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161B1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161B1
KR100675161B1 KR1020040108556A KR20040108556A KR100675161B1 KR 100675161 B1 KR100675161 B1 KR 100675161B1 KR 1020040108556 A KR1020040108556 A KR 1020040108556A KR 20040108556 A KR20040108556 A KR 20040108556A KR 100675161 B1 KR100675161 B1 KR 100675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unicode
mobile terminal
word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958A (ko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1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DA나 폰북 등의 이동단말기에서 검색과 저장을 유니코드와 해당 언어의 순서를 조합하여 검색과 저장 속도를 개선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부분의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세계문자 표준인 유니코드의 코드체계를 이용하고 또한 해당 언어의 순서를 인덱스 형식으로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검색과 저장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덱스의 형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과 저장의 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먼저 해당 언어의 유니코드 값이 작은 순서로 소팅(sorting)하여 하나의 테이블1을 만들고, 테이블 1의 유니코드 값의 순서에 대응되게 단어나 문장 등으로 이루어진 언어를 배치시킨 테이블2를 이용하여 검색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유니코드.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Method of retrieval and save using phonebook}
도 1은 본 발명의 인덱스 형식과 유니코드를 이용하여 검색 테이블을 구성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서 만들어진 검색테이블 1과 2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순서도이고,
도 3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나 폰북 등의 이동단말기에서 검색과 저장을 유니코드와 해당 언어의 순서를 조합하여 검색과 저장 속도를 개선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엔진(search engine)은 키워드 를 이용해서 인터넷상의 정보 자원을 찾아 주는 검색 도구 또는 서비스이다.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홈페이지를 볼 때, 링크에서 링크로 건너가거나 URL을 입력하여 다양한 홈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잡지나 텔레비전 방송에서 소개된 홈페이지나 링크를 따라서 방문한 적이 있는 홈페이지밖에 볼 수 없다. 자기가 원하는 파일이나 자료의 위치를 쉽게 찾아내고 찾아보기나 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검색 엔진을 사용해야 한다. 서버의 종류에 따라 제목 또는 본문 내용으로 검색한다. 디렉터리 서버에 비해 자세하게 검색하고 서버에 정보를 수집, 찾아보기를 만들어서 가지고 있다. 대부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인 검색 엔진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 라이코스, 네이트, 네이버, 엠파스, 후이즈,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있다.
검색 서비스(retrieval service)는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상호 작용식 또는 대화식 서비스의 하나로, 데이터베이스 센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근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는 사용자가 요구할 때에만 보내지며 개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나의 정보 순서가 시작되어야 할 시점을 결정한다.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을 통해 제공되는 검색 서비스를 광대역 검색 서비스라고 하며, 동화(動畵)나 고해상도의 화상, 오디오 등의 검색 서비스가 이에 해당한다
검색 방식(mode of retrieval)으로는 파일 속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검색 방식과 일괄 검색 방식이 있다. 실시간 검색 방식의 경우, 응답 시간은 최단 시간(즉, 질의에 대해 몇 초 이내의 응답)이어야 한다. 반면에 일괄 검색 방식의 경우는 응답 시간이 그리 문제되지 않는다. 여기서의 검색 요청들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충분한 개수의 요청들이 받아들여질 때까지 트랜잭션 파일에 기록된 다음, 트랜잭션 파일에 있는 모든 질의들이 동시에 처리된다.
한편, 유니코드(Unicode)는 사용 중인 플랫폼,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숫자를 제공한다. 유니코드 체계 안에는 실로 다양한 글자들이 있으며, 악보에 사용되는 음표라든가 다양한 표지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인 온천표시, 계량형 표시 등도 포함되어 있다.
유니코드는 국제 표준으로 제정된 2바이트계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세트(UCS)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 미국의 애플 컴퓨터 회사, IBM사, 마이크로소프트사 등이 제안하여, 이를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유니코드(Unicode)사가 1990년에 발표한 유니코드버전을 ISO/IEC JTC 1에서 1995년 9월에 국제 표준으로 제정하였다.
공식 명칭은 ISO/IEC 10646-1(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이다. 문자 하나 하나에 부여되는 데이터 값을 모두 16비트로 통일하여 문자 간 호환성을 제고함으로써 컴퓨터에 의한 데이터의 교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현재 각국에서 사용 중인 코드의 1문자당 값이 영어는 7비트, 비영어는 8비트, 한글이나 일본어는 16비트 등으로 각기 다른 것을 모두 16비트로 통일하는 것이다. ISO/IEC 10646-1의 문자판(plane)에는 전 세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26개 언어의 문자와 특수 기호에 대해 일일이 코드값을 부여하고 있다(최대 수용 문자 수는 6만 5,536자). 여기에 포함된 한글 코드 체계는 옛 한글의 자모를 포함한 한글 자모 240자(HANGUL JAMO, 11열), 현재 한국 표준인 KSC 5601의 조합형 한글 자모 94자(HANGUL COMPATIBILITY, 31열), 현재 한글에서 구현할 수 있는 최대 글자 수 1만 1,172자를 가나다순으로 배열해 놓은 완성형(HANGUL, AC열/D7열) 등 3종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국의 문자를 2바이트로 수용하기 위해 한/중/일/대만의 한자를 통합하였다. 즉 한국, 일본, 중국, 대만에서 쓰고 있는 닮은 한자에 대해 동일한 2바이트의 코드를 할당하였다.
종래의 PDA, 폰북 등의 이동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검색과 저장 방식은 저장시킨 유니코드만을 기준으로 구성된 언어를 검색/저장하는 것으로, 언어의 수가 많은 중국어나 대만어, 대소문자가 많은 그리스어 등으로 인하여 폰북의 검색과 저장을 처리하는 속도가 느리고 검색과 저장이 수월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종래의 이동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검색 및 저장 기능은 유니코드만을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검색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부분의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세계문자 표준인 유니코드의 코드체계를 이용하고 또한 해당 언어의 순서를 인덱스 형식으로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검색과 저장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덱스의 형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과 저장의 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먼저 해당 언어의 유니코드 값이 작은 순서로 소팅(sorting)하여 하나의 테이블1을 만들고, 테이블 1의 유니코드 값의 순서에 대응되 게 단어나 문장 등으로 이루어진 언어를 배치시킨 테이블2를 이용하여 검색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저장방법은, 유니코드값이 작은 순서대로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배열하여 하나의 검색테이블을 구성하는 1단계와; 상기 검색테이블의 유니코드값 각각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테이블을 구성 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은, 이동단말기로 검색메뉴를 선택하여 검색할 단어를 입력시키는 1단계와; 상기 단어의 첫 번째 문자에 해당되는 유니코드 값을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유니코드값 순서대로 저장한 검색테이블에서 찾는 2단계와; 상기 2 단계에서 검색된 유니코드 값에 대응되는 문자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테이블에서 상기 검색할 단어를 검색하는 3단계와; 상기 검색된 문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동단말기의 화면으로 보여주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테이블은 상기 검색테이블의 유니코드 값의 순서와 연결되도록 상기 유니코드 값으로 시작되는 해당 언어의 문자, 단어를 상기 유니코드 값의 순서로 배열시킨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테이블은 또한, 상기 검색테이블에 저장된 유니코드 값으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상기 유니코드 값의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원발명은 단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저장시에도 상기 검색테이블과 상기 단어테이블의 배열과 같게 저장시켜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덱스 형식과 유니코드를 이용하여 검색 테이블을 구성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서 만들어진 검색테이블 1과 2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순서도이고, 도 3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을 처리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도 1은 인덱스 형식과 유니코드를 이용하여 검색 테이블을 구성하는 순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니코드(Unicode)는 사용 중인 플랫폼,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숫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니코드 체계 안에는 실로 다양한 글자들이 있으며, 숫자뿐만 아니라, 외국어, 악보에 사용되는 음표라든가 다양한 표지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인 온천표시, 계량형 표시 등도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니코드 값이 작은 순서로 배열을 하여 하나의 검색테이블 1을 만든다. 이때 사용되는 유니코드는 모든 유니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사용되는 문자, 숫자, 기호,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유니코드만을 이용하여 속도를 개선한다(ST 20).
또한 상기한 검색테이블 1에 대응되는 해당 언어의 단어, 숙어 등을 재배열하여 이동단말기에 하나의 테이블 2를 구성한다(ST 2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니코드는 상기한 현재 한국 표준인 KSC 5601의 조합형 한글 자모 94자(HANGUL COMPATIBILITY, 31열)를 이용하여 검색테이블을 유니코드 값이 작은 순서로 배열하여 검색테이블 1을 만든다.
본 발명은 유니코드 값이 작은 순서대로 배열된 하나의 검색테이블 1을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첫 번째 문자를 찾고, 나머지 문자는 검색테이블 1의 배열과 대응되게 구성된 테이블 2에서 찾아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는 경우 PDA나 폰북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으로, 유니코드만을 이용한 종래 보다 검색속도가 개선된다.
입력단어가 "특허" 인 경우 "특"의 유니코드 값을 검색테이블 1에서 찾고, "허"자를 테이블 2에서 찾아서 해당 내용을 화면에 보여주고, 저장시에도 검색테이블의 유니코드 값의 순서로 저장을 하여 검색시의 속도를 개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과 같은 검색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순서도이다.
PDA, 폰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 명의 첫 번째 단어를 도 1의 검색테이블 1에서 단어에 해당하는 위치를 찾는다(ST 30).
해당 첫 번째 단어의 위치를 찾은 후에 해당 단어에 대응되는 테이블 2로부터 나머지 데이터명이 자리할 위치를 찾아서 해당 데이터를 저장을 한다.
이때 기저장된 단어 등의 재배열이 필요한 경우 이를 상기한 검색테이블 1과 테이블 2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을 하여, 검색시에 빠른 속도로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ST 32~ST 34).
도 3은 본 발명의 검색테이블과 테이블 2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로 검색을 하는 예를 나타낸 동작 순서도이다.
PDA, 폰북 등의 이동단말기로 사용자가 검색 메뉴를 선택을 하고, 저장된 내 용을 검색하기 위해 단어를 입력을 한다(ST 50, ST 52).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한 검색테이블 1에서 첫 번째 단어의 위치를 검색테이블 1에서 찾고, 두 번째 단어의 위치를 검색테이블 1과 대응되는 테이블 2에서 찾으며, 해당 단어가 찾아진 경우 저장된 내용을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재검색시에는 다시 단계 ST 52로 피드백하여 단어를 입력시켜 검색을 실시한다(ST 54~ST 60).
예를 들어 "통신"이란 내용을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내용이 있는 지를 입력하여 검색을 실시하면, 먼저 "통"자를 검색테이블 1에서 찾고 "통"자와 대응되게 구성된 테이블 2에 "신"자가 있는 경우 해당 단어인 통신에 해당하는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저장시에도 검색테이블 1과 테이블 2의 배열과 조합에 적합한 순서로 저장을 하여 나중에 검색시에 속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니코드의 작은 값 순서로 배열시킨 검색테이블1과 검색테이블 1과 대응되게 구성되는 테이블 2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검색서비스를 제공하여 유니코드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검색시보다 빠른 속도로 감색을 처리할 수 있고, 저장시에도 검색테이블 1과 테이블 2에 맞도록 저장을 하여 속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유니코드값이 작은 순서대로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배열하여 하나의 검색테이블을 구성하는 1단계와;
    상기 검색테이블의 유니코드값 각각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테이블을 구성 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저장 방법.
  2. 이동단말기로 검색메뉴를 선택하여 검색할 단어를 입력시키는 1단계와;
    상기 단어의 첫 번째 문자에 해당되는 유니코드 값을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유니코드값 순서대로 저장한 검색테이블에서 찾는 2단계와;
    상기 2 단계에서 검색된 유니코드 값에 대응되는 문자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테이블에서 상기 검색할 단어를 검색하는 3단계와;
    상기 검색된 문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동단말기의 화면으로 보여주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테이블은 상기 검색테이블의 유니코드 값의 순서와 연결되도록 상기 유니코드 값으로 시작되는 해당 언어의 문자, 단어를 상기 유니코드 값의 순서로 배열시킨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테이블은 상기 검색테이블에 저장된 유니코드 값으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상기 유니코드 값의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KR1020040108556A 2004-12-20 2004-12-2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KR100675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556A KR100675161B1 (ko) 2004-12-20 2004-12-2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556A KR100675161B1 (ko) 2004-12-20 2004-12-2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958A KR20060069958A (ko) 2006-06-23
KR100675161B1 true KR100675161B1 (ko) 2007-01-29

Family

ID=3716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556A KR100675161B1 (ko) 2004-12-20 2004-12-20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1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96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정보 탐색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96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정보 탐색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471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958A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69B1 (ko) 사전 단어 및 어구 판정
US93551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disambiguation and context designation in incremental search
US6735559B1 (en) Electronic dictionary
US9069822B2 (en) Inquiry-oriented us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20060018545A1 (en) User interface and database structure for Chinese phrasal stroke and phonetic text input
US8099416B2 (en) Generalized language independent index storage system and searching method
US20050119875A1 (en) Identifying related names
WO2007001765A2 (en) Using language models to expand wildcards
US20120109994A1 (en) Robust auto-correction for data retrieval
US20020022953A1 (en) Indexing and searching ideographic characters on the internet
EP1216448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network viewing
US20020087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business card
JP2002007450A (ja) 検索支援システム
US20020169891A1 (en) Web address conversion system and Web address conversion method
KR100675161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및 저장 방법
JP2002189744A (ja) Webページ検索システム
JP2004318480A (ja) 電子機器装置、新語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610732A (zh) 一种输入信息确定方法及装置
JPH0944521A (ja) インデックス作成装置および文書検索装置
US20150309991A1 (en) Input support device, input support method, and input support program
KR100755942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2055899A (ja) 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名入力方法
JPH0721212A (ja) 文書処理装置
KR19980020385A (ko) 점수를 이용한 유사 단어 검색 방법
JP2003219014A (ja) 電話帳情報抽出方式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