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579B1 - 소총용 레일 - Google Patents

소총용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579B1
KR102134579B1 KR1020200057624A KR20200057624A KR102134579B1 KR 102134579 B1 KR102134579 B1 KR 102134579B1 KR 1020200057624 A KR1020200057624 A KR 1020200057624A KR 20200057624 A KR20200057624 A KR 20200057624A KR 102134579 B1 KR102134579 B1 KR 10213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area
rifle
bolt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579B9 (ko
Inventor
정재윤
이승춘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정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8322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345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정재윤 filed Critical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Priority to KR102020005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579B1/ko
Publication of KR1021345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57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41G11/003Mountings with a dove tail element, e.g. "Picatinny rai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소총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총에 광학조준경이나 손잡이 및 후레쉬와 같은 소총 엑세서리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소총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소총용 레일은 총몸과 총열을 포함하는 소총에 결합되는 소총용 레일에 있어서, 상기 총몸의 상부에 배치되는 총몸레일영역과, 상기 총몸레일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총열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총열레일영역 및, 상기 총몸레일영역의 하부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볼트통과홀이 형성되는 볼트밀착영역을 포함하는 상부레일부; 상기 볼트통과홀과 대응하는 갯수로 총몸결합용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총몸레일영역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총몸의 하부에 밀착되는 총몸측 볼트결합영역 및,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총열레일영역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총열레일영역과 결합되는 파지영역을 포함하는 하부레일부; 및,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복수 개 각각의 몸통부가 상기 볼트통과홀들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총몸결합용 볼트홀들에 나사결합되되 머리부가 상기 볼트통과홀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밀착영역과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을 밀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총몸결합용 볼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총열레일영역은 상기 총몸레일영역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총몸레일영역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총용 레일{RAIL FOR RIFLE}
본 발명은 소총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총에 광학조준경이나 손잡이 및 후레쉬와 같은 소총 엑세서리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소총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대용 총기는 권총, 소총, 기관단총, 기관총 및, 산탄총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총기의 종류는 주로 전술적인 운용 형태에 따라 군인에게 보급되어 사용되어 진다.
이와 같은 총기의 종류 가운데, 소총은 돌격소총이나 기관단총이 주로 운용되고 있으며, 기본적인 화기이기 때문에, 제일 많이 보급되어 운용되고 있다.
많이 알려진 돌격소총은 총기 상호명으로 보면, 러시아에서 개발된 AK-47 돌격용 소총이 있으며, 북미에서 개발한 M-16이나 M4 CARBINE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돌격용 소총으로써 자체적으로 K2를 개발하여 현재까지도 운용하고 있으며, 기관단총으로써 K1A를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K2와 K1A는 장점으로써, 가스조절기가 장착되어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여름과 겨울간의 온도차가 매우 큰 대한민국의 계절상황에서도 고장율이 적은 상태로 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K2와 K1A는 가늠쇠와 가늠자가 장착되어 사격시 조준을 수월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가늠쇠와 가늠자는 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마다 조준점이 미세하게 다르기 때문에, 영점 사격을 통해 각각의 개인마다 조준점이 일치되도록 가늠자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똑 같은 총기이면서, 가늠자와 가늠쇠가 동일한 설정으로 되어 있다 하더래도, 개인마다 조준하는 조준점이 미세하게 달라짐으로 인해서 가늠자를 설정해야 하는 작업때문에, 개인마다 영점 사격을 주기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더불어, 소총 제조시에는 각각의 소총마다 총열등의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동일한 영점이다 하더래도 동일 조준점에서 동일한 탄착군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이를 위한 영점 사격을 시행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기계식 조준기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군수업계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광학식 조준기를 이용한 조준방식을 채택하여 전향되고 있다. 광학식 조준기는 홀로그램 사이트, 레드 도트 사이트 및, 고배율 광학 조준경등과 같이 전술 운용형태나 전술 지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광학식 조준기는 조준점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한 이후, 광학식 조준기의 조준점이 해당 소총의 영점에 맞도록 변경하게 되면, 소총을 처음 다루는 초심자라 할지라도 정확한 사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격시 조준점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조준 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군사대국인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보병들이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한 돌격소총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에서도 특수임무들 수행하는 부대들 위주로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최전방 보병부대들도 광학식 조준기의 이용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식 조준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K2나 KA1의 구조상 광학식 조준기를 부착하기 힘들기 때문에, 광학식 조준기를 부착할 수 있는 레일을 부착해야만 하며, 이러한 레일은 군수 표준 규격인 피카티니 레일 시스템으로 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일 형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특허문헌1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4197(2007. 01. 29 공고)에서는 총기의 총신(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20) 일부와 총열(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0)을 감싸며, 상기 총신(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20)에서 총열(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0)에 이르도록 길게 형성된 상부레일(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과, 상기 상부레일(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에 수직하며 상기 총열(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0)의 측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부레일(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50)을 포함하는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와; 상기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레일(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하부레일(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80)을 갖는 하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댑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1의 레일 어댑터 시스템은 K1A와 같은 대한민국 소총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경우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하여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특허문헌1의 총열( 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0 )에는 종래 총열 덮개(미도시)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 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4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 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4 )은 특허문헌1에서도 레일의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와 나사결합되는데 이용됨으로써, 레일의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를 총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종래 K1A 소총에 형성된 관통공( 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4 )을 통해, 레일의 구성요소인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를 결합하게 되면, 사격시 총열(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0)의 진동시 관통공( 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4 )에 형성된 나사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연사 사격과 같은 지속적인 진동시에 나사로 전달되는 진동이 강해져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에 결합된 나사가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나사가 풀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와 나사가 서로 간에 풀리지 않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을 강구해야만 하는데, 별도의 체결수단을 강구할 경우 청소등의 이유로 필요시마다 분해하는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로 체결수단을 강구하더래도 총열과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상 나사가 풀리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K1A 소총에 형성된 관통공( 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34 )을 통해, 레일의 구성요소인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를 결합하게 되면, 사격시 발생하는 진동시 레일인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로 전달되는데, 이 경우,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는 사격시 사격자가 손을 파지하게 되므로, 진동이 그대로 사격자의 손을 통해 전달되어 진다.
이러한 이유로, 사격자는 사격시마다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가 떨리는 상태로 사격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손떨림에 의해 조준점이 흐트러지거나 조준점 흐트러짐으로 인하여 집중력이 저감되는 요인으로 작용되므로, 사격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 K1A 소총이나 K2 소총은 종래 플라스틱 총열 덮개가 총열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 유격이 있는 상태로 운용되어 왔다.
더불어, 플라스틱 총열 덮개를 이용하는 종래 방식은 나사에 의해 총열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더라도 금속에 비해 연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화상을 입을 정도로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맨손으로도 사격이 가능하나, 총열과의 나사결합에 의해 총열과 금속의 레일을 직접적으로 결합하게 되면 열전도성에 의해 총열을 맨손으로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뜨거워지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총열과 레일간에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여 총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레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총열의 진동에 의해 레일과 총기간의 결합이 풀리거나 사격시에 발생하는 총열의 진동시 레일을 파지하는 사격자의 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총열에서 발생하는 열이 레일에 직접적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한편, 특허문헌1에 개시된 레일은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레일은 특허문헌1에 개시된 광학식 조준기 뿐만 아니라,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등을 추가로 장착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특허문헌1에 개시된 레일은 일자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총몸 부근에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하고 총열 부근에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등을 장착한 상태에서 표적을 조준할 경우, 광학식 조준기의 시야에 총열부근의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후래쉬의 몸체 일부분이 육안으로 보이게 되어 광학시 조준기의 조준점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한 상태에서 총몸 부근에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하고 총열 부근에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서서리를 부가적으로 장착한 경우, 광학식 조준기의 시야에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세서리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 특허문헌1에서 개시된 종래 K1A 소총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총열의 가늠자 하단 부근에 멜빵고리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멜빵고리는 산악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한민국의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행군을 많이 할 수 밖에 없는 야전 전술 특성상, 멜빵을 이용하여 총기를 용이하게 휴대한 상태로 운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 멜빵고리는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 상태로 운용되기 힘든게 현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 제작되는 총기는 멜빵고리 뿐만 아니라 가늠쇠와 가늠자까지도 하나의 부품 형태로 탈착가능하도록 제작되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한민국에서 운용하는 K1A 소총이나 K2 소총을 신규로 제작하는 무리가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1에서 멜빵고리를 장착하게 되면, 특허문헌1에 개시된 레일은 멜빵고리와 레일간의 간섭이 발생되어, 멜빵고리가 위치한 지점까지 레일을 연장시킬 수 없게 되며, 실제, 현재까지 K1A 소총이나 K2 소총을 위하여 제작된 레일들은 멜빵고리가 위치한 곳까지 레일이 연장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현재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장착되 레일은 총열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운용되기 때문에, 사격시에 사격자가 실수로 총열을 건드리거나 총열이 신체에 닿게 되는 경우 화상을 입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멜빵고리가 있는 상태에서도 레일이 멜빵고리가 위치한 영역까지도 감싸질 수 있도록 하여 화상에 의한 사고 위험이 적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파지 영역이 넓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악세사리를 장착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또 다른 한편, 특허문헌1에서는 레일을 총열에 결합하는 경우,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와 하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70)를 끼움결합시킨 후, 총열에 나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되면, 파지시에 총열과 결합되는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의 앞부분은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나 가늠자 부근의 광학식 조준기가 부착되는 영역은 훈련중에 총기를 다른 물체에 부딛히는 충격등에 의해 위치가 틀어지게 되며, 이때, 광학식 조준기는 레일과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준점이 변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레일과 총몸이 결합되는 영역이 외부 충격에도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한편, 특허문헌1의 레일은 상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10)와 하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70)를 끼움결합시키는 경우, 총열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부를 밀폐함으로서, 사격자가 하부부재(특허문헌1의 도면부호 170)를 손으로 부여잡았을 때, 총열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직접적으로 사격자가 파지한 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4197호(2007. 01. 2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9667호(2012. 10. 31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총열과 레일간에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여 총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레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총열의 진동에 의해 레일과 총기간의 결합이 풀리거나 사격시에 발생하는 총열의 진동시 레일을 파지하는 사격자의 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총열에서 발생되는 열이 레일에 직접적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소총용 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한 상태에서 총몸 부근에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하고 총열 부근에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서서리를 부가적으로 장착한 경우, 광학식 조준기의 시야에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세서리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소총용 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멜빵고리가 있는 상태에서도 레일이 멜빵고리가 위치한 영역까지도 감싸질 수 있도록 하여 화상에 의한 사고 위험이 적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파지 영역이 넓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악세사리를 장착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소총용 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레일과 총몸이 결합되는 영역이 외부 충격에도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총용 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총용 레일은 총몸(1a)과 총열(1b)을 포함하는 소총에 결합되는 소총용 레일에 있어서, 총몸(1a)의 상부에 배치되는 총몸레일영역(11)과, 상기 총몸레일영역(11)에서 연장되어 총열(1b)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총열레일영역(12) 및, 상기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볼트통과홀(13a)이 형성되는 볼트밀착영역(13)을 포함하는 상부레일부(10); 상기 볼트통과홀(13a)과 대응하는 갯수로 총몸결합용 볼트홀(21a)이 형성되며 상기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총몸(1a)의 하부에 밀착되는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 및,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에서 연장되며 상기 총열레일영역(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총열레일영역(12)과 결합되는 파지영역(22)을 포함하는 하부레일부(20); 및,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복수 개 각각의 몸통부가 상기 볼트통과홀(13a)들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총몸결합용 볼트홀(21a)들에 나사결합되되 머리부가 상기 볼트통과홀(13a)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밀착영역(13)과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을 밀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총몸결합용 볼트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총열레일영역(12)은 상기 총몸레일영역(11)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총몸레일영역(11)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소총용 레일은 상기 총몸레일영역(11)과 상기 파지영역(22)은 상기 총열(1b)과 나사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총열(1b)과 맞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부(20)는 내측면의 일부가 멜빵고리(1c)가 삽입될 수 있도록 멜빵고리 안착영역(23)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하부레일부(20)는 상기 상부레일부(1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멜빵고리 안착영역(23)에 멜빵고리(1c)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몸(1a)의 일부에는 원형 기어형상의 걸림돌기부(1d)가 외주영역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상부레일부(10)는 상기 걸림돌기부(1d)의 상부영역이 수용되는 상부걸림영역(14)이 상기 총열레일영역(12)의 내주연에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레일부(20)는 상기 걸림돌기부(1d)의 하부영역이 수용되는 하부걸림영역(24)이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의 내주연에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볼트밀착영역(13)과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이 상기 총몸결합용 볼트부(30)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결합시, 상기 걸림돌기부(1d)가 상기 상부걸림영역(14)과 상기 하부걸림영역(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부(1d)의 단부가 상기 상부걸림영역(14)과 상기 하부걸림영역(24)을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총열과 레일간에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여 총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레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총열의 진동에 의해 레일과 총기간의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격시에 발생하는 총열의 진동시 레일을 파지하는 사격자의 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조준점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나아가, 총열과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제작되어 총열에서 발생되는 열이 레일에 직접적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한 상태에서 총몸 부근에 광학식 조준기를 장착하고 총열 부근에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서서리를 부가적으로 장착한 경우, 광학식 조준기의 시야에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세서리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레일부와 하부레일부가 멜빵고리의 위치까지도 확장되어 운용되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 멜빵고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멜빵고리를 제거하는 방식을 택하거나 멜빵고리가 제거됨으로 인해 야전 전술 운용 규범을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며, 나아가, 멜빵고리가 흔들림으로 인해 총열과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도비닉과 같은 전술 운용시에 큰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멜빵고리가 있는 상태에서도 레일이 멜빵고리가 위치한 영역까지도 상부레일부와 하부레일부가 감싸진 상태로 연장되기 때문에, 멜빵고리를 감싸지 못해 총열이 그대로 노출되는 종래 레일과는 달리 사격시 가열된 총열이 사격자에게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에 의한 사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멜빵고리가 있는 상태에서도 레일이 멜빵고리가 위치한 영역까지도 상부레일부와 하부레일부가 감싸진 상태로 연장되기 때문에, 총열의 가늠쇠 부근까지 상부레일부와 하부레일부가 연장되어 파지 영역이 넓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악세사리를 장착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게 되므로, 전술 운용시 응용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총몸에 형성된 걸림돌기부의 단부가 상부걸림영역과 하부걸림영역에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기 때문에, 레일과 총몸이 결합되는 영역이 외부 충격에도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이 K1A 소총에서 분해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이 K1A 소총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이 분해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을 총구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이 K1A 소총에서 분해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이 K1A 소총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이 분해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소총용 레일을 총구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K1A 소총의 총몸(1a)과 총열(1b)에 결합되어 이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소총용 레일이 K1A 소총에만 장착되어 이용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K2소총과 같은 돌격총 소총이나 기관단총에 응용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K1A 소총의 총몸(1a)과 총열(1b)에 결합되어 이용되는 것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상부레일부(10), 하부레일부(20) 및, 총몸결합용 볼트부(30)를 포함한다.
상부레일부(10)는 총몸레일영역(11), 총열레일영역(12) 및, 볼트밀착영역(13)을 포함한다.
총몸레일영역(11)은 총몸(1a)의 상부에 배치되며, 광학식 조준기(1e)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복수 개의 총몸측 레일홈(11a)이 형성된다. 이 경우, 총몸레일영역(11)에는 외측면에 복수 개의 총몸측 방열홀(11b)이 형성되어, 총몸(1a)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게 된다.
총열레일영역(12)은 총몸레일영역(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총열(1b)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레이저 표적 지시기(미도시)나 후레쉬(미도시)와 같은 총기 엑서서리가 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총열측 레일홈(12a)이 형성된다. 또한, 총열레일영역(12)에는 방열을 위하여 상부영역과 측면영역 각각에 총열측 방열홀(12b)이 형성되어 총열(1b)에서 발생되는 열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총열레일영역(12)은 총몸레일영역(11)에서 연장되어 총열(1b)의 상부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되 총열레일영역(12)이 총몸레일영역(11)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되도록 총열레일영역(12)보다 낮은 단차를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총열레일영역(12)에는 후술하는 하부레일부(20)와 볼트결합하기 위한 측부볼트 안착홀(12c)이 더 형성된다.
볼트밀착영역(13)은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볼트통과홀(13a)이 형성된다.
하부레일부(20)는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 및 파지영역(22)을 포함한다.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은 총몸(1a)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볼트통과홀(13a)과 대응하는 갯수로 총몸결합용 볼트홀(21a)이 형성되며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총몸(1a)의 하부에 밀착된다.
파지영역(22)은 총열(1b)의 하부에 배치되어 형성되고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에서 연장되며 총열레일영역(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총열레일영역(12)과 결합된다. 또한, 파지영역(22)은 하부에 수직손잡이와 같은 총기 엑서서리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부엑서서리 결합홀(미도시)이 복수 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엑서서리 결합홀은 총기 엑서서리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총열(1b)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파지영역(22)에는 측부방열홀(22b)이 형성되어 총열(1b)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파지영역(22)에는 측부볼트(50)가 삽입될 수 있는 측부볼트 결합홀(22c)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측부볼트 결합홀(22c)은 접시볼트와 같은 측부볼트(50)의 몸통부가 측부볼트 안착홀(12c)을 통과한 상태로 측부볼트 결합홀(22c)에 볼트결합되도록 하여, 측부볼트(50)에 의해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의 결합을 상기한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 및 파지영역(22)은 필요에 따라 서로 간에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총몸결합용 볼트부(3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복수 개 각각의 몸통부가 볼트통과홀(13a)들을 통과한 상태에서 총몸결합용 볼트홀(21a)들에 나사결합되되 머리부가 볼트통과홀(13a)에 안착되어 볼트밀착영역(13)과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을 밀착된 상태로 결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몸결합용 볼트부(30)는 총몸(1a)의 양측 각각에 3개가 결합되어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를 총몸(1a)에 결합시킴으로써,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가 결합된 총몸(1a) 측 영역에서 틀어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하부레일부(20)는 상부레일부(10)와 밀착되는 영역의 일부가 상부레일부(1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결합구(2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슬라이딩 결합구(25)는 상부레일부(10)와 총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부레일부(20)와 상부레일부(10)의 결합시 총구의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결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상부레일부(10), 하부레일부(20) 및, 총몸결합용 볼트부(30)는 두랄루민과 같은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부레일부(10), 하부레일부(20) 및, 총몸결합용 볼트부(30)의 재질을 두랄루민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금속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의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종래 K1A 소총에 장착된 플라스틱 총열덮개(미도시)를 총열(1b)과 결합하고 있던 덮개나사(미도시)를 총열덮개홀(1f)에서 풀어 플라스틱 총열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부레일부(10), 하부레일부(20) 및, 총몸결합용 볼트부(30)를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종래 플라스틱 총열덮개(미도시)를 고정하던 나사는 이용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상부레일부(10) 및, 하부레일부(20)가 볼트부에 의해 총몸(1a)에만 결합되고, 총열(1b)측은 상부레일부(10) 및 하부레일부(20)와 맞닿지 않게 된다.
즉, 총몸레일영역(11)과 파지영역(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열(1b)과 나사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총열(1b)과 맞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미도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총열(1b)과 레일간에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여 총열(1b)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레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총열(1b)의 진동에 의해 레일과 총기간의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격시에 발생하는 총열(1b)의 진동시 레일을 파지하는 사격자의 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조준점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나아가, 총열(1b)과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제작되어 총열(1b)에서 발생되는 열이 레일에 직접적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총몸레일영역(11)과 파지영역(22)은 총열(1b)과 나사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총열(1b)과 맞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사격자가 손으로 하부레일부(20)를 강하게 뒤트는 등의 동작하게 되면, 총열(1b)부근의 레일영역은 총열(1b)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어, 사격자가 사격시 조준점이 흐트러질 수 있는 단점을 제공할 수 있으나, 사격자의 실제 격발시에 무리한 힘을 준 상태로 격발하는 경우는 연사사격이 대부분이며 연사사격시에는 소총의 반동으로 인해 이미 조준점이 흔들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총열(1b)부근의 레일이 미세하게 유동하여도 전술 운용상 조준점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총열레일영역(12)이 총몸레일영역(11)에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총몸레일영역(11)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한 상태에서 총몸(1a) 부근에 광학식 조준기(1e)를 장착하고 총열(1b) 부근에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서서리를 부가적으로 장착한 경우, 광학식 조준기(1e)의 시야에 표적 지시기나 후레쉬와 같은 총기 엑세서리가 보이지 않도록 하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하부레일부(20)를 구성하는 영역들 가운데 내측면의 일부가 멜빵고리(1c)가 삽입될 수 있도록 멜빵고리 안착영역(23)이 더 형성되며, 이 경우, 하부레일부(20)는 상부레일부(10)와 결합되는 경우, 멜빵고리 안착영역(23)에 멜빵고리(1c)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종래 멜빵고리(1c)는 고리형상으로 총열(1b)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멜빵고리 안착영역(23)에 종래 멜빵고리(1c)의 양 측 외곽면이 삽입되어 결착되도록 하여 멜빵고리(1c)가 멜빵고리 안착영역(23)에서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가 멜빵고리(1c)가 형성된 위치까지도 확장되어 운용되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 멜빵고리(1c)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멜빵고리(1c)를 제거하는 방식을 택하거나 멜빵고리(1c)가 제거됨으로 인해 야전 전술 운용 규범을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며, 나아가, 멜빵고리(1c)가 흔들림으로 인해 총열(1b)과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도비닉과 같은 전술 운용시에 큰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멜빵고리(1c)가 있는 상태에서도 레일이 멜빵고리(1c)가 위치한 영역까지도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가 감싸진 상태로 연장되기 때문에, 멜빵고리(1c)를 감싸지 못해 총열(1b)이 그대로 노출되는 종래 레일과는 달리 사격시 가열된 총열(1b)이 사격자에게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에 의한 사고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멜빵고리(1c)가 있는 상태에서도 레일이 멜빵고리(1c)가 위치한 영역까지도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가 감싸진 상태로 연장되기 때문에, 총열(1b)의 가늠쇠 부근까지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가 연장되어 파지 영역이 넓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악세사리를 장착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게 되므로, 전술 운용시 응용폭이 넓어지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가 총몸(1a)과 결합되는 경우, 강한 충격등이 발생하여도 상부레일부(10)가 총몸(1a)에서 미세하게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부레일부(10)와 하부레일부(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총몸(1a)의 일부에는 원형 기어형상의 걸림돌기부(1d)가 외주영역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데, 원형 기어형상의 걸림돌기부(1d)는 K1A나 K2를 종래 플라스틱 덮개(미도시)와 결합시 종래 플라스틱 덮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구성된 요소이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부(1d)는 본 실시예에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상부레일부(10)는 걸림돌기부(1d)의 상부영역이 수용되는 상부걸림영역(14)이 총열레일영역(12)의 내주연에 더 형성되고, 하부레일부(20)는 걸림돌기부(1d)의 하부영역이 수용되는 하부걸림영역(24)이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의 내주연에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걸림영역(14)과 하부걸림영역(24)은 볼트밀착영역(13)과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이 총몸결합용 볼트부(30)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결합시, 걸림돌기부(1d)가 삽입되는데, 이 경우, 총몸결합용 볼트부(30)가 강하게 압박되면, 걸림돌기부(1d)는 상부걸림영역(14)과 하부걸림영역(24)을 강하게 압박하여 걸림돌기부(1d)의 단부가 상부걸림영역(14)과 하부걸림영역(24)이 밀착되는 면을 밀어내어 밀착되는 면이 미세하게 움푹 패이도록 압박함으로써, 총몸(1a)에 형성된 걸림돌기부(1d)의 단부가 상부걸림영역(14)과 하부걸림영역(24)에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은 종래 대한민국 소총인 K1A 소총이나 K2 소총에 종래 총열덮개를 제거하고 레일을 장착하는 경우, 총몸(1a)에 형성된 걸림돌기부(1d)의 단부가 상부걸림영역(14)과 하부걸림영역(24)에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기 때문에, 레일과 총몸(1a)이 결합되는 영역이 외부 충격에도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a : 총몸 1b : 총열
1c : 멜빵고리 1d : 걸림돌기부
1e : 광학식 조준기 1f : 총열덮개홀
10 : 상부레일부
11 : 총몸레일영역 11a : 총몸측 레일홈
12 : 총열레일영역 12a : 총열측 레일홈
12b : 총열측 방열홀 12c : 측부볼트 안착홀
13 : 볼트밀착영역 13a : 볼트통과홀
14 : 상부걸림영역
20 : 하부레일부
21 : 총몸측 볼트결합영역 21a : 총몸결합용 볼트홀
22 : 파지영역 22b : 측부방열홀
22c : 측부볼트 결합홀 23 : 멜빵고리 안착영역
24 : 하부걸림영역 25 : 슬라이딩 결합구
30 : 총몸결합용 볼트부

Claims (4)

  1. 총몸(1a)과 총열(1b)을 포함하는 소총에 결합되는 소총용 레일에 있어서,
    상기 총몸(1a)의 상부에 배치되는 총몸레일영역(11)과, 상기 총몸레일영역(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총열(1b)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총열레일영역(12) 및, 상기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볼트통과홀(13a)이 형성되는 볼트밀착영역(13)을 포함하는 상부레일부(10);
    상기 볼트통과홀(13a)과 대응하는 갯수로 총몸결합용 볼트홀(21a)이 형성되며 상기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총몸(1a)의 하부에 밀착되는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 및,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에서 연장되며 상기 총열레일영역(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총열레일영역(12)과 결합되는 파지영역(22)을 포함하는 하부레일부(20); 및,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복수 개 각각의 몸통부가 상기 볼트통과홀(13a)들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총몸결합용 볼트홀(21a)들에 나사결합되되 머리부가 상기 볼트통과홀(13a)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밀착영역(13)과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을 밀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총몸결합용 볼트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총열레일영역(12)은 상기 총몸레일영역(11)에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총몸레일영역(11)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레일부(20)는 내측면의 일부가 멜빵고리(1c)가 삽입될 수 있도록 멜빵고리 안착영역(23)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하부레일부(20)는 상기 상부레일부(1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멜빵고리 안착영역(23)에 상기 멜빵고리(1c)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몸레일영역(11)과 상기 파지영역(22)은 상기 총열(1b)과 나사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총열(1b)과 맞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레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몸(1a)의 일부에는 원형 기어형상의 걸림돌기부(1d)가 외주영역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레일부(10)는 상기 걸림돌기부(1d)의 상부영역이 수용되는 상부걸림영역(14)이 상기 총열레일영역(12)의 내주연에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레일부(20)는 상기 걸림돌기부(1d)의 하부영역이 수용되는 하부걸림영역(24)이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의 내주연에 더 형성되며,
    상기 볼트밀착영역(13)과 상기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이 상기 총몸결합용 볼트부(30)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결합시, 상기 걸림돌기부(1d)가 상기 상부걸림영역(14)과 상기 하부걸림영역(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부(1d)의 단부가 상기 상부걸림영역(14)과 상기 하부걸림영역(24)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레일.
KR1020200057624A 2020-05-14 2020-05-14 소총용 레일 KR10213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24A KR102134579B1 (ko) 2020-05-14 2020-05-14 소총용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24A KR102134579B1 (ko) 2020-05-14 2020-05-14 소총용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579B1 true KR102134579B1 (ko) 2020-07-17
KR102134579B9 KR102134579B9 (ko) 2023-03-21

Family

ID=7183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24A KR102134579B1 (ko) 2020-05-14 2020-05-14 소총용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055B1 (ko) 2021-05-31 2021-10-29 오병무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KR102319056B1 (ko) 2021-05-25 2021-10-29 오병무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의 하부 레일
KR102321620B1 (ko) 2021-05-13 2021-11-04 (주) 택티컬리스트 파츠의 선택적 장착을 위한 총기 레일 시스템
KR102329009B1 (ko) 2021-06-30 2021-11-19 (주)케이씨아이 소총용 레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97B1 (ko) 2004-10-05 2007-01-29 손혁 레일 어댑터 시스템
KR20120119667A (ko) 2011-04-22 2012-10-31 박상선 소총용 레일 어댑터 시스템
US8429845B1 (en) * 2010-01-19 2013-04-30 Richard E. Swan Modular integrated rail system including a dampening device
KR101358970B1 (ko) * 2005-06-16 2014-02-06 콜트 디펜스 엘엘씨 향상된 소총
KR101797008B1 (ko) * 2015-01-07 2017-11-13 대한민국 소총에 결합되는 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97B1 (ko) 2004-10-05 2007-01-29 손혁 레일 어댑터 시스템
KR101358970B1 (ko) * 2005-06-16 2014-02-06 콜트 디펜스 엘엘씨 향상된 소총
US8429845B1 (en) * 2010-01-19 2013-04-30 Richard E. Swan Modular integrated rail system including a dampening device
KR20120119667A (ko) 2011-04-22 2012-10-31 박상선 소총용 레일 어댑터 시스템
KR101797008B1 (ko) * 2015-01-07 2017-11-13 대한민국 소총에 결합되는 레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620B1 (ko) 2021-05-13 2021-11-04 (주) 택티컬리스트 파츠의 선택적 장착을 위한 총기 레일 시스템
KR102319056B1 (ko) 2021-05-25 2021-10-29 오병무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의 하부 레일
KR102319055B1 (ko) 2021-05-31 2021-10-29 오병무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KR102329009B1 (ko) 2021-06-30 2021-11-19 (주)케이씨아이 소총용 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579B9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579B1 (ko) 소총용 레일
US8713838B2 (en) Rimfire action platform conversion
US9599430B1 (en) Firearm handguard
US6499245B1 (en) Modular sleeve yoke
US8943729B2 (en) Handgun mount for forearm stock of long gun
US8590201B2 (en) Firearm grip
US9470480B2 (en) Weapon accessory mount
US7134234B1 (en) Mounting device
US9777984B1 (en) Skeletonized grip for an automatic rifle having interchangeable grip panels
US7024812B2 (en) Gun stock pivot
US20120131829A1 (en) Handgun Accessory
US20090126249A1 (en) Firearm modification method and kit assembly
US9869531B1 (en) Integrated optical sight mount
US20110030258A1 (en) Firearm accessory
US8739452B1 (en) Secondary gun pivot pistol
US9816787B2 (en) Rear sight block for AK-type rifles
US20210372739A1 (en) Rail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of mounting accessories to a firearm
RU2628423C2 (ru) Платформ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на винтовке
US10337828B2 (en) Balancing device for firearms
US10386145B2 (en) Double barrel adjustment assembly
WO2011008306A1 (en) Firearms grip
US8720100B1 (en) Dual handgun assembly for close combat
KR102319056B1 (ko)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의 하부 레일
US11719501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irearms
KR102319055B1 (ko)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14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415

Effective date: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