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545B1 -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545B1
KR101994545B1 KR1020170163186A KR20170163186A KR101994545B1 KR 101994545 B1 KR101994545 B1 KR 101994545B1 KR 1020170163186 A KR1020170163186 A KR 1020170163186A KR 20170163186 A KR20170163186 A KR 20170163186A KR 101994545 B1 KR101994545 B1 KR 10199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m
hollow portion
valve
stem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976A (ko
Inventor
장하진
고창희
이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17016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5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3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haracterised by details or accessories associated with outl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며 중앙에 돌출부분이 형성된 마운트컵, 상기 마운트컵에 고정되며, 내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중공부분이 형성되는 스템하우징,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중공부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밸브스템,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과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 사이에서 상기 밸브스템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에서 상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템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스템의 상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과 마주보는 상면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스템에 초과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상면이 상기 밸브스템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프링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AEROSOL CAN AND VALVE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마운트컵과 밸브 어셈블리의 분사 메커니즘과 분사용기의 파손 방지에 관한 것이다.
부탄이나 프로판을 포함하는 연료 가스, 또는 살충제나 방향제를 에어로졸 형태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매체 가스 등은 고압 상태로 캔 내에 봉입되어 유통된다.
일반적으로 분사용기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하우징(캔)과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는 마운트컵, 및 마운트컵의 중앙 돌출부분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밸브 어셈블리는 스템하우징, 밸브스템 및 스프링을 포함하며, 밸브스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분사용기의 미사용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할 때에만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밸브스템에 초과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밸브 스프링은 밀착길이로 압축되며,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분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분이 파손되어, 스프링이 밸브스템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밸브스템은 눌린 상태로 고착되어,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운트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밸브 어셈블리의 내구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며 중앙에 돌출부분이 형성된 마운트컵, 상기 마운트컵에 고정되며, 내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중공부분이 형성되는 스템하우징,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중공부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밸브스템,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과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 사이에서 상기 밸브스템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에서 상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템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스템의 상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과 마주보는 상면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스템에 초과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상면이 상기 밸브스템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프링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스프링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에서 상기 스템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의 밀착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면이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직교하는 측면이 상기 밸브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스템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밸브스템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도록 탄성변형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밸브스템과 접촉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면과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정량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어셈블리에 의하면, 밸브스템의 하단이 지지부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밸브스템에 초과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밸브스템의 하단과 지지부의 상면이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스프링 지지부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지지부의 파손이 방지됨에 따라,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분출되는 오작동이 방지되어 내용물 분출에 의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밸브 어셈블리가 장착된 분사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마운트컵에 밸브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은 마운트컵에 밸브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사용기가 정상작동시 내용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사용기가 초과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템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Ⅰ-' 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스템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스템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스템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완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밸브 어셈블리가 장착된 분사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a는 마운트컵에 밸브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은 마운트컵에 밸브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분사용기(100)는 하우징(110) 및 밸브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 및 분사가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은 예를 들어, 유체 또는 가스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수용공간(S)이 형성된 몸체(111)와, 몸체(111)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하부 및 상부 밀봉캡(112 및 113)을 포함한다. 몸체(111)는 일정한 내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캔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밀봉캡(112)은 수용공간(S)에 일정 수준의 과압이 걸린 경우 수용공간(S)의 체적을 확대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기 위하여 수용공간(S)을 향해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용기 몸체(111)에는 고압의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연료가 담길 수 있으며, 일정한 내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캔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몸체(111)에는 살충제, 방향제, 미용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부밀봉캡(113)의 상단에는 밸브 어셈블리(200)를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컵(120)이 결합 된다.
마운트컵(120)은 예를 들어, 가스렌지와 같은 연료장착 기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형상부(121)를 포함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밸브 어셈블리(200)를 고정할수 있도록 돌출부분(122)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걸림형상부(121)는 경우에 따라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형상부(121)의 다른 형태로 하우징(110)에 미용제 또는 살충제 등이 감기는 경우에 분사를 위한 누름버튼을 갑는 캡이 장착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0)는 일 단부가 수용공간(S)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채로 마운트컵(120)에 설치되어, 하중에 의해 눌림으로써 수용공간(S)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운트컵(120)의 돌출부분(122)의 상단에는 밸브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밸브스템(210)의 일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밸브스템(210)은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눌려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눌림에 의하여 수용공간(S)의 내용물이 분사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내용물의 분사가 중단된다.
도 2a 및 도 2b을 참조하면, 돌출부분(122)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123)가 돌출된다. 걸림돌기(123)는 마운트컵(120)의 외면에 대한 클램핑 등을 통한 단면축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23)에는 스템하우징(220)이 고정된다. 스템하우징(220)은 적어도일부가 상기 걸림돌기(123)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스템하우징(220)의 외주면에는 둘레홈(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분(122)의 걸림돌기(123)가 둘레홈(148)을 향하여 변형됨으로써 스템하우징(220)이 마운트컵(120)의 돌출부분(122)에 고정된다.
스템하우징(220)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되는 중공부분(222)이 형성되며, 밸브스템(210)이 중공부분(22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하,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하여, 도 3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분사용기가 정상 작동시 내용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템하우징(220)은 스템하우징(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설치부(220a)와 하우징(110)의 측면을 향하도록 절곡된 후 연장된 수평연장부(220b)를 포함하고 있다. 수직설치부(220a)는 밸브스템(210)의 개폐작용을 위한 부분이며, 수평연장부(220b)는 내용물의 유입을 위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스템하우징(220)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되는 중공부분(222)이 형성되며, 밸브스템(210)이 상기 중공부분(22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밸브스템(210)은 중공부분(222)에 배치되는 제1 부분(210a)과 외부에 노출되는 제2 부분(210b)을 포함한다. 제1 부분(210a)과 제2 부분(210b) 사이에는 밸브스템(210)의 외주를 따라 리세스된 제3 부분(210c)이 형성된다. 제3 부분(210c)에는 밸브스템(21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중공부분(222)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211)가 형성된다. 밸브스템(210)의 내부에는 통로홀(214)이 구비되고, 오리피스(211)는 통로홀(214)로부터 중공부분(222)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리피스(211)는 밸브스템(21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중공부분(222)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중공부분(222)에는 개폐부재(231)가 배치된다. 개폐부재(231)는 밸브스템(210)의 제3 부분(210c)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개폐부재는 통로홀(214)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개폐부재(231)는 밸브스템(210)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오리피스(211)를 개폐하도록 탄성변형된다.
도시를 참조하면, 스템하우징(220)은 밸브스템(2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23)를 형성한다. 가이드부(223)는 중공부분(22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스템하우징(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들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밸브스템(210)의 제1 부분(210a)은 외주면이 가이드부(223)와 접촉할 수 있도록 돌출부(212)를 형성한다. 돌출부(212)는 가이드부(223)와 접촉함에 따라, 슬라이딩시 측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23)는 상기 복수의 돌기들이 상기 중공부분(2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유동하는 유로부(223a)를 형성한다. 유로부(223a)는 중공부분(222)의 반경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223a)에 의해 수용공간(S)에 충전된 내용물이 오리피스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중공부분(222)에는 밸브스템(210)을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240)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 스프링(240)은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과 중공부분(222)의 하단(222a)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스템(210)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밸브 스프링(240)은 일단이 밸브스템(210)과 결합되어 밸브스템(210)을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한편, 밸브스템(210)은 밸브 스프링(24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213)를 형성한다. 결합부(213)는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 중심부분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결합부(213)는 중공부분(222)의 내주면을 바라보는 측면의 일부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밸브 스프링(240)과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밸브스템(210)에 하중이 가해져 길이 방향으로 눌리면, 밸브 스프링(240)은 압축되면서 밸브스템(210)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한다. 이때, 밸브 스프링(240)은 가해지는 하중과 평형을 이루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을 지지하며, 하중이 사라지면 밸브 스프링(240)은 원상 복귀되면서 밸브스템(210)을 상방으로 슬리이딩 이동 시킨다.
한편, 밸브 스프링(240)은 중공부분(222)의 중심부분에 배치되어, 수평연장부(220b)와 중공부분(222)이 연통되어 내용물이 유입되는 연통부는 밸브 스프링(240)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스템(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밸브 스프링(240)은 압축됨에 따라 밸브 스프링(240)의 코일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내용물의 유동을 간섭하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스템하우징(220)은 밸브 스프링(240)의 내용물 유동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통부와 밸브 스프링(240)을 이격시키는 스프링 지지부(225)를 포함한다. 스프링 지지부(225)는 중공부분(222)의 하단(222a)에서 상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며, 밸브 스프링(240)의 타단은 스프링 지지부(225)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스프링 지지부(225)는 중공부분(2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가이드부(223) 및 후술할 지지부(224)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23)에 의해 형성된 유로부(223a)가 스프링 지지부(22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지지부(225)는 밸브 스프링(240)을 연통구와 이격시킴으로써 내용물의 유동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200)의 구조에 따라, 정상 작동시 밸브스템(210)이 하중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면, 개폐부재(231)는 하방을 향하여 휘어지면서 탄성변형된다. 이에 따라, 스템하우징(220)의 중공부분(222)과 밸브스템(210)의 통로홀(214)이 상호 연통되면서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된다.
반대로, 밸브스템(210)을 누르고 있던 하중이 제거되면, 밸브스템(2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 변형된다. 그 결과, 개폐부재(231)는 밸브스템(210)에 밀착됨으로써 오리피스(211)를 막게 되고, 가스의 유출이 차단된다.
그러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상기 밸브스템(210)에 초과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밸브스템(210)은 특정 깊이 이상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밸브스템(210)과 결합된 밸브 스프링(240)은 밀착되도록 압축되며, 스프링 지지부(225)에 초과 하중을 가하게 되어 스프링 지지부(225)를 파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용기(100)는 스프링 지지부(22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다.
이하, 분사용기(100)는 스프링 지지부(22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분사용기가 초과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템하우징(220)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Ⅰ'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스템하우징(220)의 평면도이다.
스템하우징(220)은 밸브스템(210)에 초과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밸브스템(210)을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22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24)는 가이드부(223)에서 중공부분(222)의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상면(224a)을 구비한다. 즉, 지지부(224)는 밸브스템(210)이 걸리도록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24)는 중공부분(222)의 하단(222a)에서 중공부분(2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밸브 스프링(240)의 밀착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면(224a)은 밸브 스프링(240)의 밀착 높이에 따른 일단의 위치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정상작동 상태에서는 지지부(224)의 상면(224a)과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초과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지지부(224)의 상면(224a)과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은 접촉하게 되어 지지부(224)는 밸브스템(21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지지부(224)는 특정 깊이에서 밸브스템(210)과 접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밸브스템(210)의 슬라이딩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밸브 스프링(240)이 밀착높이까지 압축되기 전에 상면(224a)과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은 접촉함으로써, 스프링 지지부(225)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어, 스프링 지지부(22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면(224a)이 상기 중공부분(222)의 하단(222a)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224a)으로부터 직교하는 측면이 밸브 스프링(24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밸브 스프링(240)의 측방향 변형을 방지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스템하우징(2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스템하우징(220)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지지부(324)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는 제1 부분(324b)과 제1 부분(324b)을 지지하는 제2 부분(324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스템의 하단(212a)과 지지부(224)의 상면(224a)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프링 지지부(225)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스템하우징(2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어셈블리(200)는 지지부(224)와 밸브스템(210)의 사이에 배치된 완충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45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밸브스템(210)의 결합부(213) 및 밸브 스프링(24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완충부재(45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상 작동 상태에서는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과 완충부재(450)는 접촉하지 않으나, 초과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은 완충부재(450)와 접촉함으로써, 스프링 지지부(225)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완충부재(450)는 지지부(224)의 상면(224a)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완충부재(450)는 밸브스템(210)의 하단(212a)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완충부재(450)는 오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4)의 상면(224a)은 완충부재(4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분사용기 110: 하우징
200: 밸브 어셈블리 210: 밸브스템
220: 스템하우징 222: 중공부분
223: 가이드부 224: 지지부
225: 스프링 지지부 240: 밸브스프링

Claims (10)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며 중앙에 돌출부분이 형성된 마운트컵;
    상기 마운트컵에 고정되며, 내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중공부분이 형성되는 스템하우징;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중공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중공부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밸브스템;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과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 사이에서 상기 밸브스템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에서 상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중공부분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템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스템의 상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중공부분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과 마주보는 상면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스템에 초과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상면이 상기 밸브스템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프링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로 이루어져 상기 내용물이 유동하는 유로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함께 유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에서 상기 스템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의 밀착높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면이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직교하는 측면이 상기 밸브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밸브스템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도록 탄성변형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밸브스템과 접촉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10.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된 마운트컵에 장착되는 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컵에 고정되며, 내면에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중공부분이 형성되는 스템하우징;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중공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중공부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밸브스템;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과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 사이에서 상기 밸브스템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
    상기 중공부분의 하단에서 상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밸브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중공부분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템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스템의 상기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중공부분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템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면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스템에 초과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상면이 상기 밸브스템의 하면과 접촉하여, 압축된 상기 밸브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프링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공부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들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유동하는 유로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함께 유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용기.
KR1020170163186A 2017-11-30 2017-11-30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99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86A KR101994545B1 (ko) 2017-11-30 2017-11-30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86A KR101994545B1 (ko) 2017-11-30 2017-11-30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76A KR20190063976A (ko) 2019-06-10
KR101994545B1 true KR101994545B1 (ko) 2019-07-01

Family

ID=6684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186A KR101994545B1 (ko) 2017-11-30 2017-11-30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937B1 (ko) * 2022-03-04 2023-01-27 주식회사 지엘코팅스 방수시공용 스프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524A (ja) 1999-12-21 2001-06-26 Maruichi Valve Co Ltd エアゾールバルブ
KR101049521B1 (ko) 2011-01-25 2011-07-15 주식회사 승일 과압해소 메커니즘을 구비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139258B1 (ko) * 2010-06-09 2012-05-17 주식회사 승일 과압해소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704B2 (en) * 2002-06-17 2004-12-21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Metering valve for aerosol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524A (ja) 1999-12-21 2001-06-26 Maruichi Valve Co Ltd エアゾールバルブ
KR101139258B1 (ko) * 2010-06-09 2012-05-17 주식회사 승일 과압해소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049521B1 (ko) 2011-01-25 2011-07-15 주식회사 승일 과압해소 메커니즘을 구비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76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6741C1 (ru) Взрывобезопасный клапан для газ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KR100978850B1 (ko) 과압해소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895583B1 (ko) 과압해소가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994545B1 (ko)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EP1590597B1 (en) Overpressure safety apparatus of gas fuel container
KR101998024B1 (ko) 과압해소가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122576B1 (ko) 분사용기용 버튼 오작동 방지 캡장치
WO2004070261A1 (en) Over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ontainer
KR101098278B1 (ko) 과압방지밸브가 장착되는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139258B1 (ko) 과압해소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897739B1 (ko) 분사용기 및 이의 밸브 어셈블리
KR101897738B1 (ko)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2356611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1049521B1 (ko) 과압해소 메커니즘을 구비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186931B1 (ko) 과압가스 배출이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0936182B1 (ko) 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US11208256B2 (en) Spraying vessel capable of relieving overpressure and valve assembly thereof
JP3942002B2 (ja) ポンプ容器
KR101901161B1 (ko) 플라워 형상으로 내용물을 도포하는 분사용기
KR102446106B1 (ko) 과압해소가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0865265B1 (ko) 초저온용기의 스프링식 안전밸브
KR100441633B1 (ko) 압력용기의 안전밸브장치
KR102037003B1 (ko) 과압해소가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2090422B1 (ko) 정량 분사용기 및 그의 노즐 조립체
KR102086284B1 (ko) 과압해소가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