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197B1 - 레일 어댑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 어댑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197B1
KR100674197B1 KR1020040079108A KR20040079108A KR100674197B1 KR 100674197 B1 KR100674197 B1 KR 100674197B1 KR 1020040079108 A KR1020040079108 A KR 1020040079108A KR 20040079108 A KR20040079108 A KR 20040079108A KR 100674197 B1 KR100674197 B1 KR 100674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rrel
adapter system
longitudinal dire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288A (ko
Inventor
손혁
Original Assignee
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혁 filed Critical 손혁
Priority to KR102004007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1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3/00Butts; Butt plates; Stocks
    • F41C23/16Forestocks; Handgrips; Hand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어댑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총기의 총신 일부와 총열을 감싸며, 상기 총신에서 총열에 이르도록 길게 형성된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에 수직하며 상기 총열의 측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부레일을 포함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레일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하부레일을 갖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총기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으며, 장착시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총 4개의 레일이 사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많은 부가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장치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부가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어 부가장치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한국형 총기인 K1,K2 등의 구조에 적합하게 설계될 뿐만 아니라, 다른 총기에도 장착가능하도록 호환성있게 제작됨으로써, 부가장치의 개발을 표준화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총기, 총열, 레일, 어댑터, K1, K2, 조준경, 표적지시기

Description

레일 어댑터 시스템{RAIL ADAPT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장착한 총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분해한 상태의 총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연결구 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가늠쇠 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2의 상부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상부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도 2의 하부부재의 측면도,
도 8은 도 2의 하부부재의 정면도,
도 9는 도 2의 하부부재의 결합고리 영역의 확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총신 27 : 가늠자
30 : 총열 35 : 가스배관
37 : 가늠쇠 40 : 연결구
100 : 레일 어댑터 시스템 110 : 상부부재
120 : 상부레일 121 : 레일편
122 : 조준홈 123 : 걸림돌기
124 : 걸림홈 145 : 상부측 결합리브
150 : 측부레일 170 : 하부부재
175 : 하부측 결합리브 180 : 하부레일
본 발명은 레일 어댑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총기의 기종이나 부가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부가장치의 장착이 가능한 호환성을 가지며, 장착 및 탈착이 간편하고 용이함과 동시에 장착시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세계 각국은 총기 그 자체의 개발과 개량을 통해 총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보다는 전자기술과 IT산업 및 소재공학 등의 발달에 따른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장치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는 총기 자체의 개발에 한계점에 도달하였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대다수의 국가들이 예산 부족으로 차세대 총기의 도입 자체가 어렵거나 도입을 하더라도 그 규모에 제약이 따르게 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자기술과 소재공학의 발달로 가격이 저렴해지고 크기는 작아진 반면, 신뢰성과 내구성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하였고, 야간전투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면서 저격수나 특수부대원이 아닌 일반 전투요원에게까지 부가장치를 지급해야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부가장치의 개발 및 장착은 기존 총기를 개발 및 변형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 전투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저렴하고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부가장치로는, 망원 조준경, 등배율 광학 조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야간 투시경, 적외선 표적지시기, 적외선 조명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망원 조준경, 등배율 광학 조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등은 교전거리와 사격 정확도를 향상시켜 표적의 발견에서부터 조준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한다. 그리고 야간 투시경, 적외선 표적지시기, 적외선 조명장치는 야간 전투시에 야간 투시경을 통한 전장의 관측과, 관측을 통해 발견된 목표물에 대한 조준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부가장치의 사용은 기존 총기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동일한 기종의 소총인 경우 부가장치의 장착 유무에 따라 전투력의 현저한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따라, 각 전투요원의 생존율을 높이고 전투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개발된 것이 레일 어댑터 시스템(RAS : Rail Adapter System)이라 불리는 총기용 부가장치 장착대이다. 레일 어댑터 시스템은 총기에 부가장치 장착을 위한 레일을 마련하여 각 부가장치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부가장치의 신속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레일 어댑터 시스템은 20세기 후반에 개발되어 전세계 군용 총기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고안품으로서, 총기 및 보병 전투력을 증대한다는 측면에서 현재 총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장단기적으로 요구되는 군의 첨단화, 디지털화를 구현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장비인 것이다.
이에 RAS나 동일 규격의 20mm 레일은 원산지인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주요 총기 및 부가장비 제조 업체들에서 폭넓게 개발 및 생산이 진행중이며 많은 나라 군대가 이미 채용했거나 채용을 서두르고 있다.
유럽의 경우, NATO 주요국 대부분이 RAS에 해당하는 레일 체계의 도입을 강력하게 추진중이거나 이미 도입이 시작된 상태이며, NATO 국가들이 생산하는 망원 조준경 및 표적 지시기 등의 부가장치는 모두 레일 체계에 맞도록 규격이 변경되고 있다. 그리고 중동 및 아프리카, 아시아의 경우, 독자적 병기 개발능력이 있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RAS와 동일 규격의 레일 체계를 개발중이거나 개발이 완료되어 자국군의 장비 일부로 사용중이다. 심지어 서방 세계와는 다른 표준을 가지고 있던 동유럽 국가들에서조차 RAS 호환장비 제작에 돌입하였다.
한국의 경우, 한정된 예산으로 60만이라는 대군을 유지해야 하는 현실에서 광학 조준경이나 레이저 표적지시기 등의 부가장비는 일종의 사치품으로 여겨져 보급이 지지부진했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든 현 시점에서 육군도 전투요원들의 전투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전투장비를 디지털화와 첨단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야간 전투력의 배양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총기는 K1,K2소총으로서, 국내에서 개발되었으나 성능은 세계적 수준과 비교해도 큰 손색이 없다. 하지만, 현재의 K1,K2소총에는 망원 조준경이나 레이저 표적지시기 등의 부가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적당하지 아니하여 장착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한번 정해진 장착방법 및 장착위치는 총 자체의 구조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므로 변경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21세기 수준에 맞게 보병 전투력을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K1,K2소총에 다양한 신형 부가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새로운 부가장치가 개발될 때마다 총기의 모델에 따라 각각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시간이나 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장래의 신형 총기에는 장착할 수 없는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수출이나 수입시에도 부가장치를 총기의 기종에 맞게 개조해야 하므로 부가적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K1,K2에도 별도의 개조없이 부가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며, 장래의 신형 총기에도 부가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형 RAS를 개발하는 작업이 시급하다. 특히 해외 장비들의 규격과 호환되는 RAS를 개발함으로써, 세계 각국에서 개발된 우수한 성능의 부가장치들을 K1,K2에 그대로 장착할 수 있으며, 거꾸로 국내에서 개발된 부가장치들을 해외로 수출하기에도 유리해진다.
한편, 선출원된 미국특허 06792711호 'FIREARM ADAPTER RAIL SYSTEM'에서는, 제1마운트, 제2마운트, 레일 어댑터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1마운트와 제2마운트에는 레일 어댑터를 장착할 수 있는 레일장착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마운트와 제2마운트에 레일 어댑터를 장착하기 위해 전방마운트와 후방마운트가 장착되며, 레일 어댑터와 전방마운트 및 후방마운트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제1마운트와 제2마운트를 총기에 장착시키고 이동을 방지하는 별도의 사이트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출원은, 전방마운트 및 후방마운트를 마련하여 레일 어댑 터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실제 부가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위치는 총기의 상하좌우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방마운트와 후방마운트는 그 효용성이 크지 아니하며, 오히려 레일 어댑터 시스템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착탈 시간을 연장시키고, 부속품을 분실할 우려가 있다. 게다가, 복수개의 레일을 설치할 경우, 각각의 레일을 별도의 작업을 통해 장착 및 탈착시켜야 하므로, 착탈시간이 길어지고 탈착작업이 번거로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투 등 필요시에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총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장착되어 총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업그레이드되어 변형된 부가장치에 대해서도 호환성을 가지고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해야 하며, 사용하는 전투요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장착된 부가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총기의 기종이나 부가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부가장치의 장착이 가능한 호환성을 가진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 및 탈착이 간편하고 용이함과 동시에 장착시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총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일단은 가늠자에 인접하고 타단은 가늠쇠에 인접하도록 총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갖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부재의 레일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갖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총기의 총신을 차단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총기의 총열의 상부와 양 측부를 차단하는 상부본체를 포함하는 상부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재의 레일은, 상기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상부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의 레일은, 상기 상부본체의 양 측부에 상기 상부레일에 수직하며 상기 상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측부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총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부재이며, 상기 하부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레일과 평행한 하부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레일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레일편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편은 상기 레일의 가로방향을 따라 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영역에는 'U'자 형상으로 함몰된 조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편은, 상기 조준홈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각 걸림돌기의 하부에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는, 돔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소정 폭 좁아진 넥부와, 상기 넥부로부터 소정 폭 확장된 숄더부와, 상기 숄더부로부터 소정 폭 확장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관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상부측 결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는, 상부부재의 측부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부재의 바디부에 수용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말단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하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측 결합리브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하부측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레일과 측부레일 사이의 측벽에는, 타원형상의 방열구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히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의 측벽부와 경사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하부부재를 관통한 환기공이 상기 하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열과 총신의 연결영역에는 통상의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의 상기 총신을 향한 측벽과, 상기 상부부재의 내측벽 중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결합홈이 함몰형성된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연결구의 외주 연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한 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레일에는 상기 하부레일에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림부에 걸림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결합고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가늠쇠가 위치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측부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절취부의 폭만큼 돌출된 판상의 결합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랜지에는 상기 상부부재를 총기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1나사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열과 가스배관 사이에는 상기 가늠쇠로부터 돌출된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에는 제1나사공을 통과한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측부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편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연속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속레일부의 일측 상단부에는 총기의 장착을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2나사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열은, 상기 총신을 향한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총열의 전방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축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나사공에 체결된 나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가스배관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총기의 총신 일부와 총열을 감싸며,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총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레일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총열에 대해 상기 상부부재와 대향되는 영역에서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레일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갖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총기의 총신 일부와 총열을 감싸며, 상기 총신에서 총열에 이르도록 길게 형성된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에 수직하며 상기 총열의 측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부레일을 포함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레일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하부레일을 갖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총기의 총신과 총열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총신에서 총열에 이르도록 길게 형성된 상부레일을 갖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상기 총열의 양 측부와 하부를 둘러싸며, 상기 상부레일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상기 총열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과 수직하며 상기 총열의 양 측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측부레일을 갖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레일 어댑터 시스템은, 총기에 장착되어 갖가지 부가장치의 탑재에 사용 되며, 후술할 실시예와 도면에서는 한국군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K1,K2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나, 장착면에서 호환성을 가지기 때문에 K1,K2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종의 총기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장착한 K1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탈착한 상태의 K1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K1을 비롯한 총기는, 크게 총열(30), 총신(20), 개머리판(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총신(20)은 탄환이 장착되어 발사되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총신(20)의 하부에는 탄환이 장착되어 총신(20)으로 탄환을 제공하는 탄창(21)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탄창(21)의 후방에는 총기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22)가 총신(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창(21)과 손잡이(22) 사이에는 탄환의 발사를 위한 방아쇠(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총신(20)의 상단부에는 후술할 가늠쇠(37)와 함께 표적을 조준하기 위한 가늠자(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총신(20)의 후방에 형성된 개머리판(10)은 사용자의 어깨를 받쳐주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격시 총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K1의 개머리판(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를 받치는 유선형의 받침대(11)와, 받침대(11)와 총신(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링크(15)로 이루어지며, 연결링크(15)는 총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총신(20) 내부에 수용 및 철회가능하다. 이에 따라, 불필요시 연결링크(15)를 총신(20)의 내부로 철회시킴으로써, 총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총신(20)의 전방에 형성된 총열(30)은 공이에 의해 충격을 받아 발사된 탄환이 이동하는 통로로서, 긴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총신(20)과 총열(30)의 연결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의 연결구(40)가 형성되어 총열(30)을 총신(20)에 고정하며, 연결구(40)는 총열(30)을 향한 영역이 개방되어 총열(3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연결구(40)의 총신(20)을 향한 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구(40)의 외주 연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한 림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총열(30)의 연결구(40)에 접한 후방 단부 영역에는 총열(30)의 전방 단부로 갈수록 폭이 축경되는 축경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총열(30)의 전방 단부에는 소음의 감쇠를 위한 소염기(50)가 장착되어 있고, 소염기(50)의 후방에는 상술한 가늠자(27)와 함께 표적을 조준하기 위한 가늠쇠(37)가 상향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늠쇠(37)의 후방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열(30)과 후술할 가스배관(35) 사이에 가늠쇠(37)로부터 연장된 결합편(33)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편(33)에는 후술할 상부부재를 고정할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총열(30)의 상부에는 총신(20)내에서 탄환의 충격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관(35)이 총열(3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가스배관(35)의 단부는 가늠쇠(37)의 하부로 연장되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총열(30)에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이 장착되어 있다.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은 원래 총열덮개가 장착되었던 영역에 장착되며,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로 분리된다.
상부부재(110)는, 도 5의 측면도 및 도 6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열(30)의 상부와 양측부를 둘러싸는 상부본체(115)와, 상부본체(115)로부터 총신(20) 측을 향해 연장되어 총신(20)의 상부를 둘러싸는 상부덮개(111)를 포함한다.
상부본체(115)는, 총열(30)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면부와, 상면부로부터 하향 비스듬히 하향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를 가지며, 상면부와 양 측면부에는 부가장치들의 장착을 위한 상부레일(120)과 측부레일(15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가장치는 총기의 성능을 증대시켜 전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망원 조준경, 무배율 광학 조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야간 투시경, 적외선 표적지시기 등의 광학장치와, 손잡이, 양각대, 적외선 조명장치 등이 있다. 망원 조준경, 등배율 광학 조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등은 교전거리와 사격 정확도를 향상시켜 표적의 발견에서부터 조준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한다. 그리고 야간 투시경, 적외선 표적지시기, 적외선 조명장치는 야간 전투시에 야간 투시경을 통한 전장의 관측과, 관측을 통해 발견된 목표물에 대한 조준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부가장치의 장착을 위해 형성된 상부레일(120)과 측부레일(150) 중, 상부레일(120)은 가늠자(27)와 가늠쇠(37)가 장착된 총의 상부면에 수평하도록 형성되고, 측부레일(150)은 총의 측면에 평행하도록, 즉 상부레일(120)에 대해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레일(120)은 상부본체(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덮개(11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본체(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 고 배치된 다수의 레일편(121)에 의해 형성된다. 각 레일편(121)은 상부본체(115)의 가로방향을 따라 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영역에는 'U'자 형상으로 함몰된 조준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조준홈(122)은,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의 총기 장착시, 근거리 조준이나 시급한 사격시에 표적을 조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준홈(122)의 부피만큼 상부부재(1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므로,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과 부가장치의 장착으로 무거워지는 총기를 조금이라도 가볍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조준홈(122)에 의해 레일편(121)은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각각 걸림돌기(123)를 형성하며, 각 걸림돌기(123)의 단부는 레일편(121)의 양 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다음, 다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각 걸림돌기(123)의 하부에는 장착되는 부가장치들이 걸림결합되는 걸림홈(124)이 상부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부레일(150)은 양 측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레일편(121)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상부레일(120)과 구성이 유사하다. 다만, 측부레일(150)의 총신(20)을 향한 단부에는 소정 구간동안 레일편(121)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연속레일부(155)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상부레일(120)과 상이하다.
이러한 상부레일(120)과 측부레일(150) 사이의 측면부에는, 상부본체(115)를 관통하여 형성된 타원형상의 방열구(117)가 상부본체(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방열구(117)는 탄환의 발사시, 발생하는 총열(30)의 열 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방열구(117)가 비스듬히 형성됨에 따라 수직으로 형성하였을 때보다 각 방열구(117)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본체(115)의 전방영역에는 상면부와 측면부의 일부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취된 절취부(125)가 형성되어 있고, 절취부(125)에는 상부덮개(111)의 총기 결합시 가늠쇠(37)가 배치된다. 이러한 절취부(125)의 형성에 따라 상부레일(120)은 절취부(125)의 폭만큼 후방에서 시작되며, 측부레일(150)도 상부레일(120)과 동일한 시작위치에서 시작된다. 그 대신 측부레일(150)의 전방에는 절취부(125)의 폭만큼 돌출된 판상의 결합플랜지(156)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플랜지(156)에는 상부부재(110)를 총기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1나사공(1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부레일(150)의 후방에 형성된 연속레일부(155)의 일측 상단부에도 총기의 장착을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2나사공(15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나사공(157)을 관통하여 삽입된 나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관(35)과 총열(30) 사이에 형성된 결합편(33)의 관통공(34)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제1나사공(157)에 결합된다. 제2나사공(159)을 관통하여 삽입된 나사는 총신(20)에 인접한 총열(30)의 축경부(31)와 가스배관(35) 사이의 좁은 틈을 통과하여 반대편 제2나사공(159)에 결합된다. 한편, 본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에서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의 장착을 위해 사용되는 나사는, 나사머리에 육각형의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육각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영역을 중심으로 절곡된 막대상의 랜치를 이용하여 체결 및 체결 해제한다. 따라서, 나사의 체결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상부부재의 장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부부재(110)의 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상의 헤드부(141)와, 헤드부(141)로부터 소정 폭 좁아진 넥부(142)와, 넥부(142)로부터 소정 폭 확장된 숄더부(143)와, 숄더부(143)로부터 소정 폭 확장된 바디부(144)로 이루어지며, 상부부재(11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부재(110)가 총기에 장착되면, 넥부(142)에는 가스배관(35)이 위치하고, 숄더부(143)에는 상부부재(110)의 고정을 위한 나사가 관통하며, 바디부(144)에는 총열(30)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바디부(144)의 말단부에는 양측벽에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측 결합리브(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측 결합리브(145)는 상부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길며 상부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디부(144)와 숄더부(143)의 연결영역에는 상부덮개(111)를 향한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한 한 쌍의 결합돌기(14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합돌기(147)는 상부부재(110)를 총기에 결합시킬 때, 연결구(40)내의 결합홈(41)에 삽입되어 상부부재(110)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구(40)내에 결합홈(41)을 형성하고, 상부부재(110)에 결합돌기(147)를 형성하였으나, 연결구(40)내에 결합돌기(147)를 돌출형성하고, 상부부재(110)의 바디부(144)와 숄더부(143)의 연결영역을 절취하거나 관통하여 결합돌기(147)를 수용하는 결합홈(41)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하부부재(17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10)의 측부레일(15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부재(110)의 바디부(144)에 수용되는 측벽부(171)와, 측벽부(171)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73)와, 경사부(173)의 말단부에 형성된 하부레일(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벽부(171)의 상단부에는 측벽부(171)의 자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한 하부측 결합리브(17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측 결합리브(175)는 상부측 결합리브(145)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측 결합리브(175)는 상부측의 각 결합리브(145) 사이를 통과하여 걸림결합되기 때문에 하부측 결합리브(175)의 길이는 상부측 결합리브(145)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부측 결합리브(145)와 하부측 결합리브(175)는 소정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를 어느 위치에서나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부측 결합리브(145)와 하부측 결합리브(175)를 간격을 두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하부부재(170)의 후방 단부를 상부부재(110)의 전방 단부에 끼운 다음, 하부부재(170)를 슬라이딩시켜 결합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에서처럼 상부측 결합리브(145)와 하부측 결합리브(175)를 한 칸씩 엇갈리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하부부재(170)를 상부부재(110)의 하부에 배치시킨 다음, 상부측 결합리브(145) 사이로 하부측 결합리브(175)가 통과되도록 하부부재(170)를 상부부재(110)를 향해 가압하고, 하부부재(170)를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부측 결합리브(145)와 하부측 결합리브(175)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하면 간단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하부부재(170)의 장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하부측 결합 리브(175)를 연속적으로 형성한 경우보다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부재(170)의 측벽부(171)의 하단부와 경사부(173)에는 총열(3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방열하기 위한 타원상의 환기공(177)이 하부부재(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레일(180)은 상부레일(12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형상은 상부레일(120)이나 측부레일(15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부재(170)는 상부측 결합리브(145)와 하부측 결합리브(175)를 통해 상부부재(110)와 걸림결합되기는 하나, 결속력을 가지지는 못한다. 이에 따라, 하부부재(170)의 하부레일(180)의 총신(20)을 향한 단부에는 총신(20)에 형성된 연결구(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고리(19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고리(190)는 하부레일(180)의 조준홈(122)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결합판(191)과, 결합판(191)의 자유단부에 상부부재(110)를 향해 돌출된 후크부(193)를 포함한다. 후크부(193)는 총신(20)과 총열(30) 사이에 형성된 연결구(40)의 림부(45)의 외측에 걸림결합되어 하부부재(17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을 총기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총기의 총열(30)에 장착된 총열덮개를 분리하고,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의 상부부재(110)가 총열(30)의 상부를 덮도록 총기에 접근시킨다. 이 때, 상부부재(110)의 상부덮개(111)는 총신(20)의 상부에 접근시키고, 상부본체(115)는 총열(30)에 접근시키며, 상부본체(115)의 결합고리(190)가 연결구(40)의 전방에 위 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부덮개(111)가 총신(20)에 접하면 상부부재(110)를 총신(20)을 향해 가압하여 연결구(40)내의 결합홈(41)에 상부부재(110)의 결합돌기(147)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부부재(110)의 위치가 설정되면, 나사를 제1나사공(157)에 삽입한 다음, 랜치를 이용하여 나사가 반대편의 제1나사공(157)에 결합되도록 체결하며, 이 때, 나사는, 도 3에 도시된, 총열(30)과 가스배관(35) 사이의 결합편(33)의 관통공(34)을 통과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다른 나사를 제2나사공(159)에 삽입한 다음 반대편의 제2나사공(159)에 결합되도록 랜치를 이용하여 체결하며, 이 때, 나사는, 도 4에 도시된, 총열(30)의 축경부(31)와 가스배관(3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부재(110)의 장착이 완료되면, 총열(30)의 하부로부터 하부부재(170)를 접근시키며, 이 때, 상부부재(110)의 결합리브(145)와 하부부재(170)의 결합리브(175)가 엇갈리도록 한다. 하부부재(170)를 상부부재(110)의 바디부(144)내에 수용되면, 하부부재(170)를 총신(20)을 향해 슬라이딩시켜 상부부재(110)의 결합리브(145)와 하부부재(170)의 결합리브(175)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결합고리(190)의 후크부(193)가 림부(45)의 외측에 걸리도록 결합판(191)을 하부부재(170)의 하부레일(180)에 나사로 고정하면, 하부부재(17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은,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의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부재(110)의 장착시에 나사 2개를 사용하고, 하부부재(170)의 장착시에는 나사 1개를 사용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총기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에 교번적으로 결합리브를 형성함에 따라, 하부부재(170)의 결합과정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총기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으며, 나사에 의해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가 총기에 고정됨으로써, 장착시에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에서는,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에 상부레일(120), 한 쌍의 측부레일(150), 하부레일(180)을 포함하여 총 4개의 레일이 사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많은 부가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가장치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부가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부가장치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탄발사기, 손잡이, 양각대 등은 하부레일(180)에 장착시키고, 망원 조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등은 상부레일(120)에 장착시키고, 측부레일(150)에는 적외선 조명장치, 야간 투시경 등을 장착시킴으로써, 각 부가장치를 필요시마다 착탈하지 아니하고 지속적으로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부재(110)의 상부레일(120)은 가늠자(27)에서 가늠쇠(37)에 이르도록 길게 형성되고, 레일을 형성하는 각 레일편(121)은 조준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가장치를 장착하는 기능 이외에 근거리 사격이나 돌발사태의 발생시 조준홈(122)을 이용하여 재빨리 조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준홈(122)의 형 성에 따라 레일편(121)의 부피가 줄어들어 상부부재(110) 및 하부부재(170)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각 레일에 장착할 수 있는 부가장치의 연결구조를 좀더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장착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은, 한국형 총기인 K1,K2 등의 구조에 적합하게 설계됨으로써, 부가장치의 개발시 총기의 모델에 따라 각각 별개의 제품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부가장치의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이나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장치가 규격화되어 수입이나 수출시 별도의 개조과정이 불필요하므로 비용이나 시간측면에서 유리해진다. 뿐만 아니라, 본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은 다른 총기에도 적용가능하도록 호환성있게 설계됨으로써,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을 수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부재(110)의 바디부(144)내에 하부부재(170)가 수용되도록 하였으나, 하부부재(170)의 상부부재(110)를 향한 단부에 양 측부레일(150)을 형성하고, 상부부재(110)가 하부부재(170)내에 수용되도록 상부부재(110)의 외측에 상부측 결합리브(145)를 형성하고, 하부부재(170)의 내측에 하부측 결합리브(175)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부부재(110)에는 상부레일(120)만을 형성하고, 하부부재(170)에 하부레일(180)과 양 측부레일(1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레일(120), 양 측부레일(150), 하부레일(180)에 모두 조준홈(122)을 형성하였으나, 상부레일(120)을 제외한 양 측부레일(150)과 하부레일(180)에는 조준홈(122)을 형성하지 아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100)을 상하로 분리하여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70)로 구성하였으나, 좌우로 분리하여 좌측부재와 우측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총기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으며, 장착시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총 4개의 레일이 사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많은 부가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장치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부가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부가장치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레일 어댑터 시스템은, 한국형 총기인 K1,K2 등의 구조에 적합하게 설계될 뿐만 아니라, 다른 총기에도 장착가능하도록 호환성있게 제작됨으로써, 부가장치의 개발시 총기의 모델에 따라 각각 별개의 제품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없어지며, 부가장치의 수입이나 수출시 별도의 구조변경이 필요없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총열, 총신 그리고 개머리판으로 구성되는 총기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총신을 차단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총기의 총열의 상부와 양 측부를 차단하는 상부본체로 구성되며,
    일단은 가늠자에 인접하고 타단은 가늠쇠에 인접하도록 총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상부덮개 및 상부본체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본체의 양 측부에 상기 상부레일에 수직하고 상기 상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측부레일을 포함하는 상부부재;
    상기 총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상부레일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부레일을 구비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 측부레일 및 하부레일은, 각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레일편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편은 상기 레일의 가로방향을 따라 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일의 중앙영역에는 'U'자 형상으로 함몰된 조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편은, 상기 조준홈에 의해 이격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각 걸림돌기의 하부에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는,
    돔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소정 폭 좁아진 넥부와, 상기 넥부로부터 소정 폭 확장된 숄더부와, 상기 숄더부로부터 소정 폭 확장된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어댑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상부측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는, 상부부재의 측부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부재의 바디부에 수용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말단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하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측 결합리브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하부측 결 합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2.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레일과 측부레일 사이의 측벽에는, 타원형상의 방열구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히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측벽부와 경사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하부부재를 관통한 환기공이 상기 하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4.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총열과 총신의 연결영역에는 통상의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의 상기 총신을 향한 측벽과, 상기 상부부재의 내측벽 중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결합홈이 함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외주 연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한 림부가 형성 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레일에는 상기 하부레일에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림부에 걸림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결합고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가늠쇠가 위치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절취부의 폭만큼 돌출된 판상의 결합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랜지에는 상기 상부부재를 총기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1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총열과 가스배관 사이에는 상기 가늠쇠로부터 돌출된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에는 제1나사공을 통과한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편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연속레일부 가 형성되며, 상기 연속레일부의 일측 상단부에는 총기의 장착을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2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총열은, 상기 총신을 향한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총열의 전방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축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나사공에 체결된 나사는 상기 축경부와 상기 가스배관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총기의 총신 일부와 총열을 감싸며,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총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레일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총열에 대해 상기 상부부재와 대향되는 영역에서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레일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갖는 하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레일은,
    상기 총신과 총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부레일과,
    상기 총열의 양 측부에 상기 상부레일에 수직하며 상기 총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측부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부재의 레일은, 상기 하부부재의 하면에 상기 상부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된 하부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레일, 측부레일 및 하부레일은, 상기 각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레일편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편은 상기 레일의 가로방향을 따라 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레일의 중앙영역에는 'U'자 형상으로 함몰된 조준홈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편은, 상기 조준홈에 의해 이격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각 걸림돌기의 하부에는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상기 하부부재를 향한 단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상부측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상기 상부부재를 향한 상단부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하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측 결합리브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하부측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절취부의 폭만큼 돌출된 판상의 결합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랜지에는 상기 상부부재를 총기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1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편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연속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속레일부의 일측 상단부에는 총기의 장착을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제2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040079108A 2004-10-05 2004-10-05 레일 어댑터 시스템 KR10067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108A KR100674197B1 (ko) 2004-10-05 2004-10-05 레일 어댑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108A KR100674197B1 (ko) 2004-10-05 2004-10-05 레일 어댑터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188U Division KR200373720Y1 (ko) 2004-10-05 2004-10-05 레일 어댑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288A KR20060030288A (ko) 2006-04-10
KR100674197B1 true KR100674197B1 (ko) 2007-01-29

Family

ID=3714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108A KR100674197B1 (ko) 2004-10-05 2004-10-05 레일 어댑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1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222B1 (ko) 2008-10-01 2011-07-21 오인규 K1a소총의 어깨받침쇠
KR102134579B1 (ko) 2020-05-14 2020-07-17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소총용 레일
KR102254233B1 (ko) 2020-09-25 2021-05-21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소음기가 장착된 기관단총용 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388B1 (ko) 2015-07-10 2017-08-07 정현태 탄환 가속기
KR102093449B1 (ko) * 2020-01-20 2020-03-25 에스앤티모티브 주식회사 소총의 사수 보호용 방열덮개 장치
KR102347951B1 (ko) * 2020-09-22 2022-01-07 다산기공 주식회사 권총용 아래 총몸 조립체
KR102301632B1 (ko) * 2021-01-13 2021-09-13 김응준 소총커버 제조 방법
KR102319056B1 (ko) * 2021-05-25 2021-10-29 오병무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의 하부 레일
KR102319055B1 (ko) * 2021-05-31 2021-10-29 오병무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79108 - 62346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222B1 (ko) 2008-10-01 2011-07-21 오인규 K1a소총의 어깨받침쇠
KR102134579B1 (ko) 2020-05-14 2020-07-17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소총용 레일
KR102254233B1 (ko) 2020-09-25 2021-05-21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소음기가 장착된 기관단총용 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288A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730B2 (en) Assault rifle back-up sight rib and support structure
US7743546B2 (en) Firearm adapted for use in low light, illuminating rear sight, and method for aligning sights in low light environments
US8393107B2 (en) Firearm assembly including a first weapon and a second weapon selectively mounted to the first weapon
US9134092B2 (en) Firearm modification accessory
US11740053B2 (en) Integrated optical sighting system for firearm
US8276304B2 (en) Modular fore-end rail assembly for firearms
US7707762B1 (en) Modular integrated rail assembly for firearms
US4856218A (en) Light beam assisted aiming of firearms
US9612067B2 (en) Automatic weapon with a combined system of use (alternatives)
US8720103B2 (en) Firearm scope mount
US20090126249A1 (en) Firearm modification method and kit assembly
US20110032694A1 (en) Low profile mount and foregrip for firearm
KR100674197B1 (ko) 레일 어댑터 시스템
US8739452B1 (en) Secondary gun pivot pistol
US890469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shielding a gun-mounted scope to prevent bumping and misalignment of the scope
US20200248986A1 (en) Snap-on clamp system
US20040211105A1 (en) Mounting a holographic sight on a firearm
US20130219766A1 (en) Method for Replacing Weapon Rear Sight with Optics
US20110232151A1 (en) Integral, frame-mounted laser aiming device
KR200373720Y1 (ko) 레일 어댑터 시스템
CN212362972U (zh) 枪支及拓展装置
US11268787B1 (en) Fast acquiring gun sight
RU2399009C1 (ru) Стрелковое оружие
RU2520557C2 (ru) Оружие с быстросъемным прикладом
CN211601720U (zh) 79式冲锋枪的模块化战术导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