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222A -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222A
KR20030032222A KR1020010063856A KR20010063856A KR20030032222A KR 20030032222 A KR20030032222 A KR 20030032222A KR 1020010063856 A KR1020010063856 A KR 1020010063856A KR 20010063856 A KR20010063856 A KR 20010063856A KR 20030032222 A KR20030032222 A KR 20030032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amper
hin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덕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2222A/ko
Publication of KR2003003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2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덮개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덮개 개방 시 덮개와 지지부간의 충격에 의한 힌지부 및 회로소자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의 최대 개방시 상기 덮개와 충돌하게 되는 지지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댐퍼와 상기 댐퍼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덮개 개방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한 힌지부 및 회로소자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상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uffer for hinge}
본 발명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덮개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덮개 개방 시 덮개와 지지부간의 충격에 의한 힌지부 및 회로소자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장치를 구비하는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과 종류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수도 급속하게 급등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로는 바(Bar)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폴더형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가 간편하고, 액정화면을 타 기종에 비해 크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한 화면에 많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최근에는 가장 인기 있는 품목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통상적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키패드 및 송신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액정화면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와 덮개가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와 덮개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힌지부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에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 시 수신 및 송신감도의 향상을 위해 본체와 덮개간의 개방각도를 사람의 얼굴형상에 맞춰 150도 전후로 유지시키고 덮개의 과다한 개방으로 인하여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의하여 덮개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고정구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 개방 형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덮개가 개방된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1a에서 보는바와 같이, 덮개(20)가 개방되면 상기 덮개(20)와 본체(10) 간의 개방각 θ는 사람의 얼굴형상에 맞춰 150도 전후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와 덮개(20)간의 개방각 θ를 150도 전후로 설정하는 이유는, 본체(10)와 덮개(20)간의 개방각 θ가 150도를 초과하여 180도 까지 커지게 되는 경우, 힌지부에 과중한 응력이 가중되어 힌지부가 파손될 우려가 발생하고 상기 덮개(20)에 구비된 수신부(미도시)를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켰을 때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송신부(미도시)와 사용자의 입과의 거리가 너무 멀게 떨어지게 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A부(힌지부) 단면도로서,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부터 개방될 때까지 동작을 나타낸다.
도 1b에서 덮개(20)가 3개로 표현된 것은, 상기 덮개(2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본체(10)와의 개방각이 150도 전후가 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작을 나타내기 위함이며, 상기 덮개(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장 오른쪽에 도시된 덮개(20)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본체(10)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12)와 간섭되는 형상을 나타낸다.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30)와 결합되는 쪽의 본체(10) 끝단에는 상기 본체(10)의 끝단 일부를 위로 돌출시켜 형성한 지지부(12)를 구비함으로써, 덮개(20)가 개방될 때 도 1a와 같이 덮개(20)와 본체(10) 간의 최대 개방각 θ를 사람의 얼굴형상에 맞춰 150도 전후로 유지하고 그 이상의 각도로는 개방되지 못하도록 상기 덮개(20)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덮개(20)의 과다 개방으로 인한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덮개(20)를개방시키는 힘과 상기 덮개(20)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상기 덮개(20)와 상기 지지부(12)가 충돌하게되고, 이러한 충돌은 상기 덮개(20)를 개방시킬 때마다 발생하게되므로 상기 덮개(20)와 상기 지지부(12), 힌지부 등에 지속적인 충격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충격력이 여러 회 누적되면 힌지 및 회로소자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이 컬러화되고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덮개의 무게가 점차 증가되고있는 추세에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힌지 및 회로소자의 파손문제는 더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있다. 또한, 덮개(20)와 지지부(12)간의 충돌로 인하여 노이즈(Noise)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덮개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덮개 개방 시 덮개와 지지부간의 충격에 의한 힌지부 및 회로소자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상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덮개가 개방된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A부(힌지부) 단면도이다.
도 2a는 덮개가 최대한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덮개와 댐퍼가 닿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댐퍼의 위치와 형상을 도시하기 위하여 덮개를 제거한 본체의 부분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덮개의 개방각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덮개 개방시 덮개와 본체의 충돌로 인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하나 이상의 댐퍼를 구비한다.
상기 댐퍼는 상기 덮개와의 충돌로 인하여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며, 덮개 개방 시 덮개와 접촉되는 부분의 지지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덮개와 상기 지지부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덮개의 최대 개방 시 상기 덮개와 접촉되는 지지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하나 이상의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덮개가 최대로 개방되더라도 지지부와는 접촉되지 아니하고 댐퍼와 접촉되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는, 덮개의 개방 시 상기 덮개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충격력으로 인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덮개가 최대 개방각 이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덮개의 과도개방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덮개와 상기 지지부는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충돌이 생길 경우 이상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연성을 갖는 완충재료로 제작된 댐퍼와 충돌하게 되므로 이상 노이즈가 발생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덮개가 최대한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덮개와 댐퍼가 닿는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덮개(200)와 상기 덮개(200)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덮개(200)의 과도개방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100)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덮개(200)가 개방될 때 상기 덮개(200)와 접촉되는 부분에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 댐퍼(110)와 상기 댐퍼를 안착시키기 위해 형성된 댐퍼홈(120)을 구비한다.
상기 댐퍼(110)는 상기 덮개(200)와의 충돌로 인하여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며, 충격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나 점성유체를 포함하는 에어댐퍼나 오일댐퍼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댐퍼(110)를 상기 댐퍼홈(120)에 안착시켰을 때, 상기 댐퍼(110)의 상단표면은 상기 지지부의 표면보다 높은 수직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a와 같이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덮개(200)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본체(100)와의 최대 개방각도까지 개방이 되면, 최대 개방각까지 개방된 덮개(200)는 도 2b에서 보는바와 같이 지지부에 구비된 댐퍼(110)와 간섭되어 더 이상 개방되지 못한다. 상기 덮개(200)를 닫혀진 상태에서 최대 개방각까지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덮개(200)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덮개(200)에 부과되는 개방력과 상기 덮개(200)가 개방될 때 발생하는 회전 관성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200)는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상기 댐퍼(110)와 충돌하게 되는데, 상기 덮개(200)와 상기 댐퍼(110)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력을 상기 댐퍼(110)가 흡수하여 소멸시킴으로써 상기 충격력으로 인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는 연성을 갖는 상기 댐퍼(110)와만 접촉되고 상기 댐퍼(110) 이외의 부분과는 접촉되지 않으므로, 상기 지지부중에서 강성을 갖는 부분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댐퍼의 위치와 형상을 도시하기 위하여 덮개를 제거한 본체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단 끝쪽에 형성된 지지부는 덮개의 개방시 덮개와 닿게되는 부분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120)과, 상기 댐퍼홈(120) 내부에 완충역할을 하는 댐퍼(110)를 구비한다. 상기 댐퍼(110)는 지지부의 면보다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덮개가 최대로 개방되면 상기 덮개는 댐퍼(110)와 접촉되고 댐퍼(11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댐퍼(110)의 크기와 개수 및 고정위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의 중앙에 힌지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하나의 댐퍼가 구비되어있으나, 각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델 특성에 따라 작은 댐퍼를 여러 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지지부 전체크기 만큼의 크기를 갖는 댐퍼를 구비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덮개 개방 시 덮개가 댐퍼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덮개 개방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한 힌지부 및 회로소자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상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덮개의 과도개방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어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덮개 개방 시 상기 덮개와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댐퍼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10063856A 2001-10-17 2001-10-17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32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856A KR20030032222A (ko) 2001-10-17 2001-10-17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856A KR20030032222A (ko) 2001-10-17 2001-10-17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222A true KR20030032222A (ko) 2003-04-26

Family

ID=2956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856A KR20030032222A (ko) 2001-10-17 2001-10-17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22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876B1 (ko) * 2001-11-22 2004-09-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힌지완충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7531B1 (ko) * 2005-03-09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폴더형 휴대폰
KR20100129930A (ko) * 2009-06-02 2010-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
KR101044594B1 (ko) * 2004-11-01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힌지 충격 완충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332A (ja) * 1997-10-09 1999-04-30 Sony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9990041888U (ko) * 1998-05-27 1999-12-27 윤종용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커버 멈춤장치
KR20000013498U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폴더의 통화각도조절 보조장치
US6119019A (en) * 1997-03-07 2000-09-12 Ericsson Inc. Flip cover assembly incorporating a cam member
KR200214723Y1 (ko) * 2000-09-08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의 멈춤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9019A (en) * 1997-03-07 2000-09-12 Ericsson Inc. Flip cover assembly incorporating a cam member
JPH11122332A (ja) * 1997-10-09 1999-04-30 Sony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9990041888U (ko) * 1998-05-27 1999-12-27 윤종용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커버 멈춤장치
KR20000013498U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폴더의 통화각도조절 보조장치
KR200214723Y1 (ko) * 2000-09-08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의 멈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876B1 (ko) * 2001-11-22 2004-09-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힌지완충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1044594B1 (ko) * 2004-11-01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힌지 충격 완충장치
KR100667531B1 (ko) * 2005-03-09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폴더형 휴대폰
KR20100129930A (ko) * 2009-06-02 2010-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530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JPH0491541A (ja) 電話機用ハンドセット
KR20030032222A (ko)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US20060133796A1 (en) Cover restricting mechanism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672448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47876B1 (ko) 힌지완충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012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보호장치
KR100575757B1 (ko) 힌지부 완충장치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20050089106A (ko) 스프링 댐퍼 장치
KR1007019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187548Y1 (ko) 폴더의 댐핑장치
KR100357034B1 (ko) 회전성 스피커 하우징을 구비한 폴더
KR1006228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고정구조
KR100496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보호장치
KR10084929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30019723A (ko) 완충기능을 가진 폴더형 휴대폰
KR200172531Y1 (ko) 이중 플립형 화상통신 단말기
KR100233170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205813Y1 (ko) 폴더형 무선 단말기의 폴더 댐핑 장치
KR2003002100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보호장치
KR100238538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184078Y1 (ko)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200198286Y1 (ko)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KR20080024306A (ko) 정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