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668B1 -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668B1
KR100664668B1 KR1020050018110A KR20050018110A KR100664668B1 KR 100664668 B1 KR100664668 B1 KR 100664668B1 KR 1020050018110 A KR1020050018110 A KR 1020050018110A KR 20050018110 A KR20050018110 A KR 20050018110A KR 100664668 B1 KR100664668 B1 KR 10066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yoke
speaker
antenna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853A (ko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김주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Priority to KR102005001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6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전화에 장착되는 스피커에 있어, 상기 스피커는, 자기 폐회로 형성을 위한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요크 위에 적층되고, 상기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형성된 자기 폐회로에 대응되는 자기 폐회로 형성을 위한 코일이 밑면에 부착된 진동판이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상기 휴대전화 내장된 안테나에 가해지는 자계를 차단하기 위한 커버가 상기 요크 밑면에 부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장형 안테나를 스피커와 근접되게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피커의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안테나를 매개로 하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휴대전화, 스피커, 안테나, 내장용 안테나, 자계, 착발신.

Description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Coupling structure of speaker for mobile phon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하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도1에 나타낸 커버의 여러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다른 하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은 도4에 나타낸 커버의 여러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다른 하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는 도7에 나타낸 커버의 여러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30 : 요크 11, 21, 31 : 프레임
12, 22, 32 : 결합 턱 13, 23, 33 : 캡
14, 24, 34 : 진동판 15, 25, 35 : 코일
16, 26, 26a, 36, 36a : 기공 17, 27, 37a, 37b : 마그네트
18, 28, 38a, 38b : 플레이트 19, 29, 39 : 커버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PDA 등과 같은 상대방과 통화를 위한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피커의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계가 상대방과 통화를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말기, 즉 상대방과 통화를 위한 휴대전화는 소형화, 경량화를 위해 각 부품들이 고밀도로 배치된다. 물론, 부품 LCD나 스피커 등은 다양한 영상 및 음성 서비스를 위해 다른 부품들에 비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휴대전화를 구성하는 LCD나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각종 부품들이 고밀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계로 인하여 안테나를 휴대전화 내에 장착하지 못한다.
특히, 휴대전화 내부에 안테나를 내장하는 경우 스피커를 구성하는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에 의해 상대방과 통화를 위한 무선신호의 착발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통화상태가 수시로 단락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피커의 출력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안테나를 휴대전화 내부에 내장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형 안테나를 휴대전화에 장착된 스피커와 근접되게 장착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스피커의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안테나를 매개로 하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전화에 장착되는 스피커에 있어서, 자기 폐회로 형성을 위한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요크 위에 적층되고, 상기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형성된 자기 폐회로에 대응되는 자기 폐회로 형성을 위한 코일이 밑면에 부착된 진동판이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상기 휴대전화 내장된 안테나에 가해지는 자계를 차단하기 위한 커버가 상기 요크 밑면에 부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요크의 밑면에 부착되는 판 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요크의 밑면에 씌워지는 캡 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용기 형상의 요크와 일체형으로 요크를 감싸는 프레임이 성형되고, 상기 요크의 상부 중앙에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적층되며, 환형으로 감겨진 코일이 상기 프레임 위에 결합된 진동판의 밑면에 부착되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까지 내려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평판의 중앙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의 요크와 일체형으로 요크를 감싸는 프레임이 성형되고, 상기 요크의 평판 외곽에 상기 중앙의 원기둥과 일정간격을 두고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적층되며, 환형으로 감겨진 코일이 상기 프레임 위에 결합된 진동판의 밑면에 부착되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까지 내려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피커는, 판 형상의 요크와 일체형으로 요크를 감싸는 프레임이 성형되고, 상기 요크 상부의 중앙과 외곽에 원기둥 형상의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와 도넛 형상의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가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되며, 환형으로 감겨진 코일이 상기 프레임 위에 결합된 진동판의 밑면에 부착되어 상기 원기둥 형상의 마그네트와 도넛 형상의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까지 내려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 형상의 요크(10) 외곽에 요크(10)와 일체형으로 프레임(11)이 성형된다. 이 프레임(11)의 외곽에는 진동판(14) 및 캡(13)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턱(12)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 턱(12)은 요크(10)보다 높게 형성되어 진동판(14)이 결합 턱(12)에 결합되었을 때 진동판(14)과 요크(10) 사이에 진동판(14)의 진동을 위한 충분한 이격거리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 턱(12)은 요크(10)로부터 일정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진동판(14)의 저주파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공간의 프레임(11)에는 진동판(14)의 원활한 진동을 위한 다수의 기공(16)이 형성되어 있 다.
용기 형상의 요크(10) 내부의 중앙에는 원기둥 형상의 마그네트(17)와 플레이트(18)가 적층된다. 이때 요크(10)와 플레이트(18)의 높이가 같고, 마그네트(17)의 직경보다 플레이트(18)의 직경이 약간 큰 것이 좋다. 물론, 요크(10)의 내측면과 마그네트(17)의 외측면 사이에 코일(15)이 내입될 수 있는 일정 폭의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프레임(11)의 결합 턱(12)에 캡(13)과 함께 결합된 진동판(14)의 밑면에는 환형으로 감겨진 코일(15)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때 코일(15)의 하단부가 요크(10)와 마그네트(17) 사이에 형성된 공간까지 내려와 마그네트(17)에 의해 형성된 자기 폐회로(磁氣 閉回路)에 대응되는 자기 폐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요크(10)의 밑면에는 요크(10)와 프레임(1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커버(19)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커버(19)는 스피커가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전화에 결합되었을 때 마그네트(17)로부터 발생되는 자계가 휴대전화 내장된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19)는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요크(10)와 프레임(11)의 일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원형의 자성체이거나, 요크(10)와 프레임(11)의 일부를 감싸면서 씌워질 수 있는 캡 형상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장형 안테나를 휴대전화에 장착된 스피커와 근접되게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피커의 마그네트(17)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안테나를 매개로 하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중앙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의 요크(20) 외곽에 요크(20)와 일체형으로 프레임(21)이 성형된다. 이 프레임(21) 역시 위에서 설명된 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외곽에 진동판(24) 및 캡(23)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턱(22)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 턱(22)은 요크(20) 보다 높게 형성되어 진동판(24)이 결합 턱(22)에 결합되었을 때 진동판(24)과 요크(20) 사이에 진동판(24)의 진동을 위한 충분한 이격거리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 턱(22)은 요크(20)로부터 일정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진동판(24)의 저주파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중앙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요크(10)의 주변에는 진동판(24)의 원활한 진동을 위한 다수의 기공(26)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기공(26)은 요크(20) 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프레임(21)의 외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의 요크(20) 외곽에는 도넛 형상의 마그네트(27)와 플레이트(28)가 적층되는데, 이들은 프레임(21)을 성형한 후 차후에 조립될 수도 있지만 프레임(21)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요크(20)와 함께 프레임(21)과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때 요크(20)와 플레이트(28)의 높이가 같고, 마그네트(27)의 내경보다 플레이트(28)의 내경이 약간 작은 것이 좋다. 물론, 요크(20)의 외측면과 마그네트(27)의 내측면 사이에 코일(25)이 내입될 수 있는 일정 폭의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프레임(21)의 결합 턱(22)에 캡(23)과 함께 결합된 진동판(24)의 밑면에는 환형으 로 감겨진 코일(25)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때 코일(25)의 하단부가 요크(20)와 마그네트(27) 사이에 형성된 공간까지 내려와 마그네트(27)에 의해 형성된 자기 폐회로에 대응되는 자기 폐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요크(20)의 밑면에는 요크(20)와 프레임(2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커버(29)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커버(29)는 스피커가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전화에 결합되었을 때 마그네트(27)로부터 발생되는 자계가 휴대전화 내장된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29)는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요크(20)와 프레임(21)의 일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원형의 자성체이거나, 요크(20)와 프레임(21)의 일부를 감싸면서 씌워질 수 있는 캡 형상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커버(29)에도 요크(20)에 형성된 기공(26)에 대응하는 기공(26a)이 형성되어 있어, 진동판(24)의 원활한 진동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형 안테나를 휴대전화에 장착된 스피커와 근접되게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피커의 마그네트(27)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안테나를 매개로 하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판 형상의 요크(30) 외곽에 도넛 형상의 마그네트(37a)와 플레이트(38a)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요크(30)와 마그네트(37a) 및 플레이트(38a)과 일체형으로 프레임(31)이 성형된다. 이 프레임(31) 역시 위의 두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레임(11)(21)과 마찬가지로 외곽에 진동판(34) 및 캡(33)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턱(32)이 형성되는 데, 이 결합 턱(32)은 요크(30) 보다 높게 형성되어 진동판(34)이 결합 턱(32)에 결합되었을 때 진동판(34)과 요크(30) 사이에 진동판(34)의 진동을 위한 충분한 이격거리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턱(32)은 마그네트(37a)로부터 일정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진동판(34)의 저주파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원판 형상의 요크(30)에는 진동판(34)의 원활한 진동을 위한 다수의 기공(36)이 마그네트(37a)(37b)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기공(36)은 요크(30) 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프레임(31)의 외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원판 형상의 요크(30) 중앙에는 원기둥 형상의 마그네트(37b)와 플레이트(38b)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데, 이들은 마그네트(37a) 및 플레이트(38a)와는 달리 프레임(31)을 성형한 후에 조립된다. 이렇게 마그네트를 이중으로 배치하는 것은 스피커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스피커의 출력을 최대로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플레이트(38a)(38b)의 높이가 같고, 마그네트(37a)의 내경보다 플레이트(38a)의 내경이 약간 작으며, 마그네트(37b)의 외경보다 플레이트(38b)의 외경이 약간 큰 것이 자기 흐름에 좋다. 물론, 마그네트(37a)의 내측면과 마그네트(37b)의 외측면 사이에 코일(35)이 내입될 수 있는 일정 폭의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프레임(31)의 결합 턱(32)에 캡(33)과 함께 결합된 진동판(34)의 밑면에는 환형으로 감겨진 코일(23)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때 코일(35)의 하단부가 마그네트(27a)와 마그네트(37b) 사이에 형성된 공간까지 내려와 마그네트 (37a)(38b)에 의해 형성된 자기 폐회로에 대응되는 자기 폐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요크(30)의 밑면에는 요크(30)와 프레임(3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커버(39)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커버(39)는 스피커가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전화에 결합되었을 때 마그네트(37a)(37b)로부터 발생되는 자계가 휴대전화 내장된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39)는 도8 및 도9에서와 같이, 요크(30)와 프레임(31)의 일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원형의 자성체이거나, 요크(30)와 프레임(31)의 일부를 감싸면서 씌워질 수 있는 캡 형상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장형 안테나를 휴대전화에 장착된 스피커와 근접되게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피커의 마그네트(37a)(37b)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안테나를 매개로 하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장형 안테나를 휴대전화에 장착된 스피커와 근접되게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피커의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안테나를 매개로 하는 통화를 위한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자기 폐회로 형성을 위한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요크 위에 적층되고, 상기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형성된 자기 폐회로에 대응되는 자기 폐회로 형성을 위한 코일이 밑면에 부착된 진동판이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된 스피커를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전화에 장착하는 내장형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크 밑면에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상기 휴대전화 내장된 안테나에 가해지는 자계를 차단하기 위한 커버가 부착된 구조로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요크의 밑면에 부착되는 자성체로서 판 형상이나 캡 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0018110A 2005-03-04 2005-03-04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KR10066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110A KR100664668B1 (ko) 2005-03-04 2005-03-04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110A KR100664668B1 (ko) 2005-03-04 2005-03-04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53A KR20060096853A (ko) 2006-09-13
KR100664668B1 true KR100664668B1 (ko) 2007-01-04

Family

ID=3762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110A KR100664668B1 (ko) 2005-03-04 2005-03-04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6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30A (ko) * 1998-03-05 1999-10-05 김종겸 일체형 스피커/부저
KR20040040382A (ko) * 2002-11-06 2004-05-12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밸브
KR20040078625A (ko) * 2004-08-23 2004-09-10 주식회사 이엠텍 이동통신 단말기용 단방향 타원형 스피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30A (ko) * 1998-03-05 1999-10-05 김종겸 일체형 스피커/부저
KR20040040382A (ko) * 2002-11-06 2004-05-12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밸브
KR20040078625A (ko) * 2004-08-23 2004-09-10 주식회사 이엠텍 이동통신 단말기용 단방향 타원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53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472B1 (en) Receiver
US7519191B2 (en) Loudspeak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KR101042032B1 (ko) 마이크로 스피커
US20020131612A1 (en) Dual magnetic structure of vibration speaker
KR10198379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JP3558602B2 (ja) 信号変換装置の結合構造
JP4361580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JP4034696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
CN103248990A (zh) 一种压电陶瓷扬声器与近距离无线通讯天线集成的装置
KR200327024Y1 (ko) 마이크로 스피커에서의 고출력을 위한 진동판 결합구조
US20120328147A1 (en) Speaker
KR100664668B1 (ko) 내장용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휴대전화용 스피커의 결합구조
JP4557495B2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420991Y1 (ko) 휴대폰 및 휴대용 무선기기용 인테나 일체형 스피커
KR20090003687A (ko) 방사형 착자 방향 외륜 마그네트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피커
US8879779B2 (en) Micro-speaker
JP3951838B2 (ja) スピーカ
KR20040068625A (ko) 양면 스피커
KR100695726B1 (ko)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KR100695725B1 (ko) 내외자형 고출력 스피커
KR20070089429A (ko) 마이크로스피커
KR100685451B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KR200360716Y1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KR200344263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100478459B1 (ko) 하나의 판재로 가공된 요크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된다기능 신호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