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724B1 - 개구 스톱을 전환할 수 있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 Google Patents

개구 스톱을 전환할 수 있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724B1
KR100665724B1 KR1020000070554A KR20000070554A KR100665724B1 KR 100665724 B1 KR100665724 B1 KR 100665724B1 KR 1020000070554 A KR1020000070554 A KR 1020000070554A KR 20000070554 A KR20000070554 A KR 20000070554A KR 100665724 B1 KR100665724 B1 KR 10066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lens
photographing lens
chang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945A (ko
Inventor
고이께가즈미
마수다다께시
미까미유지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760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83716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 렌즈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렌즈 요소와 스톱 개구(stop opening)는 이 순서대로 광학축 상에 배치된다. 스톱판(stop plate)은 스톱 다운(stop down) 개구를 갖는다. 스톱판은 광학축 상에 제 1 및 제 2 렌즈 요소 사이로 스톱 다운 개구가 삽입되어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1이 되는 제 1 위치와, 스톱 다운 개구가 광학축으로부터 후퇴하여 f 넘버가 f2가 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촬영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log2(L / 100)| < 1.9
0 < E ≤ 2 - 0.91 × |log2(L / 100)|
여기서 L(%)은 스톱 다운 개구가 광학축에 삽입되었을 때의 프레임 중앙부의 광강도에 대한 프레임 주변부의 광강도의 비율을, E(EV)는 프레임 주변부에서의 최대 노출량과 최소 노출량 사이의 차를 나타낸다. 촬영 렌즈는 또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δx·f1 / F < 0.06
여기서 F(mm)는 촬영 렌즈의 근축(近軸)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MTF 곡선의 공간 주파수를 u(선수(線數)/mm, lines/mm)라고 하고, DL(mm)을 프레임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이라고 할 때, δx(mm)는 스톱 개구가
u = 20 × 21.63 / DL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전환할 때의 MTF 곡선에서의 피크치 변동을 나타낸다.
근축 초점 거리, 스톱 다운

Description

개구 스톱을 전환할 수 있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LENS-FITTED PHOTO FILM UNIT CAPABLE OF CHANGING OVER APERTURE STOP}
도 1은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렌즈 배럴(barrel)의 단면도.
도 5a는 광학축에 스톱 다운 개구가 삽입된 경우의 노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b는 도 5a와 유사하지만 스톱 다운 개구가 후퇴한 경우의 노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6a는 초점 거리가 다른 2 개의 촬영 렌즈를 갖는 노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초점 거리가 다른 2 개의 촬영 렌즈를 갖는 노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셔터 블레이드의 회전각에 대한 광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주변부의 광강도와 노출차에 대한 노출 불균일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a는 F2 = 1.7 × F1의 조건에서 스톱의 전환에 의한 래티튜드(lattitude, 노출 관용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b는 도 9a와 유사하지만 F2 = 3 × F1의 조건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입사광의 주변부가 스톱판(stop plate)에 의해 절단된 입사광의 광로(optical path)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촬영 렌즈의 가로 수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a는 스톱 다운 개구가 광학축으로부터 후퇴한 경우의 촬영 렌즈의 구면 수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스톱 다운 개구가 광학축으로부터 후퇴한 경우의 상면의 곡률[상면 만곡(curvature of field)]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 및 도 12b와 유사하지만, 스톱 다운 개구가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한 착란원(circle of confusion)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
도 15a는 스톱 다운 개구가 광학축으로부터 후퇴한 경우의 입사광의 광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5b는 도 15a와 유사하지만 스톱 다운 개구가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a는 스톱 다운 개구가 광학축으로부터 후퇴한 경우에 입사광의 광속이 셔터 블레이드에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6b는 도 16a와 유사하지만 스톱 다운 개구가 삽입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
도 17은 셔터 블레이드의 회전을 설명한 도면.
도 18a는 광각 렌즈가 광학축에 설치된 경우의 입사광의 광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8b는 도 18a와 유사하지만 망원 렌즈가 설치된 경우의 설명도.
본 발명은 스톱(stop)의 전환에 의한 노출 전환 기구를 갖는 방식의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톱의 위치 변화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한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사진 필름이 미리 장전되고, 촬영 렌즈나 셔터 구동 기구 등의 촬영 기구를 갖는 여러 종류의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가 제조 판매되고 있다. 이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이하 간단히 '필름 유니트'라고 함)에서는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가능한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유니트에 고정된 스톱 개구와 스트럭식(struck-type) 셔터 블레이드를 이용하고 있다. f 넘버 및 셔터 스피드는 고정되어 있고, 촬영 조건 또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열악한 촬영 조건 하에서, 노출량이 래티튜드(latitude, 노출 관용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노출 부족 조건하에서는 인화된 이미지가 번져 보이고 콘트라스트(contrast)가 떨어지며 입자가 거칠어진다. 반면 노출 과다 조건하에서는 인화 작업 시에 인화지에 노출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최근 필름 유니트 등과 같은 저렴한 카메라의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촬영 조건을 바꿀 수 있는 기구(mechanism)가 고려되고 있다. 예로는 피사체의 광강도(brightness)에 따른 스톱 제어 기구와,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초점 거리가 각각 다른 촬영 렌즈를 바꿀 수 있는 기구를 들 수 있다. 필름 유니트와 같은 저렴한 카메라에는 복잡하거나 고가의 기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스톱 다운(stop-down) 개구를 갖는 스톱판(stop plate)을 이동하는 노출 전환 기구가 필름 유니트에 이용되고 있다.
삭제
예를 들어,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조의 촬영 렌즈(100, 101)가 수납된 렌즈 배럴(lens barrel)(102)의 뒤쪽에 셔터 블레이드(103)가 설치되고, 촬영 렌즈(100, 101) 사이에 스톱 다운 개구를 갖는 스톱판(104)을 삽입하거나 후퇴시키는 경우, 광학축 상에서 스톱 개구(stop opening)가 다른 위치에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도 15a 및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판(104)이 후퇴 위치에 있는 경우, 사진 필름(105)의 단부에 초점이 맺히는 입사광의 광속(flux)은 셔터 블레이드(103)와 중첩되어 있다. 반면, 도 15b 및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판(104)이 삽입 위치에 있는 경우, 각각의 광속은 셔터 블레이드(103)에서 분리되어 있다.
필름 유니트에 셔터 구동 기구를 사용하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블레이드가 기동(struck)하여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노출이 행해진다. 셔터 블레이드로 조사(irradiate)된 5 개의 입사광의 광속 중에서, 도 17에서 음영(hatch)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될 때의 좌하(左下) 광속의 시간이 우상(右上)의 것보다 더 길다. 좌하의 광속에 의한 사진 필름 상의 노출은 우상의 것보다 적다. 따라서 스톱 다운 개구를 삽입함으로써 셔터 블레이드 상에서 광속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노출 불균일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셔터 블레이드를 배치하고, 스톱판이 삽입 또는 후퇴할 때에 셔터 블레이드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셔터 블레이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은 어려운데, 이는 셔터 블레이드가 사진 필름실을 어둡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셔터 릴리스 동작을 구현하는 부재이기 때문이다.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 거리가 다른 촬영 렌즈를 교환할 때에는 스톱 개구(stop opening)의 최적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광각 렌즈(106)를 사용할 때에는,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진 필름(105)의 가장자리에 초점이 맞는 광속이 셔터 블레이드(103)와 중첩된다. 한편 망원 렌즈(107)를 사용할 때에는,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속이 셔터 블레이드(103)에서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노출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노출 불균일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광각 상태와 망원 상태 사이의 최적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촬영 렌즈의 배율(power)과 위치(position)를 고안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촬영 렌즈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없었다.
필름 유니트에 사용되는 촬영 렌즈는 주변부 영역과 중심 영역 사이의 화질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구면 수차가 불충분하게 보정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구면 수차 때문에 피사체와의 거리는 노출 개구가 광학축에 삽입되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초점의 변동이 생긴다. 이 경우 스톱 다운 개구를 삽입함으로써 임의 거리에서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필름 유니트에 사용되는 촬영 렌즈는 저가로 제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색수차가 불충분하게 보정된다. 따라서 큰 색수차를 갖는 광속만이 스톱 다운 개구를 통과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톱 다운 개구(stop-down opening)를 삽입하여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톱(stop)의 전환에 의한 노출 불균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톱의 전환시에도 초점의 변동을 줄일 수 있는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름 유니트는 사진 필름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1 개의 촬영 렌즈와,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해 촬영 렌즈의 광학축에 배치되는 스톱 체인저(stop changer)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적어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1로 되고,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2로 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단, f2 > f1)로서,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log2(L / 100)| < 1.9
0 < E ≤ 2 - 0.91 × |log2(L / 100)|
의 조건을 만족한다(단, L(%)는 스톱 체인저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프레임 중심부의 광강도에 대한 프레임 주변부의 광강도의 비를 나타내고, E(EV)는 프레임 주변부의 최대 노출량과 최소 노출량 사이의 차(差)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필름 유니트가 2 개의 렌즈 요소로 이루어진 촬영 렌즈와, 유니트 본체 내에 형성된 노출 개구와, 스톱 개구보다 작은 스톱 다운 개구를 갖는 스톱판을 포함한다. 스톱판은 2 개의 렌즈 요소 사이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색수차가 큰 입사광 부분이 스톱판에 의해 절단되므로 화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출차가 크더라도 주변부의 광강도가 클 때 노출 불균일이 두드러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노출 불균일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주변부의 광강도 허용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촬영 렌즈와 셔터 블레이드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렌즈의 설계가 한층 용이해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름 유니트는 사진 필름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1 개의 촬영 렌즈와,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해 촬영 렌즈의 광학축에 배치되는 스톱 체인저(stop changer)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적어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1로 되고,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2로 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단, f2 > f1)로서,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δx·f1 / F < 0.06
의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F(mm)는 촬영 렌즈의 근축(近軸) 초점 거리를 나타내고, δx(mm)는 스톱 체인저의 전환에 따른 MTF 곡선에서의 피크 위치 변동을 나타내며, u는 다음과 같은
u = 20 × 21.63 / DL
의 조건을 만족한다. 단, u(선수/mm)는 MTF 곡선의 공간 주파수, DL(mm)은 프레임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이다.
MTF 곡선에서의 피크 위치의 변화를 일정한 범위로 결정함으로써, 초점 거리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스톱 다운 개구를 삽입함으로써 임의 거리에서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수의 도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필름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필름 유니트는 각종 촬영 기구를 갖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외주에 감기는 외장 라벨(11)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의 전면(前面)에는 촬영 렌즈(12), 뷰 파인더(13), 전환용 노브(knob)(14)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셔터 버튼(15)과 프레임 카운터(16)가 설치되고, 뒤쪽에는 와인딩 휠(17)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베이스부(20), 노출 유니트(21), 사진 필름 카세트(22), 사진 필름(23), 전(前)커버(24) 및 후(後)커버(25)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0)는 사진 필름(23)의 프레임 영역을 결정하는 노출 개구(26)와, 사진 필름 카세트(22)를 수납하는 카세트 챔버(27)(cassette chamber) 및 롤에 감긴 사진 필름(23)을 수납하는 사진 필름 수납실(30)로 구성된다.
또 카세트 챔버(27)의 상부에는 와인딩 휠(17)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하부에 형성된 축은 사진 필름 카세트(22)에 수납된 스풀(22a)(spool)과 결합되어 있다. 또 사진 필름(23)의 선단부는 스풀(22a)에 형성된 슬릿(도시하지 않음)에 들어가서 고정되어 있다. 와인딩 휠(1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22a) 또한 회전하며, 사진 필름(23)은 사진 필름 카세트(22) 내로 감겨진다.
전(前)커버(24)에는 촬영 렌즈(12)와 뷰 파인더(13) 등을 외부로 드러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전커버(24)와 후(後)커버(25)는 하우징(10) 내부를 광밀(light-tight)하게 덮고 있다. 후커버(25)에는 바닥 뚜껑(31a, 31b)이 형성되어 있고, 사진 필름 카세트(22) 및 감겨진 사진 필름(23)의 바닥부를 광밀하게 덮고 있다. 또 바닥 뚜껑(31a)은 사진 필름 카세트(22)를 외부로 꺼낼 때에 개방된다.
전환 노브(14)는 전커버(24)에 형성된 개구(32) 내에 있다. 개구(32)는 수평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환 노브(14)는 좌측 위치(이하 "제 1 위치")와 우측 위치(이하 "제 2 위치") 사이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전환 노브(14)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돌출부와 클릭 결합되어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유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출 유니트(21)는 노출 터널(33), 셔터 블레이드(34), 셔터 커버(35) 등으로 구성된다. 노출 터널(33)의 중앙에는 셔터 개구(36)가 형성되어 있고, 노출 터널(33)의 상부에는 뷰 파인더(13), 셔터 레버(37), 셔터 구동 기구, 사진 필름 감기 멈춤 기구 등이 장착되어 있다.
셔터 블레이드(34)는 셔터부(shutting portion)(34a)와 탑재부(34b)로 구성되어 있고, 탑재부(34b)에 형성된 개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노출 터널(33)에 장착된다. 셔터 블레이드(34)는 셔터부(34a)가 광학축(19)에 위치하여 빛을 차단하고 있는 폐쇄 위치에 스프링(40)의 바이어스(bias)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셔터 버튼(15)을 누르면 셔터 구동 기구가 작동하고 셔터 레버(37)가 이동한다. 셔터 레버(37)가 탑재부(34b)의 모서리를 때리고, 셔터 블레이드(34)는 스프링(40)의 바이어스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 후, 스프링(40)의 바이어스에 의해 셔터 블레이드(34)가 폐쇄 위치로 돌아올 때까지 셔터 개구(36)가 개방된다. 셔터 블레이드(34)의 개폐 시간은 일정값, 예를 들면 1/60 sec(초)로 고정되어 있다.
삭제
셔터 커버(35)는 노출 터널(33)의 전면(前面)에 장착되어 셔터 블레이드(34)를 덮고 있다. 셔터 커버(35)에는 제 1 스톱 개구로서의 노출 개구(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출 개구(42)의 주위에는 렌즈 배럴(43)이 셔터 커버(35)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촬영 렌즈(12)는 제 1 렌즈 요소(44)와 제 2 렌즈 요소(45)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고리 형상의 스페이서(4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렌즈 배럴(43)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렌즈 요소(44)에는 물체측이 볼록한 면이 되는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가 이용되고, 제 2 렌즈 요소(45)에는 볼록 렌즈가 이용되고 있다. 렌즈 배럴(43)의 전면(前面)에는 렌즈 수용부(47)가 장착되어 있다. 렌즈 수용부(47)가 제 1 렌즈 요소(44)의 외주부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촬영 렌즈(12)는 셔터 커버(35)와 렌즈 수용부(47)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제 1 렌즈 요소(44)와 제 2 렌즈 요소(4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 스페이서(46)(spacer)가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46)로서는 마일러 시트(mylar sheet)와 같은 시트 형상의 부재나, 성형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 두께는 0.2 mm 이상, 후자의 경우 두께 0.4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제 1 렌즈 요소(44) 또는 제 2 렌즈 요소(45)의 모서리에 돌기를 형성하고, 스페이서(46)를 생략해도 좋다.
전환 노브(14)에는 노출 개구(4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스톱 다운 개구(50)가 제 2 스톱 개구로서 형성된 스톱판(51)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 배럴(43)의 측부에는 홈(43a)(groove)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톱판(51)이 이 홈(43a)(groove)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46)의 물체측에는 오목부(46a)(recess)가 형성되어 있어 스톱판(51)이 이 오목부(46a)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렌즈 요소(44)와 제 2 렌즈 요소(45) 사이에 스톱판(51)을 삽입함으로써 스톱을 전환할 수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 노브(14)가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스톱 다운 개구(50)가 광학축(19) 상에 위치하고, 촬영 렌즈(12)의 f 넘버는 약 18이 된다. 따라서 스톱 다운 개구(50)에 의해서 노출량이 감소하게 되어 노출 과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전환 노브(14)가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스톱 다운 개구(50)가 광학축(19) 상에서 후퇴하고, f 넘버는 약 8이 된다. 따라서 스톱 다운된 경우보다 노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노출 부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촬영 렌즈(12)는 다음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log2(L / 100)| < 1.9
0 < E ≤ 2 - 0.91 × |log2(L / 100)|
삭제
삭제
여기서 L(%)은 스톱 다운 개구(50)가 광학축(19) 상에 삽입되었을 때의 프레임 중앙부의 광강도에 대한 주변부의 광강도의 비율을, E(EV)는 프레임 주변부에서의 최대 노출량과 최소 노출량 사이의 차(差)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판(51)의 삽입 및 후퇴에 의해서 스톱 개구의 위치가 변화한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보드(55)에 초점 거리가 다른 제 1 및 제 2 촬영 렌즈(53, 54)를 탑재하고 이 보드(55)를 이동시켜 광학축(19)에 이들 중 하나의 렌즈를 세팅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촬영 렌즈의 초점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스톱 개구의 최적 위치는 서로 다르다. 또한 초점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줌 렌즈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예(例)에 대해서 이하에서 수치값을 대입하여 설명한다. F는 촬영 렌즈(12)의 근축(近軸) 초점 거리, f1은 스톱 다운 개구(50)가 광학축(19)으로부터 후퇴한 경우의 f 넘버, f2는 스톱 다운 개구(50)가 광학축(19) 상에 삽입된 경우의 f 넘버이다. 셔터 블레이드(34)의 직경은 8.98 mm, 노출된 영역의 크기는 22.5×32.07 mm이다.
삭제
F = 33.40 (mm)
f1 = 8.05
f2 = 18.00
L = 57.90 (%)
이 경우 |log2(L / 100)| = 0.78 < 1.9이므로 상기 수학식 1을 충족한다.
촬영 렌즈(12)의 파라미터(렌즈 데이터)는 이하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i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각 렌즈면에 붙인 번호이고, R(mm)은 곡률 반경, D(mm)는 렌즈 요소 또는 인접한 렌즈 요소 사이의 공극의 두께, N은 굴절률, d는 분산, r(mm)은 유효 반경을 나타낸다.
Figure 112005023244453-pat00027
*로 표시한 표면은 다음 수학식으로 규정되는 비구면이다.
Figure 112005023244453-pat00002
여기서 c는 곡률 반경의 역수이고(c = 1 / R), h는 광학축(19)으로부터의 광로의 높이이고, K, A, B, C, D는 비구면 계수이다.
Figure 112000024950600-pat00003
표 3은 중앙 영역의 노출량에 대한 사진 필름의 각 프레임 영역 주변부에서의 노출량(EV)을 나타낸 것이다. 각 영역의 노출량은 주변부의 광강도(L)와 노출 시간의 곱으로 표시된다.
셔터 블레이드(43)가 등속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노출 시간은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θ1은 셔터 블레이드(43)의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의 각도이다. θ2는 셔터 블레이드(43)가 회동하여 중심 광속(flux)을 노출시키는 각도이다. θ3은 셔터 블레이드(43)가 중심 광속을 차단하는 각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그래프를 참조하면, 중심 영역의 노출 시간(T0)은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T0 = 2 × {θ1 - (θ2 + θ3) / 2}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주변부의 노출 시간(T1)을 산출하고, T1을 T0으로 나누어 중앙 영역에 대한 노출 시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43)의 회전 속도가 등속이 아닌 경우에는 노출된 영역의 농도(density)를 측정하여 노출차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진 필름(23)이 노출된 영역 전체에 걸쳐 특성 곡선이 거의 직선인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사진 필름(23)의 정지 위치의 변동을 고려하여, 소정의 감기 방향으로부터 변동된 위치에서 농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Figure 112000024950600-pat00004
표 3에 따르면 네 귀퉁이 중 우상(右上) 영역의 노출량이 가장 크고, 좌하(左下) 영역의 노출량이 가장 낮다. 본 실시예에서 노출차 E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E = -0.57 - (-1.05) = 0.48(EV)
이 E값은 수학식 2를 만족시킨다.
표 4는 몇 개의 샘플에 대한 노출 불균일을 평가한 결과이다. 그 결과를 도 8에서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도 8에서 가로축은 중심부의 광강도에 대한 주변부의 광강도(L)의 비의 절대값이고, 노출값(exposure value) EV로 표시되며, 수치가 증가하면 주변부의 광강도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반면 수직축은 상술한 방법으로 산출된 노출차(E)를 나타내며, 이 값이 증가하면 노출 불균일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실시예"로 표시된 데이터는 수치가 대입된 예의 경우이다.
Figure 112000024950600-pat00005
상기 표의 "판정" 중에 "○"은 노출 불균일이 두드러지지 않아 결과가 양호한 것을, "×"은 노출 불균일이 두드러져서 결과가 불량한 것을, "△"은 이들 사이의 중간 결과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도 8에서 점선은 수학식 1과 수학식 2의 등호가 성립되는 조건을 표시하고 있다.
도 8에서 샘플 1 및 샘플 3에 따르면, 주변부의 광강도(L) 및 노출차(E)가 점선 부근에 있는 경우에는 노출 불균일이 두드러지고, 화질이 열화됨을 알 수 있다. 또 샘플 2로부터, 주변부의 광강도(L)가 작은 경우에는 노출 불균일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노출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샘플 4 및 샘플 5로부터는 주변부의 광강도가 증가된 경우에는 노출 불균일이 두드러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스톱의 전환시에도 초점 거리의 변동이 감소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필름 유니트의 개략도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고, 노출 장치의 개략도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렌즈(12)는 다음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δx·f1 / F < 0.06
삭제
여기서 F(mm)는 촬영 렌즈(12)의 근축 초점 거리를, δx(mm)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스톱 개구의 전환에 의한 MTF 곡선의 피크 위치의 변동량이며, 다음과 같은 수학식 4를 만족한다.
u = 20 × 21.63 / DL
삭제
여기서 u(선수(線數)/mm)는 MTF 곡선의 공간 주파수를 나타내며, DL은 사진 필름(23)의 프레임 영역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을 나타낸다.
촬영 렌즈(12)의 f 넘버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제한된다.
1.7 × f1 < f2 < 3 × f1
삭제
여기서 f1은 스톱 다운 개구(50)가 광학축(19)으로부터 후퇴했을 때(이하 개방 상태라 함)의 f 넘버를 나타내고, f2는 스톱 다운 개구(50)가 광학축(19)에 삽입되었을 때(이하 스톱 다운 상태라고 함)의 f 넘버를 나타낸다.
f2의 값을 수학식 5의 하한으로 설정한 경우, 노출 개구(42)를 통과한 노출이 스톱 다운 개구(50)를 통과한 노출에 비해 1.53 EV이 노출차가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진 필름의 래티튜드(latitude)는 노출값으로 -1.5 내지 +3.5 EV로 표시된다.
도 9a는 스톱 다운 상태를 기초로 f2의 값이 수학식 5의 하한으로 설정되었을 때의 래티튜드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래티튜드 범위 사이의 중첩이 커지므로, 스톱의 전환에 의한 촬영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적정 노출 범위가 좁아지므로 노출 조건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노출을 취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f2의 값을 수학식 5의 하한값 이하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9b는 스톱 다운 상태를 기초로 f2의 값을 수학식 5의 상한으로 설정한 경우의 래티튜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적정 노출 범위가 이 넓어지므로, 노출 조건의 변화에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반면 래티튜드 사이의 중첩이 작아지므로, 촬영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f2의 값을 수학식 5의 상한값 이상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예에 적합한 수치를 이하에 나타낸다. 촬영 렌즈(12)의 데이터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F = 33.40 (mm)
f1 = 8.05
f2 = 18.00
d = 21.63 (mm)
δx1 = -0.17 (mm)
δx2 = -0.05 (mm)
δx = 0.12 (mm)
F는 촬영 렌즈(12)의 근축 초점 거리, f1은 개방 상태에서의 촬영 렌즈(12)의 f 넘버, f2는 스톱 다운 상태에서의 촬영 렌즈(12)의 f 넘버, d는 135 타입 사진 필름(24 × 36 mm)의 표준 프레임 크기에서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 δx1, δx2는 촬영 렌즈(12)에 단색광(파장: 587.56 nm)이 조사될 때의 MTF 곡선의 중심으로부터의 피크 위치의 변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δx1은 개방 상태에서의 값이고, δx2는 스톱 다운 상태에서의 값이다. 또한 δx는 δx1과 δx2의 차(差)의 절대값이다. 이 경우 δx·f1/F ≒ 0.029 < 0.06이므로 수학식 4를 만족한다.
또한 f1과 f2의 값도 수학식 5를 충족시키고 있다.
도 10은 점 P에 초점이 맺히는 입사광의 광로의 개략도이며, 광학축(19)로부터의 높이는 0.35 × d2이다(여기서 d2는 135 타입의 사진 필름에서의 인화 영역의 대각선 길이로 정의된다). 개방 상태에서는 도 10에서 A에서 B까지의 범위에 걸친 입사광이 점 P에 도달한다. 반면 스톱 다운 상태에서는 입사광의 주변부가 스톱 다운 개구(50)에 의해 차단되므로 도 10에서 C에서 D까지의 범위에 걸친 입사광이 점 P에 도달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 P에 초점이 맺힌 입사광의 가로 수차를 나타낸다. g라인(파장: 435.84 nm), d라인(파장: 587.56 nm), c라인(파장: 656.3 nm)을 입사광으로 이용하였다. 사진 필름(23)의 프레임 영역의 대각선 방향으로 반경이 -149.3 mm인 곡률이 수차에서 고려된다. 스톱 다운 개구(50)가 삽입되면 색수차가 큰 입사광이 스톱 다운 개구(50)에 의해 절단된다. 따라서 제 1 렌즈 요소(54)와 제 2 렌즈 요소(55) 사이에 스톱판(51)을 삽입하면 인화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개방 상태에서의 촬영 렌즈(12)의 구면 수차와 상면의 곡률을 나타낸 것이며, 도 12b에서 실선과 점선은 각각 라디얼(radial) 화면과 탄젠셜(tangential) 화면에 대한 수차를 나타낸다. 상면의 곡률은 사진 필름(23)의 노출된 영역의 대각선 방향으로 그 반경이 -149.3 mm인 곡률을 고려할 때의 화면에서의 수차로서 표시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스톱 다운 상태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 12a 및 도 12b와 동일하다.
삭제
도 14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착란원(circle of confusion)의 직경 변화를 나타낸다. 수학식 4를 만족하므로 개구 스톱(aperture stop)을 전환하더라도 초점의 변동이 감소한다. 착란원의 직경의 반전 영역(inversed area)이 좁아지므로, 스톱 다운에 의해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래시 장치가 생략되었다. 본 발명은 플래시 장치를 갖는 필름 유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플래시 장치는 매우 어두운 촬영 조건 하에서도 적정 노출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135 타입의 사진 필름이 사용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IX-240 타입의 사진 필름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면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톱의 전환으로 인한 노출 불균일이 감소된 필름 유니트가 제공된다.
또한 스톱의 전환시에도 초점의 변동이 줄어든 필름 유니트가 제공된다.

Claims (14)

  1. 필름에 프레임(frame)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1 개의 촬영 렌즈와,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촬영 렌즈의 광학축에 배치되는 스톱 체인저(stop changer)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적어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1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2가 되도록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단, f2 > f1)로서,
    상기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log2(L / 100)| < 1.9
    0 < E ≤ 2 - 0.91 × |log2(L / 100)|
    의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L(%)은 상기 스톱 체인저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의 광강도에 대한 상기 프레임 주변부의 광강도의 비율을, E(EV)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주변부의 최대 노출량과 최소 노출량 사이의 차(差)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회동하여 상기 사진 필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광학축 상에서 개폐 동작하는 셔터 블레이드(shutter blade)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f 넘버를 f1이 되도록 하는 제 1 스톱 개구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f 넘버를 f2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스톱 개구보다 상기 셔터 블레이드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2 스톱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블레이드는 상기 스톱 체인저의 뒤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스톱 개구는 상기 제 1 스톱 개구의 앞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톱 개구는 상기 제 2 스톱 개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톱 개구는 상기 광학축(19) 상에 고정되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가동(可動) 스톱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스톱판은 상기 제 2 스톱 개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축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축 상에 상기 제 2 스톱 개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는 적어도 제 1 렌즈 요소와 제 2 렌즈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판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요소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촬영 렌즈는 초점 거리가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촬영 렌즈이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가동 보드(movable board)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톱 개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톱 개구의 각각의 앞에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렌즈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축 상에 상기 제 1 스톱 개구와 상기 제 1 촬영 렌즈를 설정하고,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축 상에 상기 제 2 스톱 개구와 상기 제 2 촬영 렌즈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외부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9. 제 1 항에 있어서,
    δx·f1 / F < 0.06
    의 조건을 더 만족시키며,
    여기서 F(mm)는 촬영 렌즈의 근축(近軸)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MTF 곡선의 공간 주파수를 u(선수(線數)/mm)라고 하고, DL(mm)을 상기 프레임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이라고 할 때, δx(mm)는 상기 스톱 체인저가 다음과 같은
    u = 20 × 21.63 / DL
    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전환할 때의 MTF 곡선에서의 피크 위치의 변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10. 필름에 프레임(frame)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1 개의 촬영 렌즈와,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촬영 렌즈의 광학축에 배치되는 스톱 체인저(stop changer)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적어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1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촬영 렌즈의 f 넘버가 f2가 되도록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단, f2 > f1)로서,
    상기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δx·f1 / F < 0.06
    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여기서 F(mm)는 촬영 렌즈의 근축(近軸)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MTF 곡선의 공간 주파수를 u(선수(線數)/mm)라고 하고, DL(mm)을 상기 프레임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이라고 할 때, δx(mm)는 상기 스톱 체인저가 다음과 같은
    u = 20 × 21.63 / DL
    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전환할 때의 MTF 곡선에서의 피크 위치의 변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1.7 × f1 < f2 < 3 × f1
    의 조건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체인저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f 넘버가 f1이 되도록 하는 제 1 스톱 개구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사체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f 넘버가 f2가 되도록 하는 제 2 스톱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톱 개구는 상기 광학축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톱 개구보다 크며,
    상기 스톱 체인저는 가동(可動) 스톱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스톱판은 상기 제 2 스톱 개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축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축 상에 상기 제 2 스톱 개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14. 제 10 항에 있어서,
    |log2(L / 100)| < 1.9
    0 < E ≤ 2 - 0.91 × |log2(L / 100)|
    의 조건을 더 만족시키며,
    여기서 L(%)은 상기 스톱 체인저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의 광강도에 대한 상기 프레임 주변부의 광강도의 비율을, E(EV)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주변부의 최대 노출량과 최소 노출량 사이의 차(差)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KR1020000070554A 1999-11-26 2000-11-24 개구 스톱을 전환할 수 있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KR100665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36503 1999-11-26
JP33650399 1999-11-26
JP36760699A JP2001183716A (ja) 1999-12-24 1999-12-24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99-367606 199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945A KR20010051945A (ko) 2001-06-25
KR100665724B1 true KR100665724B1 (ko) 2007-01-09

Family

ID=2657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554A KR100665724B1 (ko) 1999-11-26 2000-11-24 개구 스톱을 전환할 수 있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30367B1 (ko)
EP (2) EP1484636B1 (ko)
KR (1) KR100665724B1 (ko)
CN (1) CN1166983C (ko)
DE (2) DE6002596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043A (ja) * 2005-12-28 2007-07-12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US8422005B2 (en) * 2010-07-14 2013-04-16 Raythe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field-angle optical alignment testing
CN108777760B (zh) * 2018-07-25 2024-05-1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可变光圈结构、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110431461B (zh) * 2018-09-26 2022-06-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采用光学超表面的光场成像系统及方法
CN114845059B (zh) * 2022-07-06 2022-11-1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057Y2 (ko) * 1972-09-21 1978-02-22
DE2750177A1 (de) * 1976-11-24 1978-06-01 Minolta Camera Kk Anzeigevorrichtung fuer eine kamera
JPS60149032A (ja) * 1984-01-13 1985-08-06 Olympus Optical Co Ltd 絞り値自動制御式カメラ
JPS60235112A (ja) * 1984-05-09 1985-11-21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結像光学系
JP3201872B2 (ja) * 1993-05-14 2001-08-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検査装置
US5628039A (en) * 1993-05-28 1997-05-06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3246T2 (de) 2006-05-18
EP1103844B1 (en) 2005-10-19
DE60025962T2 (de) 2006-07-27
EP1484636A1 (en) 2004-12-08
KR20010051945A (ko) 2001-06-25
US6430367B1 (en) 2002-08-06
CN1299074A (zh) 2001-06-13
EP1484636B1 (en) 2006-02-08
CN1166983C (zh) 2004-09-15
EP1103844A1 (en) 2001-05-30
DE60025962D1 (de) 2006-04-20
DE60023246D1 (de)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71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ilm cartridge
JPS6240440A (ja) 擬似フオ−マツトカメラ
KR100665724B1 (ko) 개구 스톱을 전환할 수 있는 렌즈 부착 필름 유니트
US6349171B1 (en) Taking lens and lens-fitted film unit equipped with the taking lens
US6618561B2 (en) Stop changing device for a camera
US20060056826A1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US6597870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having a stop changing device
US6587643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photofinishing method
JP386529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KR100607528B1 (ko) 데이타 촬영 기입장치 및 데이타 촬영 기입장치를 갖춘카메라
JP4259733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778408B2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US6385397B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200118371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477712A (ja) カメラの塵影防止装置
JPH112853A (ja) カメラ用測光装置
JP3048493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7248793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2001159769A (ja) 絞り調節装置
JP2007072132A (ja) ソフトフォーカス撮影システム
JP2002244177A (ja) 絞り切替装置
JPH1062861A (ja) 撮影画面サイズ切換機構を備えたカメラ
JP2000019626A (ja) カメラ
JPH0427927A (ja) トリミングカメラ
JP2001337367A (ja) 絞り切り替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