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056B1 - 콩메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콩메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056B1
KR100668056B1 KR1020050059356A KR20050059356A KR100668056B1 KR 100668056 B1 KR100668056 B1 KR 100668056B1 KR 1020050059356 A KR1020050059356 A KR 1020050059356A KR 20050059356 A KR20050059356 A KR 20050059356A KR 100668056 B1 KR100668056 B1 KR 10066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ju
soybean
lactic acid
soybean meju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654A (ko
Inventor
김필준
Original Assignee
김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준 filed Critical 김필준
Publication of KR2006011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7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using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낱알콩에 미리 배양한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하는 콩메주(시;
Figure 112005035910052-pat00001
)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을 증자한 후 건조하는 증자단계와; 상기 콩에 전통메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미생물을 접종한 후 일정기간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콩메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콩메주의 제조방법은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색, 냄새, 맛 등 전반적인 기호도뿐만 아니라 보존성이 우수하고, 발효기간이 크게 단축되어 메주콩 및 이를 이용한 장류를 생산성있게 생산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는 메주 및 장류를 제조할 수 있다.
메주, 된장, 간장, 고추장

Description

콩메주 및 그 제조방법{SOYBEAN M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낱알콩에 미리 배양한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하는 콩메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을 증자한 후 건조하는 증자단계와; 상기 콩에 전통메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미생물을 접종한 후 일정기간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콩메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통장류를 만들기 위한 전통메주는 그 형태가 정방형, 장방형, 도너츠형 또는 원판형으로 만들어 볏짚위에서 건조 발효시키거나, 볏짚을 이용하여 십자(十字)형으로 엮어 공중에 매달아 발효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메주는 그 크기가 너무 크고 두껍기 때문에 내부까지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자연히 공기를 싫어하고 건조한 환경을 싫어하는 편성/통성 혐기성균이 왕성하게 번식 및 생육하고, 이에 따라 그 미생물들의 혐기적 대사가 이루어져 그 대사산물도 호기성 미생물의 대사산물과 확연하게 다르고, 또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변패 및 부패가 빈번하게 일어나, 고린내 등의 악취, 흑갈색 등 전반적인 기호도가 나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방형 등으로 만들어 발효시킬 경우 발효기간이 상당히 길어 생산성이 좋지 못하여 메주 및 장류를 대량생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색, 냄새, 맛 등 전반적인 기호도뿐만 아니라 보존성이 우수하고, 발효기간이 크게 단축되어 메주콩 및 이를 이용한 장류를 생산성있게 생산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는 메주 및 장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콩을 증자한 후 건조하는 증자단계와; 상기 콩에 미리 배양한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을 접종한 후 일정기간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발효단계는 미리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털곰팡이(Mucor)속, 이스트(Yeast)균, 바실루스(Bacillus)속의 미생 물을 배양시킨 후 상기 증자단계를 거친 콩에 접종하여 일정기간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콩메주에 젖산균(Lactobacillus속)처리를 하는 젖산균처리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젖산균처리단계는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콩메주에 미리 배양한 젖산균배양액을 처리한 상태에서 발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젖산균처리단계는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콩메주에 미리 발효시킨 발효유를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콩메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장류 및 개사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콩메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콩메주의 제조방법은 크게 증자단계와, 발효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증자단계는 콩을 침지하고 물을 뺀 후 미생물에 의하여 단백질의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증자하는 공정이다. 콩의 증자방법은 무압법, 가압법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증자정도는 콩의 상태, 증자온도, 증자압력 등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콩의 색이 진갈색이 될때까지 지나치게 증자하지 아니하고 콩의 색이 연노랑, 연한 갈색으로 될때까지 증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증자된 콩에 통풍을 충분히 시켜 수분의 함유량을 극소화한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단계는 전통메주, 볏짚, 참쑥, 대나무, 옥수수나무 등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미생물을 증자한 콩에 접종하여 발효하여 콩메주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전통메주 등으로부터 분리하는 미생물은 단백질을 분해하여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물질을 생성하는 통성 및 편성 호기성 미생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전통메주 등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미생물로서는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sojae, Aspergillus tamari 등의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 Rhizopus delemar, Rhizopus javanicus, Rhizopus japonicus 등의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Mucor mucedo, Mucor rouxii 등의 털곰팡이(Mucor)속, 내염성이 강한 Saccharomyces rouxii, Hansenula속, Torulopsis 등의 이스트(yeast)균, Bacillus subtilis, Bacillus natto 등의 Bacillus속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털곰팡이(Mucor)속, 이스트(yeast)균, Bacillus속을 모두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상의 발효된 콩메주를 건조하여 포자를 제거한 후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가공하지 아니하고 바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도 있고, 또한 맛, 향 또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공공정을 거친 후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자가 제거된 콩메주를 이용하여 된장, 간장, 고추장 등 각종 장류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한 발효된 콩메주는 호기적상태에서 발효되었기 때문에 부패성 미생물의 번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발효단계에서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물질을 생성하는 전통메주의 발효균을 발육시켰기 때문에 이러한 콩메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장류 등은 종래의 전통메주와 개량메주에 비하여 맛, 향기, 색깔 및 기능성이 월등하게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발효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장내 유해세균의 살균효과, 우수한 정장 작용, 탁월한 소화, 흡수력, 상큼한 맛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젖산균처리단계를 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효 콩메주에 젖산균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발효 콩메주에 미리 배양한 젖산균배양액을 처리하여 젖산발효시켜 발효 콩메주에 젖산균을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젖산균배양액은 생우유를 젖산균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하에서 배양 시켜 만들고, 이때 생우유 대신에 탈지우유, 전지우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콩메주를 먼저 생우유 등에 흠뻑 적신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만든 젖산배양액을 처리한 다음 혐기적상태에서 발효시킴으로서 발효 콩메주에 젓산균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발효 콩메주에 젖산균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준비된 발효유(요구르트)를 발효 콩메주에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요구르트는 생우유에 젖산균 배양액을 넣고 혐기적상태에서 발효시켜 만든다. 이와 같이 만든 젖산요구르트에 발효 콩메주를 넣어 골고루 교반한 다음 혐기적상태에서 일정시간 배양한 다음 냉동실에 생저장하여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냉동보관하지 않고 냉동건조 혹은 열풍건조하여 제품화할 수 도 있다.
이때 보다 많은 젖산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젖산생산능력이 우수한 Pediococcus sojae,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delbrueckii 등의 젖산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효된 콩메주에 바로 젖산균(starter)처리를 할 수 도 있으며, 또한 발효된 콩메주를 건조하여 포자를 제거한 후 젖산균처리를 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발효 콩메주에 젖산균처리를 하여 많은 젖산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장내 헬리코박터 뿐만 아니라 기타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정장 작용이 뛰어나며, 소화 및 흡수력이 우수하고 상큼한 맛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발효 콩메주를 건조시킨 후 건강보조식품으로 식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효 콩메주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 자연건조 또는 열풍에 의한 건조를 시킬 수 있으나, 동결건조를 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발효 콩메주를 이용하여 개사료용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의 개사료 특히 애완견 사료에 사용되는 지방 및 단백질은 닭고기, 계란 등의 동물성 지방 및 단백질로서, 이와 같은 애완견 사료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비만증세가 일어나는 등 정상적인 체형 및 건강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소화불량 등에 의한 질병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기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고 식물성 단백질 및 지방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발효 콩메주를 이용할 경우 동물성 지방 등에 의한 비만증세가 일어날 우려가 없는 등 개의 정상적인 체형 및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효 콩메주에 함유된 아밀라제 등의 다양한 소화효소에 의하여 개의 소화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소화불량에 따른 질병이 유발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여기서 발효 콩메주를 이용하여 애완견 사료를 제조한다는 것은 발효 콩메주의 원형과 다른 탄수화물, 미네랄, 섬유소 등 기타 물질을 혼합하여 개사료를 제조하거나, 발효 콩메주를 분쇄한 분쇄물을 다른 탄수화물, 미네랄, 섬유소 등 기타 물질과 혼합하여 개사료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탄수화물, 미네랄, 섬유소 등 기타 물질은 크게 특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에 사용되었던 모든 물질이 들어 갈 수 있는 것이며, 다양한 한약제가 혼합될 수 도 있고, 또한 인삼잎, 인삼줄기를 건조한 후 분쇄한 분쇄물을 혼합할 수 도 있 다.
특히 상기 쌀, 보리 등의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발효 콩메주와 같이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털곰팡이(Mucor)속, 이스트(yeast)균 Bacillus속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발효된 쌀, 보리 등을 이용하여 개사료를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콩메주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콩을 침지하고 물을 뺀 후 연노랑 혹은 연한갈색이 되도록 증자한 다음 통풍을 충분히 시켜 건조한다. 그리고 전통메주로부터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털곰팡이(Mucor)속, 이스트(Yeast)균, 바실루스(Bacillus)속의 미생물을 분리하여 배양한 후 증량하여 종균으로 미리 준비하였다.
증자후 건조된 콩에 상기와 같이 미리 준비한 균주들을 접종하여 30~40℃ 온도범위에서 36시간정도 발육시키고, 건조하여 각 미생물의 포자를 제거처리하여 콩메주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성된 콩메주를 가공하지 아니하고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식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콩메주 2kg을 14ℓ들이 질그릇 독에 투입한 후 식염농도가 22°Be'(baume)로 조절된 식염액 8ℓ를 넣어 장을 담근 다음 상온에서 60일간 숙성시킨 후 고형물일 콩메주를 분리하여 된장과 간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일반 생우유 1000㎖에 설탕 5 table spoons 넣어 품온 40~55℃ 온도범위내에서 6~10시간동안 배양하여 젖산균 배양액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의 콩메주를 별도의 생우유에 흠뻑 적신 후 콩메주를 거른 다음, 걸러진 콩메주에 상기의 미리 준비한 젖산균 배양액을 첨가하고, 밀봉한 상태에서 품온 40~55℃ 온도범위내에서 6~10시간동안 발효시켜 젖산균이 처리된 콩메주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성된 콩메주를 가공하지 아니하고 건조한 상태에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식용할 수 있었다.
상기 젖산균이 처리된 콩메주를 실시예 1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된장과 간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일반 생우유 1000㎖에 설탕 2 table spoons를 넣은 다음 젖산균 배양액 20㎖를 넣은 다음 약 3분간 교반시킨 후 2시간동안 방치하였다. 그리고 품온 40~55℃의 온도범위내에서 6~10시간동안 밀봉한 상태에서 혐기적 발효시켜 발효유(요구르트)를 만들었다.
다음으로 미리 준비한 상기의 발효유(요구르트) 20㎖에 실시예 1의 콩메주 100g을 투입한 후 충분히 교반하고, 45~50℃ 온도범위내에서 2~3시간 정도 밀봉한 상태에서 배양한 다음 열풍건조하여, 젖산균이 처리된 콩메주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성된 콩메주를 가공하지 아니하고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식용할 수 있었다.
상기 젖산균이 처리된 콩메주를 실시예 1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된장과 간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콩을 침지하고, 물을 뺀 후 증자한 다음, 증자된 콩을 마쇄하여 가로 20cm × 세로 17cm × 높이 12cm의 형상의 메주로 성형한 후 전통메주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통메주를 건조실에서 4일간 건조한 다음 자연상태에서 30여일 정도 자연 발효시켰다.
그리고 14ℓ들이 질그릇 독에 전통메주 2㎏과 식염농도가 22°Be'(baume)로 조절된 식염액 8ℓ를 넣어 장을 담근 다음 상온에서 60일간 숙성시킨 후 고형물을 분리하여 된장과 간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콩을 침지하고 물을 뺀 후 진노랑 혹은 연한갈색이 되도록 증자한 다음 통풍을 충분히 시켜 건조한 다음 20여일간 자연 발효하여 콩메주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14ℓ들이 질그릇 독에 전통메주 2㎏과 식염농도가 22°e'(baume)로 조절된 식염액 8ℓ를 넣어 장을 담근 다음 상온에서 60일간 숙성시킨 후 고형물인 메주콩을 분리하여 된장과 간장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 2의 메주 및 된장에 관한 색, 냄새,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 관한 관능검사를 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9점 채점법(9-매우좋음, 7-좋음, 5-보통, 3-나쁨, 1-매우나쁨)에 의하여 평가하였고, 그 관능검사 결과 및 메주의 발효기간을 [표 1]로 표기하여 나타냈다.
[표 1] 관능검사 결과 및 메주의 발효기간
관능 검사
냄새 전반적인 기호도 발효기간(일)
실시예 1 8.80 8.70 8.70 8.73 3
실시예 2 8.90 8.80 8.90 8.87 3
실시예 3 8.87 8.90 8.90 8.89 3
비교예 1 5.60 5.50 5.70 5.60 30
비교예 2 6.50 6.20 6.20 6.30 20
이상의 관능검사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전반적인 기호도가 8.73, 8.87, 8.89로 모두 8.70으로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으며, 이와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5.60, 비교예 2의 경우 6.30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성적을 나타냈으며, 이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 1의 경우 메주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지 않아 메주 내부에 부패균이 포함된 혐기성 미생물이 왕성하게 생육하여 부패한 부분이 많이 존재하여 표 1과 같이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비교예 2의 경우 비교예 1과 같이 부패균이 포함된 혐기성 미생물이 왕성하게 생육하지 않아 부패한 부분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효가 왕성하게 일어나지 않아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게 평가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하여 색, 냄새 및 맛 등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하게 나타난 것은 젓산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큼한 냄새, 맛 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메주의 제조기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발효기간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7~10배 정도 단축되어 메주를 대량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생산원가가 크게 절하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전통메주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여 배양한 후 증량하여 이를 증자한 콩에 접종하여 콩메주를 완성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메주에 비하여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이러한 콩메주를 이용하여 담는 장류의 경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각종 무기염류 그리고 각종 비타민은 물론 다양한 미생물의 번식 및 발육에 따른 각종 효소, 조효소 및 그의 대사산물 등 인체에 각종 유익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함유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증자한 콩에 미리 전통메주 등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메주콩을 완성함으로써,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색, 냄새, 맛 등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발효기간이 크게 단축되어 메주콩을 대량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우수하여 생산원가를 크게 절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전통메주로부터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털곰팡이(Mucor)속, 이스트(Yeast)균, 바실루스(Bacillus)속의 미생물을 분리하여 배양한 후 이를 증자한 콩에 접종하여 발효시켜 메주콩을 완성함으로써, 전통메주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메주콩 및 장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효 메주콩에 미리 배양된 젓산균을 처리함으로써, 장내 유해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고, 정장작용이 우수하며 또한 탁월한 소화작용 및 흡수력 및 상큼한 맛, 향긋한 냄새 등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메주콩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장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젖산균이 처리된 메주콩의 경우 별도의 가공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수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말상태, 환상태, 과립상태 등으로 가공처리하면 편리하게 식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콩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애완견 사료는 종래와 같이 동물성 단백질 및 지방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식물성 단백질 및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속적으로 애완견에게 사료를 먹이더라도 비만증세가 나타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콩메주에 아밀라제 등의 다양한 소화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소화작용을 촉진시켜 소화력을 증강시켜 애완견의 정상적인 체형 및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콩을 증자한 후 건조하는 증자단계와; 상기 콩에 미리 배양한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을 접종한 후 일정기간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콩메주에 젖산균처리를 하는 젖산균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미리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 거미줄 곰팡이(Rhizopus)속, 털곰팡이(Mucor)속, 이스트(Yeast)균, 바실루스(Bacillus)속의 미생물을 배양시킨 후 상기 증자단계를 거친 콩에 접종하여 일정기간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처리단계는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콩메주에 미리 배양한 젖산균배양액을 처리한 상태에서 발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처리단계는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콩메주에 미리 발효시킨 젖산요구르트를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메주.
  6. 제5항의 콩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콩메주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사료.
  8. 삭제
KR1020050059356A 2005-05-17 2005-07-01 콩메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668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68 2005-05-17
KR20050041168 2005-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54A KR20060119654A (ko) 2006-11-24
KR100668056B1 true KR100668056B1 (ko) 2007-01-11

Family

ID=3770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356A KR100668056B1 (ko) 2005-05-17 2005-07-01 콩메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90B1 (ko) * 2008-10-23 2009-01-30 (주)해팍이엔지 메주 제조 설비 및 이 설비를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100964587B1 (ko) 2008-05-29 2010-06-21 박건영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8044A (ko) 2015-09-03 2017-03-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전통 메주에서 분리한 신균주와 이를 이용한 콩곡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콩곡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87B1 (ko) 2008-05-29 2010-06-21 박건영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881290B1 (ko) * 2008-10-23 2009-01-30 (주)해팍이엔지 메주 제조 설비 및 이 설비를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20170028044A (ko) 2015-09-03 2017-03-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전통 메주에서 분리한 신균주와 이를 이용한 콩곡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콩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54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henafi A review on the microbiology of indigenous fermented foods and beverages of Ethiopia
US4056637A (en) Process for preparing food products containing a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product of a cereal germ
CN101240255A (zh) 一种用于植物源蛋白的益生菌发酵剂的制备方法
CN104305465B (zh) 乳酸菌发酵型蓝莓果汁的制备方法
CN104489843A (zh) 一种山楂发酵制品及其制备方法
KR101983039B1 (ko) 누룩장 제조방법
KR100901254B1 (ko) 즉석식 시래기 제조방법
Chaudhary et al. Prospects of Indi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s functional foods
KR100851289B1 (ko) 유용미생물이 살아있는 발효잡곡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잡곡
CN107927161A (zh) 一种杏仁大豆风味发酵乳的制备工艺
KR100668056B1 (ko) 콩메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3902B1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간장코지 및 이를 이용한 곤충간장의 제조방법
KR100905288B1 (ko) 대추나무의 열매, 잎, 가지, 뿌리를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CN108740790A (zh) 一种酱豆及其制作方法
JP2003116502A (ja) 植物性発酵乳酸飲料の製造方法及び非アルコール飲料に使用する甘味料
KR101329914B1 (ko) 라이조푸스 균사체를 이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00429A (ko) 두부 요거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0725B1 (ko) 신규한 청국된장의 제조방법
Pandey Chronological Developments in the Technology of Weaning and Geriatric Foods
CN110810806A (zh) 一种乳酸菌发酵香菇酱及其制备方法
KR102674201B1 (ko) 표고버섯 발효식품
KR102307191B1 (ko) 유산균 발효 마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93975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쌀의 제조 방법
KR102527825B1 (ko) 바게트용 연유크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유크림
KR20140022273A (ko) 저염 된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저염 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