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242A -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1242A KR20150081242A KR1020150088784A KR20150088784A KR20150081242A KR 20150081242 A KR20150081242 A KR 20150081242A KR 1020150088784 A KR1020150088784 A KR 1020150088784A KR 20150088784 A KR20150088784 A KR 20150088784A KR 20150081242 A KR20150081242 A KR 20150081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cord
- fixing hole
- lower case
- fixed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코드의 인입 방향을 용도 및 설치장소에 따라 용이하게 전환시킴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의하면; 내부에 접속단자(110)가 구비된 하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100)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210)이 마련된 상부케이스(200)와, 일단은 접속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단에는 플러그(310)가 마련된 전원코드(300)를 갖춘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00)의 측면부에는 전원코드(30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 형태의 제1고정홀(220)이 아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00)에는 전원코드(30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의 제2고정홀(120)이 제1고정홀(220)의 개구부와 연계되게 형성되고; 전원코드(300)의 일단부에는 사각 슬롯홈(321)이 형성된 보강-고정부(310)가 마련되며; 보강-고정부(310)가 사각 슬롯홈(321)을 통해 제1고정홀(220)과 제2고정홀(120) 중에서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전원코드(300)의 인입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의하면; 내부에 접속단자(110)가 구비된 하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100)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210)이 마련된 상부케이스(200)와, 일단은 접속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단에는 플러그(310)가 마련된 전원코드(300)를 갖춘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00)의 측면부에는 전원코드(30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 형태의 제1고정홀(220)이 아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00)에는 전원코드(30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의 제2고정홀(120)이 제1고정홀(220)의 개구부와 연계되게 형성되고; 전원코드(300)의 일단부에는 사각 슬롯홈(321)이 형성된 보강-고정부(310)가 마련되며; 보강-고정부(310)가 사각 슬롯홈(321)을 통해 제1고정홀(220)과 제2고정홀(120) 중에서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전원코드(300)의 인입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코드의 인입방향을 용도 및 설치장소에 따라 용이하게 전환시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수많은 전기제품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전기제품들은 통상적으로 건물에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를 통해 220V의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게 된다. 또한, 매립형 콘센트의 개수보다 전기제품의 개수가 많거나, 전기제품이 놓이는 위치와 매립형 콘센트의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전기제품측으로의 전원공급이 공급이 쉽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전기제품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를 매립형 콘센트에 별도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 멀티콘센트는 다수의 전기제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내장된 하부케이스(미도시)와, 이 하부케이스를 덮도록 조립되며 다수의 플러그 삽입공(1a)(1b)(1c)이 마련된 상부케이스(4)와,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메인스위치(2)와, 일단은 접속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선단에는 플러그가 마련된 전원코드(5)를 구비하며, 여기에는 특정화된 전원 플러그만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멀티콘센트에서는 전원코드(5)가 대부분 상부케이스(4)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전원코드(5)는 상부케이스(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 멀티콘센트를 벽면에 매립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 전원코드(5) 일부(전원코드 연결부위)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코드의 인입 방향을 용도 및 설치장소에 따라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여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접속단자가 구비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이 마련된 상부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단에는 플러그가 마련된 전원코드를 갖춘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부에는 상기 전원코드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 형태의 제1고정홀이 아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전원코드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의 제2고정홀이 상기 제1고정홀의 개구부와 연계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원코드의 일단부에는 사각 슬롯홈이 형성된 보강-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고정부가 상기 사각 슬롯홈을 통해 상기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 중에서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전원코드의 인입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이 분할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부에 스크루를 통해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홀이 형성된 보조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한곳에는 마감캡이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의하면; 전원코드 일단부(보강-고정부)의 인입 고정방향을 상부케이스의 제1고정홀 또는 하부케이스의 제2고정홀을 통해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멀티콘센트의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멀티콘센트를 벽면 부착(또는 매립)형으로 설치하는 경우 전원코드의 일단부(보강-고정부)를 하부케이스의 제2고정홀을 통해 끼워 고정하면, 전원코드 역시 노출됨이 없이 부착(매립)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의하면; 하부케이스의 일측이 분할되어 제2고정홀이 형성된 보조커버로 이루어져 있어서, 보조커버만을 분해하여 전원코드의 인입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의하면;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 중에서 전원코드의 보강-고정부가 끼워지지 않은 곳에는 마감캡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멀티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를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에서 전원코드가 상부케이스 측면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에서 전원코드가 하부케이스 일측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를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에서 전원코드가 상부케이스 측면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에서 전원코드가 하부케이스 일측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전원코드 배치 및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접속단자(110)가 마련된 하부케이스(100)와, 이 하부케이스(100)를 상부에서 덮도록 결합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210)이 마련된 상부케이스(200)와, 일단은 접속단자(110)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단에는 플러그(310)가 마련된 전원코드(300)를 갖추고 있다.
전원코드(300)는 외부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것으로, 이의 일단부에는 사각 슬롯홈(321)이 형성된 보강-고정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코드(300)의 보강-고정부(320)는 전원코드(300)를 견실하게 끼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콘센트의 측면 길이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전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코드(300)의 보강-고정부(320) 결합구조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케이스(200)는 멀티콘센트의 상부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이의 측면부에는 전원코드(300)의 일단부 즉 보강-고정부(32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 형태의 제1고정홀(220)이 아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코드(300)의 일단을 접속단자(110)측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보강-고정부(320)를 사각 슬롯홈(321)을 통해 제1고정홀(220)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00)는 멀티콘센트의 하부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여기에는 외부 인입전원이 연결되는 (+)(-)대단자(111), 접지단자(112), 플러그 삽입단자(113) 등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110), 과부하 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차단 스위치(150)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케이스(100)의 일측에도 전원코드(300)의 일단부 즉 보강-고정부(32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 형태의 제2고정홀(120)이 제1고정홀(220)의 개구부와 연계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코드(300)의 일단을 접속단자(110)측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보강-고정부(320)를 사각 슬롯홈(321)을 통해 제2고정홀(120)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부케이스(100)의 일측을 분할하여 상부케이스(200)의 일측부에 스크루(140)를 통해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제2고정홀(120)이 형성된 보조커버(130)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하부케이스(10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보조커버(130)만을 분해하여 전원코드(300)의 인입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코드(300)의 보강-고정부(320)는 제1고정홀(220) 또는 제2고정홀(120) 중에서 어느 한곳에 끼워져 고정되게 되는데, 보강-고정부(320)가 끼워지지 않은 곳에는 마감캡(400)이 끼워져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마감캡(400)은 단면이 'ㄱ'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고정홀(220) 또는 제2고정홀(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미끄러져 결합되면서 보강-고정부(320)와 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전원코드 고정 상태 및 작용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멀티콘센트에서 전원코드(300)의 인입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코드(300)의 일단을 하부케이스(100)의 접지단자(110)측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보강-고정부(320)를 사각 슬롯홈(321)을 통해 상부케이스(200)의 제1고정홀(220)에 끼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및 보조커버(130)를 스크루(140)들을 통해 견실하게 조립하면, 전원코드(300)의 보강-고정부(320)는 인입 방향이 멀티콘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마감캡(400)은 보조커버(130)의 제2고정홀(120)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멀티콘센트를 벽면에 부착(또는 매립)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코드(300) 보강-고정부(320)의 인입 방향이 후면부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보조커버(130)만을 분해한 후 제1고정홀(220)에 끼워진 전원코드(300)의 보강-고정부(320)를 빼내고 여기에 마감캡(400)을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전원코드(300)의 보강-고정부(320)를 사각 슬롯홈(321)을 통해 보조커버(130)의 제2고정홀(120)에 끼워 가조립한다. 계속하여, 보조커버(130)를 다시 스크루(140)를 통해 조립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코드(300)의 보강-고정부(320)는 인입 방향이 멀티콘센트의 후면 방향으로 이루어져 멀티콘센트 부착(또는 매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콘센트를 벽면(W)에 부착(또는 매립)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코드(300) 일단부(보강-고정부;320)를 후면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면 전원코드(300) 역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부착(매립)할 수 있다.
100..하부케이스 110..접속단자 111..대단자
112..접지단자 113..플러그 삽입단자 120..제2고정홀
130..보조커버 140..스크루 150..과부하 차단 스위치
200..상부케이스 210..플러그 삽입공 220..제1고정홀
300..전원코드 310..플러그 320..보강-고정부
321..사각 슬롯홈 400..마감캡
112..접지단자 113..플러그 삽입단자 120..제2고정홀
130..보조커버 140..스크루 150..과부하 차단 스위치
200..상부케이스 210..플러그 삽입공 220..제1고정홀
300..전원코드 310..플러그 320..보강-고정부
321..사각 슬롯홈 400..마감캡
Claims (3)
- 내부에 접속단자(110)가 구비된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210)이 마련된 상부케이스(200)와, 일단은 상기 접속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단에는 플러그(310)가 마련된 전원코드(300)를 갖춘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측면부에는 상기 전원코드(30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 형태의 제1고정홀(220)이 아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에는 상기 전원코드(30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의 제2고정홀(120)이 상기 제1고정홀(220)의 개구부와 연계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원코드(300)의 일단부에는 사각 슬롯홈(321)이 형성된 보강-고정부(310)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고정부(310)가 상기 사각 슬롯홈(321)을 통해 상기 제1고정홀(220)과 제2고정홀(120) 중에서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전원코드(300)의 인입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일측은 분할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일측부에 스크루(140)를 통해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홀(120)이 형성된 보조커버(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고정부(320)가 상기 제1고정홀(220)과 제2고정홀(120)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한곳에는 마감캡(400)이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784A KR20150081242A (ko) | 2015-06-23 | 2015-06-23 |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784A KR20150081242A (ko) | 2015-06-23 | 2015-06-23 |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1242A true KR20150081242A (ko) | 2015-07-13 |
Family
ID=5379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784A KR20150081242A (ko) | 2015-06-23 | 2015-06-23 |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8124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0768A (ko) * | 2019-10-04 | 2021-04-14 | 주식회사 일신전기 | 멀티탭의 코드 결선 장치 |
-
2015
- 2015-06-23 KR KR1020150088784A patent/KR20150081242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0768A (ko) * | 2019-10-04 | 2021-04-14 | 주식회사 일신전기 | 멀티탭의 코드 결선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63564B2 (en) | Electrical power cord with supplemental socket | |
HK1177055A1 (en) | An adaptor for adapting a mains plug and a mains cable featuring an adaptor mechanism | |
KR20150081242A (ko) |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
WO2016036328A1 (en) | Full- auto retractable, built in extension cord and multi-outlet adaptor jack | |
US20120142204A1 (en) | Electrical wall outlet | |
GB2422056A (en) | Back box having terminals for cable connection | |
KR20160054919A (ko) | 콘센트 | |
KR101543741B1 (ko) |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 |
GB2496438A (en) | Electrical faceplate plugging into back box | |
KR101513141B1 (ko) | 절전용 콘센트구조 | |
EP3118944B1 (en) | Socket with improved contact assembly | |
KR20160054917A (ko) |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 |
KR102258409B1 (ko) | 다방향 콘센트가 구비된 전기 어댑터 | |
US20100285689A1 (en) | Power strip with 110 and 220 volt outlets | |
EP2951895A1 (en) | Assembly for socket outlet | |
KR20180002382U (ko) | 시간 설정 가능한 연결 멀티탭 | |
KR20120116721A (ko) | 콘센트 | |
KR20160092695A (ko) | 콘센트 겸용 전원 플러그 | |
KR200355740Y1 (ko) | 스위칭 전원콘센트 | |
KR20170019921A (ko) | 방향을 바꿔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 |
KR20150042395A (ko) | 절전스위치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콘센트유닛 | |
KR20110008260U (ko) | 텀블러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탭 | |
KR101293192B1 (ko) | 전기 통신용 매입박스 | |
US9478877B2 (en) | Mountable electrical socket apparatus | |
KR100861636B1 (ko) | 멀티 전기 콘센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