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322B1 -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살수장치 - Google Patents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322B1
KR100666322B1 KR1020050060512A KR20050060512A KR100666322B1 KR 100666322 B1 KR100666322 B1 KR 100666322B1 KR 1020050060512 A KR1020050060512 A KR 1020050060512A KR 20050060512 A KR20050060512 A KR 20050060512A KR 100666322 B1 KR100666322 B1 KR 10066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air dome
water
air
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용
Original Assignee
(주)에어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돔 filed Critical (주)에어돔
Priority to KR102005006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사용하므로 물 사용에 대한 부담이 없이 매립장 에어돔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이용하여 에어돔 외부 전체에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로 연결된 살수용 호스를 사용하여 필요한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살수 처리함으로써, 산불 등의 외부화재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하절기 복사열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와 연결된 송수용 상압 호스를 사용함으로써, 바람 등으로 인한 에어돔의 불규칙 유동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에 골고루 살수처리 할 수 있고, 송수용 상압호스, 살수용 호스 등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연성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자재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보수 및 교체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매립장의 특성상 매립이 끝나고, 에어돔을 타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 시에도 100% 재사용이 가능하고, 에어돔의 증설 축소 시에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는 외부에 에어돔 케이블을 포함하고, 밀폐된 막 구조물의 실내 공간에 외부 공기를 가압 송풍하여 구조물을 부상시켜 무 지주공간을 형성하는 에어돔과; 상기 에어돔의 하부에 설치되고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되며,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끌어올려 송수용 상압호스로 수송함을 제어하는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와; 상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에서 연결되어 지면으로 연장되어 일정지점에서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올려져 상부면에서 살수용 호스와 연결되어 용수를 살수용 호스로 수송하는 송수용 상압호스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돔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용수를 살수처리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살수용 호스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가 태풍, 돌풍, 폭설 등의 악천후 시에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되게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로부터 수송되어 온 용수가 분출되게 살수용 호스에 다수 개가 형성 또는 장착되어 있는 분출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불 등의 외부화재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하절기 복사열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 등으로 인한 에어돔의 불규칙 유동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에 골고루 살수처리 할 수 있고, 자재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보수 및 교체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매립장의 특성상 매립이 끝나고, 에어돔을 타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 시에도 100% 재사용이 가능하고, 에어돔의 증설 축소 시에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매립장 에어돔, 에어돔 케이블, 송수용 상압호스, 살수용 호스, 분출구멍,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조인트(T관), 화재 대비, 복사열 방지.

Description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A watering apparatus of a fire preparation and radiant heat prevention of the summer season for a airdome of the reclaimered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의 설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의 설치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송수용 상압호스를 에어돔 조림라인에 고정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3a에서 송수용 상압호스를 에어돔 섹션조림라인에 고정하는 형상의 단면(도 1, 2의 B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송수용 상압호스를 에어돔 케이블에 고정하는 형상(도 1, 2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살수용 호스에 분출구멍을 가공하여 살수 가능하게 하는 형상(도 1, 2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살수용 호스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장착하여 살수 가능하게 하는 형상(도 1, 2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도 6a에서 살수용 호스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장착되는 형상(도 1, 2의 A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돔 20 : 에어돔 케이블
30 :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 40 : 송수용 상압호스
50 : 살수용 호스 51 : 분출구멍
52 : 스프링클러 헤드 53 : 연결관
60 : 에어돔 섹션 조립라인(씸조인트) 61 : 아이볼트
62 : 고정걸이 63 : 고정홀더
70 : 연결조인트(T관) 71 : 연결고정밴드
본 발명은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사용하므로 물 사용에 대한 부담이 없이 매립장 에어돔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이용하여 에어돔 외부 전체에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로 연결된 살수용 호스를 사용하여 필요한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살수 처리함으로써, 산불 등의 외부화재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하절기 복사열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와 연결된 송수용 상압 호스를 사용함으로써, 바람 등 으로 인한 에어돔의 불규칙 유동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에 골고루 살수처리 할 수 있고, 송수용 상압호스, 살수용 호스 등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연성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자재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보수 및 교체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매립장의 특성상 매립이 끝나고, 에어돔을 타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 시에도 100% 재사용이 가능하고, 에어돔의 증설 축소 시에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돔인 공기막 구조물은 밀폐된 막 구조물의 실내 공간에 외부 공기를 가압 송풍하여 구조물을 부상시켜 무 지주공간을 창출하는 특수구조물로서, 외부하중 특히 태풍, 돌풍, 폭설 등이 구조물 안전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된다. 따라서 에어돔은 태풍, 돌풍, 폭설 등 악천후 시에는 구조물의 유동이 상당히 심한 관계로 구조물 내, 외부에 경직된 부속시설물은 장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막으로 제작된 에어돔을 파손 시킬 위험성까지도 상존하기 때문에 파이프 시설 등의 장착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에어돔 특히, 매립장에 사용되는 에어돔은 사용특성상 실내에 별도의 조명시설이 부적합하다. 그래서 에어돔 제작 시 투광성이 좋은 막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하절기에는 복사열로 인하여 실내의 온도가 외부보다 다소 높아 실내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뒤 따른다. 또한 에어돔에 사용되는 막재는 기본적으로 방염처리가 된 소재를 사용하지만, 요즘과 같이 빈번히 발생되는 산불은 물론 외부의 화재 발생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실정이다.
한편, 매립장은 진입차량의 세륜과, 사업장의 청소 및 반입되는 매립재에 따라 매립시 살수가 필요하고,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해 심정과 저수조를 개발, 축조하여 많은 양의 자체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여건으로 인하여 물 사용이 어느 현장보다 유리하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대비책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산불 등의 외부화재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하절기 복사열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 등으로 인한 에어돔의 불규칙 유동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에 골고루 살수처리 할 수 있고, 자재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보수 및 교체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매립장의 특성상 매립이 끝나고, 에어돔을 타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 시에도 100% 재사용이 가능하고, 에어돔의 증설 축소 시에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의 개발에 따른 공급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사용하므로 물 사용에 대한 부담이 없이 매립장 에어돔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이용하여 에어돔 외부 전체에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로 연결된 살수용 호스를 사용하여 필요한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살수 처리함으로써, 산불 등의 외부화재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하절기 복사열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 를 위한 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와 연결된 송수용 상압 호스를 사용함으로써, 바람 등으로 인한 에어돔의 불규칙 유동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에 골고루 살수처리 할 수 있는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용 상압호스, 살수용 호스 등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연성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자재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보수 및 교체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장의 특성상 매립이 끝나고, 에어돔을 타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 시에도 100% 재사용이 가능하고, 에어돔의 증설 축소 시에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는 외부에 에어돔 케이블을 포함하고, 밀폐된 막 구조물의 실내 공간에 외부 공기를 가압 송풍하여 구조물을 부상시켜 무 지주공간을 형성하는 에어돔과; 상기 에어돔의 하부에 설치되고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되며,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끌어올려 송수용 상압호스로 수송함을 제어하는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와; 상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에서 연결되어 지면으로 연장되어 일정지점에서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올려져 상부면에서 살수용 호스와 연결되어 용수를 살수용 호스로 수송하는 송수용 상압호스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돔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용수를 살수처리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살수용 호스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가 태풍, 돌풍, 폭설 등의 악천후 시에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되게 하는 씸조인트를 씸조인트 조립용 볼트의 돌출 부분에 동일규격의 아이볼트를 장착하고 송수용 상압호스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재질의 고정홀더와 고정걸이를 이용하여 아이볼트에 걸어 위치시킨 고정수단과;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로부터 수송되어 온 용수가 분출되게 살수용 호스에 다수 개가 형성 또는 장착되어 있는 분출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에어돔 케이블은 에어돔 전 표면에 격자로 골고루 분포된 케이블구조에 송수용 상압호스를 고무 또는 플라스틱 고정홀더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여 에어돔 상부면의 살수용 호스 연결 지점까지 고정 하여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수용 호스는 에어돔 상부의 에어돔케이블구조에 고정홀더를 이용하여 분출구멍 또는 스프링클러헤드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에어돔 상부면에 분포된 살수용 호스의 양쪽 끝은 분출구멍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를 통한 살수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밀봉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출수단은 분출구멍, 스프링클러헤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의 설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의 설치 정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송수용 상압호스를 에어돔 조림라인에 고정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송수용 상압호스를 에어돔 섹션조림라인에 고정하는 형상의 단면(도 1, 2의 B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송수용 상압호스를 에어돔 케이블에 고정하는 형상(도 1, 2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살수용 호스에 분출구멍을 가공하여 살수 가능하게 하는 형상(도 1, 2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에서 살수용 호스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장착하여 살수 가능하게 하는 형상(도 1, 2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살수용 호스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장착되는 형상(도 1, 2의 A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는 외부에 에어돔 케이블(20)을 포함하고, 밀폐된 막 구조물의 실내 공간에 외부 공기를 가압 송풍하여 구조물을 부상시켜 무 지주공간을 형성하는 에어돔(10)과; 상기 에어돔의 하부에 설치되고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되며,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끌어올려 송수용 상압호스로 수송함을 제어하는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30)와; 상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에서 연결되어 지면으로 연장되어 일정지점에서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올려져 상부면에서 살수용 호스와 연결되어 용수를 살수용 호스로 수송하는 송수용 상압호스(40)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70)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돔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용수를 살수처리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살수용 호스(50)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가 태풍, 돌풍, 폭설 등의 악천후 시에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되게 하는 고정수단(20, 60)과;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로부터 수송되어 온 용수가 분출되게 살수용 호스에 다수 개가 형성 또는 장착되어 있는 분출수단(51, 52); 을 구비한다.
상기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의 주요 기술적인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돔(10)은 외부에 에어돔 케이블(20)을 포함하고, 밀폐된 막 구조물의 실내 공간에 외부 공기를 가압 송풍하여 구조물을 부상시켜 무 지주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30)는 상기 에어돔의 하부에 설치되고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되며,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끌어올려 송수용 상압호스로 수송함을 제어한다.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40)는 상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에서 연결되어 지면으로 연장되어 일정지점에서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올려져 상부면에서 살수용 호스와 연결되어 용수를 살수용 호스로 수송한다.
상기 살수용 호스(50)는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70)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돔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용수를 살수처리 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살수용 호스(50)는 에어돔 상부의 에어돔케이블구조에 고정홀더(63)를 이용하여 분출구멍(51) 또는 스프링클러헤드(52)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에어돔 상부면에 분포된 살수용 호스의 양쪽 끝은 분출구멍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를 통한 살수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밀봉 처리한다.
상기 고정수단(20, 60)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가 태풍, 돌풍, 폭설 등의 악천후 시에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되게 한다. 상기 고정수단인 씸조인트(에어돔 섹션 조립라인)(60)는 씸조인트 조립용 볼트의 돌출 부분에 동일규격의 아이볼트(61)를 장착하고 송수용 상압호스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재질의 고정홀더(63)와 고정걸이(62)를 이용하여 아이볼트에 걸어 위치시킨다. 또 다른 고정수단인 에어돔 케이블(20)은 에어돔 전 표면에 격자로 골고루 분포된 케이블구조에 송수용 상압호스를 고무 또는 플라스틱 고정홀더(63)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여 에어돔 상부면의 살수용 호스 연결 지점까지 고정하여 위치시킨다.
상기 분출수단(51, 52)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로부터 수송되어 온 용수가 분출되게 살수용 호스에 다수 개가 형성 또는 장착된다. 상기 분출수단은 분출구멍 (51), 스프링클러헤드(52)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용 상압호스의 설치는 지하수나 저수조의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30)에 연결된 송수용 상압호스(40)를 에어돔(10)의 일정 면적을 분할하여 살수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별도의 송수 2라인을 1조로 하여 3개면에서 연결 분산되도록 한다. 여기서 송수용 호스는 일정 거리, 높이 및 살수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압호스(40)를 사용하며, 그 굵기는 구조물의 크기, 즉 살수면적에 따라 적정 규격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40)를 에어돔 섹션 조립라인(씸조인트)(60)에 고정하는 방식은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30)에서 연결되어 지면으로 연장되어 온 송수용 상압호스(40)가 일정지점에서 에어돔(10)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올려지고 상부면에서는 살수용 호스(50)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나란히 분포 위치한다. 도 1과 도 2의 B 부분과 같이,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올라갈 때 설치 지점이 에어돔 섹션 조립라인(씸조인트)(60)을 이용하게 될 경우에는 도 3b의 상세도와 같이, 씸조인트(60)의 조립을 위해 장착된 볼트의 돌출 부분을 이용하고, 상기 씸조인트 조립용 볼트의 돌출 부분에 동일규격의 아이볼트(61)를 장착하고 송수용 상압호스(40)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재질의 고정홀더(63)와 고정걸이(62)를 이용하여 아이볼트에 걸어 위치시킨다. 여기에 사용되는 고정걸이(62)와 고정홀더(63)는 에어돔의 유동 시에도 에어돔 코팅면에 손상이 없고, 송수용 상압호스(40)의 유동에도 어느 정도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한 연성재질을 사용토록 한다. 또한 씸조인트(60)는 일정간격으로 연결하여 에어돔 상부면의 살수용 호스(50) 연결 지점까지 고정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40)를 에어돔 케이블(20)에 고정하는 방식은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30)에서 연결되어 지면으로 연장되어 온 송수용 상압호스(40)가 일정지점에서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올려지고 상부면에서는 살수용 호스(50)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나란히 분포 위치한다. 도 1과 도 2의 C 부분과 같이, 에어돔(10) 측면부를 타고 올라갈 때 설치지점이 에어돔 섹션조립라인(씸조인트)(60)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도 4의 상세도와 같이, 에어돔의 하중분산을 위해 구조물에 분포하여 장착된 케이블구조를 이용하며, 에어돔 전 표면에 격자로 골고루 분포된 케이블구조에 송수용 상압호스를 고무 또는 플라스틱 고정홀더(63)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여 에어돔 상부면의 살수용 호스(50) 연결 지점까지 고정 위치시킨다. 상기 고정홀더(63)는 에어돔의 유동시 케이블의 변위가 발생되므로 케이블의 위치가 조금씩 변위가 된다 하더러도 케이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성재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며, 철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에어돔의 코팅면에 손상이 없도록 피복된 재질을사용하고, 케이블 변위에도 송수용 상압호스(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허용 유동 폭을 두고 장착한다.
도 1, 도 2와 도 5 내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용 호스를 이용한 살수방식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30)에서부터 연결되어 지면을 따라 위치하다가 에어돔 섹션라인(씸조인트)(60)또는 케이블(20)구조에 고정하여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위치한 송수용 상압호스(40)는 에어돔 상부의 전면적에 고루 살수하기 위해 연결조인트(T관)(70)를 이용하여 살수용 호스(50)와 연결하여 연장 분포시킨다. 또한 에어돔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위치한 살수용 호스(50)가 에어돔의 유동시에도 일정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에어돔의 케이블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 고정홀더(63)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홀더(63)는 에어돔의 유동으로 인한 케이블 변위에도 탄력성을 유지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연성 재질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며, 철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피복된 재질로 케이블 변위 폭을 감안하여 여유있게 고정하며, 에어돔의 코팅면에 손상이 없는 재질로 한다.
상기 살수용 호스에 분출구멍을 가공하여 에어돔에 살수하는 방식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약40 내지 50cm)으로 분출구멍이 가공된 살수용 호스(50)를 에어돔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연장하여 위치시키고,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올라온 송수용 상압호스는 연결조인트(T관)(70)를 이용하여 상부면에 수평으로 분포시킨 분출구멍(51)이 가공된 살수용 호스(50)를 연결시키며, 연결용 고정벤드(71)를 이용하여 단단히 연결토록 한다. 상기 살수용 호스(50)는 에어돔 상부의 에어돔케이블구조에 고정홀더(63)를 이용하여 분출구멍(51)과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며, 에어돔 상부면에 분포된 살수용 호스(50)의 양쪽 끝은 분출구멍(51)을 통한 살수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밀봉처리를 한다.
상기 살수용 호스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장착하여 에어돔에 살수하는 방식은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수용 호스(50)에 일정간격(1.5 내지 2 m)으로 연결관(53)에 스프링클러헤드(52)를 장착 연결하여 고정벤드(71)로 고정시키고, 스프링클러헤드(52)가 장착된 살수용 호스(50)를 에어돔(10)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연장 분포하여 위치시킨다. 상기 살수용 호스(50)는 에어돔의 측면부를 타고 올라온 송수용 상압호스(40)와 연결조인트(T관)을 이용하여 연결시키고, 스프링클러헤드(52)가 장착된 살수용 호스(50)는 에어돔 상부의 에어돔 케이블구조에 고정홀더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헤드(52)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며, 에어돔 상부면에 분포된 살수용 호스(50)의 양쪽 끝은 스프링클러헤드(52)를 통한 살수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밀봉처리를 한다.
따라서 산불 등의 외부화재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하절기 복사열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 등으로 인한 에어돔의 불규칙 유동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에 골고루 살수처리 할 수 있고, 자재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보수 및 교체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매립장의 특성상 매립이 끝나고, 에어돔을 타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 시에도 100% 재사용이 가능하고, 에어돔의 증설 축소 시에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사용하므 로 물 사용에 대한 부담이 없이 매립장 에어돔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이용하여 에어돔 외부 전체에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로 연결된 살수용 호스를 사용하여 필요한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살수 처리함으로써, 산불 등의 외부화재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하절기 복사열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와 연결된 송수용 상압 호스를 사용함으로써, 바람 등으로 인한 에어돔의 불규칙 유동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에 골고루 살수처리를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송수용 상압호스, 살수용 호스 등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연성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자재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보수 및 교체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다. 인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매립장의 특성상 매립이 끝나고, 에어돔을 타 장소로 이동하여 재설치 시에도 100% 재사용이 가능하고, 에어돔의 증설 축소 시에도 효과적인 대처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에어돔 케이블을 포함하고, 밀폐된 막 구조물의 실내 공간에 외부 공기를 가압 송풍하여 구조물을 부상시켜 무 지주공간을 형성하는 에어돔과;
    상기 에어돔의 하부에 설치되고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되며, 매립장 자체의 지하수 또는 저수조에 있는 용수를 끌어올려 송수용 상압호스로 수송함을 제어하는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와;
    상기 송수용 펌프 및 개폐장치에서 연결되어 지면으로 연장되어 일정지점에서 에어돔 측면부를 타고 상부면까지 올려져 상부면에서 살수용 호스와 연결되어 용수를 살수용 호스로 수송하는 송수용 상압호스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와 연결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돔 상부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용수를 살수처리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살수용 호스와;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가 태풍, 돌풍, 폭설 등의 악천후 시에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되게 하는 씸조인트를 씸조인트 조립용 볼트의 돌출 부분에 동일규격의 아이볼트를 장착하고 송수용 상압호스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재질의 고정홀더와 고정걸이를 이용하여 아이볼트에 걸어 위치시킨 고정수단과;
    상기 송수용 상압호스로부터 수송되어 온 용수가 분출되게 살수용 호스에 다수 개가 형성 또는 장착되어 있는 분출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에어돔 케이블을 에어돔 전 표면에 격자로 골고루 분포된 케이블구조에 송수용 상압호스를 고무 또는 플라스틱 고정홀더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여 에어돔 상부면의 살수용 호스 연결 지점까지 고정하여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용 호스는 에어돔 상부의 에어돔케이블구조에 고정홀더를 이용하여 분출구멍 또는 스프링클러헤드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에어돔 상부면에 분포된 살수용 호스의 양쪽 끝은 분출구멍 또는 스프링클러헤드을 통한 살수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밀봉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수단은 분출구멍, 스프링클러헤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 살수장치.
KR1020050060512A 2005-07-06 2005-07-06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살수장치 KR10066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512A KR100666322B1 (ko) 2005-07-06 2005-07-06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512A KR100666322B1 (ko) 2005-07-06 2005-07-06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322B1 true KR100666322B1 (ko) 2007-01-09

Family

ID=3786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512A KR100666322B1 (ko) 2005-07-06 2005-07-06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86B1 (ko) * 2015-06-01 2016-09-12 조광식 에어돔
JP2019090482A (ja) * 2017-11-15 2019-06-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配管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811A (en) 1995-03-17 1997-06-24 Boyle; Marvin L. Outdoor dome biased rafter-brace, rafter-brace and four-way connector framework
JPH11128387A (ja) * 1997-10-30 1999-05-1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配管設備及び該スプリンクラ配管設備に用いる多口継手ユニット
JPH11235396A (ja) * 1998-02-24 1999-08-31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及び該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に用いるヘッ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811A (en) 1995-03-17 1997-06-24 Boyle; Marvin L. Outdoor dome biased rafter-brace, rafter-brace and four-way connector framework
JPH11128387A (ja) * 1997-10-30 1999-05-18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配管設備及び該スプリンクラ配管設備に用いる多口継手ユニット
JPH11235396A (ja) * 1998-02-24 1999-08-31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及び該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に用いるヘッ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86B1 (ko) * 2015-06-01 2016-09-12 조광식 에어돔
JP2019090482A (ja) * 2017-11-15 2019-06-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配管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264B1 (en) Sprinkler system
US7828069B2 (en) Fire extinguishing roof soaker
US6167971B1 (en) Fire Protection system
CN108043630B (zh) 一种储罐外壁自动清洗、喷涂装置
CN204557981U (zh) 自清洁户外广告牌
CN108442717B (zh) 用于混凝土结构侧面养护装置及施工方法
KR101060657B1 (ko) 산불 진화 및 물관리 시스템
US4372493A (en) Roof cooling system
US20100314138A1 (en) Humidity modifier system
CN108636641A (zh) 一种对施工现场降尘除霾的系统及其施工方法
EP1107829B1 (en) sprinkler nozzle
KR100666322B1 (ko) 매립장 에어돔의 화재 대비 및 하절기 복사열 방지를 위한살수장치
CN205277442U (zh) 一种用于隧道混凝土养护的可移动式自动喷淋系统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JP4551989B2 (ja) 屋根の散水装置
KR200496577Y1 (ko)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CN209760763U (zh) 一种建筑爬架
CN106861085B (zh) 一种用于古建筑廊桥的灭火系统及其施工方法
CN105052605A (zh) 绿化墙装饰安装结构
WO2000021614A1 (en) Portable wall-attachable fire fighting apparatus and method
CN214853292U (zh) 一种环保型绿化灌溉养护装置
CN211368557U (zh) 一种改进型的大气污染防治喷淋设备管网结构
CN214126354U (zh) 灌溉喷雾装置
KR100429600B1 (ko) 터널 소화용 스프레이 헤드
CN217428855U (zh) 一种园林绿化节水喷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