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371B1 -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371B1
KR100665371B1 KR1020050043892A KR20050043892A KR100665371B1 KR 100665371 B1 KR100665371 B1 KR 100665371B1 KR 1020050043892 A KR1020050043892 A KR 1020050043892A KR 20050043892 A KR20050043892 A KR 20050043892A KR 100665371 B1 KR100665371 B1 KR 10066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phing
contour
hair style
poi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184A (ko
Inventor
곽노윤
Original Assignee
곽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노윤 filed Critical 곽노윤
Priority to KR102005004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3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30Cl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드 모핑에 기반한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가상으로 헤어스타일을 변경하고 싶은 인물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필드 모핑용 목표 영상으로 삼고, 원하는 소스 헤어스타일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을 상기 목적 영상의 인물 또는 캐릭터의 두상에 어울리도록 정렬시켜 생성한 영상을 필드 모핑용 소스 영상으로 삼고, 상기 소스 영상과 상기 목표 영상에서 헤어스타일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으로 정하고,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에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에 기반한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통해 제어선 쌍들의 정합을 수행하고,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머리카락 모양만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헤어스타일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구하고, 소정의 형태학적 팽창 연산을 통해 상기 합집합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생성한 합집합 팽창 영역을 초기 모핑 마스크로 결정하며, 상기 정합된 제어선 쌍들을 이용한 필드 모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어선 쌍들에 대한 제어선 보간을 통해 중간 제어선들을 단계적으로 구하고, 상기 초기 모핑 마스크로부터 상기 중간 제어선들 서로 연결한 폐곡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하는 가변 모핑 마스크를 생성하면서 상기 가변 모핑 마스크의 내부 영역에서만 영상 모핑을 수행하여 복수의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하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에 준비된 그래픽 객체 외에도 실사 영상에서 직접 추출한 헤어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고, 원래의 헤어스타일과 추출한 헤어스타일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여러 유형의 헤어스타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 이러한 작업은 사용자의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반자동 필드 모핑에 기반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반자동화를 통해 작업 피로도와 작업 시간을 경감시킬 수 있고 비숙련자도 간단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이중 노출 현상이 제거된 자연스러운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스, 가상 헤어스타일러, 반자동 필드 모핑, 영상 분할

Description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A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virtual hairstyles using semi-automatic field morphing}
도 1은 헤어코디 2.0을 이용한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사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뷰티비지의 헤어코디 2.0을 이용하여 목표 영상의 인물 두상에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어울리도록 정렬시켜 소스 영상을 생성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서 헤어스타일 영역을 분할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재귀정 제어선 정합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소스 부분 윤곽선 구간과 목표 부분 윤곽선 구간에서 다각 근사 정점 탐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과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 간에 제어선 정합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과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 간에 제어선 정합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다각 근사화 단계와 상기 제어선 정합 단계를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에 의해 정합된 제어선 쌍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초기 모핑 마스크와 소스 모핑 대상체의 제어선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도 10의 제어선 쌍과 도 11의 초기 모핑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 모핑을 수행하여 생성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핑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도 10의 제어선 쌍과 도 13의 가변 모핑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 모핑을 수행하여 생성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D 실사 영상에서 추출한 헤어스타일을 임의의 인물 영상의 두상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원래의 헤어스타일에서 추출한 헤어스타일로 변해가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수행할 시에 머리모양의 변형을 따라 단계적으로 가변되는 모핑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이중 노출 현상이 제거된 다양한 유형의 헤어스타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의 생성은 컴퓨터 그래픽스와 애니메이션 분야의 오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는데, 인간의 헤어스타일과 매우 흡사한 외형과 특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연구 결과들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특히 '디지털 캐릭터(digital character)'를 넘어 '디지털 액터(digital actor)'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최근의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분야의 발전 추세를 감안할 때,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인간 모발의 정적·동적 특성을 반영하는 디지털 헤어스타일의 생성 작업은 가까운 시일 내에 매우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디지털 헤어스타일의 생성은 그 과정의 대부분을 난해한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컴퓨터 그래픽스 플랫폼과 응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고 또한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난제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가발 업계와 미용 업계를 중심으로 PC나 웹 기반 환경에서 2D 인물사진과 미리 준비된 2D 그래픽 헤어스타일을 합성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예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하는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서비스가 속속 도입되고 있다. 예컨대, 가발 업계로 유명한 (주)하이모의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서비스인 'Hi-MO Virtual Hair System'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사진을 전송한 후, 별도의 통보 시스템을 통해 최종 결과 헤어스타일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주)뷰티비지의 '헤어코디 2.0'의 경우, 웹 기반의 GUI 환경에서 2D 인물사진을 불러오기한 후, 미리 준비된 복수의 2D 그래픽 헤어스타일들 중에서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선택한 다음에 이를 인물사진에 어울리도록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정렬시켜 그 결과를 웹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헤어코디 2.0을 이용한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사례를 예시한 것이다.
그러나 (주)뷰티비지의 헤어코디 2.0은 비교적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반면에 가상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헤어스타일의 유형이 사전에 준비된 그래픽 헤어스타일로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헤어스타일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취향이 다양하고 유행에 민감한 특성을 감안할 때 모든 가능한 유형의 헤어스타일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은 사실상 많은 한계와 난제가 있다. 특히 잡지, 화보집, 대중 매체 등에 등장하는 특정 유명인 또는 모델의 헤어스타일을 모방하고자 하는 경향이 적지 않기 때문에 실사 영상에서 헤어스타일을 추출해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타인의 헤어스타일을 특정인의 두상에 새로운 헤어스타일로 결합시키면 대부분의 경우 전체적으로 부자연스럽고 특히 그 경계면에서 불연속적인 느낌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부조화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은 현재 자신의 헤어스타일에서 다른 헤어스타일로 변하는 과정상에 존재하는 헤어스타일을 열람한 후에 그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 이러한 작업은 진보된 그래픽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숙련도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자동화를 통해 가능한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하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기술을 연구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한 것으로, 2D 실사 영상에서 추출한 헤어스타일을 임의의 인물 영상의 두상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원래의 헤어스타일에서 추출한 헤어스타일로 변해가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수행할 시에 머리모양의 변형을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는 가변 모핑 마스크를 사용하여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함으로써 이중 노출 현상이 제거됨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헤어스타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은, 필드 모핑에 기반한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가상으로 헤어스타일을 변경하고 싶은 인물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필드 모핑용 목표 영상으로 삼고, 원하는 소스 헤어스타일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을 상기 목적 영상의 인물 또는 캐릭터의 두상에 어울리도록 정렬시켜 생성한 영상을 필드 모핑용 소스 영상으로 삼고, 상기 소스 영상과 상기 목표 영상에서 헤어스타일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으로 정하고,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에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에 기반한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통해 제어선 쌍들의 정합을 수행하고,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머리카락 모양만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헤어스타일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구하고, 소정의 형태학적 팽창 연산을 통해 상기 합집합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생성한 합집합 팽창 영역을 초기 모핑 마스크로 결정하며, 상기 정합된 제어선 쌍들을 이용한 필드 모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어선 쌍들에 대한 제어선 보간을 통해 중간 제어선들을 단계적으로 구하고, 상기 초기 모핑 마스크로부터 상기 중간 제어선들 서로 연결한 폐곡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하는 가변 모핑 마스크를 생성하면서 상기 가변 모핑 마스크의 내부 영역에서만 영상 모핑을 수행하여 복수의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를 참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 모핑에 기반한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가상으로 헤어스타일을 변경하고 싶은 인물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필드 모핑용 목표 영상으로 삼고, 원하는 소스 헤어스타일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을 상기 목적 영상의 인물 또는 캐릭터의 두상에 어울리도록 정렬시켜 생성한 영상을 필드 모핑용 소스 영상으로 삼는 단계(S10)와;
상기 소스 영상과 상기 목표 영상에서 헤어스타일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으로 정하는 단계(S20)와;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에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에 기반한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통해 제어선 쌍들의 정합을 수행하는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 단계(S30)와;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머리카락 모양만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헤어스타일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구하고, 소정의 형태학적 팽창 연산을 통해 상기 합집합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생성한 합집합 팽창 영역을 초기 모핑 마스크로 결정하는 단계(S40); 및
상기 정합된 제어선 쌍들을 이용한 필드 모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어선 쌍들에 대한 제어선 보간을 통해 중간 제어선들을 단계적으로 구하고, 상기 초기 모핑 마스크로부터 상기 중간 제어선들 서로 연결한 폐곡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하는 가변 모핑 마스크를 생성하면서 상기 가변 모핑 마스크의 내부 영역에서만 영상 모핑을 수행하여 복수의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S10)에서는 가상으로 헤어스타일을 변경하고 싶은 인물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필드 모핑용 목표 영상으로 삼고, 원하는 소스 헤어스타일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을 상기 목적 영상의 인물 또는 캐릭터의 두상에 어울리도록 정렬시켜 생성한 영상을 필드 모핑용 소스 영상으로 삼는다.
이때, 원하는 헤어스타일은 2D 모델 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2D 모델 영상을 검색하여 이 영상에서 영역분할을 통해 추출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사전에 준비된 그래픽 객체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뷰티비지의 헤어코디 2.0을 이용하여 목표 영상의 인물 두상에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어울리도록 정렬시켜 소스 영상을 생성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으로, 단계(S20)에서는 상기 소스 영상과 상기 목표 영상에서 헤어스타일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으로 정한다. 도 4는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서 헤어스타일 영역을 분할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머리카락 영역의 형상 윤곽을 검출하기 위해 머리카락 영역에 위치한 씨앗 화소(seed pixel)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지정하고, 이 씨앗 화소를 중심으로 영역을 성장시킴으로써 영역분할을 수행하는 영역 성장(region growing)에 기반한 영상 분할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영역 성장에 기반한 영상 분할 기법 외에도 기존에 공지된 어떠한 영역 분할 기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머리카락 영역의 분할 특성은 반자동 필드 모핑의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반자동화 알고리즘의 근간이 된다. 지금까지 다수의 영상 분할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있으나 2차원 영상의 특징상, 배경의 복잡도나 대비도에 상관없이 원하는 객체를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는 영상 분할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머리카락 영역의 경우, 그 화소 분포 특성에 있어서 동질성이 강하고 단순한 질감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영상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2D 모델 영상을 선택할 시에 이러한 특성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 단계(S30)는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에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에 기반한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통해 제어선 쌍들의 정합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기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43365호,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이용한 반자동 필드 기반 영상 변형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 단계(S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 상에 상호 대응되는 소정의 외부 제어점 쌍을 지정하는 단계(S31)와;
상기 각 제어점들에 의해 구분되는 부분 윤곽선 쌍 단위로 기설정된 최대 허용 왜곡을 기준삼아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에서 각각 다각 근사 정점을 추출하는 단계(S32)와;
상기 각각의 부분 윤곽선 쌍에서 정점의 갯수가 많은 쪽을 기준 부분 윤곽선으로 선택하고 다른 한쪽을 대응 부분 윤곽선으로 정한 후, 상기 대응 부분 윤곽선의 평균 왜곡 거리에 따라 다각 근사 정합과 비례 길이 정합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기준 부분 윤곽선의 정점을 상기 대응 부분 윤곽선에 정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제어점 쌍들을 추출하는 제어선 정합 단계(S33); 및
상기 추출된 제어점 쌍들을 이전의 제어점 쌍들 사이에 계층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최대 허용 왜곡을 단계적으로 줄이면서 기설정된 다각 근사 오차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다각 근사화 단계와 상기 제어선 정합 단계를 재귀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계위적인 특성(scalable characteristics)을 갖는 최종 제어선 쌍들을 추출하는 단계(S34)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 단계의수행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S31)에서는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 상에 상호 대응되는 소정의 외부 제어점 쌍을 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다각 근사화 단계(S32)에서는 상기 각 제어점들에 의해 구분되는 부분 윤곽선 쌍 단위로 기설정된 최대 허용 왜곡을 기준삼아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에서 각각 다각 근사 정점을 추출한다.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서 모핑 대상체 쌍의 형상 윤곽을 획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스 모핑 대상체와 목표 모핑 대상체에 상호 대응되는 소수의 외부 제어점 쌍들만을 지정하면 이렇게 지정된 외부 제어점을 기준 삼아 소스 모핑 대상체의 형상 윤곽과 목표 모핑 대상체의 형상 윤곽을 각각 부분 윤곽선 단위로 분할한다. 이후, 부분 윤곽선 단위로 분할된 소스 모핑 대상체와 목표 모핑 대상체를 대상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을 수행하여 각 모핑 대상체의 윤곽선을 다각 근사화하는 각각의 다각 근사 정점들을 탐색한다. 도 6은 모핑 대상체의 부분 윤곽선 상에서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빗금 친 사각형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공된 외부 제어점이고 흑색 사각형은 새롭게 선정한 정점이며 회색 사각형은 지주점(support point)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제어점들 중에서 첫 번째 외부 제어점을 정점(vertex)으로 정함과 동시에 시작 정점으로 정한다. 첫 번째 외부 제어점과 그 다음 외부 제어점 간의 부분 윤곽선 구간에서 화소 단위로 임시 지주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직전에 결정된 시작 정점과 임시 지주점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변과 윤곽 세그먼트 구간의 최대 왜곡을 구한다. 이렇게 구한 최대 왜곡(maximum distortion)과 기 설정된 제1 최대 허용 왜곡(Dmax1)과 비교한 결과, 최대 왜곡이 크면 직전의 임시 지주점 구간에서 최대 왜곡 거리를 갖는 화소의 위치를 새로운 정점으로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화소를 임시 지주점으로 삼는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결정된 새로운 정점을 이후 처리를 위해 새로운 시작 정점으로 배정하여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다음 외부 제어점까지 반복한다.
이상의 과정을 모든 부분 윤곽선에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도 6과 같이 소스 모핑 대상체과 목표 모핑 대상체의 다각 근사 정점을 모두 구한다.
다음으로, 제어선 정합 단계(S33)는 도 7과 같이 상기 각각의 부분 윤곽선 쌍에서 정점의 갯수가 많은 쪽을 기준 부분 윤곽선으로 선택하고 다른 한쪽을 대응 부분 윤곽선으로 정한 후, 상기 대응 부분 윤곽선의 평균 왜곡 거리에 따라 다각 근사 정합과 비례 길이 정합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기준 부분 윤곽선의 정점을 상기 대응 부분 윤곽선에 정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제어점 쌍들을 추출한다.
도 7은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과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 간에 제어선 정합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과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 간에 제어선 정합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어선 정합 단계(S33)를 이를 좀 더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소스 모핑 대상체와 목표 모핑 대상체에 대한 다각 근사 정점이 모두 구해지면, 각각의 부분 윤곽선 쌍 별로 소스 모핑 대상체의 부분 윤곽선 구간과 이에 대응하는 목표 모핑 대상체의 부분 윤곽선 구간에 포함된 다각 근사 정점의 갯수를 비교하여 둘 중에서 정점수가 많은 쪽을 기준 부분 윤곽선으로 삼고 다른 한쪽을 대응 부분 윤곽선으로 삼는다. 도 6을 참조할 때, 소스 부분 윤곽선 구간 및 목표 부분 윤곽선 구간의 정점 수는 각각 4개 및 3개인 바, 소스 부분 윤곽선 구간의 정점 수가 많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부분 윤곽선 구간은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이 되고 목표 부분 윤곽선 구간은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이 된다.
이렇게 다각 근사 정점의 갯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구간을 기준삼아 제어점 정합을 수행하면 윤곽선의 형상이 복잡한 구간을 중심으로 적응적 제어선 정합이 수행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 경우 필드 모핑의 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각 기준 부분 윤곽선과 대응 부분 윤곽선들 간의 각각의 부분 윤곽 길이비를 산출한다. 각 기준 부분 윤곽선에 포함된 모든 다각 근사 정점들을 기준 제어점들로 결정하고, 다음에 각 기준 부분 윤곽선 단위로 각각의 기준 제어점과 그 다음 기준 제어점 간의 중간 윤곽점으로부터 그에 연속하는 또 다른 두 개의 제어점들 간의 중간 윤곽점까지의 윤곽선 길이를 각 기준 부분 윤곽선 내에 포함된 모든 제어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구한다. 그리고 각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의 시작 제어점과 그 다음 기준 제어점 간의 중간 윤곽점 길이와 해당 부분 윤곽 길이비를 곱하여 기준 윤곽선 구간과 정합할 대응 윤곽선 구간의 시작 이동점 길이를 구하고, 각 부분 윤곽선 구간의 부분 윤곽 길이비와 그 기준 윤곽선 구간에 포함된 제어점들 간의 각각의 중간 윤곽점 길이를 곱하여 기준 윤곽선 구간과 정합할 대응 윤곽선 구간의 중간 이동점 길이들을 구한다.
이후, 기준 제어점들과 정합할 모든 대응 제어점들을 결정하기 위해 각 대응 부분 윤곽선의 시작 제어점을 첫 번째 대응 제어점으로 정함과 동시에 이로부터 시작 이동점 길이만큼 이동한 위치점을 시작 지주점으로 정한다. 이 시작 지주점으로부터 중간 이동점 길이만큼 윤곽 세그먼트를 따라 이동한 위치점을 종료 지주점으로 정한다.
이 시작 지주점과 종료 지주점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변과 윤곽 세그먼트 구간의 평균 왜곡 거리를 구하고 이 평균 왜곡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최대 왜곡 거리를 갖는 화소점을 새로운 대응 제어점으로 선택하는 다각 근사 정합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준 부분 윤곽선에서 해당 중간 윤곽점 구간의 시작 중간점으로부터 그 구간의 기준 제어점까지의 윤곽 길이와 부분 윤곽 길이비를 곱한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점을 새로운 대응 제어점으로 선택하는 비례 길이 정합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한 종료 지주점을 이후 처리를 위해 새로운 시작 지주점으로 배정함으로써 각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의 모든 대응 제어점을 구하는 과정을 그 다음 상위 대응 제어점까지 반복한다.
도 7과 도 8에서 빗금 친 사각형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공된 외부 제어점이고 흑색 사각형은 제어점이며 회색 사각형은 지주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후, 단계(S34)에서는 상기 추출된 제어점 쌍들을 이전의 제어점 쌍들 사이에 계층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최대 허용 왜곡을 단계적으로 줄이면서 기설정된 다각 근사 오차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다각 근사화 단계(S32)와 상기 제어선 정합 단계(S33)를 재귀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계위적인 특성(scalable characteristics)을 갖는 최종 제어선 쌍들을 추출한다.
도 9는 다각 근사화 단계(S32)와 상기 제어선 정합 단계(S33)를 재귀적으로 반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컨대, 도 8과 같은 제어선 정합을 구한 상태에서 새롭게 추출된 제어점들에 의해 분할되는 5개의 윤곽선 구간에 대해 다각 근사화 단계(S32)와 상기 제어선 정합 단계(S33)를 재귀적으로 반복한다.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8에서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의 일부분인 c27 화소점~c49 화소점 구간과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의 일부분인 c23 화소점~c35 화소점 구간의 경우를 예로 삼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의 c27 화소점~c49 화소점 구간과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의 c23 화소점~c35 화소점 구간에 대해 제1 최대 허용 왜곡보다 단계적으로 작게 선정한 제2 최대 허용 왜곡(Dmax2)을 기준 삼아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을 수행한 결과, 도 9와 같이 각각 2개 및 1개의 정점을 찾았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본 발명의 제어선 정합 단계를 수행하면 정점 수가 많은 c27 화소점~c49 화소점 구간이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이 되고, c23 화소점~c35 화소점 구간은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이 되며, 도 9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선 정합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추출된 제어점 쌍들을 이전의 제어점 쌍들 사이에 계층적으로 삽입한다.
도 10은 상기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 단계(S30)에 의해 정합된 제어선 쌍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추출된 최종 제어선 쌍들을 이용하여 후술할 기설정된 머리카락 영역의 가변 모핑 마스크 영역에 대해서만 필드 모핑을 수행함으로써 모핑의 반자동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여러 형태의 다단계 헤어스타일을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단계(S30)을 수행한 후, 단계(S40)에서는 도 11과 같이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머리카락 모양만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헤어스타일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구하고, 소정의 형태학적 팽창 연산을 통해 상기 합집합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생성한 합집합 팽창 영역을 초기 모핑 마스크로 결정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초기 모핑 마스크와 소스 모핑 대상체의 제어선들을 나타낸 예시도로, 외곽 폐곡선은 초기 모핑 마스크를 나타낸 것이고, 내부 폐곡선은 소스 모핑 대상체의 제어선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후, 단계(S50)는 상기 제어선 쌍들을 이용한 필드 모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어선 쌍들에 대한 제어선 보간을 통해 중간 제어선들을 단계적으로 구하고, 상기 초기 모핑 마스크로부터 상기 중간 제어선들 서로 연결한 폐곡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하는 가변 모핑 마스크를 생성하면서 상기 가변 모핑 마스크의 내부 영역에서만 영상 모핑을 수행하여 복수의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한다.
도 12는 도 10의 제어선 쌍과 도 11의 초기 모핑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 모핑을 수행하여 생성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살펴볼 수 있듯이 초기 모핑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머리카락 모양을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델의 헤어스타일로부터 원래의 헤어스타일로 단계적으로 변해가는 비교적 자연스러운 다단계의 헤어스타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을 맞교대할 경우, 원래의 헤어스타일에서 추출한 모델의 헤어스타일로 변해가는 모핑 영상들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모핑 마스크의 형태가 초기에 고정됨에 따라 모핑이 진행되면서 인물의 눈썹과 이마 부분에서 이중 노출(dual exposure)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필드 모핑이 점진적으로 진행될 경우, 제어점들의 보간에 의해 새롭게 생성되는 중간 제어선들의 위치가 목표 영상의 모핑 대상체 형상에 근접됨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모핑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핑 마스크의 형상이 제어선들로 구성된 형상을 단계적으로 따라가면서 변형되는 가변 모핑 마스크(variable morphing mask)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핑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제어선 쌍과 도 13의 가변 모핑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 모핑을 수행하여 생성한 결과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가변 모핑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머리카락 모양을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델의 헤어스타일로부터 원래의 헤어스타일로 단계적으로 변해가는, 이중 노출 현상이 제거된 비교적 자연스러운 다단계의 헤어스타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워핑(image warping)에도 용이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경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서 머리카락 영역으로 구획된 모핑 대상체 쌍의 형상 정보를 추출한 상태에서 가변 모핑 마스크 영역 내에서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이용한 반자동화 필드 모핑을 수행함으로써 여러 유형의 헤어스타일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전에 준비된 그래픽 객체 외에도 실사 영상에서 직접 추출한 헤어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고, 추출한 헤어스타일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헤어스타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자동 필드 모핑에 기반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비숙련자도 간단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자연스러운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가발 업계뿐만 아니라 컴퓨터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및 게임 응용, 인터넷 아바타, 미용실 및 이용실의 예상 헤어스타일 생성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활용 분야를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을 관련 분야에 적용할 경우, 필드 모핑의 반자동화에 힘입어 응용 컨텐츠 창출의 저비용화와 고품질화를 기대할 수 있고 관련분야에 대한 다양한 기술적 파급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당 분야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기 개발된 기존의 제품군에 적용하여 조기에 상품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소수의 제어점이라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처리할 수 있는 영상에 다양한 제약 조건이 존재한다. 향후 이러한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향후 본 발명에 대한 성능 개선이 있을 경우, 디지털 특수효과, 2D/3D 가상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기술, 2D/3D 가상 사이버 패션 기술, 사이버 캐릭터 생성, 2D/3D 애니메이션의 저작, DTV 컨텐츠 저작, 사용자 친화형 아이콘 제작 분야의 기존 기술을 점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MPEG-4의 main profile이 영상 분할에 기초하고 있고 본 발명 또한 영상 분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MPEG-4의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주요한 도구들 중의 하나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

Claims (4)

  1. 필드 모핑에 기반한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가상으로 헤어스타일을 변경하고 싶은 인물 영상 또는 캐릭터 영상을 필드 모핑용 목표 영상으로 삼고, 원하는 소스 헤어스타일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을 상기 목적 영상의 인물 또는 캐릭터의 두상에 어울리도록 정렬시켜 생성한 영상을 필드 모핑용 소스 영상으로 삼는 단계와;
    상기 소스 영상과 상기 목표 영상에서 헤어스타일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에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에 기반한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통해 제어선 쌍들의 정합을 수행하는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 단계와;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머리카락 모양만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소스 헤어스타일 영역과 상기 목표 헤어스타일 영역의 합집합 영역을 구하고, 소정의 형태학적 팽창 연산을 통해 상기 합집합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생성한 합집합 팽창 영역을 초기 모핑 마스크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합된 제어선 쌍들을 이용한 필드 모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어선 쌍들에 대한 제어선 보간을 통해 중간 제어선들을 단계적으로 구하고, 상기 초기 모핑 마스크로부터 상기 중간 제어선들 서로 연결한 폐곡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하는 가변 모핑 마스크를 생성하면서 상기 가변 모핑 마스크의 내부 영역에서만 영상 모핑을 수행하여 복수의 가상 헤어스타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 재귀적 제어선 정합 단계는,
    상기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과 상기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 영역의 윤곽선 상에 상호 대응되는 소정의 외부 제어점 쌍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제어점들에 의해 구분되는 부분 윤곽선 쌍 단위로 기설정된 최대 허용 왜곡을 기준삼아 소스 모핑 헤어스타일과 목표 모핑 헤어스타일에서 각각 다각 근사 정점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부분 윤곽선 쌍에서 정점의 갯수가 많은 쪽을 기준 부분 윤곽선으로 선택하고 다른 한쪽을 대응 부분 윤곽선으로 정한 후, 상기 대응 부분 윤곽선의 평균 왜곡 거리에 따라 다각 근사 정합과 비례 길이 정합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기준 부분 윤곽선의 정점을 상기 대응 부분 윤곽선에 정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제어점 쌍들을 추출하는 제어선 정합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어점 쌍들을 이전의 제어점 쌍들 사이에 계층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최대 허용 왜곡을 단계적으로 줄이면서 기설정된 다각 근사 오차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다각 근사화 단계와 상기 제어선 정합 단계를 재귀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계위적인 특성을 갖는 최종 제어선 쌍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 근사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제어점들 중에서 첫 번째 외부 제어점을 정점으로 정함과 동시에 시작 정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첫 번째 외부 제어점과 그 다음 외부 제어점 간의 부분 윤곽선 구간에서 화소 단위로 임시 지주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직전에 결정된 시작 정점과 상기 임시 지주점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변과 윤곽 세그먼트 구간의 최대 왜곡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왜곡과 기 설정된 상기 최대 허용 왜곡과 비교한 결과, 상기 최대 왜곡이 크면 직전의 임시 지주점 구간에서 최대 왜곡 거리를 갖는 화소의 위치를 새로운 정점으로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화소를 임시 지주점으로 삼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새로운 정점을 이후 처리를 위해 새로운 시작 정점으로 배정하여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다음 외부 제어점까지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선 정합 단계는,
    상기 소스 모핑 대상체와 상기 목표 모핑 대상체에 대한 다각 근사 정점이 모두 구해지면, 각각의 부분 윤곽선 쌍 별로 소스 모핑 대상체의 부분 윤곽선 구간과 이에 대응하는 목표 모핑 대상체의 부분 윤곽선 구간에 포함된 다각 근사 정점의 갯수를 비교하여 둘 중에서 정점수가 많은 쪽을 기준 부분 윤곽선으로 삼고 다른 한쪽을 대응 부분 윤곽선으로 삼는 단계와;
    상기 각 기준 부분 윤곽선과 대응 부분 윤곽선들 간의 각각의 부분 윤곽 길이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기준 부분 윤곽선에 포함된 모든 다각 근사 정점들을 기준 제어점들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기준 부분 윤곽선 단위로 각각의 기준 제어점과 그 다음 기준 제어점 간의 중간 윤곽점으로부터 그에 연속하는 또 다른 두 개의 제어점들 간의 중간 윤곽점까지의 윤곽선 길이를 상기 각 기준 부분 윤곽선 내에 포함된 모든 제어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구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기준 부분 윤곽선 구간의 시작 제어점과 그 다음 기준 제어점 간의 중간 윤곽점 길이와 해당 부분 윤곽 길이비를 곱하여 기준 윤곽선 구간과 정합할 대응 윤곽선 구간의 시작 이동점 길이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부분 윤곽선 구간의 부분 윤곽 길이비와 그 기준 윤곽선 구간에 포함된 제어점들 간의 각각의 중간 윤곽점 길이를 곱하여 기준 윤곽선 구간과 정합할 대응 윤곽선 구간의 중간 이동점 길이들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제어점들과 정합할 모든 대응 제어점들을 결정하기 위해 각 대응 부분 윤곽선의 시작 제어점을 첫 번째 대응 제어점으로 정함과 동시에 이로부터 상기 시작 이동점 길이만큼 이동한 위치점을 시작 지주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지주점으로부터 상기 중간 이동점 길이만큼 윤곽 세그먼트를 따라 이동한 위치점을 종료 지주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지주점과 상기 종료 지주점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변과 윤곽 세그먼트 구간의 평균 왜곡 거리를 구하고 상기 평균 왜곡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최대 왜곡 거리를 갖는 화소점을 새로운 대응 제어점으로 선택하는 다각 근사 정합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기준 부분 윤곽선에서 해당 중간 윤곽점 구간의 시작 중간점으로부터 그 구간의 기준 제어점까지의 윤곽 길이와 상기 부분 윤곽 길이비를 곱한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점을 새로운 대응 제어점으로 선택하는 비례 길이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종료 지주점을 이후 처리를 위해 새로운 시작 지주점으로 배정함으로써 각 대응 부분 윤곽선 구간의 모든 대응 제어점을 구하는 과정을 그 다음 상위 대응 제어점까지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 방법.
KR1020050043892A 2005-05-24 2005-05-24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방법 KR10066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92A KR100665371B1 (ko) 2005-05-24 2005-05-24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92A KR100665371B1 (ko) 2005-05-24 2005-05-24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184A KR20050056184A (ko) 2005-06-14
KR100665371B1 true KR100665371B1 (ko) 2007-01-04

Family

ID=3725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892A KR100665371B1 (ko) 2005-05-24 2005-05-24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8653B (zh) * 2018-09-30 2022-01-28 叠境数字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多特征检索和形变的人体发型生成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90A (ja) 1996-06-28 1998-01-23 Pola Chem Ind Inc メークアップのシミュレート法
KR19980038036A (ko) * 1996-11-23 1998-08-05 구자홍 그래프 형태의 특징점 지정방법
KR20000059262A (ko) * 2000-07-28 2000-10-05 이성환 인터넷 상에서의 실시간 헤어,메이크업과 패션 액세서리디자인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1667A (ko) * 2000-12-23 2002-06-29 윤종용 가상적인 의상 착용 모습의 표현 방법 및 장치
KR20050056175A (ko) * 2005-05-24 2005-06-14 곽노윤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이용한 반자동 필드 기반 영상 변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90A (ja) 1996-06-28 1998-01-23 Pola Chem Ind Inc メークアップのシミュレート法
KR19980038036A (ko) * 1996-11-23 1998-08-05 구자홍 그래프 형태의 특징점 지정방법
KR20000059262A (ko) * 2000-07-28 2000-10-05 이성환 인터넷 상에서의 실시간 헤어,메이크업과 패션 액세서리디자인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1667A (ko) * 2000-12-23 2002-06-29 윤종용 가상적인 의상 착용 모습의 표현 방법 및 장치
KR20050056175A (ko) * 2005-05-24 2005-06-14 곽노윤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이용한 반자동 필드 기반 영상 변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184A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6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acial composite imag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878769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texture generation using image warping
US8982122B2 (en) Real time concurrent design of shape, texture, and motion for 3D character animation
US7729422B2 (en) Image extraction from complex scenes in digital video
US8040355B2 (en) Three-dimensional location-based texture transfers
Wolberg Recent advances in image morphing
Zhang et al. Style transfer via image component analysis
JPH1091809A (ja) 関数演算プロセッサ制御マシンの操作方法
US20240029345A1 (en) Methods and system for generating 3d virtual objects
Anastacio et al. Modeling plant structures using concept sketches
Anjyo et al. Tweakable light and shade for cartoon animation
CN116997933A (zh) 用于构造面部位置图的方法和系统
CN103065357A (zh) 基于普通三维模型的皮影模型制作方法
WO2019073267A1 (en) AUTOMATED IMAGE HANDL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0602739B1 (ko) 재귀적 제어선 정합을 이용한 반자동 필드 기반 영상 변형방법
Lieng et al. Shading Curves: Vector‐Based Drawing With Explicit Gradient Control
KR100665371B1 (ko) 반자동 필드 모핑을 이용한 다중 가상 헤어스타일 생성방법
CN112488967A (zh) 基于室内场景的对象和场景合成方法及系统
CN113763526A (zh) 一种头发高光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hn et al. Interactive cartoonization with controllable perceptual factors
DiPaola Painterly rendered portraits from photographs using a knowledge-based approach
CN113763525B (zh) 一种头发高光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98830B1 (ko) 서피스 텍스처 매핑 장치 및 그 방법
Bao et al. GeneAvatar: Generic Expression-Aware Volumetric Head Avatar Editing from a Single Image
Shen et al. Completion-based texture design using de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