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435B1 -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435B1
KR100689435B1 KR1020050018312A KR20050018312A KR100689435B1 KR 100689435 B1 KR100689435 B1 KR 100689435B1 KR 1020050018312 A KR1020050018312 A KR 1020050018312A KR 20050018312 A KR20050018312 A KR 20050018312A KR 100689435 B1 KR100689435 B1 KR 10068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erminal
portable terminal
hous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230A (ko
Inventor
황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4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일면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의 주변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윈도우(window);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됨과 동시에, 타면이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양면 테잎(tape)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의 사출물이 단말기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양면 테잎으로 완충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줄여 소형,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두께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전기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기기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이동 통선 서비스는 초기에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그 영역은 점차 멀티미디어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모바일 뱅킹 등의 다양한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문자 등 정보 입력, 화상 촬영, 동영상 감상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화면을 실질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초기에 단순 문자 정보와 간단한 아이콘 표시를 위한 흑백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로부터 점차 그레이스케일, 티에프티 엘씨디(TFT LCD; 박막 필름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촬영,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폴더(102)가 회동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형 단말기이다.
상기 본체(101)에는 키패드(111), 송화부(113)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더(102)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15)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10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 사이에 개재되는 센터 힌지 암(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폴더(102)는 상기 본체(101) 상에서 회동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가 개폐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단말기의 하우징, 구체적으로 내측 하우징(102a)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소자(131)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1)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1)는 가요성 회로와 그 단부에 구비된 커넥터(133)를 통해 단말기의 메인 보드(미도시)에 접속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1)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 하우징(102a)에는 개구(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1)는 단말기 폴더의 외측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하우징(102a)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내측 하우징(102a)과 디스플레이 소자(131) 사이에는 완충재(137)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재(137)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1)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31)가 상기 내측 하우징(102a) 상에 형성된 개구(129)를 통해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129) 상에는 투명 재질의 윈도우(135)가 부착된다. 상기 윈도우(135)를 상기 개구(129) 상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135)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 테잎(139)이 부착된다. 상기 양면 테잎(139)은 상기 윈도우(135)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129)의 주변을 따라 상기 내측 하우징(102a)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윈도우(135)를 상기 내측 하우징(102a) 상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 구조는 윈도우의 두께, 윈도우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하우징 사출물의 두께, 하우징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소자 사이의 완충재의 두께 등으로 인하여,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를 줄여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에 적합한 장착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일면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의 주변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윈도우(window);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됨과 동시에, 타면이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양면 테잎(tape)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221)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22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221)는 디스플레이 소자(231)와 윈도우(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는 가요성 회로와 그 단부에 구비된 커넥터(233)를 통해 단말기의 메인 보드(미도시)에 접속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 상에 출력되는 화면을 외부에서 볼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 하우징(102a)에는 개구(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는 단말기 폴더의 외측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하우징(102a)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가 상기 내측 하우징(102a) 상에 형성된 개구(129)를 통해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129) 상에는 투명 재질의 윈도우(235)가 부착된다.
상기 윈도우(235)를 상기 개구(129) 상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235)는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리브(235a; 도 5에 도시됨)를 구비한다. 상 기 리브(235a)는 상기 개구(129)의 주변을 따라 상기 내측 하우징(10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윈도우(235)의 외측면은 외관 상 상기 내측 하우징(102a)의 외주면과 그 높이가 일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와 윈도우(235)는 양면 테잎(237)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상기 양면 테잎(237)은 그의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됨과 동시에, 그의 타면이 상기 윈도우(235)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와 윈도우(235)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양면 테잎(237)과, 상기 양면 테잎(237)에 의해 존재하게 되는 간격은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31)에 윈도우(235)가 부착되면서, 상기 윈도우(235)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내측 하우징(102a)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235)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측 하우징(102a)에 지지되는 리브(235a)가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의 내측 하우징(102a) 사출물의 두께는 상기 윈도우(235)의 두께 범위 이내로 제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폴더형 단말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바형 단말기,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단말기라면 어떠한 형태의 단말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에서 종래의 단말기 두께에 영향을 주던 하우징 사출물의 두께는 윈도우의 두께 범위 이내에 포함시킴으로써 0.6mm 내외의 단말기 두께를 감소시키게 되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소자와 단말기 사이의 완충재를 제거하고 양면 테잎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소자와 윈도우를 부착시킴과 동시에 완충재를 대체하게 함으로써 0.5mm 내외의 단말기 두께를 감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일면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의 주변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윈도우(window);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됨과 동시에, 타면이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양면 테잎(tape)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브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윈도우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그 높이가 일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18312A 2005-03-04 2005-03-04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12A KR100689435B1 (ko) 2005-03-04 2005-03-04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12A KR100689435B1 (ko) 2005-03-04 2005-03-04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30A KR20060097230A (ko) 2006-09-14
KR100689435B1 true KR100689435B1 (ko) 2007-03-08

Family

ID=3762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312A KR100689435B1 (ko) 2005-03-04 2005-03-04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517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윈도우 결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370A (ko) * 2004-08-17 2006-02-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370A (ko) * 2004-08-17 2006-02-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163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30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US826571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459543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JP2002158758A (ja) 開閉型携帯情報端末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KR20050120852A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US7534120B2 (en) Fold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protected crank-type structur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050105790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60089303A (ko) 외부 듀얼 액정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894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15787A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JP2007033658A (ja) 情報処理装置
KR1007034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7033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JP3735234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402885Y1 (ko) 슬라이드 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2009038473A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72531Y1 (ko) 이중 플립형 화상통신 단말기
KR20090081101A (ko) 이중 폴더형 전자기기
KR10055709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348925Y1 (ko) 플립업타입휴대폰의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