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975B1 -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975B1
KR100666975B1 KR1020037013791A KR20037013791A KR100666975B1 KR 100666975 B1 KR100666975 B1 KR 100666975B1 KR 1020037013791 A KR1020037013791 A KR 1020037013791A KR 20037013791 A KR20037013791 A KR 20037013791A KR 100666975 B1 KR100666975 B1 KR 10066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leg
article
absorbent panel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923A (ko
Inventor
오츠보도시후미
다키노순스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three-dimensional; with split absorbent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 등의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1A)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과 다리 안쪽 영역(33)을 구비하며, 가요성 섀시(1)와 반강성 흡수 패널(4)로 이루어진다. 기저귀(1A)에서는 제1 턱측 영역(19)과 제2 턱측 영역이 절곡되어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물품(1A)의 내측으로 접어 들어가 있다.

Description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UNDER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기저귀, 트레닝 팬츠 등의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서로 대향하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 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 안쪽 영역을 구비하며, 투액성 내면 시트 및 불투액성 외면 시트,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다리 안쪽 영역으로부터 전후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 패널/코어로 구성되며, 몸통 둘레 개구와 그 아래쪽으로 1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가 형성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기저귀는 그 다리 안쪽 영역이 물품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狐)를 그리고 있으며, 다리 안쪽 영역의 폭 치수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보다도 작고,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을 해제한 전개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띤다. 이 물품에서는 흡수 패널/코어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내면 시트와 외면 시트가 좌우 다리둘레 개구를 둘러싸는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고 있다. 그와 같은 기저귀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104177호 공보와 일본 특허 공개 평11-155904호 공보가 개시되어 있다.
기저귀에서는, 다리 안쪽 영역의 폭 치수가 착용자의 고간부보다도 크면, 물품을 착용했을 때 다리 안쪽 영역이 착용자의 고간부로 제대로 들어가지 않으며, 특히, 내외면 시트보다도 높은 강성이며 소정 두께를 지닌 흡수 패널/코어가 고간부에서 부풀어 기저귀의 착용 중에 위화감이 있다. 기저귀의 다리 안쪽 영역을 착용자의 고간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다리 안쪽 영역의 폭 치수를 착용자 고간부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고간부보다도 작게 하면 된다. 그러나, 다리 안쪽 영역의 폭 치수가 작아짐에 따라서, 다리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 패널/코어의 폭 치수도 작아지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어 다리 안쪽 영역으로부터 배설물이 새기 쉽게 되어 버린다.
부언하면,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는 대략 30∼80 ㎜ 범위에 있다. 또, 시판되고 있는 기저귀의 대부분은 다리 안쪽 영역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다리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 패널의 최소 폭 치수가 대략 100∼200 ㎜의 범위에 있으며, 사이드 플랩을 포함하는 다리 안쪽 영역의 최소 폭 치수가 대략 150∼300 ㎜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의 폭 치수가 착용자 고간부의 폭 치수보다도 크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리 안쪽 영역을 착용자 고간부에 넣을 수 있고, 착용 중의 위화감이 없고, 배설물이 다리 안쪽 영역으로부터 새어 버리는 일이 없는 기저귀 등의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체 대향측, 착의 대향측, 서로 대향 하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이들 사이의 다리 안쪽 영역, 허리 홀 및 1쌍의 다리 홀을 지닌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 물품이 가요성 섀시, 제1, 제2 측가장자리 및 제1, 제2 단가장자리를 지니고, 상기 신체 대향측에 위치하는 반강성 흡수 패널을 구비하며, 1쌍의 사변 및 저변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거의 사다리꼴 및 거의 삼각형 중의 하나를 갖는 제1, 제2 턱(tuck)측 영역이 상기 다리 안쪽 영역의 거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의 정점의 각각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저변의 각각이 상기 흡수 패널의 상기 제1, 제2 측가장자리의 근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다리 안쪽 영역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이 상기 사변의 각각을 따라서 절곡되어 상기 1쌍의 다리 홀에서 상기 물품의 내측으로 각각 접어 들어가 있는 데에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착용 물품의 일례로서의 기저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의 내측으로 접어 넣기 이전 상태에서 도시한 도 1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섀시의 연결을 푼 상태에서 도시한 도 2의 기저귀의 부분 파단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턱측 영역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로부터 물품의 내측으로 접어 넣기 이전의 상태에서 도시한 도 6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을 푼 상태에서 도시한 도 6의 기저귀의 부분 파단 전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및 제2 턱측 영역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로부터 물품의 내측으로 접어 넣기 이전의 상태에서 도시한 도 9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을 푼 상태에서 도시한 도 10의 기저귀의 부분 파단 전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C-C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D-D선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일례로서 나타내는 착용 물품으로서의 기저귀(1A)의 사시도 및,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기저귀(1A)의 내측으로 접어 넣기 이전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기저귀(1A)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기저귀(1A)의 양측 가장자리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2의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전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X1, 폭 방향을 화살표 X2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Y, 다리둘레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도 3은 제1 턱측 영역(19)에 다아트(23)를 형성하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기저귀(1A)는 가요성 섀시(1), 반강성 흡수 패널(4)로 이루어진다. 섀시(1)는 환상의 신축성 허리 부재(1a), 거의 U 형태의 다리 안쪽 부재(1b)로 이루어진다. 허리 부재(1a)는 그 양측부에서 접합된 전후 부재(7a, 7b)로 이루어진다. 다리 안쪽 부재(1b)는 신체 대향측을 구획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2), 착의 대향측을 구획하는 불투액성 외면 시트(3)로 이루어진다. 흡수 패널(4)은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3) 중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1A)는 서로 대향하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 이들 몸통 둘레 영역(32, 34)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 안쪽 영역(33)을 갖는다. 기저귀(1A)는 흡수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부(4a)의 외측에 위치하여 다리 안쪽 영역(33)에서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5), 흡수 패널(4)의 전후 단가장자리부(4b, 4c)의 외측에 위치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에서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6)을 갖는다.
허리 부재(1a)는 통기성을 지니며, 그 몸통 둘레 방향 중앙부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으로 연장되는 다리 안쪽 부재(1b)의 외면 시트(3)의 외면에 접합되고, 측부(7c, 7d)가 합장형으로 겹쳐져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열융착선(9)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래서, 몸통 둘레 개구(10)와 1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가 구획되어 있다. 섀시(1)는 그 허리 부재(1a)의 폭 치수가 다리 아래 부재(1b)의 폭 치수보다도 크고, 그 평면 형상이 거의 실질적으 로 모래시계형을 띤다.
흡수 패널(4)은 다리 안쪽 영역(33)에서부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흡수 패널(4)은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또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의 혼합물이며, 소정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그러므로, 흡수 패널(4)은 섀시(1)보다도 고강성이다. 흡수 패널(4)은 그 형태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 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투액성 시트에 둘러 씌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5)은 흡수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부(4a)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랩(6)은 흡수 패널(4)의 전후 단가장자리부(4b, 4c)에서 세로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허리 부재(1a)의 상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5)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둘레용 탄성 부재(12)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둘레용 탄성 부재(12)는 내면 시트(2)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5)은 흡수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부(4a)의 외측에 있어서 내면 시트(2)의 외면의 사이드를 향해 절곡되어 있고,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에 위치하는 부분이 기저귀(1A)의 폭 방향 안쪽으로 쓰러져 엎드린 상태로 엔드 플랩(6)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사이드 플랩(5)이 내외면 시트(2, 3)와는 별개의 시트로 형성되고, 그 시트가 흡수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부(4a)에 부착되어 있더 라도 좋다. 이 경우, 사이드 플랩(5)을 형성하는 시트로서는 실질적으로 불투액성 소수성 섬유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섀시(1)의 허리 부재(1a)는 신축성 그리고 소수성의 2장의 섬유 부직포(13, 14)를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이들의 단부(7e, 7f)에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5)가 부직포(13, 14) 사이에 개재되어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은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폭 방향 양측 영역(33b)을 갖는다. 다리 안쪽 영역(33)은 도 2 및 도 3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폭 방향 중앙 영역(33a)에서 교차하는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갖는다. 폭 방향 중앙 영역(33a)에는 흡수 패널(4)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턱 안내 중앙 영역(18)이 구획되어 있다. 턱 안내 중앙 영역(18)의 강성은 흡수 패널(4)이 개재하는 기저귀(1A)의 나머지 영역의 강성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제1 가상 턱 안내선(16)은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좌측 다리둘레 개구(11a)의 주연부(11a1)에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우측 다리둘레 개구(11b)의 주연부(11b2)를 향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상 턱 안내선(17)은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우측 다리둘레 개구(11b)의 주연부(11b1)에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좌측 다리둘레 개구(11a)의 주연부(11a2)를 향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은 좌측 다리둘레 개구(11a)의 주연부와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에 둘러싸인 거의 사다리꼴인 제1 턱측 영역(19), 우측 다리둘레 개구(11b)의 주연부와 가상 턱 안내선(16, 17)으로 둘러싸인 거의 사다리꼴의 제2 턱측 영역(20)과,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과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 사이로 연장되는 전방부 영역(21),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 사이로 연장되는 후방부 영역(22)으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턱측 영역(19, 20)의 거의 사다리꼴은 다리 안쪽 영역(33)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사변으로 하고, 흡수 패널(4)의 각 측가장자리(4a)를 저변으로 하여 구획되고, 그 정점이 대향하게 된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다아트(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제1 턱측 영역(19)에 다아트(23)를 형성하기 위한 부위(24)가 형성되어 있다. 부위(24)는 기저귀(1A)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호를 그리는 접합선(25)과 기저귀(1A)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호를 그리는 접합선(26) 사이로 연장되고, 그 형상이 방추형을 띤다. 다아트(23)는 이들 접합선(25, 26)을 화살표 V의 방향으로 가까이 당기고, 이들 접합선(25, 26) 근방을 고착시킴으로써 만들 수 있다. 다아트(23)가 형성된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서는 부위(24)가 기저귀(1A)의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흡수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부(4a)의 안쪽에는 각 1쌍의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이 형성되어 있다. 턱 안내 전방 영역(27)은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에 위치하는 흡수 패널(4)의 전단 가장자리부(4b) 사이에 형성되고, 턱 안내 중앙 영역(18)에서 흡수 패널(4)의 전단 가장자리부(4b)를 향해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턱 안내 후방 영역(28)은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에 위치하는 흡수 패널(4)의 후단 가장자리부(4c) 사이에 형성되고, 턱 안내 중앙 영역(18)에서부터 흡수 패널(4)의 후단 가장자리부(4c)를 향해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은 흡수 패널(4)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저강성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의 강성은 흡수 패널(4)이 개재하는 기저귀(1A)의 나머지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절곡되며, 전후방부 영역(21, 22) 사이에 개재하도록, 다아트(23)와 함께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A)의 내측을 향해 접어 들어가 있다.
도 3의 전개 사시도로부터 도 1의 기저귀(1A)를 조립하려면, 내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기저귀(1A)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중심선(L)에서 절곡시키고, 섀시(1)의 허리 부재(1a)의 측부(7c, 7d)를 연결하여 섀시(1)를 환상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절곡하고, 도 2에 화살표 W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A)의 내측으로 접어 넣으면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이 이루는 각도(θ)가 60∼9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θ)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접어 들어간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합치하지 않아 다리 안쪽 영역(33)을 착용자의 고간부로 들어가게 하는 것이 어렵다. 각도(θ)가 90°를 넘으면,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이 허리 부재(1a)의 측부(7c, 7d)까지 연장되고, 측부(7c, 7d)가 기저귀(1A)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접어 들어가 버린다.
도 4, 5는 도 1의 A-A선 화살 표시 단면도 및,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기저귀(1A)에서는 거의 사다리꼴의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 다아트(2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이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턱되어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가 기저귀(1A)의 안쪽으로 접어 들어가져 있기 때문에, 다아트(23)를 형성하지 않고 또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접어 넣기 이전보다도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치수를 작게할 수 있다. 기저귀(1A)를 착용했을 때, 다리 안쪽 영역(33)이 착용자의 고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착용한 기저귀(1A)에 대한 위화감이 없다.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에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18)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폭 방향 중앙 영역(33a)의 강성은 흡수 패널(4)이 개재하는 기저귀(1A)의 나머지 영역보다도 낮다. 따라서, 폭 방향 중앙 영역(33a)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접촉했을 때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기저귀(1A)의 착용시에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이 착용자의 본체부를 따라서 거의 환상으로 변형시키면, 흡수 패널(4)이 턱 안내 영역 전후방 영역(27, 28)을 통해 절곡되어 거의 환상으로 변형되고, 착용자의 몸통부 형상에 적응하기 쉽고,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이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A)의 내측으로 접어 들어감으로써,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이 위쪽을 향해 기립한다. 기립한 이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33)으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치수를 작게 했다고 해도,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 위치하는 흡수 패널(4)이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33)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접어 들어갔을 때, 이들 영역(19, 20)에서 외면 시트(3)의 외면끼리 서로 중첩시킨다. 또한,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접어 들어간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들 영역(19, 20)에서 서로 중첩되는 외면 시트(3)의 외면끼리를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접어 넣은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의 접어 넣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1 턱측 영역(19)으로 연장되는 내면 시트(2)의 외면과 전후방부 영역(21, 22)으로 연장되는 내면 시트(2)의 외면을 중첩시키는 동시에, 제2 턱측 영역(20)으로 연장되는 외면 시트(3)의 외면과 전후방부 영역(21, 22)으로 연장되는 내면 시트(2)의 외면을 중첩시켜 이들 영역(19, 20, 21, 22)에서 서로 중첩되는 내면 시트(2)의 외면끼리를 고정하더라도 좋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18)이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 뿐만 아니라,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양측 영역(33b)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A)의 안쪽으로의 접어 넣기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저귀(1B)의 사시도 및,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A)의 내측으로 접어 넣기 이전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기저귀(1B)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의 연결을 푼 상태에서 도시한 도 6의 기저귀(1B)의 부분 파단 전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X1, 폭 방향을 화살표 X2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Y, 다리둘레 방향을 화살표 Z으로 나타낸다. 도 8은 제1 턱측 영역(19)에 다아트(23)를 형성하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이 기저귀(1B)는 가요성 섀시(1)와, 반강성 흡수 패널(4)로 이루어진다. 섀시(1)는 신체 대향측을 구획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2), 착의 대향측을 구획하는 불투액성 외면 시트(3)로 이루어지며, 흡수 패널(4)이 내외면 시트(2, 3)에 개재하고, 다리 안쪽 영역(33)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기저귀(1A)와 동일하다. 다만, 기저귀(1B)에서는 섀시(1)는 기저귀(1A)의 허리 부재(1a)와 다리 안쪽 부재(1b)가 연속되는 내외면 시트(2, 3)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턱측 영역은 거의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B)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치수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의 폭 치수보다도 작고,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띤다.
다리 안쪽 영역(33)의 사이드 플랩(5)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둘레용 탄성 부재(12)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6)에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5)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둘레용 탄성 부재(12)와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5)는 내외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5)은 합장형으로 중첩되고,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열융착선(9)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래서, 몸통 둘레 개구(10)와 1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가 구획되어 있다.
기저귀(1A)와는 달리, 기저귀(1B)에서는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에 흡수 패널(4)이 존재하고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에는 거기에서의 강성이 기저귀(1B)의 흡수 패널(4)이 존재하는 나머지 영역보다도 낮은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18)이 구획되어 있다. 또,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은 거기에서의 강성이 기저귀(1B)의 흡수 패널(4)이 존재하는 나머지 영역보다도 낮은 강성으로 되어 있다.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의 강성은 흡수 패널(4)의 평량을 흡수 패널(4)의 나머지 영역보다도 낮게 하고, 흡수 패널(4)의 두께 치수를 흡수 패널(4)의 나머지 영역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주어지고 있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턱되고, 전후방 영역(21, 22)과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다아트(23)와 함께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B)의 안쪽을 향해 접어 들어가져 있다.
도 8의 전개 사시도로부터 도 6의 기저귀(1B)를 조립하려면, 내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기저귀(1B)를 중심선(L)에서 절곡시키고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을 서로 연결한다. 다음에,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절곡하고, 도 7에 화살표 W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영역(19, 20)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B)의 내측으로 접어 넣으면 된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다아트(2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절곡되어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B)의 안쪽을 향해 접어 들어가져 있기 때문에, 도 1의 기저귀(1A)와 마찬가지로,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기저귀(1B)를 착용했을 때, 다리 안쪽 영역(33)이 착용자의 고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착용한 기저귀(1B)에 대한 위화감이 없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몸통 둘레 개구 위쪽으로 기립하고,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33)으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치수를 작게 했다고 해도,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 위치하는 흡수 패널(4)이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33)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기저귀(1B)의 착용시에는 도 1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흡수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부(4a)가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을 통해 절곡되어 흡수 패널(4)이 착용자의 본체부를 따라서 거의 환상으로 변형하고, 흡수 패널(4)이 개재하는 물품(1B)의 해당 영역이 착용자의 본체부 형상에 적응하기 쉽고,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18)이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 뿐만 아니라,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양측 영역(33b)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B)의 내측으로의 접어 넣기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저귀(1C)의 사시도 및,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C)의 내측으로 접어 넣기 이전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기저귀(1C)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10의 물품(1C)의 부분 파단 전개 사시도이다. 도 9, 10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X1, 폭 방향을 화살표 X2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Y, 다리둘레 방향을 화살표 Z으로 나타낸다.
이 기저귀(1C)는 섀시(1), 반강성 흡수 패널(4)로 이루어진다. 섀시(1)는 서 로 접합된 내외측 시트(36a, 36b)로 이루어진다. 흡수 패널(4)은 신체 대향측을 구획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2), 착의 대향측을 구획하는 불투액성 외면 시트(3), 내외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3) 중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고정된 흡수 코어(44)로 이루어지고, 외면 시트(3)를 통해 섀시(1)의 내측 시트(36a)에 고정되어 있다. 섀시(1)는 통기성을 지니며, 그 평면 형상은 내외면 시트(2, 3)보다도 크고, 거의 모래시계형을 띤다.
기저귀(1C)는 서로 대향하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 이들 몸통 둘레 영역(32, 34)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 안쪽 영역(33)을 갖는다. 기저귀(1C)는 코어(44)의 양측 가장자리부(44a)의 외측에 위치하여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5a, 5b), 코어(44)의 전후단 가장자리부(44b, 44c)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에서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섀시(1)의 엔드 플랩(6)을 갖는다.
사이드 플랩(5a)은 코어(44)의 양측 가장자리부(44a)에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내외면 시트(2, 3)의 부분으로, 사이드 플랩(5b)은 코어(44)의 양측 가장자리부(44a)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섀시(1)의 부분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랩(6)은 섀시(1)의 단부(36d)로 형성되어 있다. 내외면 시트(2, 3)로 형성된 사이드 플랩(5a)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둘레용 탄성 부재(12)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섀시(1)는 측부(36c)가 합장형으로 중첩되고, 측부(36c)가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다수의 열융착선(9)을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래서, 몸통 둘레 개구(10)와 1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가 구획되어 있다.
섀시(1)를 형성하는 내외측 시트(36a, 36b)는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이다. 섀시(1)의 단부(36d)에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40)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섀시(1)의 다리 안쪽 영역(33)으로 연장되는 측부(36c)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둘레용 탄성 부재(41)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에는 도 10 및 도 11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갖는다.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양측 영역(33b)에는 제1 및 제2 저강성 턱측 영역(19, 20)이 구획되어 있다. 이들 턱측 영역(19, 20)의 강성은 이들 영역의 코어(44)의 평량을 나머지 코어(44)보다도 낮게 되어 이들 영역의 코어(44)의 두께 치수를 나머지 코어(44)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주어지고 있다.
제1 가상 턱 안내선(16)은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좌측 다리둘레 개구(11a)의 주연부(11a1)와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우측 다리둘레 개구(11b)의 주연부(11b2)로부터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상 턱 안내선(17)은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우측 다리둘레 개구(11b)의 주연부(11b1)와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좌측 다리둘레 개구(11a)의 주연부(11a2)로부터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에서의 제1 턱측 영역(19)은 좌측 다리둘레 개구(11a)의 주연부와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에 둘러싸고, 제2 턱측 영역(20)은 우측 다리둘레 개구(11b)의 주연부와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에 둘러싸임으로써 거의 삼각형으로 구획되어 있다.
코어(44)에는 각 1쌍의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이 구획되어 있다. 턱 안내 전방 영역(27)은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전방 몸통 둘레 영역(32)에 위치하는 코어(44)의 전단 가장자리부(44b) 사이에서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턱 안내 후방 영역(28)은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34)에 위치하는 코어(44)의 후단 가장자리부(44c) 사이에서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의 강성은 이들 영역의 코어(44)의 평량을 나머지 코어(44)보다도 낮게 되고, 이들 영역의 코어(44)의 두께 치수를 나머지 코어(44)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주어지고 있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절곡되고,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C)의 내측을 향해 접어 들어가 있다. 기저귀(1C)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하는 기저귀(1A, 1B)와 달리,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 다아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1의 전개 사시도로부터 도 9의 기저귀(1C)를 조립하려면, 내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기저귀(1C)를 중심선(L)에서 절곡시키고, 섀시(1)의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32, 34)에 있어서의 측부(36c)를 연결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을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절곡시키고, 도 10에 화살표 W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영역(19, 20)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C)의 내측으로 접어 넣으면 된다.
도 12, 13은 도 9의 C-C선 화살 표시 단면도 및, 도 9의 D-D선 단면도이다.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이 제1 및 제2 가상 턱 안내선(16, 17)을 통해 절곡되어 좌우 다리둘레 개구(11a, 11b)에서 기저귀(1C)의 내측으로 접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6에 도시하는 기저귀(1A, 1B)와 마찬가지로,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기저귀(1C)를 착용했을 때, 다리 안쪽 영역(33)이 착용자의 고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착용한 물품(1C)에 대한 위화감이 없다.
기저귀(1C)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은 위쪽을 향해 기립하여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33)으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치수를 작게 하였다해도, 다리 안쪽 영역(33)의 폭 방향 중앙 영역(33a)과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 위치하는 코어(44)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33)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기저귀(1C)의 착용시에는 코어(44)의 양측 가장자리부(44a)가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을 통해 절곡되고, 코어(44)가 착용자의 본체부를 따라서 거의 환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코어(44)가 개재하는 물품(1C)의 해당 영역이 착용자의 본체부 형상에 적응하기 쉬워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된다.
도 1 및 도 6의 기저귀(1A, 1B)에서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19, 20)에 다아트(23)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들 도시한 기저귀(1A, 1B, 1C)에서는,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 중 어느 것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으며, 이들 턱 안내 전후방 영역(27, 28)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내면 시트(2)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외면 시트(3)에는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나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상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친 복합 부직포, 상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상기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허리 부재(1a)에는 외면 시트(3)와 동일한 시트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섀시(1)에는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나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상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상기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외면 시트(3), 허리 부재(1a), 섀시(1)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블로운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의 양면을, 높은 강도와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스펀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로 사이에 끼운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서는 스펀레이스, 니들펀치, 멜트블로운, 서멀본드, 스펀본드, 케미컬본드, 에어스루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병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섀시(1)에는 신축성 또는 소수성의 섬유 부직포나 신축성 또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 신축성 또는 소수성의 섬유 부직포와 신축성 또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로서는 멜트블로운이나 스펀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방사한 신축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섀시(1)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또는 소수성의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한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용융, 방사한 권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와의 접합, 외면 시트(3)에 대한 허리 부재(1a)의 고정, 내외면 시트(2, 3)에 대한 흡수 패널(4)/코어(44)의 고정, 이들 부재(1a), 시트(2, 3), 섀시(1) (물품 1C)에 대한 탄성 부재(12, 15, 40, 41)의 고정에는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히트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등의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하면, 다리 안쪽 영역의 제1 턱측 영역과 제2 턱측 영역이 좌우 다리둘레 개구로부터 물품의 안쪽을 향해 접어 들어가져 있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의 폭 치수를 종래 기술의 착용 물품이나 시판되는 착용 물품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이 물품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 다리 안쪽 영역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완전히 들어가 착용한 물품에 대한 위화감이 없다. 이 물품에서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은 좌우 다리둘레 개구의 내측으로 접어 들어감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를 향해서 기립하여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리 안쪽 영역으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다리 안쪽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와 폭 방향 양측부 중의 적어도 한쪽에 저강성의 턱 안내 영역이 구획된 물품에서는, 제1 및 제2 턱측 영역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의 내측으로 접어 넣기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다리 안쪽 영역을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시킨 1쌍의 다아트가 제1 및 제2 턱측 영역에 형성된 물품에서는, 다리 안쪽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를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다.
저강성의 턱 안내 전후방 영역이 형성된 물품에서는 이의 착용시 이들 턱 안내 전후방 영역을 통해 흡수 패널/코어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절곡되고, 섀시나 내외면 시트보다도 고강성의 흡수 패널/코어가 착용자의 본체부를 따라서 거의 환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이것을 착용자의 본체부 형상에 적응하기 쉬우며,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신체 대향측, 착의 대향측, 서로 대향하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이들 사이의 다리 안쪽 영역, 허리 홀 및 1쌍의 다리 홀을 포함하는 가요성 섀시;
    제1, 제2 측가장자리 및 제1, 제2 단가장자리를 지니며, 상기 신체 대향측에 위치하는 반강성 흡수 패널;
    폭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상기 흡수 패널의 측가장자리를 따라서 구비되어 있는 탄성화 사이드 플랩; 및
    1쌍의 사변 및 저변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사다리꼴 및 삼각형 중의 하나를 갖는 제1, 제2 턱(tuck)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은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의 정점의 각각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저변의 각각이 상기 흡수 패널의 상기 제1, 제2 측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다리 안쪽 영역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이 상기 사변의 각각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1쌍의 다리 홀에서 상기 물품의 내측으로 각각 접어 들어가 있고, 또한, 다리 안쪽 영역에 있는 상기 탄성화 사이드 플랩이 상기 측가장자리 및 상기 다리 홀을 따라 상기 물품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가 전후방부를 갖는 환상의 신축성 허리 부재와 전후방부를 갖는 U자형의 다리 안쪽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 안쪽 부재는 상기 신체 대향측을 구획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 상기 착의 대향측을 구획하는 불투액성 외면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다리 안쪽 부재의 전후방부는 상기 허리 부재의 전후방부에 각각 접합되어 상기 흡수 패널이 상기 다리 안쪽 부재의 내외면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것인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부재가 적어도 1층의 통기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화 사이드 플랩은 내측으로 쓰러뜨려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그 양단 사이가 상기 탄성화 사이드 플랩의 수축에 의해 상기 내면 시트로부터 그 상측으로 이격되는 것인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신체 대향측을 구획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 상기 착의 대향측을 구획하는 불투액성 외면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 패널이 상기 내외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것인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안쪽 영역이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의 사이에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이 상기 흡수 패널이 존재하는 상기 물품의 나머지 영역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것인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이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 패널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저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이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패널의 재료의 평량을 상기 흡수 패널의 나머지보다도 감소시킴으로써 저강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안쪽 영역이 저강성 턱 안내 전방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전방 영역이 상기 전방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의 사변과 상기 흡수 패널의 상기 제1 단가장자리 사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전방 영역의 강성이 상기 흡수 패널이 존재하는 상기 물품의 나머지 영역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것인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안쪽 영역이 저강성 턱 안내 후방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저강성 턱 안내 후방 영역이 상기 후방 몸통 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의 사변과 상기 흡수 패널의 상기 제2 단가장자리 사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강성 턱 안내 후방 영역의 강성이 상기 흡수 패널이 존재하는 상기 물품의 나머지 영역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것인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이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 패널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저강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 물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이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 패널의 평량을 상기 흡수 패널의 나머지보다도 감소시킴으로써 저 강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 물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이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 패널의 재료의 평량을 상기 흡수 패널의 나머지보다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저강성 턱 안내 전후방 영역을 제거한 상기 흡수 패널의 나머지 영역보다도 저강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 물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가 적어도 일층의 통기성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 패널이 상기 섀시의 신체 대향측의 적어도 다리 안쪽 영역에 배치되어 있 고, 상기 흡수 패널이 투액성 내면 시트, 불투액성 외면 시트, 상기 내외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반강성의 흡수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탄성화 사이드 플랩이 상기 다리 홀의 근방에서의 상기 섀시 및 상기 흡수 패널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인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널의 상기 탄성화 사이드 플랩이 내측으로 쓰러뜨려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양단 사이가 상기 흡수 패널의 상기 탄성화 사이드 플랩의 수축에 의해 상기 내면 시트로부터 그 상측으로 이격되는 것인 물품.
  18. 제1항에 있어서, 다아트가 상기 흡수 패널이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다아트가 상기 제1, 제2 턱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물품.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홀이 탄성화되어 있는 것인 물품.
KR1020037013791A 2001-04-23 2002-04-23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666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5001 2001-04-23
JPJP-P-2001-00125001 2001-04-23
JP2002118226A JP3978363B2 (ja) 2001-04-23 2002-04-19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JP-P-2002-00118226 2002-04-19
PCT/JP2002/004049 WO2002096333A2 (en) 2001-04-23 2002-04-23 Under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923A KR20040002923A (ko) 2004-01-07
KR100666975B1 true KR100666975B1 (ko) 2007-01-12

Family

ID=2661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791A KR100666975B1 (ko) 2001-04-23 2002-04-23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172583B2 (ko)
EP (1) EP1413271A4 (ko)
JP (1) JP3978363B2 (ko)
KR (1) KR100666975B1 (ko)
CN (1) CN1240357C (ko)
AU (1) AU2002253560B8 (ko)
BR (1) BR0209135B1 (ko)
CA (1) CA2444829C (ko)
MY (1) MY134425A (ko)
TW (2) TWI256299B (ko)
WO (1) WO20020963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8363B2 (ja) * 2001-04-23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051208B2 (ja) * 2002-01-31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057307B2 (ja) 2002-02-08 2008-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953848B2 (ja) * 2002-03-13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057321B2 (ja) 2002-03-25 2008-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426785B2 (ja) * 2002-08-30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7458960B2 (en) 2002-08-30 2008-12-02 Uni-Charm Co., Ltd Pull-on disposable diaper
JP4113397B2 (ja) * 2002-08-30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119718B2 (ja) 2002-08-31 2008-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204300B2 (ja) * 2002-10-18 2009-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おむつ包装体
JP2004216082A (ja) * 2003-01-10 2004-08-05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975176B2 (ja) * 2003-04-18 2007-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4298377B2 (ja) * 2003-05-22 2009-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3734808B2 (ja) * 2003-06-23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691499B2 (ja) 2003-07-02 2005-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US8167861B2 (en) 2003-12-31 2012-05-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stretchable absorbent assembly
US8246594B2 (en) 2004-04-30 2012-08-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tructure configured for improved donning and lateral stretch distribution
US7993319B2 (en) 2004-04-30 2011-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tructure configured for improved donning of the article
JP4253625B2 (ja) * 2004-09-13 2009-04-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951281B2 (ja) * 2006-06-23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排泄物処理用品
JP4871071B2 (ja) * 2006-08-23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WO2008069279A1 (ja) 2006-12-07 2008-06-12 Uni-Charm Corporation 吸収性物品
MY148995A (en) 2006-12-13 2013-06-28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JP4477622B2 (ja) * 2006-12-28 2010-06-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紙おむつ
US8282617B2 (en) 2006-12-28 2012-10-09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4833131B2 (ja) * 2007-03-29 2011-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4966841B2 (ja) * 2007-12-19 2012-07-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5676901B2 (ja) * 2010-03-31 2015-0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CN107106355B (zh) * 2014-11-06 2020-11-03 宝洁公司 卷曲纤维纺粘非织造网/层压体
EP3058915B1 (en) * 2015-02-17 2018-1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for absorbent articles
CN106264884A (zh) * 2015-05-29 2017-01-04 江苏德邦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拉拉裤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6874A (en) * 1962-07-25 1965-07-27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prefolded diaper
BE639370A (ko) * 1962-11-01
IT1045109B (it) 1969-07-03 1980-05-10 Inst Sieroterapico E Vaccino G Foli idrossi etil asparagina e metodo per la sua produzione
US3744494A (en) * 1970-07-10 1973-07-10 Procter & Gamble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containment characteristics
JPS4736734U (ko) * 1971-05-07 1972-12-23
US3848595A (en) * 1973-04-26 1974-11-19 Kimberly Clark Co Prefolded diaper with improved leg fit
US3924627A (en) * 1973-06-25 1975-12-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 Disposable diaper
JPS5021845A (ko) 1973-06-29 1975-03-08
US3968799A (en) * 1975-04-04 1976-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efolded disposable diaper
US4661102A (en) * 1985-12-03 1987-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featuring crotch tensioning means for improved leakage resistance and fit
GB8815330D0 (en) * 1988-06-28 1988-08-03 Procter & Gamble Opening device for flexible bags filled with compressed flexible articles
US4966286A (en) * 1989-06-26 1990-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asy open flexible bag
US5054619A (en) * 1989-12-15 1991-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de opening flexible bag with longitudinally oriented carrying handle secured to side panels
JP3187110B2 (ja) * 1991-03-01 2001-07-1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SG30640G (en) 1991-03-01 1995-09-01 Kao Corp Diapers
US6010490A (en) * 1992-12-18 2000-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n upstanding transverse partition
ATE159690T1 (de) * 1993-03-30 1997-11-15 Procter & Gamble Kompakte verpackung bestehend aus einem in einer umhüllung angeordneten stapel von flexiblen gegenständen
US5746730A (en) * 1993-06-03 1998-05-05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5361905A (en) * 1993-09-22 1994-11-08 Kimberly-Clark Corporation Flexible packaging with center opening feature
FR2734485B1 (fr) * 1995-05-24 1997-10-10 Biodome Seringue pre-remplie de securite
EP0778015A1 (en) * 1995-12-04 1997-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ags for disposable diapers
US6102892A (en) * 1996-12-23 2000-08-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aper with pleats for containment of liquid and solid waste
JP3398024B2 (ja) 1997-09-30 2003-04-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ニングパンツ
JP3492171B2 (ja) 1997-11-28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パンツ
CA2251177A1 (en) * 1997-12-04 1999-06-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polymer packaging bag with a partially parallel opening feature
JP3330076B2 (ja) * 1998-04-20 2002-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398047B2 (ja) 1998-04-24 2003-04-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2000051273A (ja) 1998-08-07 2000-02-22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JP3411224B2 (ja) * 1998-09-14 2003-05-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57035B2 (ja) * 2000-07-31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3978363B2 (ja) 2001-04-23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057307B2 (ja) * 2002-02-08 2008-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953848B2 (ja) * 2002-03-13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050920B2 (ja) 2002-03-20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057321B2 (ja) * 2002-03-25 2008-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3734808B2 (ja) * 2003-06-23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09135B1 (pt) 2011-10-18
BR0209135A (pt) 2004-06-08
EP1413271A4 (en) 2005-04-06
CA2444829C (en) 2007-09-18
TWI256299B (en) 2006-06-11
US20040133178A1 (en) 2004-07-08
CA2444829A1 (en) 2002-12-05
US20070016157A1 (en) 2007-01-18
WO2002096333A2 (en) 2002-12-05
WO2002096333A3 (fr) 2004-02-12
US7172583B2 (en) 2007-02-06
TW200305388A (en) 2003-11-01
CN1514707A (zh) 2004-07-21
AU2002253560A1 (en) 2002-12-09
AU2002253560B8 (en) 2007-01-18
TW580381B (en) 2004-03-21
JP2003010244A (ja) 2003-01-14
JP3978363B2 (ja) 2007-09-19
US7530971B2 (en) 2009-05-12
KR20040002923A (ko) 2004-01-07
MY134425A (en) 2007-12-31
EP1413271A2 (en) 2004-04-28
CN1240357C (zh) 2006-02-08
AU2002253560B2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975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JP4051208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119718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6179820B1 (en) Absorbent article
US7588561B2 (en) Pull-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ith tapered folding guide lines and tucking zones
JP369936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753417B1 (ko) 흡수성 물품
KR100593278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EP1415629A1 (en) Underpants type disposable wear article
KR20050053630A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20100053444A (ko) 흡수성 물품
JP5340696B2 (ja) 吸収性物品
EP1281379A2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5185670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2002119534A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US20130102988A1 (en) Disposable diaper
JP3809290B2 (ja)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679535A (zh) 吸收性物品
CN113679533A (zh) 吸收性物品
CN118021530A (zh) 吸收性物品
AU2009230458A1 (en) Disposable pants-type diaper
AU2009230460A1 (en) Disposable pants-type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