기 중앙통로의 외주에 형성된 외주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외주통로로 오일이 제공되고, 상기 외주통로로 제공된 오일은 상기 오일스프레이노즐을 통하여 유동되어 상기 버너로 유입되고, 상기 버너로 유입되지 않은 오일은 불활성 가스의 산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리턴(return)되어 상기 중앙통로를 통과하여 저장되며,
    상기 외주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외주통로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제1체크밸브부재는;
    상기 외주통로의 측벽에서 돌출된 제1막음돌기;와,
    상기 제1막음돌기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외주통로의 측벽에 돌출된 제1받침돌기;와,
    상기 제1막음돌기와 제1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이동하여 상기 제1막음돌기와 밀착되며, 오일이 통과되도록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를 상기 제1막음돌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통로로의 오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제2체크밸브부재는;
    중앙통로의 측벽에서 돌출된 제2막음돌기;와,
    상기 제2막음돌기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중앙통로의 측벽에 돌출된 제2받침돌기;와,
    상기 제2막음돌기와 제2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이동하여 상기 제2막음돌기와 밀착되며, 오일이 통과되도록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받침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몸체부를 상기 제2막음돌기가 위치된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막음돌기는 상기 외주통로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받침돌기는 상기 외주통로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막음돌기는 상기 중앙통로의 하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상기 중앙통로의 상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건으로 오일이 제공되지 않게 되었을 때, 그 노즐건의 내부에 남아있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2. 삭제
KR1020050020809A 2005-03-12 2005-03-12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KR10067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809A KR100675574B1 (ko) 2005-03-12 2005-03-12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809A KR100675574B1 (ko) 2005-03-12 2005-03-12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549A KR20060099549A (ko) 2006-09-20
KR100675574B1 true KR100675574B1 (ko) 2007-01-29

Family

ID=3763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809A KR100675574B1 (ko) 2005-03-12 2005-03-12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5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1217A (ja) * 1992-04-27 1993-11-16 Polyurethan Eng:Kk 多成分合成樹脂の混合装置
KR100333286B1 (ko) * 1999-12-28 2002-04-25 이계안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1217A (ja) * 1992-04-27 1993-11-16 Polyurethan Eng:Kk 多成分合成樹脂の混合装置
KR100333286B1 (ko) * 1999-12-28 2002-04-25 이계안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301217 *
100333286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549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089B2 (en) Fuel cut-off valve
JP5979446B2 (ja) 圧力容器
US8479767B2 (en) Combined fill and safety vent plug
TWI635264B (zh) 壓力指示裝置
KR101695074B1 (ko) 가스 차단 밸브를 테스트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0675574B1 (ko) 선박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부착된 노즐건
KR10096482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 공급용 배관
US7357279B2 (en) Portable fuel tank
KR101836904B1 (ko) 슬로싱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화물창 및 방법
JP4736312B2 (ja) タンク
JP2021113042A (ja) 液化ガス燃料船
GB2408044B (en) Fuel tank venting system for reduced fuel permeation
JP6279411B2 (ja) 差圧式容器弁
JP2007205470A (ja) ガスタンク装置
US20140352664A1 (en) Flow limiting system
KR20200052495A (ko) 고압용기용 체크밸브
KR20090102425A (ko) 가스용기 탭의 체크밸브
US2807938A (en) Throw-away container for pressurized, liquefied gases, and discharge means therefor
US11492183B2 (en) Chemical container
JP6875851B2 (ja) バルブブロック、及びそれを備えるタンク装置
KR200270845Y1 (ko) 휴대용가스용기
KR101994545B1 (ko)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20160001388A (ko) 원통형 연료 저장 탱크 및 선박
KR20170066871A (ko) 증발가스 배출 장치 및 방법
KR20130015189A (ko) 일체형 벌크 커플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