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777B1 -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 Google Patents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777B1
KR100671777B1 KR1020050075678A KR20050075678A KR100671777B1 KR 100671777 B1 KR100671777 B1 KR 100671777B1 KR 1020050075678 A KR1020050075678 A KR 1020050075678A KR 20050075678 A KR20050075678 A KR 20050075678A KR 100671777 B1 KR100671777 B1 KR 100671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ar layer
perforated plate
attachment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국
김형열
박기태
이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7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조된 복공판 상부면에 마모층이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마모층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으로서, 상기 마모층의 설치에 의하여 복공판이 보호되고, 복공판의 교체시기를 늘려 경제적인 재활용이 가능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FRP, 복공판, 마감층

Description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Fiber Reinforced Polymer Panel with Prefomed Wearing Surface}
도 1은 종래의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내지 100k: 본 발명의 복공판
110c,110d,110e,120a,120b,120f,113g,140i,150i:부착판
110h:연결부착판 110j:타일 판
110k:아스팔트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층
111f,112f: ㄱ자형 앵글판
본 발명은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조된 복공판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마모층이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마모층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에 관한 것이다.
교통 우회를 위한 임시교량 또는 가교 설치를 위하여 통상은 지반에 항타 또는 관입시켜 설치된 파일 위에 주형(통상 H 형강빔)을 포함한 하부구조물을 설치한 뒤, 상기 하부구조물 상부에는 임시로 직육면체 형상의 강재 복공판을 다수 연결 설치하여 임시로 교통을 소통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강재 복공판은 자중이 크기 때문에 그 운반 및 설치에 있어 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는 등 공사비 증대요인이 존재하여 강재 복공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재질의 복공판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도 1과 같이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된 복공판(10, Fiber Reinforced Polymer Panel)이 소개 되었는바, 자체 자중도 가볍고 길이방향으로 내부중공(20)이 형성되어 있어 강재 복공판과 비교하여 자중이 작으면서도 강성이 크고, 부식의 염려가 없는 등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여 복공판 설치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복공판 상부를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작아 향후 이용의 소지가 매우 크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된 복공판의 상부면은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슬립현상이 발생할 소지도 있고, 이러한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공판 제작 시 이를 고려한 미끄럼 방지수단 예컨대 요철면 등을 형성시키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복부판 상부면이 마모 되어 비교적 고가인 복공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된 복공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로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된 복공판의 상부면에 여러 마모층이 추가된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된 복공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마모층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경제적인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된 복공판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마모층에 요철부를 두어 슬립현상도 함께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강화폴리머, 비금속 또는 금속재질의 부착판 등과 같이 복공판 상부면에 교체가 가능하도록 마모층을 설치하되 상기 마모층의 설치를 위한 다양한 부착수단 등을 공통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의 복공판(100a)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제작 시 인발성형 단계에서 복공판 상부 표층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시킨 삽입홈(110a); 및 상기 삽입홈(110a)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삽입홈(110a)에 눌러 삽입시키는 삽 입구(121a)가 하면에 형성되며 복공판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12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1의 복공판(100a)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은 통상 직육면체 형상으로 인발성형의 방식으로 일체로 제작되며, 개략 높이는 20㎝, 폭 및 길이 제한이 없으나 운반 및 시공의 편이성을 위해서 각각 1.5∼4m 및 2,4,6m의 길이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내부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공판(A) 상부면에는 인발성형 단계에서, 역시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시킨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삽입홈(110a)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의 삽입홈(110a)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홈은 후술되는 부착판(120a)이 복공판(A) 상부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부착판(120a)은 복공판(A)의 삽입홈(110a)에 끼워져 삽입되는 삽입구(121a)가 하면에 형성된 판재로서, 마모층 기능을 가지며 복공판(A)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삽입구(121a)는 고정형태를 가지는 삽입홈(110a)에 눌려져 삽입될 수 있도록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삽입구(121a)를 탄성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부착판(120a)도 동일한 고무판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착판(120a) 상면에는 미 도시 하였지만 추가적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 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마모층은 복공판(A)의 상부면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여 손상된 경우 새로운 마모층으로 교체할 수도 있으며,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는 필요에 따라 오버레이 할 수도 있다. 마모층의 손상부분만 수선하는 경우 재생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2의 복공판(100b)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 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제작시 인발성형 단계에서 복공판 상부 표층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시킨 슬라이딩용 삽입홈(110b); 및
상기 슬라이딩용 삽입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복공판 재질과 동일한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되며 복공판 전면에서 슬라이딩용 삽입홈(110b)에 삽입되는 삽입구(121b)가 하면에 형성되며 복공판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1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실시예 2의 복공판(100b)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복공판(A) 상부면에는 인발성형 단계에서, 역시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시킨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의 삽입홈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홈이 실시예 2에서는 슬라이딩용 삽입홈(110b)으로 지칭한다.
이는 후술되는 부착판(120b)의 삽입구(121b)가 실시예 1과 같이 삽입홈(110a)에 눌려져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복공판 전면에서 슬라이딩용 삽입홈(110b)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취하기 때문이다.
상기 부착판(120b)은 복공판의 삽입홈(110b)에 끼워져 삽입되는 삽입구(121b)가 하면에 형성된 판재로서, 마모층의 기능을 가지며 복공판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때 삽입구(121b) 및 부착판(120b)은 복공판과 동일한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한다.
상기 부착판(120b) 상부면에도 역시 추가적으로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3의 복공판(100c)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 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적어도 복공판의 상부면 및 측면 전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복공판을 보호하도록 설치된 부착판(110c);
상기 부착판(110c)과 복공판 상부면 표층을 관통하여 조여 줌으로서 부착판과 복공판을 서로 결합시키되, 부착판 상부면에 머리부(121c)를 돌출시켜 형성된 볼트를 포함하는 마모구(120c);를 포함한다.
도 4는 상기 실시예 3의 복공판(100c)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하다.
상기 부착판(110c)은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형으로 제작되며 재질은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금속, 비금속재질로 제작되어 복공판의 상부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마모층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착판(110c)은 복공판 제작 시 함께 몰딩 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별도로 제작하여 실시예 2와 같이 복공판(A)에 끼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서 부착판(110c)은 복공판 전체를 보호하면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부착판(110c)은 마모구(120c)로서 볼트에 의하여 복공판(A)에 설치된다. 이에 복공판 상부면 표층에는 적당한 위치(바람직하게는 복공판 바깥쪽 면을 따라)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122c)을 미리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한 위치에 부착판(110c)에도 볼트공을 미리 형성시켜 둔다.
이에 볼트의 머리부(121c)가 부착판(110c) 상면에 돌출되도록 하면서, 볼트가 부착판과 복공판(A)을 조여 주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로서 부착판(110c)은 머리부(121c)가 돌출된 형태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마모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나아가 부착판(110c)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 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4의 복공판(100d)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상기 마모층은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공이 다수 형성된 복공판(A)에 설치되되,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복공판의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110d);
상기 부착판(110d)을 복공판(A) 상부면에 설치시키기 위하여 부착판 양 단부면과 복공판 내부 중공의 양 단부면을 함께 감싸 조여주는 ㄷ자형 클램프를 포함하는 고정구(120d);를 포함한다.
도 5는 상기 실시예 4의 복공판(100d)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3과 동일하다.
상기 부착판(110d)은 재질은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금속,비금속재질로 제작되어 복공판(A)의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마모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부착판(110d)은 ㄷ자형 클램프에 의하여 복공판(A)에 형성된 중공 상면에 조여져 설치된다. 즉, 부착판(110d) 양 단부면과 복공판(A) 내부 중공의 양 단부면을 ㄷ자형 클램프인 고정구(120d)가 조여줌으로서 부착판(110d)이 복공판(A) 에 설치되도록 한다.
역시 부착판(110d)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5의 복공판(100e)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 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공이 다수 형성된 복공판(A)에 설치되되,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복공판(A)의 상부면 전부 또는 길이방향으로 일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110e);
상기 부착판(110e)을 복공판(A) 상부면에 설치시키기 위하여 부착판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복공판 내부 중공을 감싸도록 설치된 ㄱ자형 단부부착구1(121e)과 상기 ㄱ자형 단부부착구 1에 대응한 반대쪽 부착판의 단부에 설치되는 부착구로서 상기 단부면에 형성시킨 내면관통공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용수철을 포함하는 탄성재(122e)에 의하여 연결된 ㄷ자형 클램프를 포함하는 단부부착구2(123e)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착수단(120e);를 포함한다.
도 6은 상기 실시예 5의 복공판(100e)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3,4와 동일하다.
부착판(110e)은 재질은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금속, 비금속재질로 제작되어 복공판의 상부면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제작되어 설치되어 마모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실시예 5에서는 상기 부착판(110e)을 설치함에 있어서, 한쪽은 복공판(A)의 내부중공 상면에 걸어지고, 다른 한쪽은 부착판 단부면으로부터 신장이 가능한 ㄷ자형 클램프에 의하여 복공판(A)의 다른 내부중공 상면에 걸어져 설치된다.
이에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부착판(110e)의 오른쪽 단부는 부착판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하방 굴곡되어 복공판 내부 중공을 감싸도록 설치된 ㄱ자형 단부부착구1(121e)이 일체로 설치되며, 부착판(110e)의 왼쪽 단부는 단부면에 2개의 내면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면관통공 내면 안쪽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용수철을 포함하는 탄성재(122e)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재인 용수철 다른 단부에는 ㄷ자형 클램프(123e)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내면관통공, 탄성재 (122e)및 ㄷ자형 클램프(123e)를 단부부착구2(120e)로 지칭한다.
상기 ㄷ자형 클램프(123e)는 부착판(110e)에 최초 설치 시에는 오른쪽 단부부착구1(121e)과 외관상 다름이 없이 설치되어 있으나, 부착판(110e) 설치 시 단부착구 1(121e)을 복공판(A)의 내부중공에 걸어 설치한 뒤, 단부부착구2의 ㄷ자형 클램프(123e)를 신장시키면서 부착판(110e)을 복공판(A)에 최종 위치시킨 후, ㄷ자형 클램프(123e)를 놓아주면, 용수철을 포함하는 탄성재(122e)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부착판(110e)을 복공판(A)에 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역시 부착판(110e)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6의 복공판(100f)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 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상기 마모층은 직육면체 형태의 복공판(A)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복공판(A) 모서리홈에 설치되며 복공판 상부면보다 돌출된 높이로 설치되어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ㄱ자형 앵글판(111f); 및 복공판 하부 모서리부를 대체하여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ㄱ자형 앵글판(112f);을 포함하는 앵글모서리부(110f); 및 상기 상부 ㄱ자형 앵글판 사이에, 복공판 상부면에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복공판의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120f);을 포함한다.
도 7은 상기 실시예 6의 복공판(100f)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3,4 및 5와 동일하되, 도 6과 같이 네모서리부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이용된다.
또한 각 모서리부 중 상부 좌,우 모서리부는 모서리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좌,우 모서리부는 단차져 형성된 모서리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앵글모서리부(110f)가 복공판 모서리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앵글모서리부(110f)는 복공판 상부에 설치되는 것과 하부에 설치되는 구분되며,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상기 복공판(A) 모서리홈에 설치되며, 복공판 상부면보다 돌출된 높이로 설치되어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ㄱ자형 앵글판(111f)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복공판 하부 모서리부를 대체하여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ㄱ자형 앵글판(112f)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ㄱ자형 앵글판(111f)과 하부 ㄱ자형 앵글판(112f)을 앵글모서리부(110f)로 지칭하며, 비금속 또는 금속 재질로서 복공판의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부 ㄱ자형 앵글판(111f) 사이에, 복공판 상부면에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복공판의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120f)이 설치되며, 상기 부착판(120f)은 복공판의 마모층 역할을 하게 된다.
역시 부착판(120f)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7의 복공판(100g)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 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A) 상부면에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충전홈(111g); 및 상기 충전홈에 충진된 우레탄을 포함하는 마모재(122g);를 포함하되,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을 상부 및 하부 복공판으로 나누어 제작함에 있어 하부 복공판(A1)보다 강성이 큰 상부 복공판(A2)의 상부면에 미리 형성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마모층이 형성된 부착판(113g)을 복공판 상부면에 부착시켜 설치된다.
도 8은 상기 실시예 7의 복공판(100g)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3,4 및 5와 동일하다.
실시예 7에서 마모층은 먼저 복공판(A)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충전홈(111g)에 우레탄을 포함하는 마모재(112g)를 충전시킴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마모재(112g)가 복공판 상부면에 형성되어 복공판의 상부면의 마모층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마모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제시된다.
첫째는, 복공판(A)을 개략 등 높이로 상하로 나누어 제작하되 상부 복공판(A2)은 하부복공판(A1)보다 다소 강성이 센 복공판으로 제작되도록 한다. 이는 실시예 7에서의 마모층의 경우 충전홈(111g)에 충전된 마모재(112g)가 그 기능을 담담하고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 에서의 부착판보다는 다소 강성이 부족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부 복공판 상부면에 충전홈 및 마모재를 형성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마모층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둘째는 다른 실시예 들과 같이 부착판(113g)을 별도로 복공판 상부면 전부에 설치시키되, 상기 부착판(113g) 상부면에 상기 충전홈 및 마모재를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역시 상부복공판 상면 및 부착판(113g)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8의 복공판(100h)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서로 인접한 복공판(A)과 복공판(A) 상부면에 걸쳐 설치된 비금속 또는 금속 재질의 연결부착판(110h); 및 각 복공판 표층과 연결부착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연결부착판(110h)을 복공판에 설치시키면서 각 복공판 상부면에 머리부를 돌출시켜 형성된 볼트를 포함하는 마모구(120h);를 포함한다.
도 9는 상기 실시예 8의 복공판(100h)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3,4 및 5와 동일하다.
실시예 8의 마모층은 기본적으로 마모층 기능을 가지면서 연접한 다른 복공판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양 복공판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마모층으로 설치된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서로 인접한 복공판(A)과 복공판(A) 상부면에 걸쳐 설치된 비금속 또는 금속 재질의 연결부착판(110h)을 복공판을 가로질러 도 9와 같이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착판(110h)은 마모구(120h)로서 볼트에 의하여 복공판에 설치된다. 이에 복공판 상부면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미리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한 위치에 연결부착판(110h)에도 볼트공을 미리 형성시켜 둔다.
이에 볼트의 머리부가 연결부착판(110h) 상면에 돌출되도록 하면서, 볼트가 부착판과 복공판을 조여 주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로서 연결부착판(110h)은 머리부가 돌출된 형태로 슬립이 방지되면서 마모층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나아가 연결부착판(110h)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9의 복공판(100i)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 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적어도 2개의 복공판으로 상하 적층되어 1개의 복공판으로 설치되는 적층보강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최상위 적층보강판 상부면 전부에 비금속 또는 금속재질의 부착판(140i)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판(140i)이 손상되면 최상위 적층보강판(110i)의 부착판(140i)을 제거한 후, 차상위 적층보강판 상부면에 새로운 부착판(150i)을 설치하면서 설치레벨을 맞춘 뒤, 부착판(140i)이 제거된 최상위 적층보강판은 차상위적층보강판 하부면에 재설치 되도록 한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 9의 복공판(100i)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3,4 및 5와 동일하되, 상하로 구분되어 적어도 2개의 복공판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0에는 복공판이 3개의 등높이 적층보강판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로서 1개의 복공판으로 3개의 마모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복공판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부착판(140i)은 비금속 또는 금속재질의 부착판으로서 적층보강판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이에 최상위 복공판(110i)에 설치된 마모층(140i)이 손상되면, 최상위 복공판(110i)으로부터 마모층(140i)을 제거시킨 후, 최상위 복공판 제일 하부에 위치한 차상위적층보강판(130i) 하부면에 재설치하고, 복공판 설치레벨에 맞추어진 상기 차상위적층보강판(120i) 상부면에 새로운 마모층(150i)을 형성시키게 된다.
나아가 부착판(140i,150i)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포된 폴리머콘크리트 및 규사코팅 등의 요철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0의 복공판(100j)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 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상부면 전면에 걸쳐 불규칙하게 부착된 타일 판(110j)으로 형성된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 10의 복공판(100j)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자체는 상기 실시예 1,2,3,4 및 5와 동일하다.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상부면에 타일판(110j)을 불규칙하게 설치함으로서 형성되며, 타일판이 손상되면 이를 교체하면 된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1의 복공판(100k)은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상부면에 부착된 아스팔트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층이 된다.
상기 마모층은 도 12와 같이 복공판 상부면에 아스팔트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층(110k)으로 형성시키되, 아스팔트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층이 손상되면 이를 교체하면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감층이 형성된 복공판은 복공판의 보호역할도 할 뿐만 아니라, 복공판의 교체시기를 늘려 경제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며, 교체시공이 가능한 마감층의 설치로 취급이 용이하고, 사이즈별로 제작도 가능하고, 소음이 거의 없다는 기술적효과를 가지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11)

  1.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A) 상부면에 교체가능한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제작시 인발성형 단계에서 복공판 상부 표층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시킨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삽입홈에 눌러 삽입시키는 삽입구가 하면에 형성되며 복공판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제작시 인발성형 단계에서 복공판 상부 표층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시킨 슬라이딩용 삽입홈; 및 상기 슬라이딩용 삽입홈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복공판 재질과 동일한 섬유강화폴리머로 제작되며 슬라이딩용 삽입홈에 복공판 전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되는 삽입구가 하면에 형성되며 복공판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적어도 복공판의 상부면 및 측면 전부를 감싸 도록 설치되어 복공판을 보호하도록 설치된 부착판;
    상기 부착판과 복공판 상부면 표층을 관통하여 조여줌으로서 부착판과 복공판을 서로 결합시키되, 부착판 상부면에 머리부를 돌출시켜 형성된 볼트를 포함하는 마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4. 제 1항에 있어서,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 상부면에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상기 마모층은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공이 다수 형성된 복공판에 설치되되,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복공판의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
    상기 부착판을 복공판 상부면에 설치시키기 위하여 부착판 양 단부면과 복공판 내부 중공의 양 단부면을 함께 감싸 조여주는 ㄷ자형 클램프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공이 다수 형성된 복공판에 설치되되,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복공판의 상부면 전부 또는 길이방향으로 일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
    상기 부착판을 복공판 상부면에 설치시키기 위하여 부착판 한쪽 단부면으로 부터 하방 굴곡되어 복공판 내부 중공을 감싸도록 설치된 ㄱ자형 단부부착구1과 상기 단부부착구 1에 대응한 반대쪽 부착판의 단부에 설치되는 부착구로서 상기 단부면에 형성시킨 내면관통공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용수철을 포함하는 탄성재에 의하여 연결된 ㄷ자형 클램프를 포함하는 단부부착구2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직육면체 형태의 복공판에 설치되되,
    섬유강화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복공판 상부면에 마모층을 추가로 더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상기 마모층은 직육면체 형태의 복공판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 복공판 모서리홈에 설치되며 복공판 상부면보다 돌출된 높이로 설치되어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ㄱ자형 앵글판; 및 복공판 하부 모서리부를 대체하여 복공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ㄱ자형 앵글판;을 포함하는 앵글모서리부; 및 상기 상부 ㄱ자형 앵글판 사이에, 복공판 상부면에 비금속 또는 금속 강재 재질로 복공판의 상부면 전부를 덮도록 설치된 부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상부면에 이격되어 설치된 충전홈; 및 상기 충전홈에 충진된 우레탄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을 상부 및 하부 복공판으로 나누어 제작함에 있어 하 부 복공판보다 강성이 큰 상부 복공판의 상부면에 미리 형성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마모층이 형성된 부착판을 복공판 상부면에 부착시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상기 마모층은 서로 인접한 복공판과 복공판 상부면에 걸쳐 설치된 비금속 또는 금속 재질의 연결부착판; 및 각 복공판 표층과 연결부착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연결부착판을 복공판에 설치시키면서 각 복공판 상부면에 머리부를 돌출시켜 형성된 볼트를 포함하는 마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적어도 2개의 복공판으로 상하 적층되어 1개의 복공판으로 설치되는 적층복강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최상위 적층보강판 상부면에 비금속 또는 금속재질의 부착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판이 손상되면 최상위 적측보강판의 부착판을 제거한 후, 차상위 적층보강판 상부면에 새로운 부착판을 설치하면서 레벨을 맞추어 설치한뒤, 부착판이 제거된 최상위 적측보강판은 차상위적측보강판 하부면에 재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상부면 전면에 걸쳐 불규칙하게 부착된 타일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은
    복공판 상부면에 부착된 아스팔트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KR1020050075678A 2005-08-18 2005-08-18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KR100671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678A KR100671777B1 (ko) 2005-08-18 2005-08-18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678A KR100671777B1 (ko) 2005-08-18 2005-08-18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777B1 true KR100671777B1 (ko) 2007-01-22

Family

ID=3801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678A KR100671777B1 (ko) 2005-08-18 2005-08-18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06B1 (ko) * 2008-04-02 2010-12-20 황주연 화분이 결합된 식재형 도로경계석
KR101330518B1 (ko) * 2011-11-22 2013-11-18 (주)동일메탈 족장판
KR20170001114A (ko) * 2015-06-25 2017-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퀴 지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310A (ko) * 2004-12-07 2006-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강화플라스틱 복공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310A (ko) * 2004-12-07 2006-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강화플라스틱 복공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6331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06B1 (ko) * 2008-04-02 2010-12-20 황주연 화분이 결합된 식재형 도로경계석
KR101330518B1 (ko) * 2011-11-22 2013-11-18 (주)동일메탈 족장판
KR20170001114A (ko) * 2015-06-25 2017-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퀴 지지 장치
KR101723924B1 (ko) * 2015-06-25 2017-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퀴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547B2 (en) Mat construction with environmentally resistant core
KR100671777B1 (ko) 마모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CA2922101C (en) Bridge tie fastener system
US9097004B2 (en) Combined pre-embedded anchoring slot system
KR100990857B1 (ko) 복공판
KR20170120026A (ko) 트랙 슈 패드 구조 조립체
KR100930886B1 (ko)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US9315949B1 (en) Mat construction with environmentally resistant core
AU2016235980B2 (en) Mat construction with environmentally resistant core
KR200438042Y1 (ko) 복공판
KR100986232B1 (ko) 다목적 가림블럭
WO2015106305A1 (en) Ore screening panel fixing system
US9663903B2 (en) Industrial mats having plastic or elastomeric side members
KR100647223B1 (ko) 복공판
KR102484097B1 (ko) 후타 보존 부분교체형 핑거조인트와 핑거조인트의 조립방법 및 교체방법
KR100925406B1 (ko) 데크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KR101749686B1 (ko)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KR20080096920A (ko) 논슬립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가설교량 시공방법
US20180022293A1 (en) Bed Liner Fastening System and Method
KR200418073Y1 (ko) 거푸집용 패널
KR101253252B1 (ko)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KR20210001055U (ko) 카 스토퍼
KR20080005106U (ko) 뒤집어 사용이 가능한 보강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구조
CN205276450U (zh) 一种加强型排水沟板
US9605399B2 (en) Sheeting panels and sheeting-pane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