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369B1 -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369B1
KR100674369B1 KR1020050107763A KR20050107763A KR100674369B1 KR 100674369 B1 KR100674369 B1 KR 100674369B1 KR 1020050107763 A KR1020050107763 A KR 1020050107763A KR 20050107763 A KR20050107763 A KR 20050107763A KR 100674369 B1 KR100674369 B1 KR 10067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or unit
sensor
light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728A (ko
Inventor
김근식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엘케이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케이전자 filed Critical (주)엘케이전자
Priority to KR102005010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36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곡물건조기의 소정부분에서 발광부와 수광부를 모두 포함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센서부를 일정높이에 배치하고, 상위위치에서 발광된 광신호를 하측에 설치된 센서부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수신여부를 확인하므로 곡물건조기에 보관중인 곡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벨감지장치는, 내측에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곡물을 보관하고 소정의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온도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저장된 곡물을 건조하는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각각의 고유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상측에서 발광된 발광신호를 하측에서 수광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곡물건조기의 측벽에서 일정높이간격으로 최 하측에서 최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내지 N 센서부와;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발광케 하고, 각 센서부를 어드레스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제 1 내지 N-1 센서부의 수광여부를 확인하고, 제 1 내지 N-1 센서부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발광신호의 수신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센서부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곡물건조기에 보관중인 곡물의 높이레벨을 출력하는 마스터콘트롤러를 포함한다.
곡물건조기, 마스터콘트롤러, 어드레싱, 곡물높이, 레벨감지

Description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Level Sens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도 1a는 종래의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반사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b는 종래의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투과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마스터콘트롤러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제 1 센서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제 2 내지 N 센서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에서 마스터콘트롤러의 구동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에서 센서부의 구동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곡물건조기 20 : 레벨감지장치
21 : 마스터콘트롤러 22a : 제 1 센서부
22 : 제 2 내지 제 N 센서부 211 : 마스터제어수단
212 : 조작스위치 213 : 마스터출력수단
214 : 마스터입력수단 22a-1 : 제 1 센서제어수단
22a-2 : 제 1 센서입력수단 22a-3 : 제 1 방향제어수단
22a-4 : 제 1 수광수단 22a-5 : 제 1 센서출력수단
221 : 제 2 센서제어수단 222 : 제 2 센서입력수단
223 : 제 2 방향제어수단 224 : 발광수단
225 : 제 2 센서출력수단 226 : 제 2 수광수단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곡물건조기의 소정부분에서 발광부와 수광부를 모두 포함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센서부를 일정높이에 배치하고, 상위위치에서 발광된 광신호를 하측에 설치된 센서부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수신여부를 확인하므로 곡물건조기에 보관중인 곡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는 보관된 곡물에 일정온도이상의 열을 갖는 열풍을 가하여 곡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곡물건조기는 그 구동조건에 있어 열풍을 최대한 활용하여 열낭비를 최소화시키고, 건조실 내로의 곡물 투입과 건조실 외부로의 곡물배출이 회전체의 회동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건조실 내로 유입된 열풍이 고루 분산되어 가능한 한 건조된 곡물의 함수율이 고른 건조곡물을 얻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곡물건조기의 구성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제조건 중, 상기 곡물건조기에 보관중인 곡물의 양을 측정함이 중요하다. 즉, 곡물건조기에 얼마만큼의 높이로서 곡물이 보관되는 지를 파악하므로 열풍을 조절 및 곡물배출과 투입량의 산출 및 그 구동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는 그 내부에서 보관되는 곡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레벨감지장치를 설치하며, 종래의 레벨감지장치는 하기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a는 종래의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반사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b는 종래의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투과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곡물건조기는 적외광 또는 가시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1a, 1b)와 상기 발광소자(1a, 1b)에서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2a, 2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a, 1b)는 상기 곡물건조기의 상측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수광소자(2a 2b)는 일정높이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발광소자(1a, 1b) 및 수광소자(2a, 2b)는 투명아크릴판으로 형성되는 곡물건조기의 내벽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발광과 수광하여 곡물건조기에 보관중이 곡물의 높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종래의 곡물건조기는 크게 반사형(도 1a참조)과 투과형(도 1b)으로 분류되며, 반사형의 경우는 상기 발광소자(1a)와 수광소자(2a)가 모두 일측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소자(1a)가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투명아크릴판을 통해 발광하면, 타측의 투명아크릴판에서 반사되어 일측의 수광소자(2a)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수광소자(2a)는 각각의 높이별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됨에 따라 곡물의 높이가 수광소자(2a)보다 높으면 그 이하의 수광소자(2a)에는 수광되지 않고, 곡물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수광소자(2a)에만 광이 수광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어떤 높이의 수광소자에서부터 수광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곡물건조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투과형은, 상기 발광소자(1b)와 수광소자(2b)가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투명아크릴판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일측에 설치된 발광소자(1b)가 발광되면 타측의 수광소자(2b)가 이를 수광하므로 곡물건조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는 투명아크릴판의 외측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상기 투명아크릴판에 먼지나 이물질등이 묻거나 상처가 있을 경우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곡물건조기의 내측에서 반사됨에 따라 수광소자가 곡물의 높이에 관계없이 수광되므로 곡물의 높이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보관되는 곡물이 가득차게 되었을 경우에도 곡물이 계속 투입되는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각 수광소자에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광을 수광하면, 해당 수광소자에서 별도의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이를 표시함에 따라 그 구성요소가 추가 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투과형 레벨감지장치는 곡물이 위에서부터 투입됨에 따라 투입되는 곡물에 의해 발광되는 광이 차단되므로 곡물투입시 오작동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건조기의 외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모두 포함하는 다수개의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측에 배치된 센서부의 발광신호를 하측에 위치된 센서부의 수광여부를 확인함에 따라 곡물건조기에 투입된 곡물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센서부를 마스터콘트롤러에 슬레이브로 연결구성하고, 각 센서부에 고유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해당 어드레스에 따라 각 센서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호출하여 발광 및 수광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부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부여하되, 마스터콘트롤러에서 최초 센서부에 최초어드레스를 부여하면, 상기 최초센서부에서는 수신된 어드레스에 신호를 부가하여 다음차순의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다음차순의 센서부에 송신하므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센서부에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가 자동으로 부여되는 곡물감지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로서 구 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벨감지장치는, 내측에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곡물을 보관하고, 소정의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온도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저장된 곡물을 건조하는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각각의 고유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상측에서 발광된 발광신호를 하측에서 수광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곡물건조기의 측벽에서 일정높이간격으로 최 하측에서 최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내지 N 센서부와;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발광케 하고, 각 센서부를 어드레스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제 1 내지 N-1 센서부의 수광여부를 확인하고, 제 1 내지 N-1 센서부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발광신호의 수신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센서부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곡물건조기에 보관중인 곡물의 높이레벨을 출력하는 마스터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벨감지장치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부는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된 발광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수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상기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광수단의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벨감지장치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1 센서부 중 앞차순의 센서부를 통하여 인가되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로부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수단과; 다음차순에서 마지막차순까지의 센서부에서 발광된 발광신호를 수신하 는 하는 제 2 수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수광수단의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벨감지방법은, 상기 곡물건조기의 측벽에서 일정높이간격으로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마스터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콘트롤러의 구동방법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센서부에서 최초 차순의 센서부에 최초 차순의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이를 송신하므로 각 센서부에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부여단계와; 곡물레벨감지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연결되는 최 하측에 설치된 제 2 센서부에서 최 상측의 N센서부까지 순차적으로 소정의 코드를 갖는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제어신호출력단계와; 상기 발광제어신호출력단계이후, 상기 제 1 내지 N-1 센서부 중 상측에 위치된 다음차순의 센서부에서 발광되면, 이전차순의 센서부에 해당 어드레스를 포함한 수신확인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 호출신호의 출력단계 이후, 해당 어드레스를 갖는 센서부로부터 수신여부를 포함한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신호를 수광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 판단단계에서 해당 센서부로부터 수신되었음이 판단되면, 해당 센서부의 어드레스를 통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그 높이를 산출하여 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벨감지방법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구동방법은 자신의 어드레스를 저장한 이후, 상기 상측에 설치되는 다음차순부터 마지막차순의 센서부로부터 발광된 발광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콘트롤러 또는 이전차순의 센서부로부터 수신확인 호출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신확인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확인 호출신호에 포함된 어드레스가 자신의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 호출신호에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었으면, 상기 발광신호의 수신유무를 확인하고, 수신된 발광신호의 코드를 포함하는 수신확인신호를 다음차순의 센서부 또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벨감지방법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부터 출력된 소정의 코드를 포함하는 발광제어신호가 앞차순의 센서부를 통해 수신되면, 해당 발광제어신호에 포함된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곡물감지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10)의 레벨감지장치(20)는 어드레스부여 및 발광제어신호, 곡물레벨을 확인 및 표시하는 마스터콘트롤러(21)와, 상기 곡물건조기(10)의 내측에 일정높이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 내지 N 센서부(22a, 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N 센서부(22a, 22)는 최 하측에서 최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이중 제 2 센서부와 N 센서부(22)는 940nm 파장을 갖는 발광소자를 구비하며, 다른 외란광과 구별하기 위해 37.9㎑로 변조를 함과 동시에 16비트 코드로 송신하여 각각의 센서부(22a, 22)에 일치하는 코드를 발신하여 센서간 개별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N 센서부(22a, 22)는, 예를 들면, 핀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하여 400~1100nm의 수신감도를 갖고 있으며 필터를 사용하여 940nm에서 약±50nm의 파장대의 광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대역의 광은 차단시킨다.
아울러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는 출력측이 상기 다수개의 센서부(22a, 22)중 곡물건조기의 최하측에 위치한 제 1 센서부(22a)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이후 각 센서부(22)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이전 또는 다음 높이의 센서부(22a, 22)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마지막차순의 센서부(N 센서부)를 거쳐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의 입력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상기 제 1 센서부(22a)에 출력되고, 이후 제 2 센서부(22)를 거쳐 최종적으로 N센서부(22)에 수신되며, 곡물건조기의 최상측에 설치되는 마지막차순의 N 센서부(22)는 다시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2a, 22)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를 갖고 있으며,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해당 센서부(22)의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출력되므로 각 센서부(22a, 22)는 수신된 신호에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었을 경우에만 해당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 (22a, 22)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 또는 이전차순의 센서부(22a, 22)로부터 수신되는 발광제어신호 또는 호출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다음차순의 센서부(22)에 출력한다. 즉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에서 출력된 신호를 모두 수신하되, 해당 신호에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었을 경우에만 동작하고 나머지는 모두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센서부(22a, 22)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의 수광여부를 확인하는 수신확인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센서부(22a, 22)중 어느 하나가 상기 수광 확인 호출신호에 따른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하면, 이는 다음 차순의 센서부(22)를 통해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에서 수신된다.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마스터콘트롤러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는 어드레스부여 및 곡물높이레벨감지의 동작실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212)와, 상기 스위치(212)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22)의 발광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 1 내지 N 센서부(22a, 22)의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마스터제어수단(211)과,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에서 출력된 발광제어신호 또는 최초 차순의 어드레스를 제 1 센서부(22a)에 출력하는 마스터출력수단(213)과,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의 호출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N 센서부(22a, 22)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어 다음 차순의 센서부(22)를 순차적으로 거쳐 인가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에 인가하는 마스터입력수단(2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입력수단(214)은 상기 N 센서부의 출력측과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의 입력측에 각각 연결되어 수신확인신호 및 어드레스, 발광결과신호를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12)는 어드레스구동신호와 레벨감지의 동작실험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스위치(212)로 구성되어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마스터출력수단(213)은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에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에서 출력된 신호를 제 1 센서부(22a)에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제 1 센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센서부(22a)는 상기 마스터출력수단(213)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센서입력수단(22a-2)과,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22)의 발광신호를 수신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수광수단(22a-4)과, 상기 제 1 센서입력수단(22a-2)으로부터 인가되는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의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광수단(22a-4)의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센서제어수단(22a-1)과, 제 1 센서입력수단(22a-2)과, 상기 제 1 센서제어수단(22a-1)에 각각 연결되어 출력된 신호가 제 2 센서부(22)에 인가되도록 하는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 1 방향제어수단(22a-3)과, 상기 제 1 방향제어수단(22a-3)을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 1 센서입력수단(22a-2)에서 출력된 호출신호와 상기 제 1 센서제어수단(22a-1)에서 출력된 수신확인신호를 자신의 위치보다 더 높은 다음차순의 제 2 센서부(22)에 출력하는 제 1 센서출력수단(22a-5)을 포함한 다.
여기서 상기 제 1 센서입력수단(22a-2)은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의 마스터출력수단(213) 및 마스터입력수단(214)에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로부터 수신된 각 신호를 상기 제 1 센서제어수단(22a-1)과 제 1 센서출력수단(22a-5)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센서제어수단(22a-1)은 상기 제 1 센서입력수단(22a-2)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거나,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제어수단(22a-3)은 상기 제 1 센서제어수단(22a-1)과 제1 센서입력수단(22a-2), 상기 제 1 센서출력수단(22a-5)사이에 인가되는 신호를 상기 제 1 센서출력수단(22a-5)방향으로만 인가되도록 상기 제 1 센서출력수단(22a-5)에서 출력된 신호가 역방향으로 상기 제 1 센서입력수단(22a-2)과 제 1 센서제어수단(22a-1)에 인가됨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에서 제 2 내지 N 센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22)는 상기 제 1 센서부(22a) 또는 앞차순 센서부(22)(자신보다 아래측에 설치된 센서부)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센서입력수단(222)과,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22)의 발광신호를 수신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수광수단(226)과, 상기 제 2 센서입력수단(222)에서 인가되는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의 호출신호와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수광수단(226)의 수신확인신호 및 발광수단 (224)의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센서제어수단(221)과, 제 2 센서입력수단(222)과, 상기 제 2 센서제어수단(221)에 각각 연결되어 출력된 신호가 다음차순의 센서부(22)에 인가되도록 하는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 2 방향제어수단(223)과, 상기 제 2 방향제어수단(223)을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 2 센서입력수단(222)에서 출력된 호출신호와 상기 제 2 센서제어수단(221)에서 출력된 수신확인신호를 자신의 위치보다 더 높은 다음차순의 센서부(22)에 출력하는 제 2 센서출력수단(225)과, 상기 제 2 센서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변조폭을 갖고 16비트의 코드를 갖는 발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수단(2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수단(224)는 상기 제 2 센서제어수단(221)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와 상기 트랜지스터(Q)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발광소자(LED)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센서제어수단(221)으로부터 온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가 온됨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LED)가 발광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는 상기 제 2 센서제어수단(22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갖고 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LED)를 발광시켜 소정의 코드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의 작용설명은 하기의 순서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에서 마스터콘트롤러의 구동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는 상기 스위치(212)를 통하여 어드레스부여신호가 인가되면, 최초 차순의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상기 마스터출 력수단(213)에 연결된 제 1 센서부(22a)에 이를 송신한다. 그러므로 상기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 1 내지 N 센서부(22a, 22)는 각각 앞차순의 센서부(22a, 22)로부터 수신된 자신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등록된 어드레스에 +1을 하여 다음차순의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다음차순의 센서부(22)에 출력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최초차순의 어드레스에서 순차적으로 +1되어 마지막차순의 센서부(22)까지 어드레스가 부여되며,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은 상기 마지막차순의 센서부(22)로부터 송신된 최종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연결되는 센서부(22a 22)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부여함에 따라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은 곡물건조기의 최하측에서 최상측까지의 센서부의 수량을 최종어드레스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S11).
또한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은 상기 스위치(212)로부터 레벨감지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연결되는 제 1 센서부(22a)를 통해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발광제어신호는 상기 발광신호를 타 광신호와 구분될 수 있도록 소정의 코드, 예를들면, 발광수단(234)의 스위칭시간을 설정함에 따라 발광신호가 일정시간동안 소정의 간격으로 온오프되어 소정의 파형을 갖고 출력될 수 있도록 소정의 코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해당 어드레스를 갖는 제 2 내지 N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광수단(224)은 이전차순의 센서부(22)를 통해 해당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코드에 따라 발광신호를 출력한다(S12, 13).
이후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은 상기 발광신호를 출력하는 해당 센서부 (22)로부터 발광결과신호를 상기 마스터입력수단(214)을 통해 수신하면, 제 1 내지 N-1 센서부(22a, 22) 중 발광된 센서부의 어드레스보다 이전차순의 어드레스를 갖는 센서부(22a, 22)(발광된 센서부보다 하측에 위치한 센서부)를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발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확인 호출신호를 상기 제 1 센서부(22a)를 통해 해당 센서부(22a, 22)의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출력한다. 그러므로 해당 센서부(22a, 22)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발광신호의 수신여부를 포함한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은 이전차순의 센서부(22a, 22)중 어떤 센서가 발광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4, S15).
판단결과,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은 해당 센서부(22)에서 발광신호를 수신하지 않거나 출력된 발광신호의 정상코드를 포함하지 않으면 다음차순의 어드레스를 갖는 센서부(22)에 수신확인 호출신호를 송신한다(S14).
또는 상기 마스터제어수단(211)은 호출한 센서부(22a, 22)에서 발광신호를 수신하였고, 수신된 발광신호가 정상코드를 포함하였다면, 그 다음차순의 어드레스를 갖는 센서부(22)중 일정범위내의 센서부를 다시 호출하여 모두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면, 발광신호를 수신한 센서부(22a, 22) 중 차순이 낮은 센서부(22a, 22)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를 출력한다(S16, S17).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에 의한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곡물의 높이를 인지할 수 있어 열풍조절 및 곡물의 추가투입 여부 등의 판단이 용이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에서 센서부의 구동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내지 N 센서부(22a, 22)는 전원이 인가되면, 최초 대기상태를 갖는다. 이후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 또는 앞차순의 센서부(22a, 22)로부터 어드레스부여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S21,S22).
따라서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상기 센서입력수단(22a-2, 222)으로부터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 또는 앞차순의 센서부(22a, 22)에서 출력된 어드레스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어드레스를 자신의 어드레스로 등록시켜 이를 저장한다(S23).
그리고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저장된 자신의 어드레스에 +1을 하여 다음차순의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센서출력수단(22a-5, 225)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출력수단(22a-5, 225)은 다음 차순 센서부(22)의 센서입력수단(22a-2, 222)에 해당 신호를 출력한다(S24).
이후,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22)의 제 2 센서제어수단(221)은 앞차순의 센서부(22a, 22)로부터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발광제어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입력수단(222)을 통하여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발광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시간간격을 갖고, 상기 트랜지스터(Q)를 온오프하므로 발광소자(LED)를 발광시켜 발광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상기 수광수단(22a-4, 226)으로부 터 수광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상기 수광수단(22a-4, 224)으로부터 변조된 광에 16비트의 코드를 부여하여 출력된 발광신호의 수신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발광신호의 코드를 저장한다(S25, S26).
따라서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상기 센서입력수단(22a-2, 222)으로부터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수신확인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S27).
그리고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수신확인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발광신호의 코드와 자신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발광신호 수신단계에서 발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발광신호의 수신이 없음을 표시하는 소정의 신호와 자신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수신확인신호를 다음차순의 센서부(22)에 출력한다(S28).
그러므로 다음 차순의 센서부(22)는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다음차순의 센서부(22)에 송신함에 따라 결국에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21)에 송신된다(S29).
또는 상기 센서제어수단(22a-1, 221)은 상기 수신확인 호출신호에서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센서입력수단(22a-2, 222)을 통해 출력된 다른 어드레스를 포함한 수신확인 호출신호가 상기 센서출력수단(22a-5, 225)을 통해 다음 차순의 센서부(22)에 송신된다(S27, S2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콘트롤러와 다수개의 센서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각 센서부에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마스터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코드를 갖는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각 센서부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호출하여 발광신호의 수신 여부 및 수신된 발광신호의 코드를 확인함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 되지않고 정확하게 곡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로부터 신뢰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부여하되, 마스터콘트롤러에서 최하측에 위치한 센서부에 최초어드레스를 부여하면, 상기 최초어드레스가 부여된 센서부에서는 수신된 어드레스에 소정의 신호를 부가하여 다음 차순의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다음차순의 센서부에 송신하므로 결국 연결되는 다수개의 센서부가 그 높이에 따라 순차적인 어드레스를 자동으로 갖게 됨에 따라 각 센서부의 어드레싱방법이 간편하고 그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측에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곡물을 보관하고, 소정의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온도이상의 열풍을 이용하여 저장된 곡물을 건조하는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각각의 고유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상측에서 발광된 발광신호를 하측에서 수광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곡물건조기의 측벽에서 일정높이간격으로 최 하측에서 최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내지 N 센서부와;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발광케 하고, 각 센서부를 어드레스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제 1 내지 N-1 센서부의 수광여부를 확인하고, 제 1 내지 N-1 센서부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발광신호의 수신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센서부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곡물건조기에 보관중인 곡물의 높이레벨을 출력하는 마스터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부는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된 발광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수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상기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광수단의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1 센서부 중 앞차순의 센서부를 통하여 인가되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로부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수단과;
    다음차순에서 마지막차순까지의 센서부에서 발광된 발광신호를 수신하는 하는 제 2 수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된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수광수단의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4. 상기 곡물건조기의 측벽에서 일정높이간격으로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마스터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콘트롤러의 구동방법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센서부에서 최초 차순의 센서부에 최초 차순의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이를 송신하므로 각 센서부에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부여단계와;
    곡물레벨감지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연결되는 최 하측에 설치된 제 2 센서부에서 최 상측의 N센서부까지 순차적으로 소정의 코드를 갖는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제어신호출력단계와;
    상기 발광제어신호출력단계이후, 상기 제 1 내지 N-1 센서부 중 상측에 위치 된 다음차순의 센서부에서 발광되면, 이전차순의 센서부에 해당 어드레스를 포함한 수신확인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 호출신호의 출력단계이후, 해당 어드레스를 갖는 센서부로부터 수신여부를 포함한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신호를 수광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 판단단계에서 해당 센서부로부터 수신되었음이 판단되면, 해당 센서부의 어드레스를 통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그 높이를 산출하여 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감지기의 레벨감지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구동방법은
    자신의 어드레스를 저장한 이후, 상기 상측에 설치되는 다음차순부터 마지막차순의 센서부로부터 발광된 발광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콘트롤러 또는 이전차순의 센서부로부터 수신확인 호출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신확인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확인 호출신호에 포함된 어드레스가 자신의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 호출신호에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었으면, 상기 발광신호의 수신유무를 확인하고, 수신된 발광신호의 코드를 포함하는 수신확인신호를 다음차순의 센서부 또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지 N 센서부는 상기 마스터콘트롤러부터 출력된 소정의 코드를 포함하는 발광제어신호가 앞차순의 센서부를 통해 수신되면, 해당 발광제어신호에 포함된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방법.
KR1020050107763A 2005-11-11 2005-11-11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 KR10067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763A KR100674369B1 (ko) 2005-11-11 2005-11-11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763A KR100674369B1 (ko) 2005-11-11 2005-11-11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974U Division KR200411716Y1 (ko) 2005-12-22 2005-12-22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728A KR20050111728A (ko) 2005-11-28
KR100674369B1 true KR100674369B1 (ko) 2007-01-30

Family

ID=3728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763A KR100674369B1 (ko) 2005-11-11 2005-11-11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3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728A (ko) 2005-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798B2 (en) LED lighting unit
US7342492B2 (en) Electrical appliance
US6925871B2 (en) Level sensors
US8026472B2 (en) Touch-sensitive momentary contact switch with an evaluation circuit detecting a malfunction in an optical sensor
US6770869B2 (en) Method of automatic standardized calibration for infrared sensing device
JP4839805B2 (ja) センサ装置
JP2008159550A (ja) 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JP2004101446A (ja) 光電センサ
KR101039903B1 (ko)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CA2329314A1 (en) Optical vend-sensing system for control of vending machine
TW200622219A (en) Uniformity and brightness measurement in oled displays
EP2659047B1 (en) A washing machine that determines colors of items to be washed
US8125631B2 (en) Tester for testing optical detector
KR100674369B1 (ko)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및 방법
KR200411716Y1 (ko) 곡물건조기의 레벨감지장치
US5051574A (en) Optical coordinate detection apparatus
TW201505488A (zh) 壁開關
CN101849432B (zh) 灯具和控制灯具的方法
EP2314134A1 (en) Monitoring light coming from different areas
JP5046266B2 (ja) 検出装置
JP4321890B2 (ja) 色検出装置
JP2665396B2 (ja) 光学的ウェブ検出及び測定装置
JP2004234910A (ja) 照明制御装置
JPH039006Y2 (ko)
JP6287182B2 (ja) 車両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