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60B1 -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60B1
KR100668460B1 KR1020050025246A KR20050025246A KR100668460B1 KR 100668460 B1 KR100668460 B1 KR 100668460B1 KR 1020050025246 A KR1020050025246 A KR 1020050025246A KR 20050025246 A KR20050025246 A KR 20050025246A KR 100668460 B1 KR100668460 B1 KR 10066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apartment
main
improving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377A (ko
Inventor
박성호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46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은 아파트의 주동 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설치함으로써 환기개선용 돌출물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 차이를 발생시켜 자연스럽게 공기의 이동을 유도시켜 아파트 주동에서의 자연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파트 주동의 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설치하되 상기 돌출물을 주풍향과 75~105도를 이루도록 배치하며, 외벽으로부터 50㎝ 이상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Projection installatio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artment ventilation}
도 1은 주풍향이 서풍일 경우, 기존의 아파트 전후면의 공기압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주풍향이 서풍일 경우,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이 적용된 아파트 전후면의 공기압 차이를 도시한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주풍향과 환기개선용 돌출물이 90도를 이루었을 경우)
도 2b는 주풍향이 서풍일 경우,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이 적용된 아파트 전후면의 공기압 차이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주풍향과 환기개선용 돌출물이 75도를 이루었을 경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풍향 2, 2' : 아파트 주동
2a : 주호(아파트 주동) 100 : 환기개선용 돌출물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은 아파트의 주동 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설치함으로써 환기개선용 돌출물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 차이를 발생시켜 자연스럽게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여 아파트 주동에서의 자연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파트 주동의 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설치하되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주풍향과 75~105도를 이루도록 배치하며, 외벽으로부터 50㎝ 이상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는 건물 내부의 공기를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교환시키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적절한 환기가 이루어졌을 때 건축물의 거주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된다.
최근 들어 이러한 환기의 중요성은 대두되어 '새집증후군'이라는 사회적인 이슈로 인해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고, 2004년 05월부터 '다중이용시설 등의 공기질 관리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건축자재도 다양화되어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인 추세를 반영하듯 최근 건설교통부에서는 2006년부터 사업승인을 신청하는 아파트에는 환기시설인 덕트연결형 급배기시스템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하는 주택법개정안을 국회 건설교통위원회에 상정해 심사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현대의 주택, 특히 우리의 대중적인 거주 형태로 자리잡고 있는 아파트의 경우 그 밀폐도가 높아 급기와 배기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원활한 환기 또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원활하지 못한 환기는 신선한 공기를 제대로 보급하지 못해 음식냄새, 취기, 가구나 의류 냄새와 생활하면서 발생되는 악취를 고스란히 거주자에게 전달하여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쾌적한 거주환경을 해치고 있다. 또한 원활하지 못한 환기는 취사연소 시 타산가스의 발생량을 증가시키고 산소결핍 또는 안전 사고를 유발시켜 거주자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열회수환기장치를 설치하거나 주방과 욕실 등에 급배기팬이나 정풍량배기팬을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기 방법들은 인위적인 강제환기 방법으로 고가의 기계 설비를 요구하게 되어 비용적인 부담을 초래하게 되고, 그 성능 또한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하게 되며 거주자에게 만족스러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은 아파트의 주동 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설치함으로써 환기개선용 돌출물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 차이를 발생시켜 자연스럽게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여 아파트 주동에서의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며, 특별한 환기설비 없이도 일정 수준의 환기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은 환기설비를 설치할 경우에도 실내의 자연 환기가 자연스럽게 유도됨으로 상기 환기설비와 함께 환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은 아파트 주동의 전면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설치하되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주풍향과 75~105도를 이루도록 배치하고, 전면외벽으로부터 50㎝ 이상 돌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환기개선용 돌출물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 차이를 발생시켜 자연스럽게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며 아파트 주동에서의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주풍향(1)이 서풍일 경우, 기존의 아파트 전후면의 공기압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주풍향(1)이 서풍일 경우,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100) 설치방법이 적용된 아파트 전후면의 공기압 차이를 도시한 일 실시예의 도면이며(주풍향(1)과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90도를 이루었을 경우), 도 2b는 주풍향(1)이 서풍일 경우,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100) 설치방법이 적용된 아파트 전후면의 공기압 차이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주풍향(1)과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75도를 이루었을 경우).
이하 도 2a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100) 설치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아파트는 일반적인 우리나라 아파트 배치 형태인 전면이 남향을 향하는 배치 형태이고, 아파트 전면은 거실이 접한 면이고, 후면은 주방이 접한 면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주풍향은 우리나라 주풍향의 70%를 차지하는 서풍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 도면에 제시된 수치는 CFD(Computer Flow Dynamics)에 의해 측정된 공기압 수치임을 밝혀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의 아파트 주동(2)이 주풍향(1)과 평행하게 설치되었을 경우, 주동(2) 전후면의 공기 압력차는 거의 없게 되어 창호를 개방하 여도 자연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호(2a) 후면의 주방에서 발생한 냄새, 오염물질은 거실로 확산되게 되어 쾌적한 거주 환경을 해치게 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100) 설치방법은 아파트의 주동(2') 전면 전면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을 설치함으로써 아파트 주동(2')의 전면 및 후면, 즉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 차이를 유발시켜 자연스럽게 공기의 흐름을 주동(2')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게 하여 자연 환기를 유도시킨다.
이때 도 2a에서는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주호(2a)와 주호(2a) 사이 외벽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주풍향과의 관계가 고려된 적정 범위 내에서 환기가 요구되며, 거주자의 조망을 헤치지 않고, 입면적인 디자인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아파트 주동의 전면외벽으로부터 50㎝ 이상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외부를 향하여 50㎝ 이상으로 돌출되면 될수록 공기압의 차이는 더욱 커지게 되고 더불어 환기 개선효과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면 거주자의 조망은 확보되기 어렵고 아파트 입면 또한 헤치게 되어 심미감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적절한 환기 효과를 확보할 수 있고, 거주자의 조망을 헤치지 않으며, 아파트의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는 50㎝정도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시공현장 상황에 맞게 상기 전술된 사항들을 고려하여 50㎝ 이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주풍향과 75~105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에서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설치될 때 만족할 만한 환기 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주풍향(1)과 90도를 이루는 경우로써, 이 경우 아파트 주동(2')의 전면과 후면, 즉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력차는 최대로 증가하게 되어 모든 주호(2a)에서 공기의 흐름이 전면에서 후면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주호(2a) 후면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오염물질이 거실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며 쾌적한 거주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상기 전술된 범위 내에서 시공현장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되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와 같이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형성된 아파트 주동(2')에 환기구를 설치할 경우,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과 인접하여 환기구를 설치하게 되면 환기효과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b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100) 설치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아파트는 좀 더 많은 양의 바람을 주호(2a) 내로 유입하기 위해 아파트 주동(2')의 배치를 주풍향(1)과 15도를 이루도록 회전시킨 배치 형태로 전면이 남서향을 향하는 배치 형태이고, 아파트 전면은 거실이 접한 면이고, 후면은 주방이 접한 면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주풍향은 우리나라 주풍향의 70%를 차지하는 서풍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 도면에 제시된 수치는 CFD(Computer Flow Dynamics)에 의해 측정된 공기압 수치임을 밝혀둔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좀 더 많은 양의 바람을 주호(2a) 내로 유입하기 위해 아파트 주동(2')의 배치를 주풍향(1)과 15도를 이루도록 회전시켰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로 인해 아파트 주동(2')의 전면 및 후면, 즉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 차가 증가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공기의 흐름이 주동(2)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변하게 되어 자연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는 아파트 주동(2')의 배치와 주풍향(1)의 관계 및 환기개선용 돌출물(100)과 주풍향(1)의 관계가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설치된 예로써, 자연 환기의 효과가 극대화되게 된다.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주풍향(1)과 90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람의 유입량을 최대로 할 수 있도 록 환기개선용 돌출물(100)과 주풍향(1) 및 아파트 주동(2')의 배치 관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이 설치되고 아파트 주동(2')의 배치가 결정될 때 가장 이상적 환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전술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정한 범위 및 돌출 크기 내에서 주호(2a)의 조망을 해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면적인 디자인에 손상이 없도록 의장적이 요소를 가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은 아파트 주동의 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설치하되 상기 돌출물을 주풍향과 75~105도를 이루도록 배치하며, 외벽으로부터 50㎝ 이상 돌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환기개선용 돌출물이 설치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공기압 차이를 발생시켜 자연스럽게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여 아파트 주동에서의 자연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고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은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을 주풍향과 아파트 주동의 배치를 고려하여 설치함으로써 환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환기개선용 돌출물과 인접하여 환기설비를 설치함으로써 환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아파트에서 각각의 주동의 전면외벽에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을 설치하되,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주풍향과 75∼105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환기개선용 돌출물(100)은 주동의 전면외벽으로부터 50㎝ 이상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3. 삭제
KR1020050025246A 2005-03-26 2005-03-26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KR10066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46A KR100668460B1 (ko) 2005-03-26 2005-03-26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46A KR100668460B1 (ko) 2005-03-26 2005-03-26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77A KR20060103377A (ko) 2006-09-29
KR100668460B1 true KR100668460B1 (ko) 2007-01-12

Family

ID=3762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46A KR100668460B1 (ko) 2005-03-26 2005-03-26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32B1 (ko) * 2006-10-31 2012-05-08 주식회사 경원테크 아파트 단지 내 개별 세대의 자연 환기 성능 예측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6339A (ja) * 1990-07-14 1992-10-29 Rls Bautechnologie Ag 高層建築物
JPH06173473A (ja) * 1992-12-08 1994-06-21 Takenaka Komuten Co Ltd 高層建築物
JPH11256852A (ja) 1998-03-11 1999-09-21 Taisei Corp 建築物
KR20020003230A (ko) * 1999-04-07 2002-01-10 추후보정 발사체 추진장치 및 방법
KR20030092616A (ko) * 2002-05-30 2003-12-06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3가구 1코어형 아파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6339A (ja) * 1990-07-14 1992-10-29 Rls Bautechnologie Ag 高層建築物
JPH06173473A (ja) * 1992-12-08 1994-06-21 Takenaka Komuten Co Ltd 高層建築物
JPH11256852A (ja) 1998-03-11 1999-09-21 Taisei Corp 建築物
KR20020003230A (ko) * 1999-04-07 2002-01-10 추후보정 발사체 추진장치 및 방법
KR20030092616A (ko) * 2002-05-30 2003-12-06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3가구 1코어형 아파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03230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77A (ko)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374B1 (ko) 외장커튼월을 배기공간으로 활용하는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Hesaraki et al. Integrating low-temperature heating systems into energy efficient buildings
MY159003A (en) Ember-resistant and flame-resistant roof ventilation system
KR100668460B1 (ko) 아파트 환기개선용 돌출물 설치방법
Pinto et al. Performance sensitivity study of mixed ventilation systems in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in Portugal
Ferrante et al. IEQ and energy improvement of existing buildings by prefabricated facade additions: The case of a student house in Athens
da Guarda et al. Use of thermal insulation in the envelope to mitigate energy consumption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for mid-western Brazil
JP5283416B2 (ja) 軒天換気見切金物用カバープレート、軒天換気見切金物構造体及び軒天換気構造
JP2009156511A (ja) 換気装置
JP4951234B2 (ja) 小屋裏の換気構造
Hannoudi et al. Multi-angled facade system for office building renovation
Al-awag et al. Perspectives in double-skin façade (DS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JP5454550B2 (ja) 換気装置
Turns Reducing Appliance Backdrafting Risks With HVAC-Integrated Makeup Air Systems
Kamenders et al. Nearly Zero Energy Building (nZEB) in Latvia
JP3202518U (ja) 給気フード
Little The causes of surface condensation and mould, and the responsibility of relevant parties to alleviate them
Lawrenz Energy law and regulations in Germany
El-Ahwal et al. Achieving energy performance in buildings using natural ventilation as passive cooling technique
Foote Noise
Jain et al. Achieving thermal comfort by using ceiling fans in a naturally cooled office building in hot and humid climate of India
Omer Low energy building desig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Peacock et al. The 40% house project
EP1596137A2 (en) Air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suspended ceiling
Karg Residential Ventilation for Existing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