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055B1 -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055B1
KR102319055B1 KR1020210069997A KR20210069997A KR102319055B1 KR 102319055 B1 KR102319055 B1 KR 102319055B1 KR 1020210069997 A KR1020210069997 A KR 1020210069997A KR 20210069997 A KR20210069997 A KR 20210069997A KR 102319055 B1 KR102319055 B1 KR 10231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rrel
bolt fastening
firear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무
정용민
Original Assignee
오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무 filed Critical 오병무
Priority to KR102021006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41G11/003Mountings with a dove tail element, e.g. "Picatinny 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에 결합되어 각종 총기용 악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는, 총기의 상부를 덮도록 위치되는 상부 레일; 상기 총기의 하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부 레일에 결합되는 하부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일에는 상기 총기의 가늠쇠 가스블럭에 형성되는 가스블럭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볼트체결공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총기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레일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부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 볼트체결부 및 제2 볼트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일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총열의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에는 각각 상기 상부 볼트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체결부 및 상기 제2 볼트체결부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볼트체결공 및 상기 상부 볼트체결공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총몸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총몸에 결합될 수 있고, 견고한 고정으로 레일 조립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측면 부피의 증가를 방지하고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Rail assembly attached to firearm}
본 발명은 총기에 결합되어 각종 총기용 악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군에서 사용되는 소구경탄환을 사용하는 총기의 총류에는 권총, 소총, 기관단총, 기관총 및 산탄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총기는 주로 전술적인 운용 목적에 따라 군인에게 보급되어 사용된다.
이 중 소총은 모든 병과의 기본화기로써 운용되고 있으며, 가장 높은 비율로 보급, 운용되는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5.56mm NATO탄을 사용하는 K-2소총을 개발하여 주력화기로 현재까지 운용하고 있으며, 같은 5.56mm탄을 사용하는 단축형의 K-1A 기관단총을 개발하여 특수전과 기갑병과, 장교 등의 기본화기로 지급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대부분의 총기들은 가늠자와 가늠쇠를 정렬하여 표적에 발사된 탄두가 명중할 수 있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방식은 익숙해지기까지 긴 시간과 많은 훈련을 요할 뿐더러 사수의 능력에 따라 총기의 성능을 충분히 끌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저광도 환경에서는 조준기구 자체가 잘 보이지 않아 야간 전투가 힘들고, 본인의 접영점에 따라 맞추어 놓은 총기는 접영점이 다른 타인이 사용하기 힘든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는 총을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 여러가지로 시도 되었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뛰어난 광학조준경들이 등장하면서 점차 해결되었다. 1990년대 미군은 소총에 광학조준경을 표준장비로 채용하고, 이미 널리사용하고 있던 위버스타일의 마운트를 연구, 발전시켜 조준경 등의 부가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의 표준을 마련하여 '피카티니레일'이라 명명하였다. 이 표준방식의 마운트를 이용하여 총기에 장착할 수 있는 조준경, 확대경, 레이저표적지시기, 플래쉬라이트, 사격보조용 손잡이, 양각대 등의 수많은 장비들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한 전술의 발전을 이루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K-1A 기관단총과 K-2 소총 또한 규격화된 레일을 먼저 총기에 장착한 뒤에 위에 언급한 부가장비들을 장착할 수 있고, 부가장비와 레일을 결합하는 표준기구는 상기의 피카티니 규격을 따르는 것이 보편적이다. 최근에는 결합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 부피가 작고 보다 경량화된 설계가 가능한 엠락(M-LOK), 키모드(Key mode) 등의 결속장치들이 등장하여 피카티니 규격과 혼용한 다양한 설계가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레일 조립체는 상부 레일(10)과 하부 레일(2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부 레일(10)은 총몸레일영역(11), 총열레일영역(12) 및 볼트밀착영역(13)을 포함한다. 볼트밀착영역(13)은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볼트통과홀(13a)이 형성된다.
하부 레일(20)은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 및 파지영역(22)을 포함한다. 총몸측 볼트결합영역(21)은 총몸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볼트통과홀(13a)과 대응하는 갯수로 총몸결합용 볼트홀(21a)이 형성되며 총몸레일영역(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총몸의 하부에 밀착된다. 도면번호 11a, 12a는 레일홈을, 11b, 12b는 슬롯을, 12c, 22c는 볼트 결합홀을 나타낸다.
상부 레일(10)과 하부 레일(20)은 총몸의 원통형 외주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통과홀(13a)과 볼트홀(21a)에 볼트가 체결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부 레일(10)과 하부 레일(20)은 방열을 위해 금속으로 제작되므로, 사격시 발생되는 열이 총몸의 외주에 밀착되는 상부 레일(10)과 하부 레일(20)을 통해 레일 조립체의 다른 부분으로 전도되어 온도가 쉽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사격시에 사수는 레일 조립체를 파지하므로 레일 조립체의 온도가 상승하면 화상의 위험이 있고 원활한 사격에 방해가 된다.
또한, 상부 레일(10)과 하부 레일(20)은 단순히 총몸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레일 조립체의 후단부가 비틀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부 레일(10)과 하부 레일(20)이 결합되기 위해, 총몸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상부레일(10)에는 볼트밀착영역(13)이 형성되고, 하부 레일(20)에는 볼트결합영역(21)이 형성되어, 레일 조립체의 측면 부피와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트밀착영역(13)과 볼트결합영역(21)에 인접하는 부분은 사격시 사수가 총을 파지하는 부분이 될 수 있는데, 측면 부피가 커질 경우 파지가 불편해지고 원활한 사격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일 조립체에서는 상부 레일(10) 또는 하부 레일(20)에 형성되는 슬롯(11b, 12b)의 위치가 총열의 3시 및 9시 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약간 위 또는 아래에 형성되어 있어, 총기용 악세사리를 총열 라인과 일치하도록 장착하기 어려워 측면에 조준기구를 장착시 총열을 중심으로 기준점을 잡는데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457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총몸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총몸에 결합될 수 있고, 레일 조립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측면 부피의 증가를 방지하고 파지를 용이하도록 하며, 총열과 동일선상의 측면에 부가장비를 장착하는 슬롯을 제공하여 총열을 중심으로 하는 명확한 영점조절의 기준점을 제공하는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는, 총기의 상부를 덮도록 위치되는 상부 레일; 상기 총기의 하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부 레일에 결합되는 하부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일에는 상기 총기의 가늠쇠 가스블럭에 형성되는 가스블럭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볼트체결공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총기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에 인접하는 상기 상부 레일의 내측벽은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의 양쪽 측벽의 폭보다 약간 넓게 제작되고, 상기 전방 볼트체결공에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상부 레일의 내측벽이 서로 당겨지면서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의 양쪽 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 상부 레일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부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 볼트체결부 및 제2 볼트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일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총열의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에는 각각 상기 상부 볼트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체결부 및 상기 제2 볼트체결부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볼트체결공 및 상기 상부 볼트체결공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총기는 총열과 총몸이 결합되는 연결구의 전방에 원주형의 배럴너트가 형성되고, 상기 배럴너트에는 총열을 따라 연장되는 가스튜브의 밑면이 지지될 수 있게 하는 배럴너트 홈이 원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레일은 상기 배럴너트에 밀착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배럴너트 홈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배럴너트의 전방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 레일의 후방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단턱부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삽입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일 측면이 상기 배럴너트 홈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레일은 총몸의 상부에 위치되는 총몸 영역과, 총열의 상부에 위치되는 총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총열 영역은 상기 총몸 영역에서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총몸 영역보다 낮게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몸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총몸에 결합될 수 있고, 견고한 고정으로 레일 조립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측면 부피의 증가를 방지하고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총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 레일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총기에 본 발명의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늠쇠 가스블럭과 접촉되는 상부 레일의 내측면에 미끄럼 방지 가공이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총기에 본 발명의 하부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 결합된 고정용 돌기가 총기의 배럴너트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 결합된 고정용 돌기가 총기의 배럴너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서 고정용 돌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 고정용 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총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 레일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총기에 본 발명의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늠쇠 가스블럭과 접촉되는 상부 레일의 내측면에 미끄럼 방지 가공이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총기에 본 발명의 하부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 결합된 고정용 돌기가 총기의 배럴너트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 결합된 고정용 돌기가 총기의 배럴너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서 고정용 돌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부 레일에 고정용 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는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결합되어 총기용 악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 조립체가 결합되는 총기는 총열(1)과 총몸(2)이 결합되는 연결구(3)의 전방에 라운드진 형상의 배럴너트(4)가 형성되어 있고, 배럴너트(4)에는 총열(1)을 따라 연장되는 가스튜브(5)의 밑면이 밀착하여 지지될 수 있게 하는 배럴너트 홈(4a)이 원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다. 총열(1)과 총몸(2)이 결합되는 연결구(3)의 전방에 원주형의 배럴너트(4)가 형성된 총기로는 대한민국의 K1A가 있다. 또한, 총열(1)의 전단에는 가늠쇠 가스블럭(6)이 형성되고, 가늠쇠 가스블럭(6)에는 가스블럭 개구(6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일 조립체는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을 포함한다.
상부 레일(200)은 총몸(2)부터 총열(1)까지 총기의 상부를 덮도록 위치된다. 상부 레일(200)은 총몸(2)의 상부에 위치되는 총몸 영역(210)과, 총열(1)의 상부에 위치되는 총열 영역(220)을 포함한다.
총열 영역(220)은 총몸 영역(210)에서 단차를 형성하여 총몸 영역(210)보다 낮게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총몸 영역(210)의 레일에는 광학식 조준기가 위치되고, 총열 영역(220)의 레일에는 레이저 표적지시기가 위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총열 영역(220)이 총몸 영역(210)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총열 영역(220)의 레이저 표적지시기가 총몸 영역(210)의 광학식 조준기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수의 집중도를 높이고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총열 영역(220)은 상부에 레일이 형성되는 부분과, 총열(1)의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된 부분에서 라운드지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라운드지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총기용 악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부 슬롯(22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총열 영역(220)에는 총기의 가늠쇠 가스블럭(6)에 형성되는 가스블럭 개구(6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 볼트체결공(222)이 형성된다. 전방 볼트체결공(222)에 볼트(201)가 삽입되어 상부 레일(200)과 총기가 결합됨으로써, 상부 레일(200)의 전단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레일(20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부 볼트체결공(231, 241)이 형성되는 제1 볼트체결부(230) 및 제2 볼트체결부(240)를 포함한다.
하부 레일(100)은 총기의 하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상부 레일(200)에 결합된다. 하부 레일(10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총열의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에는 각각 상부 볼트체결공(231, 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볼트체결공(116, 126)이 형성된다. 하부 볼트체결공(116)은 제1 수직면(110)에 형성되고, 하부 볼트체결공(126)은 제2 수직면(120)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볼트체결공(222)에 볼트(201)가 삽입되어 상부 레일(200)이 총기 전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레일(100)이 상부 레일(20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볼트체결부(230) 및 제2 볼트체결부(240)가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볼트체결공(116, 126) 및 상부 볼트체결공(231, 241)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부 볼트체결공(231, 241)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레일 조립체의 전단이 총기에 결합되고,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전후 4개소에서 볼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레일(200)의 총열 영역(220)에는 총기의 가늠쇠 가스블럭(6)에 형성되는 가스블럭 개구(6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 볼트체결공(222)이 형성되고, 전방 볼트체결공(222)에 볼트(201)가 삽입되어 상부 레일(200)의 전단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가늠쇠 가스블럭(6)에 인접하는 상부 레일(200)의 내측벽은 가늠쇠 가스블럭(6)의 양쪽 측벽의 폭보다 약간 넓게 제작되고, 볼트(201)가 체결되면 상부 레일(200)의 내측벽이 서로 당겨지면서 가늠쇠 가스블럭(6)의 양쪽 측 벽에 접촉되어 가늠쇠 가스블럭(6)을 꽉 물어주면서 가압하게 된다.
전방 볼트체결공(222)의 하부에는 제1 볼트체결부(230)가 하부로 연장되고 있어, 볼트(201)를 체결한 경우 제1 볼트체결부(230)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복원력이 작용하고, 볼트(201)를 체결하면 평행이었던 상부 레일(200)의 내측면이 약간 기울어지는 각도가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볼트(201)가 상부 레일(200)의 나사산에 살짝 비스듬하게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마찰이 생겨 사격시의 진동에 의한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단면 상에서 볼 때, 볼트(201)가 체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전방 볼트체결공(222)의 상부 및 하부를 더 얇게 형성한다. 그에 따라, 볼트(201)를 체결하는 토크가 가해졌을 때 볼트체결공(222)의 상부가 일종의 힌지역할을 하여 적은 힘으로 상부 레일(200)의 내측면이 오므라들 수 있게 하면서, 볼트(201)가 체결되는 부분은 상부 레일(200)의 양쪽 측면을 당기는 힘에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껍게 설계하여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장비의 추가 등으로 인해 상부 레일(200)에 중량이 더욱 실리거나 더 강한 결합강도가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가늠쇠 가스블럭(6)과 맞닿는 상부 레일(200)의 내측면에는 널링가공이나 미끄럼방지 가공, 미끄럼방지 코팅,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시트를 부착하는 것과 같이 상부 레일(200)의 내측면과 가늠쇠 가스블럭(6)의 측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볼트(201)를 통해 체결되는 상부 레일(200)의 내측벽이 가늠쇠 가스블럭(6)의 측벽과 접촉되면서 꽉 물어주므로, 상부 레일(200) 자체의 미세한 전후방 유동을 방지하면서 상부 레일(200)의 전단에서 비틀림모멘트에 의한 레일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일 조립체가 총기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사격과 충격에 의해 레일이 움직이면서 레일에 부착되는 조준기구의 영점이 틀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상부 레일의 내측벽과 가스블럭(6)의 측벽이 직접 접촉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부 레일(200)의 내측벽과 가스블럭(6)의 측벽 사이에 부가물을 삽입하여, 볼트(201)를 체결할 때 부가물과 가스블럭(6)의 측벽이 접촉되면서 꽉 물어주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부 레일(200)의 내측벽이 가늠쇠 가스블럭(6)의 측벽을 꽉 물지 않게 되면, 체결시의 공차에 의해 레일 전체의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되고, 이는 레일에 장착된 조준경의 조준선을 움직이게 하여 장거리로 갈수록 표적과의 오차가 커지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 레일(200)이 하부 레일(1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볼트가 수평방향으로 하부 볼트체결공(116, 126) 및 상부 볼트체결공(231, 241)에 체결되어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결합되므로, 레일 조립체의 측면 부피가 특별히 증가되는 부분없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에 따라, 레일 조립체가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게 되면서, 사격시 사수가 하부 레일(100)을 파지할 때 파지감이 향상되어, 사격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격시 열전달을 최소화하면서 레일 조립체의 비틀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레일(100)이 총몸(2)에 결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하부 레일(10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부 레일(100)은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 제1 및 제2 경사면(130, 150), 하부면(140), 고정용 돌기(160) 등을 포함한다.
제1 수직면(110) 및 제2 수직면(12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총열(1)의 측부를 따라 연장된다.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에는 다수의 제1 슬롯(111, 12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하부 레일(100)이 배럴너트(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슬롯(111)은 총열(1)의 3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슬롯(121)은 총열(1)의 9시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연결면(130, 140, 150)은 총열(1)의 하부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과 연결된다. 연결면(130, 140, 150)은 하부면(140)과, 제1 및 제2 경사면(130, 15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레일(100)이 총몸(2)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면(140)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총열(1)의 6시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다수의 제3 슬롯(14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경사면(13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수직면(110) 및 하부면(140)과 연결되고, 다수의 제2 슬롯(13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경사면(15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 수직면(120) 및 하부면(140)과 연결되고, 다수의 제2 슬롯(15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고정용 돌기(160)는 2개로 형성되고, 배럴너트(4)의 양측에 밀착되어 하부 레일을 지지한다. 고정용 돌기(160)의 일단은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럴너트 홈(4a)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의 후단부에는 각각 배럴너트(4)의 전방에 접촉하여 하부 레일(100)의 후방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단턱부(112, 122)가 형성된다. 수직 단턱부(112, 122)에는 고정용 돌기(16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개구(113)가 형성된다. 고정용 돌기(160)는 삽입 개구(113)에 가압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용 돌기(160)는 삽입 개구(113)에 끼움되는 끼움부(161)와, 상기 끼움부(161)와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부(161)보다 지름이 더 큰 몸체부(162)와, 상기 몸체부(162)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부(162)보다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부(163)를 포함한다.
고정용 돌기(160)는 삽입 개구(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 돌기(160)의 일 측면이 배럴너트 홈(4a)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테이퍼부(163)는 고정용 돌기(160)가 배럴너트 홈(4a)에 밀착되는 것을 안내한다. 2개의 고정용 돌기(160)는 각각 배럴너트(4)의 3시 방향과 9시방향에 형성되는 배럴너트 홈(4a)에 지지된다.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에는 수직 단턱부(112, 122)의 후방에 고정용 돌기(160)가 배럴너트 홈(4a)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용 돌기(160)의 타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 지지부(114)가 형성된다.
고정용 돌기(160)가 배럴너트 홈(4a)에 지지된 상태로, 하부 레일(100)은 상부 레일(200)과 결합되어 총기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용 돌기(160)가 배럴너트 홈(4a)에 지지된 상태로, 하부 레일(100)이 상부 레일(200)을 덮도록 위치되고, 볼트체결공(116, 126, 231, 241)을 통해 볼트(170)가 삽입되어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볼트(170)가 삽입되어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 고정용 돌기(160)는 배럴너트 홈(4a)에 강한 힘으로 밀착될 수 있고, 고정용 돌기(160)는 배럴너트 홈(4a)에 구속되어 레일 조립체 전체의 이동이 방지된다.
고정용 돌기(160)가 배럴너트 홈(4a)에 지지되고, 하부 레일(100)이 상부 레일(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레일(100)(또는 레일 조립체)은 수직 단턱부(112, 122)에 의해 후방 이동이 방지되고, 상부 레일(200)의 전단이 총기의 가스블럭 개구(6a)와 결합되어 전방 이동이 방지된다.
고정용 돌기(160)가 배럴너트 홈(4a)에 지지 및 구속되어, 하부 레일(100)(또는 레일 조립체)은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및 비틀림 회전이 방지된다.
고정용 돌기(160)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하부 레일(100)에 결합되므로, 충격으로 인한 파손시 고정용 돌기(160) 부분만 교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정용 돌기(160)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므로 결합 위치, 재질, 형상, 수량 등에 있어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하부 레일(100)에 일체형으로 직접 돌기의 형상을 가공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고정용 돌기(160)가 총몸의 3시 및 9시 방향에 위치하는 배럴너트 홈(4a)에 지지되고,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도 총몸의 3시 및 9시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에 형성되는 슬롯(111, 121)도 총몸의 3시 및 9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슬롯(111, 121)에 장착되는 총기용 악세사리의 위치가 총열의 3시 및 9시 방향과 정확히 일치할 수 있어 조준기구의 운용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하부 레일(100)은 고정용 돌기(160)에 의해 배럴너트 홈(4a)에만 접촉되므로, 총기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사격시에 발생되는 열이 하부 레일(100)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하부 레일(100)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레일 조립체와 같이 총기의 연결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 레일(200)과 결합되지 않고, 제1 및 제2 수직면(110, 120)에 형성되는 하부 볼트체결공(116, 126)을 통해 상부 레일(200)과 결합되므로, 측면으로 연장되는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격시에 사수의 파지감이 향상될 수 있고 원활한 사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K1A 기관단총의 경우, 총열, 가늠쇠뭉치, 배럴너트의 생산시기와 부품들의 조립상태에 따라 가스블럭 개구(6a)와 배럴너트(4)의 총열방향 끝단면의 간격이 총기별로 미세하게 차이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하부 레일(100)은 좌우측의 고정용 돌기(160)를 배럴너트 홈(4a)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위치를 정하고, 하부 레일(100)에 상부 레일(200)을 결합하여 조립하므로, 고정용 돌기(160)가 허용하는 길이만큼 하부 레일(100)을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총기별로 미세한 길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별도의 장치 없이 고정용 돌기(160)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레일(200)과 결합할 수 있어, 레일 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레일(200)과 하부 레일(100)이 결합되는 방식 및 하부 레일(100)이 총몸(2)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인해 사격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고, 레일 조립체의 측면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사격시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레일(100)이 총몸(2)에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레일 조립체의 비틀림 회전을 방지하고 레일 조립체가 총기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하면서, 총기 제작 상의 오차에도 별도의 장치없이 고정용 돌기(160)를 이동하여 레일 조립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총열
2 : 총몸
3 : 연결구
4 : 배럴너트
4a : 배럴너트 홈
5 : 가스튜브
6 : 가늠쇠 가스블럭
100 : 하부 레일
110 : 제1 수직면
111, 121 : 제1 슬롯
112, 122 : 수직 단턱부
113 : 삽입 개구
114 : 고정용 돌기 지지부
116, 126 : 하부 볼트체결공
120 : 제2 수직면
130 : 제1 경사면
131, 151 : 제2 슬롯
140 : 하부면
141 : 제3 슬롯
150 : 제2 경사면
160 : 고정용 돌기
170 : 볼트
200 : 상부 레일
201 : 볼트
210 : 총몸 영역
220 : 총열 영역
222 : 전방 볼트체결공
230 : 제1 볼트체결부
240 : 제2 볼트체결부
231, 241 : 상부 볼트체결공

Claims (7)

  1.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에 있어서,
    총기의 상부를 덮도록 위치되는 상부 레일;
    상기 총기의 하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부 레일에 결합되는 하부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일에는 상기 총기의 가늠쇠 가스블럭에 형성되는 가스블럭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볼트체결공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총기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레일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부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 볼트체결부 및 제2 볼트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일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총열의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에는 각각 상기 상부 볼트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체결부 및 상기 제2 볼트체결부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볼트체결공 및 상기 상부 볼트체결공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총기는 총열과 총몸이 결합되는 연결구의 전방에 원주형의 배럴너트(4)가 형성되고,
    상기 배럴너트(4)에는 총열을 따라 연장되는 가스튜브의 밑면이 지지될 수 있게 하는 배럴너트 홈(4a)이 원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레일은 상기 배럴너트(4)에 밀착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용 돌기의 측면이 상기 배럴너트 홈(4a)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레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에 인접하는 상기 상부 레일의 내측벽은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의 양쪽 측벽의 폭보다 넓게 제작되고, 상기 전방 볼트체결공에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상부 레일의 내측벽이 서로 당겨지면서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의 양쪽 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가늠쇠 가스블럭을 가압하는 레일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배럴너트의 전방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 레일의 후방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단턱부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삽입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일 측면이 상기 배럴너트 홈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레일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은 총몸의 상부에 위치되는 총몸 영역과, 총열의 상부에 위치되는 총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총열 영역은 상기 총몸 영역에서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총몸 영역보다 낮게 위치되는 레일 조립체.
  7. 총열과 총몸이 결합되는 연결구의 전방에 원주형의 배럴너트가 형성된 총기에 결합하기 위한 레일 조립체의 하부 레일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일은 상기 레일 조립체의 상부 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배럴너트(4)에는 총열을 따라 연장되는 가스튜브의 밑면이 밀착하여 지지될 수 있게 하는 배럴너트 홈(4a)이 원주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수직으로 형성되어 총열의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면;
    총열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과 연결되는 연결면;
    상기 배럴너트(4)의 양측에 밀착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면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용 돌기의 측면이 상기 배럴너트 홈(4a)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총기에 결합하기 위한 레일 조립체의 하부 레일.
KR1020210069997A 2021-05-31 2021-05-31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KR102319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997A KR102319055B1 (ko) 2021-05-31 2021-05-31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997A KR102319055B1 (ko) 2021-05-31 2021-05-31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055B1 true KR102319055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997A KR102319055B1 (ko) 2021-05-31 2021-05-31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288A (ko) * 2004-10-05 2006-04-10 손혁 레일 어댑터 시스템
KR101997809B1 (ko) * 2019-01-31 2019-07-08 다산기공 주식회사 레일 어뎁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총기
KR102134579B1 (ko) 2020-05-14 2020-07-17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소총용 레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288A (ko) * 2004-10-05 2006-04-10 손혁 레일 어댑터 시스템
KR101997809B1 (ko) * 2019-01-31 2019-07-08 다산기공 주식회사 레일 어뎁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총기
KR102134579B1 (ko) 2020-05-14 2020-07-17 (주)엠아이티에스프리시즌 소총용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9430B1 (en) Firearm handguard
US10359258B2 (en) Firearm accessory mount
US8713838B2 (en) Rimfire action platform conversion
US5092071A (en) Weapon accessory mount
US5590484A (en) Universal mount for rifle
US6499245B1 (en) Modular sleeve yoke
US7024812B2 (en) Gun stock pivot
EP3069095B1 (en) Hybrid upper receiver for a rifle
US10845162B2 (en) Firearm accessory mount
US10323896B2 (en) Flash redirecting recoil compensator
US20050241211A1 (en) Modular panel system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a firearm rail system
US9897406B2 (en) Upgrade kit for assault rifle
KR102134579B1 (ko) 소총용 레일
US10401103B2 (en) Firearm with gas block attached to upper receiver
US20040211105A1 (en) Mounting a holographic sight on a firearm
US20150211820A1 (en) Bolt rifle assembly
KR102319055B1 (ko)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
US11248871B2 (en) Firearm barrel trunnion
US20190056193A1 (en) Rotating buffer apparatus
US10386145B2 (en) Double barrel adjustment assembly
KR102319056B1 (ko) 총기에 결합되는 레일 조립체의 하부 레일
US10041766B2 (en) Sighting device mount
RU2721810C1 (ru) Платформа для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US11098981B2 (en) Extended rail system and mount for a weapon system
US20220026173A1 (en) Handgun brace for mitigating muzzle jump recoil and promoting proper handgun grip pos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