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294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294B1
KR100670294B1 KR1020050014995A KR20050014995A KR100670294B1 KR 100670294 B1 KR100670294 B1 KR 100670294B1 KR 1020050014995 A KR1020050014995 A KR 1020050014995A KR 20050014995 A KR20050014995 A KR 20050014995A KR 100670294 B1 KR100670294 B1 KR 10067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posed
electrode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881A (ko
Inventor
김세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2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도가 증대되고 저전압 어드레스방전이 가능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한 전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들을 한정하며, 유전체로 형성되는 격벽들과, 상기 격벽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X 전극 및 Y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쌍들과, 상기 배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존재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 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전극쌍 및 어드레스전극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전방패널
120: 후방패널 114: 전극쌍
122: 어드레스전극 122b: 어드레스전극의 돌출부
123: 유전체층 123b: 오목부
123c: 유전체층의 돌출부 125: 형광체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휘도가 증대되고 저전압 어드레스방전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은 기체방전으로 생성된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여기 시켜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장치로서, 고해상도의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여 차세대 박형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조와 구동원리에 따라 교류형(AC type), 직류형(DC type) 및 혼합형(Hybrid type)으로 나뉘어지고 있으며, 특히 방전구조에 따라 교류형 및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면 방전형과 대향 방전형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최근에는 교류형 3전극 면 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교류형 3전극 면 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을 일으키는 유지전극쌍이 가시광이 진행하는 광 경로 상인 전면기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셀 내부의 방전이 면방전의 형태로 일어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면방전은 방전 특성이 균일하지 못하고, 방전양 또한 상대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교류형 3전극 면 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지전극쌍이 전면기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기판은 방전셀 내부의 형광체층이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경우, 그 가시광선이 진행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부재이므로, 상기 유지전극쌍은 가시광선을 가리게 된다.
물론 유지전극쌍의 일부를 투명전극으로 형성하면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어느 정도 유지 할 수 있지만, 그 투명전극의 배치로 인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지 못한다. 그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가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이 일어나야 할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해 어드레스방전을 수행하는데, 전면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Y 전극과 배면기판의 전면에 배치되는 어드레스전극 사이에서 어드레스방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Y 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커 상기 Y 전극 및 어드레스전극 사이에 상대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하여야 한다.
이때,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되는 전위를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은 구동전위에 따라 그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며, 이러한 집척회로칩의 가격 특성으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원가 중 상기 집적회로칩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또한, 종래의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형광체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형광체의 양이 제한된다. 따라서, 방전양이 증대되어 자외선 양이 증대되더라도 여기되는 형광체의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휘도가 개선되기도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로는, 방전형태가 대향방전의 형태로 일어나도록 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방전을 유도하고, 그로 인해 그 방전양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번째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향상시켜 전면기판을 통해 진행하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 번째로는, 어드레스방전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저전압에서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의 가격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 번째로는,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의 양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한 전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들을 한정하며, 유전체로 형성되는 격벽들과, 상기 격벽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X 전극 및 Y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쌍들과, 상기 배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존재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도록 배치되는 유전체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돌출되도록 오목부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하는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유전체층과 상기 격벽이 한정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극쌍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전셀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전극쌍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프레이 패널은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보호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관하여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되어 후에 플릿트(Frit)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가장자리가 봉착되어 결합되는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10)은 투명한 소재, 바람직하게는 소다유리 등으로 형성되는 전면기판(111)을 구비한다. 물론 투명한 플라스틱도 상기 전면기판(111)의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20)은 바람직하게는 소다유리등으로 형성되는 배면기판(12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배면기판(121)은 후술하는 방전셀(126) 내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진행하는 광 경로 상에 위치하는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반드시 투명한 유리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무효전력의 감소나 무게의 저감 등을 위해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전면기판(111) 및 배면기판(12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기판(111) 및 배면기판과 함께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126)들을 한정하며, 유전체로 형성되는 격벽(130)을 구비한다.
이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격벽(130)은 후술하는 형광체층(125)을 배치하기 위하여 제1격벽(130a) 및 제2격벽(130d)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한, 후술하는 유전체층(123)이 상기 후방패널(12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격벽(130)은 상기 유전체층(123)의 전면(123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격벽(130)의 배치위치가 상기 유전체층의 전면(123a)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격벽(130)은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 만으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3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전셀(126)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한정하기 위해 가로격벽(130c) 및 세로격벽(130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격벽이 가로격벽(130c) 및 세로격벽(130d) 모두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여 스트라이프 형태로 방전셀(126)들을 한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130)은 Pb, B, Si, Al 및 O 등과 같은 원소를 포함하는 유리성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필요에 따라, ZrO2, TiO2, 및 Al2O3 와 같은 필러(filler)와 Cr, Cu, Co, Fe, TiO2 등과 같은 안료가 포함되는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전극쌍(114)이 상기 격벽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쌍(114)들에 펄스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그 펄스전압에 의해 방전셀(126) 내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전기장에 의해 하전입자가 유도되어 방전에 참여하는 벽전하가 축적되는데. 이때, 상기 유전체는 이러한 벽전하가 방전셀 내에 축적되도록 하전입자를 유도시킴으로써 메모리 효과를 통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전극쌍(114)들이 방전시 가속되는 하전입자의 충돌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격벽(13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셀(126) 내부를 향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X 전극(113) 및 Y 전극(112)을 구비하는 전극쌍(114)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쌍(114)은 상기 격벽(130)내에 배치되므로, 종래의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전면기판의 배면에 상기 전극쌍(114)들이 배치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전극쌍들을 덮도록 배치되는 유전체층이 필요없다. 따라서, 후술하는 형광체층(125)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상기 전면기판(111)만을 통과하므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크게 증대된다.
한편, 상기 전극쌍(114)은 상기 격벽(130) 내에 배치되므로, 상기 전극쌍(114)은 종래의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가시광선이 진행하는 경로인 광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투명한 ITO 전극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전기 전도도가 좋은 Ag, Cu, Cr 등의 금속성 소재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배면기판(121)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전셀(126)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2b)를 구비하는 어드레스전극(122)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은 상기 배면기판(121)의 전면(121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이 반드시 상기 배면기판의 전면(121a)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배면기판의 전면에 특 정기능을 갖는 층, 예를 들면, 열전도층, 전자기파 차폐층, 근적외선 차폐층, 자외선 반사막, 적외선 반사막 등 다양한 목적에 의해 배치되는 층들이 구비될 수 있고, 그 층의 전면에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이 배치될 수 도 있으므로, 상기 어드레스전극(122)들은 상기 배면기판(121)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한편, 상기 어드레스전극(122) 또한 후술하는 형광체층(125)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진행하는 경로인 광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전기 전도도가 좋은 Ag, Cu, Cr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전극쌍(114)과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의 배치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전극쌍(114)은 일 방향, 도 3을 기준으로는 x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은 상기 전극쌍(114)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방전셀(126)에서 교차하는 방향, 도 3을 기준으로는 y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어드레스전극(122)들을 덮도록 배치되는 유전체층(12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전체층(123)은 후술하는 형광체층(125)이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나, 상기 격벽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격벽(130)은 일반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법이나 샌드블래스팅 법에 의해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어드레전극이 식각 용액이나 가속된 연마입자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유전체층(123)은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의 돌출부(122b)에 대응되는 부분(123c)이 돌출되도록 오목부(123b)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오목부(123b)는 후술하는 형광체층(125)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증대시켜, 상기 방전셀(126)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125)의 부피를 증대시킨다.
이때, 형광체층(125)의 부피 증대로 상기 형광체층(125)이 구비하는 형광체의 양이 증대되므로 결국, 가시광선의 발생양을 증대시켜 휘도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오목부(123b)은 에칭이나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으로 용이하게 형성가능하다.
한편,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의 돌출부(122b)와 상기 오목부(123b)의 어드레스방전에 미치는 영향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방전셀(126)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125)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형광체층(125)의 배치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형광체층(125)은 상기 제1격벽(130a) 및 상기 유전체층(123)이 한정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형광체층(125)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칼라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색발광, 녹색발광, 및 청색발광 형광체층들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적색발광, 녹색발광, 및 청색발광 형광체층들이 방전셀 내부에 배치되어 칼라화상을 구현하는 단위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광체층(125)의 배치 공정은 적색발광 형광체, 녹색발광 형광체, 청색발광 형광체중 어느 하나의 형광체, 솔벤트, 및 바인더가 혼합된 형광체 페이스트가 상기 형광체층(125)이 배치되는 공간에 도포된 후에 건조 및 소성공정을 거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형광체층(125)에 사용될 수 있는 형광체의 예를 들면, 상기 적색발광 형광체로서는 (Y,Gd)BO3:Eu3+ 등이 있고, 녹색발광 형광체로서는 Zn2Si04:Mn2+등이 있으며, 청색발광 형광체로서는 BaMgAl10O17:Eu2+ 등이 사용 될 수 있으며, 그밖에도 다양한 형광체가 사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색 발광, 녹색 발광, 청색 발광 형광체층이 배치된 방전셀들은 서로 일 방향으로 인접하여 조합됨으로써 화상을 구현하는 기본단위인 단위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전셀(126)들의 배치가 칼라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형광체의 효율에 따라 방전셀(126)의 폭이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고, 그 배치가 격자형, 델타형 등으로 다양해 질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방전셀(126) 내의 제2격벽(130b)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보호막(116)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호막(116)은 MgO 등을 이용하여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막(116)은 가시광선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2차 전자의 방출 특성이 좋고 내구성이 강한 탄소 나노튜브(CNT)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증착 이외에도 CVD 방법 등에 의해서도 배치 될 수도 있다.
한편, 증착공정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상기 형광체층(125)의 전면에 상기 보호막이 추가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은 상대적으로 적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은 프릿트(frit, 미도시)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밀봉되며, 상기 방전셀 내부에는 10% 전ㆍ후의 제논(Xe)가스를 포함한 네온(Ne), 헬륨(He),또는 아르곤(Ar)중의 어느 하나 혹은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진 방전가스가 충전된다. 이때, 상기 방전가스는 일반적으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충전되므로, 상기 격벽(130)에 의해 상기 전방패널(110) 및 후방패널(120)이 지지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에 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의 돌출부(122d)와 상기 유전체층의 돌출부(123c)의 기능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하는 구동방식은 ADS 구동, ALIS 구동 등 다양한 구동방법이 있을 수 있고, 각기 구동방식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 응답속도 등 여러 인자들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이러한 구동방식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변경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이하 ADS 구동방식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리셋방전, 어드레스방전, 및 유지방전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화상표시 등을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구비하는 각각의 방전셀(126)들 내에서는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방전셀들 간에 벽전하의 상태나 하전입자의 양이 서로 달라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방전셀들 내에 일어나는 방전을 균일한 방식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방전셀들 간에 소망하는 제어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방전 제어의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전셀들 전체에 일정수준 이상의 고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셀들 전체에서 동시에 방전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방전셀 내에 기 존재하던 벽전하를 제거하여 균일화시키고, 방전셀 내의 하전입자의 상태가 동일해 지도록 유도하게 되는데 이를 리셋방전이라 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있어서, 이러한 리셋방전은 상기 Y 전극(112) 혹은 X 전극(113)에 램프전위가 인가되면서 발생하는데 리셋방전 초기에 상승램프가 인가되면서 상기 방전셀들 내에 초기방전이 발생하고, 이후 바로 하강램프가 상기 Y 전극(112)에 인가되어 상기 방전셀들 내에 소거방전이 일어나면서 방전셀 내에 축적된 벽전하를 모두 소거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리셋방전이 발생한 이후에, 어드레스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어드레스방전이라 함은 외부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이 구현될 방전셀을 을 선택하는 방전으로서, 교차하는 전극에 의해 방전셀을 선택하고, 그 방전셀에서 방전이 발생하도록 하여 그 방전셀의 내 측면에 하전입자가 달라붙어 벽전하가 축 적되도록 하는 방전을 말한다.
이때,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는 상기 전극쌍 중 일전극, 예를 들면, Y 전극(112)에 음의 펄스전위가 인가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에 양의 펄스전위가 인가되어 상기 Y 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에 소정의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상기 Y 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이 교차하는 지점에 존재하는 방전셀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어드레스방전이 수행된다.
이때,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는 상기 Y 전극(122)이 상기 격벽(130)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Y 전극이 상기 전면기판의 배면에 배치된 것에 비하여 상기 Y 전극(112) 및 어드레스전극(122) 사이의 간격이 짧고, 그에 따라 상기 Y 전극(112) 및 어드레스전극(122)에 인가된 전위에 의해 상기 방전셀(126) 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크기가 증대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은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2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에 전위가 인가되는 때에, 어드레스전극(122)에 인가된 전위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이 상기 돌출부(122b)에 집중되어 상기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크기가 증대된다.
이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한 전위가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에 인가되는 때에,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전셀(126)에서 형성되는 전기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그에 따라 결국 방전셀 내의 하전입자가 더욱 큰 에너지를 갖도록 가속될 수 있게 되어 어드레스방전을 더욱 용이하게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장의 크기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유전체층(123)에 오목부(123b)를 형성하여, 상기 유전체층(123)에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돌출부(122b)에 대응되는 돌출부(122c)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크기가 증대됨에 따라, 요구수준의 어드레스방전 조건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되는 전위의 크기를 낮출 수 있게 되고, 이는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드레스방전이 발생한 이후에는 실제로 소정의 계조를 표시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유지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지방전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극들에 소정의 펄스전압이 교대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어드레스방전시 축적되었던 벽전하를 가속시켜 이들 벽전하가 방전셀 내의 방전가스와 충돌하여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방전으로서, 이 유지방전에 의해 실질적인 화면의 계조가 표시된다.
이때,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유지방전은 상기 전극쌍(114)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쌍(114)이 구비하는 상기 X 전극(113) 및 Y 전극(112)에 교대로 소정의 펄스전위를 표시하여야 할 계조에 대응하는 횟수로 인가하는 경우, 상기 방전셀(126) 내에 유지방전이 발생하여 화상이 구현된다.
이때, 상기 X 전극(113) 및 Y 전극(112)은 상기 격벽(130) 내에 배치되어 방 전셀 내부를 향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X 전극 및 Y 전극에 소정의 펄스전위가 교대로 인가되는 경우에 하전입자는 X 전극 및 Y 전극이 배치된 격벽을 향하여 반복적으로 가속된다.
이러한 하전입자의 가속과 그 하전입자의 방전가스에의 충돌에 의해 대향방전의 형태로 방전이 발생하므로, 상기 방전셀(126)내에서 발생하는 방전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비해 그 양이 증대되고 방전상태도 균일하게 된다.
그리고, 방전양이 증대됨에 따라 자외선 발생양도 증가하게 되고, 더욱 많은 형광체를 여기 시킬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가 대폭 증대된다.
이후, 다시 방전셀에 상술한 리셋방전, 어드레스방전, 유지방전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소정의 화상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첫 번째로는, 대향방전을 구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방전을 유도하고, 그로 인해 그 방전양이 증대되어 자외선 발생양이 증가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가 대폭적으로 상승한다.
두 번째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구율을 향상되어, 형광체층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감쇄되지 않고 전면기판을 통과함으로써 휘도가 증대된다.
세 번째로는, 저전압 어드레스방전을 구현하여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되는 전 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의 가격을 낮추고, 그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킨다.
네 번째로는,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의 양이 증대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가 증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투명한 전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들을 한정하며, 유전체로 형성되는 격벽들;
    상기 격벽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X 전극 및 Y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쌍들;
    상기 배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들; 및
    상기 방전셀 내에 존재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도록 배치되는 유전체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돌출되도록 오목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의 표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유전체층과 상기 격벽이 한정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쌍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전셀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전극쌍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보호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14995A 2005-02-23 2005-02-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995A KR100670294B1 (ko) 2005-02-23 2005-02-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995A KR100670294B1 (ko) 2005-02-23 2005-02-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881A KR20060093881A (ko) 2006-08-28
KR100670294B1 true KR100670294B1 (ko) 2007-01-16

Family

ID=3760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995A KR100670294B1 (ko) 2005-02-23 2005-02-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2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881A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929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965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06702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57506B2 (en) Plasma display panel
US7687994B2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1005819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1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073515A (ja) 改善された電極構造を有す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476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1655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476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4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152590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301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