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718B1 -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718B1
KR100666718B1 KR1020050008646A KR20050008646A KR100666718B1 KR 100666718 B1 KR100666718 B1 KR 100666718B1 KR 1020050008646 A KR1020050008646 A KR 1020050008646A KR 20050008646 A KR20050008646 A KR 20050008646A KR 100666718 B1 KR100666718 B1 KR 10066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snail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809A (ko
Inventor
설장호
백남용
김동호
유우영
고재건
양지산
김학철
유준석
박진규
박봉수
이호준
Original Assignee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7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렁이(pond snail, Vivipardae malleatus Reeve)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가 다량 포함된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 피부장벽 강화, 항염 및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렁이, 보습, 항염, 화장료

Description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of pond snail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대한 보습력 변화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대한 보습력 변화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적용시 염증 완화 효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렁이 추출물의 세포증식효과이다.
본 발명은 우렁이(pond snail, Vivipardae malleatus Reeve)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가 다량 포함된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 피부장벽 강화, 항염 및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은 피부의 수분증발 및 흡수 조절기능과 화학물질, 독성물질 및 세균 등의 외부물질의 침투에 대한 장벽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질층은 납작한 모양의 각질세포(keratinocyte)와 그 사이를 세포간 지질(intercelluler lipid)이 채우고 있으며 라멜라 형태를 이루고 있다. 피부의 각질층은 약 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분함량이 피부의 유연성, 윤택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각질층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은 피지성분과 아미노산, 젖산, 요소 및 무기염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보습인자(NMF)에 의해 조절되어지며, 피부 외용제에서 천연보습인자와 같이 안전하면서도 사용성이 우수하고 보습효과가 높은 물질의 개발이 화장품에서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각질층의 기능(경피흡수, 수분보유, 각질층 탈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각질 지질이라는 것이 밝혀져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Yasuhisa Nakayama, Skin moisturization and NMF, Science of Humectants, Fragrance J., 1988)
나이가 들어 가면서 피부는 점차 그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노화 현상이 일어나며 그 대표적인 예가 주름 형성과 멜라닌 생성이다. 이러한 노화의 주원인으로서는 태양광에 의한 광노화이다.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산화적 절단을 촉진시키며, 결과적으로는 결합조직의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형성을 유발한다. 또한 피부의 수분 보유능력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절단 및 저분자량화를 촉진시켜 각질층의 수분보유능력을 감소시키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피부의 생리작용이 저하되어 피부가 본래의 기능을 잃게 되어 거칠어 지게 되고, 각종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또한, 최근 생활환경과 식생활의 변화, 스트레스의 증가, 약품, 화장품 등 각종화합물질의 사용 및 성인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가로 피부가 거칠어지고 아크네 피부가 증가하는 등 피부 트러블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피부가 민감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사회활동의 다변화와 복잡화로 물리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체의 면역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 알러지(Allergy)에 의한 여러 증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우렁이는 열을 식혀주고, 갈증을 없애주고 눈을 맑게 해주며, 숙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사전식 동의보감, 한국사전연구사), 예로부터 자주 이용되었다. 또한 우렁이는 친환경적인 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곳에서만 서식하는 동물로 환경이 파괴되면 찾기 어려운 동물이다. 이러한 깨끗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우렁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은 피부의 보습 및 장벽 기능을 강화시켜 피부의 건강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우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억제, 피부자극 시험 등에서 피부에 안전하면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안전성과 효능성이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습제 및 피부 보호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올류, 아미노산, 피롤리돈 카르본산염, 젖산염과 같은 천연보습인자, 히알루론산염, 키토산 등의 생체 고분자물질 등이 있다. 이들 중 몇몇은 비록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지만 합성된 화합물이거나 수입에 의존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적정량 이상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피부자극이나 생산 비용의 증가로 그 사용에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단순히 원재료를 추출할 용매에 일정시간 침적시키면서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교반한 후 용액을 여과하여 최종물을 제조하므로 유효성분의 농도가 낮게 되어 단순한 추출물 상태로는 특정한 효능이나 효과를 나타내기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유효성분의 농도를 높이게 되면 냄새, 색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실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피부를 건조시키고 거칠어지게 하는 외부환경 즉 바람, 대기오염, 햇빛, 추위, 세안등에 의한 요인으로부터 피부의 건조를 막고 피부의 장벽기능 강화를 통한 트러블 예방 및 염증 발생을 막기 위한 보습 및 피부보호제의 사용은 화장품에서 거의 필수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특징 즉, 보습효과 및 피부장벽 강화의 효능이 우수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청정지역에 서식하는 우렁이로부터 유해 화학 물질이 가미되지 않은 안전하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가 함유된 추출물을 천연물로부터 추출함과 동시에 이를 함유한 화장료에서 보습, 피부장벽 효과, 항염증 효과및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보습, 피부장벽 강화효과, 항염 효과 및 세포증식 효과 등의 효능이 우수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가 다량 함유된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효능을 갖는 우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아세트산이 가미된 20 ∼ 30℃, 7 ~ 10% 염화나트륨 용액에 우렁이를 침적하여 이물질과 특이취를 제거하는 제1공정;
상기 침적물을 정제수에 세척하여 완전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우렁이 건조 분쇄물에 대하여 물, 인산 완충용액, 약염기성 수용액,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출용매 5 ∼ 30배 부피량을 넣고, 추출기로 5 ∼ 70℃ 온도에서 4시간 ~ 15일간 추출시키는 제3 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추출된 우렁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공정은 청정지역에서 포획한 우렁이를 식초, 즉 아세트산이 가미된 20∼30℃, 7~10%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적시켜 이물질과 특이취를 제거한다. 이때, 소금물의 온도가 20℃ 미만의 저온이면 추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30℃를 초과하여도 부가 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소금물의 농도가 7% 미만이면 탈취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10% 초과이면 잔존 염화나트륨에 의해 원료물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2공정은 상기 침적물을 분쇄하는 공정으로서 침적물을 정제수에 세척하여 완전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제3공정은 상기에서 분쇄된 우렁이 분말 건조중량에 대해 5∼30배 부피량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에서 5∼70℃ 조건으로 4∼15일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추출용매는 물, 인산 완충용액, 약염기성 수용액,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중에서 선택 사용하고, 상기 추출용매의 양은 5배 미만이면 휘발성이 부족해 추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30배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경제성에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한, 추출기 온도가 5℃ 미만이거나 너무 4시간 미만 추출하면 추출이 너무 적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70℃를 초과하거나 너무 15일 이상 추출하면 추출물이 변질되거나 추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공정 및 제2공정으로부터 얻은 우렁이 추출물의 분쇄물을 분말 건조중량에 대해 5 ∼ 30배 부피량의 추출용매를 넣고, 바람직하기로는 30 ~ 90℃ 조건에서 4 ~ 48시간 침적시키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추출된 우렁이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추출법으로 추출되는 우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총량 중 우렁이 추출물 0.001 ∼ 1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10중량%의 양이 포함한다. 왜냐하면, 전체 조성물 함량 중 0.001중량%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효과 효율이 떨어지고 경제성도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우렁이 추출물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는 산성 뮤코다당류 (mucopolysaccharide)로서, D-글루쿠론산과 황산화된 N-아세틸갈락토사민의 이당류의 반복구조로 구성되는데, 구성당의 히드록시기의 황산화에 의해 많은 종류의 다양한 이성체가 존재한다. 이때, 황산화되는 부위는 글루쿠론산의 2 위치 및 3 위치의 히드록시기 또는 이두론산(iduronic acid)의 2 위치의 히드록시기 및 N-아세틸갈락토사민의 4 위치 및 6 위치의 히드록시기이다. 콘드로이틴 황산쇄는 분자량 104 ∼105의 직쇄상의 다당류로 코어 단백질에 공유결합한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으로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천연에 존재하는 콘드로이틴 황산쇄는 1 종류의 황산화 이당류의 반복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것은 적고, 통상 다양한 종류의 황산화, 또는 비황산화 이당류를 다른 비율로 함유하는 특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 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등의 통상적인 기초 화장료의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렁이 추출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우렁이 추출물이 포함된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렁이 추출물이 포함된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우렁이추출물이 포함된 세포증식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
청정지역에서 포획한 우렁이를 아세트산이 가미된 25℃, 10%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적하여 이물질과 특이취를 제거한 후, 정제수에 세척하여 완전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그런 다음, 완전 건조시킨 우렁이 분말 1kg을 10% 에탄올 10kg에 넣고, 추출기로 50℃ 조건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건조중량 9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
청정지역에서 포획한 우렁이를 아세트산이 가미된 23℃, 7%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적하여 이물질과 특이취를 제거한 후 정제수에 세척하여 완전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완전 건조시킨 우렁이 분말 1kg을 10% 에탄올(W/W) 10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한 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건조중량 88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
청정지역에서 포획한 우렁이를 아세트산이 가미된 27℃, 10%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적하여 이물질과 특이취를 제거한 후 정제수에 세척하여 완전 건조시키고 분쇄기로 분쇄를 하였다. 완전 건조시킨 우렁이 분말 1kg을 정제수 10kg에 넣고,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pH를 8로 조절한 후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하고,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한 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건조중량 103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
청정지역에서 포획한 우렁이를 아세트산이 가미된 25℃, 10%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적시켜 이물질과 특이취를 제거한 후 정제수에 세척하여 완전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완전 건조시킨 우렁이 분말 1kg을 pH=7.4의 인산 완충용액 10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한 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건조중량 97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5 : 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에 1에서 추출된 우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우렁이 추출물 10.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실시예 6: 영양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에 1에서 추출된 우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우렁이 추출물 10.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실시예 7 및 비교예 1 ~ 4: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우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 우렁이 추출물 10.0 - - - -
2 밀납 8.0 8.0 8.0 8.0 8.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0.5 0.5
5 유동파라핀 20.0 20.0 20.0 20.0 2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7 친유형 모노 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0.5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1.5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6.0 6.0 6.0 6.0 6.0
1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13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14 향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6 - 10.0 - - -
17 히아루론산 나트륨염 - - 0.1 - -
18 1,3부틸렌 글리콜 - - - 0.1 -
19 인도메타신 - - - - 0.5

실시예 8: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우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우렁이 추출물 10.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실험예 1: 우렁이 추출물의 보습력
우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우렁이 추출물, 물, 히알루론산 나트륨염 및 1,3 부틸렌 글리콜에 대한 각각의 보습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하기 참고문헌을 참조하여 실험하였다(참고문헌 : Robert L. Rietschel, A Method to evaluate skin moisturizers in vivo,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70(3) 152~155, 1978).
가. 사용기기 : Corneometer CM820 (제조원 : COURAGE + KHAZAKA West Germany)
나. 시료
① 물.
② 실시예 1의 우렁이 추출물
③ 히알루론산 나트륨염 1.0% 수용액.
④ 1,3 부틸렌 글리콜 1.0% 수용액.
다. 조건
실내 온도 20~25℃, 상대 습도45~55%로 유지시킨 피부기기 측정실에서 10명의 피검자에 대하여 좌, 우 팔을 측정 부위로 하여 직경 40mm circle의 면적에 0.05ml/circle의 시료를 각각 적용하여 측정한다.
라. 방법
<기기의 사용방법 >
Corneometer의 탐침(probe)을 측정부위 피부표면에 밀착 접촉후 가볍게 누르면 수치가 나타나며, 측정 후 부드러운 티슈로 탐침 표면을 닦아주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Corneometer CM820의 측정 시 유의할 사항은 측정 시에 항상 동일한 힘을 가하여 측정해야 하는 것이다.
<예비테스트 >
각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측정 결과의 양상과 완전 증발시점을 확인하고, 초기 측정 시간과 측정 시간 간격을 결정하였다.
< 공통 과정 >
측정실을 항온, 항습(온도 20 ~ 25℃, 상대습도45 ~ 55%)을 시키고 피검자를 측정하기 최소 30분전에 측정실에서 머무르게 하였다. 양 팔의 일정 부위에 직경 40mm의 circle을 표시하고 기기를 이용하여 초기의 피부 습도 상태를 측정, 기록하였다. 9 1 circle당 5회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 시료 측정 시 >
초기의 피부 습도를 측정한 후 시료를 Circle 당 0.05ml를 도포하여 2분 후에 피부 습도를 측정하였다. 총 5회를 측정하여 기록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측정하였다. 매 기간별 측정의 횟수는 역시 5회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총 20분간 측정하여 결과를 통계처리 하였다. 시료 자체인 경우에는 증발되는 속도가 빠르므로 장시간 그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따라서 20분간의 피부 습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마. 통계처리
상기에 측정한 결과를 SigmaPlot(Jandel Scientific 사의 통계 Software)으 로 통계처리 및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효성 검사에서 대조예는 물 및 물을 적용한 제품으로 하였다.
바. 보습력 변화율의 계산
상기에서 측정한 결과를 평균하였다. 이 측정 결과를 가지고 시간에 따른 보습력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05783068-pat00001
A : 시료 처리 전의 피부 보습력
B : 시료의 피부 보습력
2) 실험 결과
우렁이 추출물에 보습력 증가율과 물 및 일반적인 보습제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 나트륨염 과 1,3부틸렌 글리콜의 보습력 증가율을 비교한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표 1] 시료 자체의 보습력 변화율(%)
시간(분) 실시예 1 히알루론산 나트륨염 1.0% 수용액 1,3 부틸렌 글리콜 1.0% 수용액
평균 표준오차 평균 표준오차 평균 표준오차 평균 표준오차
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 45.16** 1.02 15.92 0.68 23.21** 1.23 28.32** 1.02
4 32.11** 1.46 6.21 0.73 20.03** 1.16 16.16** 1.31
6 20.38** 1.08 6.01 0.72 15.64** 1.37 7.41 0.97
8 19.69** 0.91 5.22 0.88 10.99** 1.20 7.05 0.88
10 19.54** 0.89 5.39 0.91 6.00 1.11 6.27 1.22
12 12.57** 1.30 3.09 0.82 3.97 1.18 4.34 0.97
14 8.14** 1.21 1.98 0.71 3.41 1.30 3.22 1.00
30 5.32** 1.34 0.87 0.89 1.66 1.16 1.04 0.91
* : p,0.05 ** : p<0.01
상기의 보습력 증가율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히알루론산 나트륨염과 1,3 부틸렌글리콜의 보습력 증가율은 물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우렁이 추출물의 보습력 증가율은 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보습력 측정시험
우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7 및 비교예 1∼3에 대한 각각의 보습력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 및 [도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표 2]적용 제품별 보습력 변화율(%)
시간(분)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3
(분) 평균 표준오차 평균 표준오차 평균 표준오차 평균 표준오차
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5 28.52** 0.98 16.77 2.01 12.31 1.87 15.55 1.32
20 34.17** 0.72 26.31 1.78 27.11 1.12 25.37 1.15
40 28.26** 0.91 20.22 0.75 21.24 1.23 21.81 1.00
60 26.98** 0.89 19.75 0.82 20.12 1.01 20.16 0.93
80 26.51** 1.11 16.32 0.77 17.63 0.91 17.04 0.92
100 27.11** 0.99 15.91 0.69 16.59 0.88 16.41 1.01
* : p,0.05 ** : p<0.01
상기의 보습력 증가율 결과에서 히알루론산 나트륨염과 1,3 부틸렌 글리콜을 적용한 제품의 보습력 증가율은 비교예인 물을 적용한 제품보다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우렁이 추출물을 적용한 제품은 비교예보다 보습력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염증 효과 측정시험
1) 실험 방법
건강한 쥐 20마리를 대상으로 1개 시료당 2마리씩 실험하였다. 우선 쥐의 양쪽 귀를 에탄올로 잘 닦아준 다음 시료를 각각 2μ1씩 발라주었다. 1시간 경과 후에 왼쪽 귀에는 아세톤을 20μ1 발라주며, 오른쪽 귀에는 염증유발 양성대조물질인 아라키돈산을 발라주었다. 다시 1시간 경과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의 두께를 3회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한 다음 항염증 효과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 및 [도 3]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험 시료>
비교예 1
실시예 7.
③ 비교예 4
2) 실험 결과
[수학식 2]
Figure 112005005783068-pat00002
[표 3]
제품 부풀은 정도(mm) 저해율(%)
증가된 두께 비교예 1과 차이
비교예 1 3.14 -
실시예 7 2.08 0.86 27.38%
비교예 4 1.93 1.21 38.54%
상기의 항염 효과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우렁이 추출물의 염증발생을 저해하는 효과는 27.38%로 우수한 효과가 있었으며, 비교예 4인 인도메타신과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렁이 추출물 및 우렁이 추출물의 적용제품은 세포의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세포 증식도 우수하여 사용함에 있어 매우 안전한 추출물로 보습력 증가율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습제인 히알루론산 나트륨염과 1,3 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을 적용한 제품보다 우수하였으며, 염증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 또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실시예 1의 우렁이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 3T3)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0.05, 0.07, 0.1, 0.3, 0.5, 1.0(%,W/V))로 투여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는 6회 실험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 효과는 다음 공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 및 [ 도 4]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수학식 3]
Figure 112005005783068-pat00003
[표 4]
추출물 농도(%) 세포 증식율(%)
대조군 100
1 110.5
5 129.7
10 151.9
20 188.9
상기 표 4에서의 결과를 살펴보면, 세포성장 최적조건에서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우렁이 추출물 농도 20.0%(W/V)에서 189.46%의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증식 효과가 있음은 우렁이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세포증식 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우렁이 추출물의 우수한 세포증식 효과와 더불어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렁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효과는 물론, 피부 장벽 강화효과, 항염증 효과를 비롯한 세포 증식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우렁이를 아세트산이 가미된 20 ∼ 30℃, 7 ~ 10%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적하여 이물질과 특이취를 제거하는 제1공정;
    상기 침적물을 정제수에 세척하여 완전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우렁이 건조 분쇄물에 대하여 물, 인산 완충용액, 약염기성 수용액,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출용매 5 ∼ 30배 부피량을 넣고, 추출기로 5 ∼ 70℃ 온도에서 4시간 ~ 15일간 추출시키는 제3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3공정에서 30 ~ 70℃ 온도에서 4 ~ 4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따라 얻어진 우렁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따라 얻어진 우렁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증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08646A 2005-01-31 2005-01-31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6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46A KR100666718B1 (ko) 2005-01-31 2005-01-31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46A KR100666718B1 (ko) 2005-01-31 2005-01-31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09A KR20060087809A (ko) 2006-08-03
KR100666718B1 true KR100666718B1 (ko) 2007-01-09

Family

ID=3717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646A KR100666718B1 (ko) 2005-01-31 2005-01-31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995B1 (ko) * 2015-05-19 2016-10-12 엄용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09A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23985A1 (en) Pharmaceutical or cosmetic preparations for topical and/or parenteral application, preparation methods thereof and use of same
EP285991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inseng berry pleurotus ferulae product.
KR20100092494A (ko) 산성 다당체의 부티르산-포름산 에스테르 혼합물, 및 그의 제조 및 피부 화장료로서의 용도
CN112168766A (zh) 一种抗炎舒缓芦荟胶及其制备方法
CN115517999A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在美容护肤中的应用
KR20210141142A (ko)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141538A (zh) 包含迷迭香提取物和乙酸视黄醇酯的透明质酸分解抑制剂
US967562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ixture of neutral oligosaccharides extracted from flaxseed
KR20050110720A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149562A (ja) 皮膚外用剤
KR100666718B1 (ko) 우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7511B1 (ko) 저분자량 황산콘드로이틴 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08721154B (zh) 一种用于皮肤保湿和屏障修复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0887294B1 (ko)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07455B1 (ko) 유근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
KR20180124443A (ko) 흰목이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4748399A (zh) 一种植物抗皱美容霜及其制备方法
CN113786371A (zh) 一种制备越橘海藻面膜的组合物、面膜及制备方法
KR20180124438A (ko) 아쿠아포린-3 발현촉진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올리고 히알루론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CN112641685A (zh) 一种保湿促循环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044419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444772B (zh) 一种保湿美白组合物及其在射频美容和医美护肤中的应用
JPH10182402A (ja) 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