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448B1 -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448B1
KR100672448B1 KR1020040055736A KR20040055736A KR100672448B1 KR 100672448 B1 KR100672448 B1 KR 100672448B1 KR 1020040055736 A KR1020040055736 A KR 1020040055736A KR 20040055736 A KR20040055736 A KR 20040055736A KR 100672448 B1 KR100672448 B1 KR 10067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terminal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629A (ko
Inventor
홍창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448B1/ko
Priority to CNA2005100020415A priority patent/CN1722736A/zh
Publication of KR2006000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장치를 갖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단말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폴더와,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자석과, 단말기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자석과 대응되도록 상기 폴더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은 단말기를 닫을 때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형, 탄성력, 완충돌기, 자석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Folder typ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서 본체와 폴더 사이의 이격 거리를 한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린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본체 33 : 키패드
35 : 마이크 37 : 완충돌기
38 : 제 1 자석 39 : 폴더
41 : 표시화면부 43 : 스피커
44 : 제 2 자석 45 : 힌지
47 : 자석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폴더를 닫을 때 본체와 충돌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가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정보, 게임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기술의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폴더형(folder type) 및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의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폴더형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가 탄성력을 갖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는데, 본체에서 폴더를 열은 상태에서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닫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1), 폴더(19)와 힌지(25)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본체(11)는 내부에 주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 등이 내장되고, 상 부 표면에 키패드(13), 마이크(15) 및 완충돌기(17) 등이 장착된다. 상기에서 키패드(13)는 복수의 숫자 키와 복수의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마이크(15)는 힌지(25)가 형성된 타측과 반대하는 일측에 장착되고, 완충돌기(17)는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마이크(15)의 양측에 복수 개, 바람직하기는 2개가 형성된다.
폴더(19)는 타측이 힌지(25)에 의해 본체(11)의 타측과 회동되게 결합되며, 이 폴더(19)가 닫혔을 때 본체(11)와 마주하는 면에 표시화면부(21) 및 스피커(23) 등이 장착된다.
힌지(25)는 본체(11)와 폴더(19)를 각각의 타측이 연결되도록 힌지 결합시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구성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본체(11)에서 폴더(19)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데, 폴더(19)를 닫는 힘(Ff1)은 힌지(25)의 탄성력에 비례한다. 상기에서 폴더(19)가 본체(11)와 충돌하여 힘(Ff1)이 전부 전달되면 본체(11) 및 폴더(19)에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나완충돌기(17)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러므로, 완충돌기(17)는 본체(11)에 폴더(19)가 가지고 있는 힘(Ff1)이 경감되어 전달되도록 하여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한다.
그러나, 완충돌기가 폴더가 본체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이 충격이 축적되어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가 본체에 충돌할 때 충격량을 0으로 하거나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단말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폴더와,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자석과, 단말기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자석과 대응되도록 상기 폴더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은 단말기를 닫을 때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자석은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단말기를 닫을 때 상기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이 0이 되도록 Fm = Ff2의 식이 만족되되 Fm은 제 1 및 제 2 자석 사이의 반발력이고, Ff2는 폴더를 닫는 힘이다.
상기에서 본체 또는 폴더의 상기 단말기가 닫혔을 때 마주하는 면 상의 상기 힌지와 반대하는 일측에 형성된 완충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완충돌기는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의 부드러운 재질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에서 단말기를 닫을 때 상기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이 0이 되도록 하기 Fm = Ff2 - α의 식이 만족되되 Fm은 제 1 및 제 2 자석 사이의 반발력이고, Ff2는 폴더를 닫는 힘이며, α는 완충돌기의 완충력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힌지에 의해 본체와 폴더를 회동시켜 단말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폴더의 상기 단말기가 닫혔을 때 마주하는 면 상의 상기 힌지와 반대하는 일측에 자성을 갖는 고무 또는 자성을 갖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완충돌기와, 상기 완충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본체 또는 폴더의 내부 일측의 상기 단말기가 닫혔을 때 상기 완충돌기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완충돌기 및 자석은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31), 폴더(39)와 힌지(45)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본체(31)는 내부에 주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 및 제 1 자석(38) 등이 내장되고, 상부 표면에 키패드(33), 마이크(35) 및 완충돌기(37) 등이 장착된다. 상기에서 키패드(33)는 복수의 숫자 키와 복수의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마이크(35)는 힌지(45)가 형성된 타측과 반대하는 일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완충돌기(37)는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마이크(35)의 양측에 복수 개, 바람직하기는 2개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완충돌기(37)는 폴더(39)의 스피커(43)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자석(38)은 마이크(35)의 양측에 복수 개, 바람직하기는 2개가 형성된다.
폴더(39)는 타측이 힌지(45)에 의해 본체(31)의 타측과 회동되게 결합되며, 단말기가 닫혔을 때 폴더(39)의 본체(31)와 마주하는 면에 표시화면부(41), 스피커(43) 및 제 2 자석(44) 등이 장착된다. 상기에서 표시화면부(41)는 영상 화면 및 서비스 메뉴 등이 표시되는 것으로 엘씨디(LCD)로 형성되며, 스피커(43)는 힌지(45)가 형성된 타측과 반대하는 일측에 장착된다. 또한, 제 2 자석(44)은 단말기가 닫혔을 때 폴더(39)의 제 1 자석(38)과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 2 자석(44)은 제 1 자석(38)과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힌지(45)는 본체(31)와 폴더(39)를 각각의 타측이 연결되도록 힌지 결합시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여 단말기를 열거나 닫게한다.
상술한 구성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본체(31)에서 폴더(39)를 회동시켜 단말기를 열거나 닫는다. 상기에서 단말기를 닫을 때 폴더(39)가 본체(31)와 충돌하여 충격을 줄 수 있는데, 이 충돌시 충격량은 Ff2 - Fm - α에 비례하는 것으로 Ff2는 폴더(39)를 닫는 힘으로 힌지(45)의 탄성력과 비례하는 것으로 항상 일정하고, Fm은 제 1 및 제 2 자석(38)(44) 사이의 반발력으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α는 완충돌기(37)의 완충력으로 재질과 높이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에서 폴더(39)가 본체(31)와 충돌할 때 충격량을 최소화, 예를 들면, 0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자석(38)(44) 사이의 반발력(Fm)은,
Fm = Ff2 - α (식 1)
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식 1)의 조건이 만족되면 평형 상태로 단말기가 닫힐 때 본체(31)와 폴더(39)의 충격량이 0으로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닫힌 상태에서 본체(31)로 부터 폴더(39)가 들뜨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31)와 폴더(39)의 이격 거리를 d라 하면, 이 이격 거리(d)에서 (식 2)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격 거리(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39)를 닫는 힘(Ff2)과 제 1 및 제 2 자석(38)(44) 사이의 반발력(Fm)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반발력(Fm)이 힘(Ff2) 보다 완충돌기(37)의 완충력(α) 만큼 작아지는 지점으로 이동되어 한정된다.
그러므로, 단말기를 닫을 때 본체(31)와 폴더(39)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완충돌기(37)의 완충력(α)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자석(38)(44) 사이의 반발력(Fm)에 의해 경감 또는 0이 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31) 내부에 별도의 자석이 설치되지 않고 완충돌기(37)가 자성을 갖는 고무 또는 자성을 갖는 연질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완충돌기(37)는 단말기가 닫혔을 때 자석(47)과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완충돌기(37)와 자석(47)은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완충돌기(37)는 폴더(39)의 스피커(43)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자석(47)은 본체(31) 내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의 각각에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 자석이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치되므로 단말기를 닫을 때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완충돌기의 완충력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자석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 경감 또는 0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내장된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단말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폴더와,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자석과,
    단말기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자석과 대응되도록 상기 폴더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은 단말기를 닫을 때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폴더의 상기 단말기가 닫혔을 때 마주하는 면 상의 상기 힌지와 반대하는 일측에 형성된 완충돌기를 더 포함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은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닫을 때 상기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이 0이 되도록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수학식]
    Fm = Ff2
    상기에서 Fm은 제 1 및 제 2 자석 사이의 반발력이고, Ff2는 폴더를 닫는 힘이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의 부드러운 재질로 복수 개가 형성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닫을 때 상기 본체와 폴더의 충돌로 인한 충격량이 0이 되도록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수학식]
    Fm = Ff2 - α
    상기에서 Fm은 제 1 및 제 2 자석 사이의 반발력이고, Ff2는 폴더를 닫는 힘이며, α는 완충돌기의 완충력이다.
  7. 힌지에 의해 본체와 폴더를 회동시켜 단말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폴더의 상기 단말기가 닫혔을 때 마주하는 면 상의 상기 힌지와 반대하는 일측에 자성을 갖는 고무 또는 자성을 갖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완충돌기와,
    상기 완충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본체 또는 폴더의 내부 일측의 상기 단말기가 닫혔을 때 상기 완충돌기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 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 및 자석은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55736A 2004-07-16 2004-07-16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2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36A KR100672448B1 (ko) 2004-07-16 2004-07-16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NA2005100020415A CN1722736A (zh) 2004-07-16 2005-01-12 一种折叠型移动通讯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36A KR100672448B1 (ko) 2004-07-16 2004-07-16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29A KR20060006629A (ko) 2006-01-19
KR100672448B1 true KR100672448B1 (ko) 2007-01-24

Family

ID=3591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736A KR100672448B1 (ko) 2004-07-16 2004-07-16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2448B1 (ko)
CN (1) CN17227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71Y1 (ko) * 2013-05-08 2014-01-14 고병준 휴대폰 보호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37B1 (ko) * 2005-10-24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US20100331059A1 (en) * 2009-06-30 2010-12-30 Jeffrey Apgar Apparatus with swivel hinge and associated method
CN108683758A (zh) * 2015-12-29 2018-10-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US10230826B1 (en) 2017-08-22 2019-03-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Foldable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71Y1 (ko) * 2013-05-08 2014-01-14 고병준 휴대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2736A (zh) 2006-01-18
KR20060006629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2911B1 (en) Sliding-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450979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846783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590435B2 (en) Locking apparatus of swing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P1528757B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2005286994A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KR100672448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4631B1 (ko) 스윙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모듈
US7529573B2 (en) Slide apparatus of slide-type portable terminal
JP2003264617A (ja) 折畳み型携帯通信装置
KR100268239B1 (ko)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JP2008288699A (ja) 携帯無線機及び携帯無線機のアンテナ整合回路の切り替え方法
KR200187548Y1 (ko) 폴더의 댐핑장치
KR2008004252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KR200348925Y1 (ko) 플립업타입휴대폰의힌지장치
KR100607813B1 (ko) 슬라이딩 개방되는 폴더형 휴대폰
KR1006894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13498U (ko) 폴더의 통화각도조절 보조장치
KR20036233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68344Y1 (ko) 폴더형 휴대폰의 각도조절 장치
KR200221349Y1 (ko)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KR200172531Y1 (ko) 이중 플립형 화상통신 단말기
KR20030032222A (ko)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A2721208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35335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