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520B1 -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 Google Patents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520B1
KR100665520B1 KR1020060073888A KR20060073888A KR100665520B1 KR 100665520 B1 KR100665520 B1 KR 100665520B1 KR 1020060073888 A KR1020060073888 A KR 1020060073888A KR 20060073888 A KR20060073888 A KR 20060073888A KR 100665520 B1 KR100665520 B1 KR 10066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wall
separation
compartmen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흠
Original Assignee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배선된 전기 원선과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 소규모 전력만을 사용하다가 필요시 건물 수리를 위해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와 같은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낼 필요없이 바로 콘센트함 부재를 분리시키면 콘센트가 늘어나게 되어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고, 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콘센트 부재이지만 분리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보통의 콘센트와 같은 외관과 용도로 사용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1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1200)로부터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되는 전선(11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콘센트함부(1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의 후면 부위와 결합하되 상기 벽체(1200) 속에 내장되어 있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전기 사용기구와는 다른 전기 사용기구에게 전원공급 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100)이 감겨져 있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인접한 부위의 상기 벽체(1200) 속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 부(7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함.

Description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Electric receptacle box installed doubly which is separable from the building wall}
도 1은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분리 콘센트함부(100),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전선 감김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벽체(12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벽체(120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분리 콘센트함부 101 : 분리 콘센트함부 몸체부
105 : 분리 콘센트함부 전면부 107 : 분리 콘센트함부 상부면부
110 : 손잡이부 120 : 전선 연결부
150 : 손잡이부 보관 오목부 500 :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
501 : 고정 콘센트함부 몸체부 505 :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부
507 :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 오목부
700 : 전선 감김부 710 : 고정 콘센트 전선 감김축
1100 : 전선 1200 : 벽체
본 발명은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1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1200)로부터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되는 전선(11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콘센트함부(1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의 후면 부위와 결합하되 상기 벽체(1200) 속에 내장되어 있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전기 사용기구와는 다른 전기 사용기구에게 전원공급 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100)이 감겨져 있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인접한 부위의 상기 벽체(1200) 속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7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건물에 배선된 전기 원선과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 소규모 전력만을 사용하다가 필요시 건물 수리를 위해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와 같은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낼 필요없이 바로 콘센트함 부재를 분리시키면 콘센트가 늘어나게 되어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고, 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콘센트 부재이지만 분리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보통의 콘센트와 같은 외관과 용도로 사용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에 관한 것이다.
평상시 소규모 전력만을 사용하다가 필요 시 건물 수리를 위해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와 같은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내야 한다.
만약,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낼 필요가 없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 하겠다.
또한, 건물의 벽체와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가 사용되는 곳까지는 거리가 있는데, 만약, 건물에 배선된 전기 원선과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상기 내용과 간이 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콘센트 부재이지만 분리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보통의 콘센트와 같은 외관과 용도로 사용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 배선된 전기 원선과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 소규모 전력만을 사용하다가 필요 시 건물 수리를 위해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와 같은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낼 필요없이, 바로 콘센트함 부재를 분리시키면 콘센트가 늘어나게 되어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콘센트 부재이지만 분리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보통의 콘센트와 같은 외관과 용도로 사용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리 콘센트함부(100),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전선 감김부(7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분리 콘센트함부(100),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전선 감 김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1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1200)로부터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되는 전선(11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콘센트함부(1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의 후면 부위와 결합하되 상기 벽체(1200) 속에 내장되어 있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전기 사용기구와는 다른 전기 사용기구에게 전원공급 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100)이 감겨져 있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인접한 부위의 상기 벽체(1200) 속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분리 콘센트함부 몸체부(101)의 전면인 분리 콘센트함부 전면부(105)에 형성되되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를 분리해내기 위해 사용자가 당기게 되는 손잡이 부재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1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 전면부(105)에 홈이 파여져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11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보관되는 홈 부위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보관 오목부(15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 몸체부(101)의 상부면인 분리 콘센트함부 상부면부(107)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100)이 연결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전선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는 멀티탭이 아니고 건물에 배선된 전기 원선과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인데,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벽체(1200)로부터 분리되어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에 배선된 전기 원선과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에 전기 플러그를 꼽아서 전기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는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의 몸체로 형성되는 고정 콘센트함부 몸체부(501)의 전면인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부(505)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500)의 후면 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5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콘센트 부위가 노출되어 전기 사용기구에게 전원공급 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 오목부(50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의 상기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 오목부(507)는 탄력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 로, 구성요소인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벽체(12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벽체(120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상기 전선 감김부(700)가 모두 도시되어 있고,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감김부(700)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전선 감김부(70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100)이 감겨져 있는 전선 감김축(7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감김부(700)는 진공청소기의 전선 감김 부위와 같이, 손으로 풀어서 선을 연장시켜 줄 수 있고 감아줄 때에는 감김 버튼을 눌러서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과 연결된 상기 전선(1100)은 상기 상기 전선 감김부(700)의 상기 전선 감김축(710)으로 부터 풀려져 나온 선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에 전기 플러그를 꼽아서 전기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평상시 소규모 전력만을 사용하다가 필요 시 건물 수리를 위해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와 같은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낼 필요없이, 바로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를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로 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소규모 전력만을 사용하다가 필요 시 건물 수리를 위해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와 같은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낼 필요없이, 바로 콘센트함 부재를 분리시키면 콘센트가 늘어나게 되어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전선 감김부(700)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100)이 감겨져 있는 전선 감김축(7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감김부(700)는 진공청소기의 전선 감김 부위와 같이, 손으로 풀어서 선을 연장시켜 줄 수 있고 감아줄 때에는 감김 버튼을 눌러서 자동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통의 콘센트와 같은 외관과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콘센트 부재이지만 분리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보통의 콘센트와 같은 외관과 용도로 사용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건물에 배선된 전기 원선과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평상시 소규모 전력만을 사용하다가 필요 시 건물 수리를 위해 용접기나 에어컴푸레셔와 같은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기구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기존 콘센트를 해체하여 별도의 선을 분리해 낼 필요없이, 바로 콘센트함 부재를 분리시키면 콘센트가 늘어나게 되어 새로운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콘센트 부재이지만 분리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보통의 콘센트와 같은 외관과 용도로 사용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건물의 벽체(1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1200)로부터 전원공급이 필요한 사용처 근방까지 연장되는 전선(11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분리 콘센트함부(1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의 후면 부위와 결합하되 상기 벽체(1200) 속에 내장되어 있도록 형성되는 콘센트 박스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전기 사용기구와는 다른 전기 사용기구에게 전원공급 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100)이 감겨져 있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인접한 부위의 상기 벽체(1200) 속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7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분리 콘센트함부 몸체부(101)의 전면인 분리 콘센트함부 전면부(105)에 형성되되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를 분리해내기 위해 사용자가 당기게 되는 손잡이 부재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1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 전면부(105)에 홈이 파여져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11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보관되는 홈 부위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보관 오목부(150);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 몸체부(101)의 상부면인 분리 콘센트함부 상부면부(107)에 형성되되 상기 전선(1100)이 연결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전선 연결부(1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분리 콘센트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는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의 몸체로 형성되는 고정 콘센트함부 몸체부(501)의 전면인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부(505)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500)의 후면 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5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콘센트 부위가 노출되어 전기 사용기구에게 전원공급 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 오목부(507);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벽체 고정 콘센트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고정 콘센트함부(500)의 상기 고정 콘센트함부 전면 오목부(507)는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감김부(700)는
    상기 분리 콘센트함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전선(1100)이 감겨져 있는 전선 감김축(71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KR1020060073888A 2006-08-04 2006-08-04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KR10066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88A KR100665520B1 (ko) 2006-08-04 2006-08-04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88A KR100665520B1 (ko) 2006-08-04 2006-08-04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520B1 true KR100665520B1 (ko) 2007-01-09

Family

ID=3786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888A KR100665520B1 (ko) 2006-08-04 2006-08-04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5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89Y1 (ko) 2000-07-06 2001-01-15 주식회사컴필리아 배선덕트가 구비된 책상용 이중 콘센트
KR200286970Y1 (ko) 2002-06-05 2002-08-24 조기학 접속 및 분리형 이중 개별스위치 커넥터겸용 24시간on·off 스위치 멀티탭
KR200379816Y1 (ko) 2005-01-04 2005-03-28 김승환 분리형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89Y1 (ko) 2000-07-06 2001-01-15 주식회사컴필리아 배선덕트가 구비된 책상용 이중 콘센트
KR200286970Y1 (ko) 2002-06-05 2002-08-24 조기학 접속 및 분리형 이중 개별스위치 커넥터겸용 24시간on·off 스위치 멀티탭
KR200379816Y1 (ko) 2005-01-04 2005-03-28 김승환 분리형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46363A3 (en) Mobile electrical appliance with cable reeler
KR20070029301A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200394099Y1 (ko) 인출이 가능한 벽설치용 콘센트
KR100665520B1 (ko) 건물 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중 전기 콘센트함.
CA2551036A1 (en) Central vacuum system mounting flange and hose cuff for use with standard electrical outlets
WO2016036328A1 (en) Full- auto retractable, built in extension cord and multi-outlet adaptor jack
CN208352650U (zh) 一种方便收纳的外接电源线
KR100863291B1 (ko) 공동주택의 전기구 제어형 콘센트
CN201918568U (zh) 一种可嵌入墙内的壁挂电视机专用插座盒
KR200478821Y1 (ko)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CN206558817U (zh) 电源线布线盒和家用电器
KR101245102B1 (ko) 멀티 플로어 박스
CN205429274U (zh) 一种开关插座底盒
KR101513141B1 (ko) 절전용 콘센트구조
KR200381117Y1 (ko) 가전 기기의 코드릴
CA2890804C (en) Floor care appliance
KR101502814B1 (ko) 멀티탭
KR100700071B1 (ko) 가전 기기의 코드릴
KR102258409B1 (ko) 다방향 콘센트가 구비된 전기 어댑터
JP2014121251A (ja) 充電ケーブル
KR20150089862A (ko) 멀티탭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CN205752036U (zh) 断路器极间连线罩盖的固定结构
KR20150081242A (ko)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KR10206989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옥내 설치용 전기 콘센트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