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031B1 -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031B1
KR100665031B1 KR1020050020239A KR20050020239A KR100665031B1 KR 100665031 B1 KR100665031 B1 KR 100665031B1 KR 1020050020239 A KR1020050020239 A KR 1020050020239A KR 20050020239 A KR20050020239 A KR 20050020239A KR 100665031 B1 KR100665031 B1 KR 100665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uel amount
fuel
data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180A (ko
Inventor
손흥수
Original Assignee
손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흥수 filed Critical 손흥수
Priority to KR102005002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0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의 연료량에 따라 유동하는 플로터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터부의 회전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량을 측정하는 무접점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플로터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며, 적어도 원주상 일부에 인코딩 패턴 띠가 설치되는 회전판과;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인코딩 패턴 띠에 조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해 연료탱크의 연료량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1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량, 측정장치, 연료탱크, 마그넷, 무접점 인디케이터부

Description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Fuel Sender}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인디케이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회전판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패턴 띠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제어부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의 연료량 측정흐름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연료탱크 20 :베이스부
30 :무접점 인터페이스부
31 :제2 마그넷 32 :회전판
33 :광원부
33a:발광소자 33b:수광소자
34 :인쇄회로기판 35 :문자판
36 :지시바늘 37 :출력단자부
40 :본체부
50 : 플로터부 61 :제1 마그넷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에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디지털 위치 제어방식으로 측정함으로써 연료량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량 측정장치는 차량의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즉 연료의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료량 측정장치는 통상적으로 연료탱크에 설치되며, 측정방식에 따라 접점방식과 무접점방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접점방식은 기계식 접촉에 의한 아날로그(Analog)방식으로 연료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점방식에 따른 연료량 측정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042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 접점식 연료량 측정장치는 접점뭉치에 형성된 2개의 접점이 차량 내부에 인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어 정상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없고, 또한 접점 부위의 마모에 의해 연료량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무접점방식은 광소자에 의한 논리연산 방식으로 연료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접점방식에 따른 연료량 측정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9158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 무접점식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량 측정포인트로 사용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다수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제작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다수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측정포인트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연료량 측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디지털 위치 제어방식으로 측정함으로써 연료량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연료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회로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연료량 측정도가 높은 연료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탱크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의 연료량에 따라 유동하는 플로터부와, 상기 플로터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터부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마그넷과,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의 회전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량을 측정하는 무접점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접점 인디케이터부가 상기 제1 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제2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며, 적어도 원주상 일부에 인코딩 패턴 띠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인코딩 패턴 띠에 조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해 연료탱크의 연료량 데이터를 산출하여 연료량 표시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마그넷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며, 적어도 원주상 일부에 인코딩 패턴 띠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최소한의 광소자 및 제어부를 통해 무접점식 측정과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디지털 위치 제어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가 충전되 어 있는 연료탱크(10)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20)와, 무접점 인디케이터부(30)와, 본체부(40)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에 따라 유동하는 플로터부(50)와, 제1 마그넷(61)과, 상기 제1 마그넷(61)를 회전시키는 기어축(62)과, 상기 기어축(62)과 수평으로 고정 연결되는 소기어(63)와 상기 소기어(63)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대기어(64) 및 일측으로 상기 대기어(64)의 기어축과 연결되고 타측으로 플로터부(50)와 연결되는 연결축(65)을 포함한다.
이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탱크(10) 내의 연료량에 따라 유동하는 플로터부(50)의 움직임에 의해 연결축(65)이 구동되면 대기어(64)의 톱니가 움직이게 된다. 이어 대기어(64)의 톱니와 수직하게 맞물리는 소기어(63)의 톱니가 회전하여 기어축(6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기어축(62)에 고정 결합된 제1 마그넷(61)이 상기 기어축(62)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무접점 인디케이터부(30)는 상기 제1 마그넷(61)의 회전에 따라 연료탱크(10)의 연료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하, 무접점 인디케이터부(30)의 구성과 연료탱크(10)의 연료량을 측정하는 동작을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인디케이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접점 인디케이터부(30)는 제2 마그넷(31)과, 회전판(32)과, 광원부(33)와, 인쇄회로기판(34)과, 문자판(35)과, 지시바늘(36)과, 출력단자부(37)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마그넷(31)은 제1 마그넷(도1 의 참조부호 61)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도1 의 참조부호 61)의 회전에 따라 움직인다.
상기 회전판(32)은 상기 제2 마그넷(31)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게끔 설치되며, 적어도 원주상 일부에 인코딩 패턴 띠(321)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321)는 천공(h)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321)는 2진수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게끔 천공(h)되어 구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321)는 반투과성 재질 위에 형성되는 투과성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량 측정포인트로 인코딩 패턴 띠(321)를 사용함으로써, 연료량 측정포인트로 사용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다수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료량 측정포인트의 개수를 대폭 늘릴 수 있어 종래 무접점식 연료량 측정장치보다 연료량 측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량 측정장치는 하드웨어적인 회로구성이 간단해지고, 장치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광원부(33)는 상기 회전판(32) 상부에 설치되어 인코딩 패턴 띠(321)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1 이상의 발광소자(33a)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회전판(32) 외측으로 발광소자(33a)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발광소자(33a)로부터 인코딩 패턴 띠(321)에 조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수광소자(33b)를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4)은 광원부(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수광소자(33b)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해 연료탱크의 연료량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단자(37)를 통해 운전석의 연료량 표시기(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샘플링 시간동안 입력되는 연료량 데이터들을 산술처리하여 보정한 후 출력하게끔 구현된다. 부연하면, 차량의 흔들림에 따라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유동하여 플로터부(50)에 의해 측정되는 최종 연료량 데이터가 불안정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제어부는 이러한 불안정한 연료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정프로그램은 일종의 Moving Average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문자판(35)은 인쇄회로기판(34) 상부에 설치되며 원주상에 해당 연료량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지시바늘(36)은 회전판(32)에 고정되어 회전판(32)의 회전에 따라 움직인다.
출력단자부(3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4)에 장착되는 각종 전기회로소자에 외부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단자(37a)와, 제어부로부터 산출된 연료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1 데이터 출력단자부(37b)와, 제어부로부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이 적정량 이하일 경우 경고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2 데이터 출력단자부(37c)를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회전판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패턴 띠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2)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구조로 구현되며, 하부에는 고정홈들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판(32) 상부면에는 적어도 원주상 일부에 인코딩 패턴 띠(321)가 설치된다.
도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는 하나의 열에 적어도 6개의 천공을 이용하여 0부터 63에 대응되는 2진수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인코딩 패턴 띠에 형성된 천공을 투과한 광신호를 수광한 수광소자들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321)는 반투과성 재질 위에 투과성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가 충전되어 있는 연료탱크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70)와, 무접점 인디케이터부(80)와, 베이스부(70)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71)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에 따라 유동하는 플로터부(90)와, 상기 플로터부(90)와 고정 연결되는 연결축(91)과, 상기 연결축(91) 일부에 고정되어 연결축(91)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대기어(92)와, 상기 대기어(92)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소기어(93)와, 일단이 상기 소기어(9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70)를 관통하여 무접점 인디케이터부(80)의 회전판(81)에 고정되는 기어축(94)을 포함한다.
이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에 따라 유동하는 플로터부(90)의 움직임에 의해 연결축(91)이 움직이면 대기어(92)의 톱니가 움직이게 된다. 이어 대기어(92)의 톱니와 수직하게 맞물리는 소기어(93)의 톱니가 회전하여 기어축(94)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기어축(94)에 고정 결합된 회전판(81)이 상기 기어축(94)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무접점 인디케이터부(80)는 연료탱크의 연료량을 측정하여 외부장치장치 예컨대, 자동차 전면회로패널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회전판(81)과, 차폐부(82)와, 하우징(83)과, 광원부(84)와, 인쇄회로기판(85)과, 출력단자부(8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81)은 기어축(94)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게끔 설치되며, 적어도 원주상 일부에 인코딩 패턴 띠(811)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811)는 천공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811)는 2진수의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게끔 천공되어 구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 패턴 띠(321)는 반투과성 재질 위에 형성되는 투과성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치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량 측정포인트로 인코딩 패턴 띠(811)를 사용함으로써, 연료량 측정포인트로 사용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다수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료량 측정포인트의 개수를 대폭 늘릴 수 있어 종래 무접점식 연료량 측정장치보다 연료량 측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량 측정장치는 하드웨어적인 회로구성이 간단해지고, 장치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차폐부(82)는 회전판(81)에 먼지 및 이물질에 의해 측정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판(81)를 외부장치와 차폐하는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무 링 커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83)은 무접점 인디케이터부(80)의 모든 구성요소(81,82, 84,85,86)를 커버한다.
광원부(84)는 회전판(81) 상부에 설치되어 인코딩 패턴 띠(811)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1 이상의 발광소자(841)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회전판(81) 외측으로 발광소자(8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발광소자(841)로부터 인코딩 패턴 띠(811)에 조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843)를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85)은 광원부(8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수광소자(843)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해 연료탱크의 연료량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단자부(86)를 통해 외부장치장치 예컨대, 자동차 전면회로패널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출력단자부(86)는 인쇄회로기판(85)에 장착되는 각종 전기회로소자에 외부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단자와, 제어부로부터 산출된 연료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1 데이터 출력단자부와, 제어부로부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이 적정량 이하일 경우 경고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2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접점 인디케이터부(80)에서 연료탱크의 연료량을 측정하는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제어부의 구성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제어부(220)는 데이터 입력부(221)와, 연료량 측정부(223)와, 데이터 출력부(225)와,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12V 또는 24V의 불안전한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5V의 안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221)는 광원부(210)의 수광부(213)로부터 연료량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213)는 자체적으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료량 측정부(223)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221)로부터 샘플링 시간동안 입력되는 연료량 데이터들 중 일정범위를 초과하거나 이하인 연료량 데이터를 제외한 후, 나머지 연료량 데이터들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부연하면, 차량의 흔들림에 따라 플로터부의 움직임이 불규칙하여 상기 플로터부의 움직임에 의해 측정되는 연료량 데이터는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샘플링 시간을 기준으로 일종의 Moving Average를 산출처리하여 최대한 안정되고 정확한 연료량 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데이터 출력부(225)는 상기 연료량 측정부(223)로부터 입력되는 연료량 평균 치 데이터를 출력단자부(230)를 통해 외부장치장치, 예컨대 자동차 전면회로패널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출력부(225)는 연료량 측정부(223)로부터 입력되는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된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중치 정보는 미리 산출되어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로 작성되어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이유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에 의해 유동되는 플로터부가 직선운동이 아닌 원운동을 하여 제어부(220)에서 측정되는 연료량 데이터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운전자는 연료량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것을 보고 연료탱크 내의 연료 주입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출력부(225)는 연료량 측정부(223)로부터 입력되는 연료량이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연료량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고표시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차 전면회로패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의 연료량 측정흐름도이다.
먼저, 자동차에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220)는 수광부(213)로부터 연료량 데이터를 읽어들인다(S801). 이후, 제어부(220)는 샘플링 시간동안 입력되는 연료량 데이터들 중 일정범위를 초과하거나 이하인 연료량 데이터를 제외한 후, 나머지 연료량 데이터들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출력한다(S802).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연료량 데이터를 샘플링 시간을 기준으로 일종의 Moving Average를 산출처리하여 최대한 안정되고 정확한 연료량 값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220)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된 연료량 데이터를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차 전면회로패널로 전송한다(S803). 여기서 본 발명의 제어부(220)는 측정된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된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어부(220)는 측정되는 연료량 데이터의 비선형성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운전자는 연료량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것을 보고 연료탱크 내의 연료 주입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220)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이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804). 판단결과 제어부(220)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고 데이터를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 예컨대 자동차 전면회로패널로 출력한다(S805). 이후 제어부(220)는 전원 오프신호가 입력되면(S806) 시스템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디지털 위치 제어방식으로 측정함으로써 연료량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는 연료량 측정포인트로 인코딩 패턴 띠를 사용함으로써, 연료량 측정포인트로 사용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다수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량 측정포인트의 개수를 대폭 늘릴 수 있어 종래 무접점식 연료량 측정장치보다 연료량 측정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량 측정장치는 하드웨어적인 회로구성이 간단해지고, 장치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연료탱크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료탱크의 연료량에 따라 유동하는 플로터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터부의 회전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량을 측정하는 무접점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가 상기 플로터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터부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접점 인디케이터부가 :
    상기 제1 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되며, 적어도 원주상 일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디지털 수치 데이터를 형성하는 인코딩 패턴 띠가 설치되는 회전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인코딩 패턴 띠에 조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해 연료탱크의 연료량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1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상기 회전판 상부에 설치되어 인코딩 패턴 띠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1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가 상기 회전판 외측으로 상기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인코딩 패턴 띠에 조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
    상기 수광부로부터 연료량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샘플링 시간동안 입력되는 연료량 데이터들 중 일정범위를 초과하거나 이하인 연료량 데이터를 제외한 후, 나머지 연료량 데이터들 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연료량 측정부와;
    상기 연료량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부가 :
    상기 연료량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된 연료량 평균치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부가 :
    상기 연료량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연료량이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연료량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경고표시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출력단자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KR1020050020239A 2005-03-10 2005-03-10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KR100665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39A KR100665031B1 (ko) 2005-03-10 2005-03-10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39A KR100665031B1 (ko) 2005-03-10 2005-03-10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80A KR20060099180A (ko) 2006-09-19
KR100665031B1 true KR100665031B1 (ko) 2007-01-04

Family

ID=3763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239A KR100665031B1 (ko) 2005-03-10 2005-03-10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0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240U (ja) 1983-08-03 1985-02-27 株式会社 テイエルブイ 水位検出器
JPH10232158A (ja) 1997-02-19 1998-09-02 Yazaki Corp 液面センサ
KR0166078B1 (ko) * 1990-12-20 1999-05-01 이경훈 유량 측정장치
KR20030091584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다임코 무접점 연료게이지의 연료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240U (ja) 1983-08-03 1985-02-27 株式会社 テイエルブイ 水位検出器
KR0166078B1 (ko) * 1990-12-20 1999-05-01 이경훈 유량 측정장치
JPH10232158A (ja) 1997-02-19 1998-09-02 Yazaki Corp 液面センサ
KR20030091584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다임코 무접점 연료게이지의 연료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80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052B2 (en) Fuel measuring device
JP5158218B2 (ja) 液面レベル計測装置
JP4810168B2 (ja) デジタル表示式測定器
KR100665031B1 (ko)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CN111751417B (zh) 计量装置
JP4841634B2 (ja) 軸方向力測定部が組み込まれた回転駆動部と直線駆動部を備えるモータ
EP2312282A1 (en) Wiper assembly for fuel level indication
CN208833166U (zh) 一种平面度检测装置及系统
JP5408083B2 (ja) 液面検出システム
CN212621010U (zh) 一种燃油位传感器
ES2222181T3 (es) Dispositivo de deteccion del aporte de combustible en un deposito de un vehiculo automovil.
JP3746683B2 (ja) 流量計
CN208505237U (zh) 便携式旋转角度、转速及角加速度测量仪及测量系统
KR200254832Y1 (ko) 전동차의 속도계 시험 장치
JP2009067342A (ja) 車両用計器
GB2072906A (en) Device for measuring the distance covered by a vehicle
DE602004003110D1 (de) Flüssigkeitspegelsensor für Kraftfahrzeuge
ES2270235T3 (es) Aparato de medida por palpacion.
JP2009168598A (ja) 超音波モータ及び指針式表示装置
KR20110009901U (ko) 스테핑모터를 적용한 선박용 인디케이터
CN201540072U (zh) 一种新型游标卡尺
CN219914463U (zh) 一种改进的光学编码器及鼠标
RU1809295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виброперемещений
CN211014346U (zh) 一种在线标定风向的旋转式风向传感器
CN201060020Y (zh) 数字式油量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