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547B1 - 직하형 백라이트 - Google Patents

직하형 백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547B1
KR100664547B1 KR1020030066911A KR20030066911A KR100664547B1 KR 100664547 B1 KR100664547 B1 KR 100664547B1 KR 1020030066911 A KR1020030066911 A KR 1020030066911A KR 20030066911 A KR20030066911 A KR 20030066911A KR 100664547 B1 KR100664547 B1 KR 10066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distance
luminance
diffuser plat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314A (ko
Inventor
한유아츠시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84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276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83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4303B2/ja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4003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고휘도화 또는 대형화하고, 또한, 박형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적 수단을 제공한다.
확산판의 배후에 램프가 소정의 램프피치로 복수개 배치된 직하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램프간 거리가 10mm이하가 되도록 램프에 근접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확산판은 유리제이며 탁도(haze)치가 95%이상, 투과율이 10%~40%이다.

Description

직하형 백라이트{Direct method back light}
도1은, 제 1실시형태에 관한 직하형 백라이트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확산판을 제거한 상태의 직하형 백라이트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에서의 확산판과 램프 배치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4는 제 2실시형태에 관한 직하형 백라이트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확산판을 제거한 상태의 직하형 백라이트 평면도이다.
도6은, 도4의 확산판과 램프의 배치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7은, 실험결과의 일례인 휘도와 거리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하형 백라이트
2 : 확산판
3a : 반사면
4 : 광원(램프)
8 : 반사시트(반사면)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등에 이용되는 직하형 백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의 대형화도요구되고 있다. 백라이트는 크게 나누어, 사이드라이트형과 직하형이 있는데, 대형 백라이트에는 후자인 직하형이 많이 채용된다.
즉, 직하형은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 제품의 확산판 배후에 복수개의 램프(냉음극관 타입의 형광등)를 배치하여 구성된 것이고, 발광면 바로 뒷쪽에 램프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램프를 사용할 수 있고, 대형화해도고휘도를 얻기쉬워서 고휘도대형화에 적합하다. 또, 직하형은 장치내부가 중공구조이므로 대형화해도경량인 것에서 고휘도대형화에 적합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4-35082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 11-29573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직하형 백라이트에서는, 박형화했을 때에 발광면에서의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특히, 고휘도대형화하고 박형화하면,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즉, 직하형 백라이트는 확산판의 배후에 랩프가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사이드라이트형 백라이트에 비해 장치가 두꺼워지는 것으로, 원래, 박형화가 곤란한 것 이다.
게다가, 박형화하기 위해 확산판과 램프간의 간격을 작게 하면, 확산판 발광면에 램프이미지(확산판의 램프직상 부근의 휘도가 높고, 램프간 위치의 휘도가 낮아진 것)가 강하게 발생하고, 이 램프이미지를 없애기 어렵게 되어 발광품위가 저하한다. 즉, 직하형 백라이트에서는 박형화를 도모하면 발광품위가 저하된다.
또한, 직하형 백라이트를 대형화하여 고휘도를 확보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표시면이 크기 때문에, 다수의 램프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램프 등으로부터의 발열이 커진다. 또한, 종래의 직하형 백라이트에서는 확산판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제이므로, 발열의 영향에 의해 확산판의 휘어짐, 황변, 열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발광품위가 저하함과 동시에 수명이 짧아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지제 확산판에 있어서, 발광품위의 저하나 발열에 의한 영향을 피하려고 하면, 램프와 확산판간의 간격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장치 두께가 두꺼워져서 박형화에 반하고, 휘도도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박형화할 수 있는 직하형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하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고휘도화 또는 대형화하고, 박형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확산판의 배후에 냉음극관 램프가 소정의 램프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백라이트 유효 발광영역의 대각 길이가 10인치 이상인 대형 액정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램프간 거리가 10mm 이하가 되도록 램프에 근접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확산판은 유리제로서 탁도치가 95%이상, 투과율이 10%~40%(바람직하게는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판이 유리제이므로, 램프로부터의 발열이 커도램프의 발열에 의한 영향을 회피하면서 확산판과 램프를 근접배치할 수 있고, 백라이트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즉, 확산판이 유리이고 내열성이 뛰어나므로, 램프로부터의 발열이 큰 경우에도확산판과 램프간 거리를 10mm이하(바람직하게는 5mm이하)로 하여 확산판과 램프를 근접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자는, 확산판과 램프간 거리를 짧게 해도탁도치가 높고 투과율이 낮은 확산판을 채용하므로써, 양호한 발광품위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박형화를 위해 확산판과 램프간 거리를 작게하여 램프이미지가 강해져도높은 탁도치와 낮은 투과율 확산판에 의해 램프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발광품위가 양호해지며 구체적으로는 탁도치를 95%이상, 투과율이 10%~40%로 하므로써 양호한 발광품위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학산판의 투과율을 40%이하까지 낮게 해도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였으므로, 비교적 적은 램프수로도고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최저한의 휘도를 확보하기 위해, 투과율은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가 짧으므로, 대형 백라이트로 한 경우에도비교적 적은 램프수로 고휘도와 양호한 발광품위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확산판과 상기 램프 사이의 거리는 5mm이상 10mm이하로 할 수 있다.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너무 짧게 하면, 램프이미지가 나타나기 쉬워지고,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확산판의 투과율을 매우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투과율을 작게 하면, 휘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고휘도를 얻으려고 하면, 램프의 갯수를 늘릴 필요가 있고, 비용증대 또는 소비전력의 증대를 초래한다.
이에 대해,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5mm이상 10mm이하로 하여 어느 정도의 박형화를 도모하면서도비교적 크게 취하므로써, 램프갯수를 억제하고, 발광품위가 양호하며 고휘도·박형의 직하형 백라이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램프갯수를 억제하므로써, 램프피치를, 예를 들면 12mm~30mm의 범위내로 하여 비교적 크게 취할 수 있고, 램프갯수 증대에 따른 비용절감·소비전력 억제를 달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램프피치(LP)를 4mm~12mm의 범위내로 매우 작게 하여 램프갯수를 늘리면서, 상기 확산판의 투과율을 30%이하로 매우 작게 하고, 상기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5mm이하(바람직하게는 1.5mm~5mm)로 할 수 있다.
즉, 램프피치를 매우 작게 하여 램프갯수를 늘려두고, 확산판의 투과율을 매우 작게 하므로써, 투과율일 낮아도많은 램프에 의해 충분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확산판의 투과율이 매우 작기때문에, 램프이미지를 없애는 작용이 크게 작용한다. 또, 램프피치가 작기때문에, 램프간의 휘도가 낮은 부분이 적고 램프이미지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5mm이하(바람 직하게는 1.5mm~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5mm)로 해도 램프이미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품위가 양호하고 고휘도이며, 또한 초박형의 직하형 백라이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램프피치는, 램프갯수가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mm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본 발명은, 확산판의 배후에 램프가 소정의 램프피치로 복수개 배치된 직하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램프 사이의 거리(L)가 10mm이하가 되도록, 램프에 근접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확산판은 유리제이며, 탁도치가 95%이상, 투과율이 10%~60%이고, 상기 램프피치가 4mm~12mm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도, 확산판이 유리제이므로, 램프로부터의 발열이 커도램프의 발열에 의한 영향을 회피하면서 확산판과 램프를 근접배치할 수 있고, 백라이트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즉, 확산판이 유리이고 내열성이 뛰어나므로, 램프로부터의 발열이 큰 경우에도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10mm이하(또한 5mm이하)로 하여 확산판과 램프를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면서, 램프피치를 작게했기 때문에, 발광품위가 양호하고 초고휘도·박형의 직하형 백라이트를 얻을 수 있다. 즉, 박형화를 위해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해도, 램프피치가 작기 때문에 램프이미지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고, 발광품위가 양호해진다. 또한, 작은 램프피치 에 의해 램프이미지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확산판의 투과율을 최대 60%까지 크게 할 수 있고, 램프피치를 억제하여 램프갯수가 늘어남과 더불어 확산판 발광면에 있어서 휘도가 매우 높은(예를 들면, 10000cd/m2이상) 직하형 백라이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확산판과 이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에서 소정의 램프피치에 의해 복수개가 배치된 램프를 구비한 직하형 백라이트로서, 상기 확산판의 투과율이 20%~40%이며, 인접하는 2개의 램프의 중간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확산판의 발광면상에서의 휘도가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를 La로 하고, 또한 그 La보다도큰 수치로서 상기 휘도가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0%가 되는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를 Lb(단, Lb>La)로 했을 때에, 하기의 부등식(1)을 만족하도록,
La ≤ L ≤ Lb … (1)
이들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L)를 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하형 백라이트에서는 20~40%의 낮은 투과율의 확산판을 사용하고 있다. 즉, 본 출원의 발명자는 박형화했을 때라도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확산판 투과율을 낮추는 것에 착안했다. 그런데, 이러한 낮은 투과율의 확산판을 사용했을 경우, 상기 발광면에서의 휘도도낮게 되어 해당 발광면이 어두워지기 쉽다. 그래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박형화했을 때에 발광면상에서 가장 어두운 부분으로서 램프이미지가 가장 시각으로 인식하기 쉬우며, 상기 인접하는 2 개의 램프 중간위치에 대응하는 확산판의 발광면상에서의 휘도에 착안했다. 그리고, 이 휘도를 기초로 하여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L)을 상기 부등식(1)에서 규정되는 범위내의 값에서 선택하므로써, 발광면에 있어서의 원하는 휘도를 확보하고 해당 발광면에서의 램프이미지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한 양호한 발광품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직하형 백라이트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여기에서, 확산판의 투과율을 20~40%로 한 것은, 20%미만의 투과율의 확산판을 사용한 경우, 그 발광면을 통과하는 램프광이 적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40%를 넘는 투과율의 확산판을 사용한 경우, 램프직상 부근에서의 발광면 휘도가 상기 중간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면 휘도에 비해 높아져서 램프이미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어렵게 되어, 박형화했을 때에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상기 거리(L)를 부등식(1)의 범위내 값으로 한 것은,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확산판과 반대면 사이의 거리(La)보다도작은 치수를 선택했을 경우, 40%를 넘는 투과율의 확산판을 사용한 경우과 동일하게, 램프이미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어려워지고, 박형화했을 때에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한편, 최대휘도치(Bmax)의 90%가 되는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Lb)보다 큰 치수를 선택한 경우, 20%미만의 투과율의 확산판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발광면 휘도를 원하는 휘도로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휘도가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2%~96%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거리(L)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발광품위가 뛰어난 박형 백라이트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각 발명에 따르면, 램프 발열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 있으므로, 램프 갯수가 비교적 많아지는 대형 백라이트, 즉, 백라이트 유효발광영역의 대각치수가 10인치 이상(바람직하게는 15인치 이상)의 대형 백라이트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각 발명에 따르면, 램프 발열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 있으므로, 램프 갯수가 비교적 많아지는 고휘도의 백라이트, 즉 확산판 발광면에 있어서의 휘도가 4000cd/m2이상, 비람직하게는 5000cd/m2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00cd/m2이상의 고휘도의 백라이트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도3은, 액정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용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직하형 백라이트(1)가 설치되는 액정표시장치는 대형으로, 구체적으로는 10인치형(약 10인치의 화면대각치수를 갖는 것)보다도큰 것이다. 예를 들면, 15인치형, 17인치형, 20인치형, 30인치형, 50인치형 등이다.
직하형 백라이트(1)는, 한 면에 확산판(2)이 설치된 케이싱(3) 내부에 복수개의 광원(4)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3)은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이 고, 한 면이 개구한 얇은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3)의 저면(3a)에는 백색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의 개구한 한 면에는, 백색의 유리제 확산판(2)이 설치되어 있다. 확산판은 1.0mm~3.0mm의 두께이고, 바람직하게는 2.0mm 전후의 것이 이용된다.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5)은 상기 확산판(2)이 배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확산판(2)에 있어서의 면형상 광이 거의 균일하게 액정패널(5)에 조사된다. 이 때문에, 확산판(2)은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치수보다도크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확산판(2)은,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유효발광영역의 주변둘레쪽에, 비유효발광영역이 확보된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15인치형 액정표시장치용으로 이용되는 백라이트확산판(2)의 유효발광영역 대각치수는 약 15인치이다. 또한, 확산판(2)의 비유효발광영역은 케이싱(3) 등에 지지되어 숨겨지고, 액정패널(5)로 빛을 조사하지 않는 범위이다.
확산판(2)의 배후에 배치된 광원(4)은, 가늘고 긴 선형상 광원으로, 구체적으로는, 냉음극관타입의 형광램프이다. 이들 형광램프(4)는 복수개(도시한 것에서는 8개)가 대략 동일한 램프피치(LP)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직하형 백라이트(1)는 대형액정표시장치용이기 때문에, 큰 유효발광영역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다수의 형광램프(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액정 텔레비전으로 이용하는 등의 경우에는 고휘도인 것이 필요한 점에서 보더라도다수의 형광램프(4)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15인치형용 백라이트(1)이면 8개정도의 형광램프(4)가 이용되고, 20인치형용의 백라이트(1)이면 12개정도의 형광램프(4)가 이용되며, 30인치형용의 백라이 트(1)이면 16개정도의 형광램프(4)가 이용된다. 또한, 형광램프(4)와 반사면(3a)까지의 거리는, 0.3~2mm정도로 설정된 것이고, 램프(4)가 플랫인 반사면(3a)에 근접배치되게 되어있다.
냉음극관타입의 형광램프(4)는, 지름이 2.0~4.0mm정도(바람직하게는 3.0mm정도)로 가늘어서, 박형화에 적합하지만, 전극부분으로부터의 발열이 큰 것으로, 다수의 형광램프(4)를 설치하면, 발열에 의해 케이싱(3)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아진다. 또, 형광램프(4)는 미도시의 인버터(점등장치 ; 일반적으로 케이싱의 배면에 설치된다)에 의해 고주파점등되지만, 이 인버터로부터의 발열도케이싱(3) 내부의 온도상승을 촉진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수의 형광램프(4)를 점등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발열도 크다. 이렇게, 대형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1)의 경우, 케이싱(3) 내부가 고온이 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여기에서, 인접하는 램프(4), (4)끼리의 간격(램프피치, LP)은, 4~30mm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램프피치(LP)를 작게 하면, 램프갯수가 증가하고, 발열이 비교적 커지지만 휘도가 비교적 커진다. 한편, 램프피치(LP)를 크게 하면, 램프갯수가 감소하고 발열이 비교적 작아지지만 휘도가 비교적 저하된다. 구체적으로는, 램프피치(LP)를 4~12mm로 설정하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발열을 회피하면서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즉, 램프피치(LP)를 12mm이하로 하므로써 램프갯수가 많아지고 고휘도를 얻을 수 있으며, 램프피치(LP)를 4mm보다 크게 하므로써 이상발열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램프피치(LP)를 12~30mm의 범위로 설정하면, 어느정도의 휘도가 확보 됨과 동시에 램프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용및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즉, 램프피치(LP)가 12mm(바람직하게는 15mm, 더 바람직하게는 20mm)보다도크기때문에 램프갯수가 비교적 적고 발열이 비교적 적다. 또, 램프피치(LP)가 30mm보다도작기때문에 어느정도의 휘도가 확보된다.
또, 30mm이하의 램프피치(LP)를 채용하므로써, 인접하는 2개의 램프(4, 4)간에 있어서, 휘도가 낮은 부분이 나타나는 것을 적게하고, 램프이미지가 발생하는 것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
케이싱(3)은, 램프(4)로부터의 거리(L)가 작은 위치에서 확산판(2)을 지지하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백라이트(1)가 박형화되며, 나아가서는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가 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확산판(2)과 램프(4)의 거리(L)를 10mm이하로 하고 있다. 종래, 시판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백라이트에 있어서는, 확산판으로 합성수지제의 것을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발열 등의 제약으로, 거리(L)를 20mm정도로 밖에 할 수 없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리(L)가 10mm 이하이고 큰 폭으로 박형화되어 있다. 또한, 거리(L)를 5mm이하로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리(L)를 1.5mm~5mm로 할 수 있다. 또는, 거리(L)를 5mm이상 10mm이하로 하는 것도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거리(L)를 작게 하고, 발열하는 램프(4)와 확산판(2)이 가까워져서 확산판(2)이 열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지만, 확산판(2)이 합성수지제에 비해 열에 강한 유리제이므로, 열의 영향에 의한 휘어짐, 황변, 열변형 등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덧붙여, 종래의 확산판에서 거리(L)를 작게 하면, 램프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서 발광품위가 저하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확산판(2)은 고탁도저투과율의 것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거리(L)를 작게 해도램프이미지가 발생하기 어려워서 확산판(2)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성(발광품위)이 유지된다. 또한 , 단순한 고탁도저투과율의 확산판 채용은 휘도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리(L)를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고탁도저투과율의 확산판을 채용해도, 비교적 적은 램프갯수로 높은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직하형 백라이트(1)의 대형화, 박형화, 고휘도, 그리고 양호한 발광품위의 모든 것이 달성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확산판(2)의 탁도치는, 양호한 확산성을 얻기 위해 95%이상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97%이상이다. 또, 확산판(2)의 투과율은, 경우에 따라서 60%이하여도좋지만, 대표적으로 바람직하게는 40%이하이다. 투과율은 너무 낮으면 휘도가 손상되기 때문에, 10%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투과율은 20~40%이고, 30~40%가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판(2)상(확산판(2)의 액정패널(5)쪽 면)은, 발광품위를 정돈하기 위한 확산시트, 렌즈시트, 편광시트 등의 광학시트(6)가 필요에 따라 배설된다. 많은 경우, 광학시트(6)로서는, 휘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확산시트가 이용된다.
이하에서, 실험결과 중 몇개를 대표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1]
15인치형용의 직하형 백라이트(1)에 있어서, 거리(L)를 10mm로 하여 박형화 하고, 램프피치(LP)를 23.5mm(램프갯수 8개)로 설정하며, 확산판(2)의 탁도치를 97%, 투과율을 40%로 한 경우(실시예1)에는, 확산판(2)의 발광얼룩을 거의 신경쓸 필요없이 양호한 발광품위를 얻을 수 있었다. 또, 확산판 투과율이 낮고 램프갯수가 그다지 많지 않음(8개)에도불구하고, 약 5000cd/m2의 충분한 휘도(광학시트(6)가 없는 상태의 휘도;이하 동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실시예1에서는 직하형 백라이트의 대형화, 박형화, 고휘도, 그리고 양호한 발광품위 등 모든 것이 달성되고, 램프갯수가 비교적 적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비교예1]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1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변경되어 있다. 즉, 15인치형용의 직하형 백라이트(1)에 있어서, 거리(L)를 10mm로 하여 박형화하고, 램프피치(LP)를 23.5mm로 설정하며, 확산판(2)의 탁도치를 97%, 투과율을 50%로 한 경우(비교예 1)에는, 확산판(2)상에서 발광얼룩이 확인되고, 발광품위가 손상되었다.
[실시예2]
15인치형용의 직하형 백라이트(1)에 있어서, 거리(L)를 5mm로 하여 박형화하고, 램프피치(LP)를 12mm로 설정하며, 확산판(2)의 탁도치를 97%, 투과율을 30%로 한 경우(실시예2)에는, 확산판(2)의 발광얼룩을 거의 신경쓸 필요없이 양호한 발광품위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실시예2에서는 실시예1보다도투과율을 낮게 하고 있지만, 거리(L)를 짧게 하고 있으므로, 실시예1과 동등한 휘도(약 5000cd/m2)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실시예2에서는, 직하형 백라이트의 대형화, 박형화, 고휘도, 그리고 양호한 발광품위의 모든 것이 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발광품위, 고휘도를 손상하는 일 없이 실시예1보다도한층 더 박형화(초박형화)가 달성되었다.
[실시예3]
15인치형용의 직하형 백라이트(1)에 있어서, 거리(L)를 10mm로 하여 박형화하고, 램프피치(LP)를 12mm로 설정하며, 확산판(2)의 탁도치를 97%, 투과율을 60%로 한 경우(실시예3)에는, 확산판(2)의 발광얼룩을 거의 신경쓸 필요없이 양호한 발광품위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실시예3에서는, 실시예1보다도투과율을 높게 하고, 또한 램프피치(LP)를 작게 하고 있으므로, 실시예1보다도더 높은 휘도(10000cd/m2)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실시예3에서는, 직하형 백라이트의 대형화, 박형화, 고휘도, 그리고 양호한 발광품위의 모든 것이 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발광품위를 손상하는 일 없이, 초고휘도화가 달성되었다. 이 실시예3의 것은, 액정 텔레비전에 특히 적당하다.
[비교예2]
15인치형용의 직하형 백라이트(1)에 있어서, 거리(L)를 10mm로 하여 박형화하고, 램프피치(LP)를 23.5mm로 설정하며, 확산판(2)의 탁도치를 97%, 투과율을 60%로 한 경우(비교예 2)에는, 확산판(2)상에서 발광얼룩이 확인되고, 발광품위가 손상되었다.
도4 ~ 도6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직하형 백라이트(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직하형 백라이트(1)도, 예를 들면, 유백색의 확산판(2)이 한면에 설치된 케이싱(3) 내부에 복수개의 광원(4)이 배치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4 ~ 도6에 도시하는 직하형 백라이트(1)에 관해, 특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도1 ~ 도3에 도시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와 동일하다.
또, 상기 케이싱(3)의 저면에는, 합성수지 필름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막에 의해 구성된 반사시트(8)가 설치되어있다. 이 반사시트(8)는, 광원(4)의 빛을 확산판(2)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을 구성하고 있고, 광원(4)쪽의 표면이 예를 들면 백색으로 도장되어 상기 빛을 확산판(2)쪽에 효율적으로 반사하고 상기 빛의 이용효율 및 확산판(2)에서의 휘도를 높이고 있다. 또, 이 반사시트(8)의 두께는, 0.2~0.4mm정도이고, 백라이트(1)의 박형화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반사시트(8) 대신에, 광반사율이 높은 백색이나 은색 등의 도료를 케이싱(3) 저면에 도포한 반사층을 반사면으로 하여 이용하는 것도가능하다.
도4 ~ 도6에 도시하는 직하형 백라이트(1)에서는, 상기 확산판(2)으로서, 유리재를 대신하여, 합성수지재를 이용해도좋다. 단, 흡성수지제에 비해 열에 강한 유리제의 확산판(2)을 이용하는 편이 램프(4)의 발열이나 케이싱(3) 내부의 온도상승 등의 열의 영향에 따른 휘어짐, 황변, 열변형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확산판(2)에서는, 그 탁도치는 88%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7%이상의 것이 이용되고 있고, 액정패널(5)에 대한 램프광의 확산성을 높여서 균일하고 고휘도의 표시화상을 패널(5)상에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되 어있다. 또한, 확산판(2)의 투과율은 20~40%의 저투과율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투과율은 너무 낮으면 휘도가 손상되므로, 20%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한 투과율은 30~40%이다. 또, 40%이하로 하므로써, 박형화했을 때라도휘도저하를 억제하면서 램프이미지의 발생을 방지하여 양호한 발광품위를 유지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 확산판(2)상(확산판(2)의 액정패널(5)쪽의 면)에는, 발광품위를 정돈하기 때문에 확산시트, 렌즈시트, 편광시트 등의 광학시트(6)가 필요에 따라 배설된다. 많은 경우, 광학시트(6)로서는, 휘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확산시트가 이용된다.
또, 상기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L)(도3)은, 인접한 2개의 램프(4)의 중간위치(도2에 한점 쇄선(C)으로 도시하는 상기 램프피치(LP)의 1/2의 치수선상의 임의의 점(c))에 대응하는 해당 확산판(2)의 발광면상(도1의 X점)에서의 휘도를 기초로 최적화된 것으로, 하기의 La 및 Lb를 이용한 부등식(1)에 의해 규정된 범위내의 값이 선택되어 있다. 상기 발광면상의 X점은 백라이트(1)를 박형화했을 때에 상기 광학시트(6)를 배치하고 있지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경우에 해당 발광면상에서 가장 어두운 부분으로 램프이미지가 가장 시각으로 인정되기 쉬운 곳이다. 또, 상기 La는, 상기 중간위치 위쪽의 발광면상(X점)에서의 휘도가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이다. 또, 상기 Lb는 상기 중간위치 위쪽의 발광면상(X점)에서의 휘도가 최대휘도치(Bmax)의 90%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이다.(단, Lb > La)
La ≤ L ≤ Lb … (1)
상기 부등식(1)을 만족하도록, 확산판(2)의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L)을 선택하므로써, 직하형 백라이트(1)을 박형화한 경우라도, 인접하는 2개의 램프(4)로부터 직접적 또는 반사시트(8)를 거쳐 간접적으로 확산판(2)의 상기 중간위치 위쪽부분에 입사되는 램프광의 광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그 확산판 발광면에 램프이미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면에서의 휘도를 원하는 고휘도(예를 들면, 4000cd/m2이상)로 할 수 있고, 나아가 확산판(2)에서의 램프(4)의 발열이나 케이싱(3)내의 온도상승 등의 열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L)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2%~95%의 범위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범위이다.
여기에서, 상기 확산판(2)의 투과율의 선정 및 상기 거리(L)를 최적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결과의 일례인 표 1 및 이것을 그래프화한 도7을 참조하여 20~40%의 투과율과 상기 부등식(1)에 의한 거리(L)의 최적화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험에서는, 지름 3.0mm의 두개의 냉음극관램프(4)를 23.5mm의 램프피치(LP)를 두고 배치함과 동시에, 램프(4)의 하단부를 반사시트(8)로부터 2mm 위쪽에 설치한 상태에서, 확산판(2)과 반사시트(8)와의 사이의 거리(즉, 램프 상단부로부터 확산판(2)까지의 거리)를 소정단위로 변경하고, 그 램프(4)의 중간위치 위쪽의 확산판 발광면에서의 휘도를 측정했다. 또, 투과율이 10%, 20%, 30%, 40% 및 50%의 확산판 No. 1, 2, 3, 4, 및 5를 준비하고, 각 확산판 No. 1 ~ 5에서의 상 기 중간위치 위쪽의 발광면상(X점)에서의 휘도를 수시로 측정했다.
휘도(cd/m2)
거리(L) (mm) 확산판 No.1 확산판 No. 2 확산판 No. 3 확산판 No. 4 확산판 No. 5
7 3855 4164 4418 4696 4909
8 3764 4218 4527 4836 5145
9 3455 4200 4606 4992 5273
11 2837 4091 4592 5021 5445
14 * 3873 4429 4906 5491
16 * 3728 4300 4783 5478
18 * 3595 4185 4693 5465
20 * 3365 4061 4607 5452
22 * 3088 3952 4502 5419
* : 저휘도이므로 측정하지 않음
표 1 및 도7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10% 투과율의 확산판 No. 1에서는, 휘도피크치에서도3855cd/m2로 낮고, 다른 투과율의 것에 비해 휘도의 저하율이 커서 램프광의 이용효율이 너무 나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 50% 투과율의 확산판 No. 5에서는 상기 측정부분의 X점에서의 휘도는 4000cd/m2이상의 고휘도였지만, 램프 바로 위의 부분에서의 휘도가 크고, 해당 X점에서의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거리(L)로 설정한 경우라도그 램프 바로 위의 부분과 X점(램프 중간위치 바로 위)과의 휘도차가 크고, 램프이미지를 불식할 수 없었다. 즉, 투과율 50%의 확산판을 사용한 경우, 박형화했을 때에 양호한 발광품위를 확보할 수 없다.
또, 도7에 대응하는 커브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투과율이 20~40%의 확산판 No. 2~4에서는 상기 X점에서의 휘도는 거리(L)를 7mm보다 크게 함에 따라 높 아져서 최대휘도치(Bmax)를 나타낸 후, 그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거리보다 거리(L)를 크게함에 따라 저하되었다. 또, 이 거리(L)의 증대에 따른 X점의 휘도저하는, 동일 도의 커브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투과율이 50%의 확산판 No. 5의 것에 비해서 훨씬 크고 확산판 No. 2 ~ 4를 이용한 경우 발광면에서의 휘도저하를 초래하기 쉬운 것이 판명되었다.
또, 각 확산판 No. 2 ~ 4의 발광면에서는, X점에서의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거리(La)보다도작은 거리의 경우, 상기 램프 바로위 부분에서의 휘도가 높고, X점에서의 측정휘도와의 상대휘도차가 크며 발광면에 램프이미지가 시각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최대휘도치(Bmax)를 도시하는 거리(La)에 거리(L)를 근접시키므로써, 상기 상대휘도차가 작아지고, 상기 거리(La)로 했을 때에 램프이미지를 시각확인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 후, 최대휘도치(Bmax)의 90%가 되는 거리(Lb)까지는, 각 발광면은 원하는 휘도가 확보되고, 또한 램프이미지가 적은 양호한 발광품위로 유지되고 있었다. 또, 최대휘도치(Bmax)의 95~92%가 되는 거리범위에서는, 시각관찰에 따르면, 특히 발광품위가 좋고, 휘도저하도적은 것이었다. 그리고, 최대휘도치(Bmax)의 90%가 되는 거리(Lb)보다도거리(L)를 크게 하면, X점에서의 휘도가 너무 저하되어 램프광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램프 바로 위의 부분에서의 휘도는, 각 확산판 No. 2~4도거리 (L)를 7mm로 했을 경우에 피크치를 나타내고, 그 후 거리(L)를 크게 하므로써, 도7이 대응하는 커브에서 도시한 X점에서의 휘도에 근접하도록 저하된다.
또한, 상기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최대휘도치(Bmax)의 100%, 95%, 92%, 및 90%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구체적인 거리의 값을 표 2의 상단부에 도시하고, 그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휘도치를 동일 표의 하단부에 도시한다. 또한, 표 2의 각 확산판 No. 1~4에 있어서, 95%, 92%, 및 90%가 되는 거리 및 휘도의 값은 도4에서의 대응하는 커브(실험결과)로부터의 산출치이다. 또, 표 2에서는 램프이미지가 불식되지 않았던 확산판 No. 5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상단부 : 확산판과 반사시트 사이의 거리(L)(mm) 하단부 : 인접하는 두개의 램프 중간위치 위쪽에서의 휘도치(cd/m2)
Bmax에 대한 비율 확산판 No. 1 확산판 No. 2 확산판 No. 3 확산판 No. 4
100%(La) 7.00(mm) 3855(cd/m2) 8.00(mm) 4218(cd/m2) 9.00(mm) 4606(cd/m2) 11.00(mm) 5021(cd/m2)
95% 8.33(mm) 3662(cd/m2) 12.16(mm) 4007(cd/m2) 14.82(mm) 4376(cd/m2) 16.29(mm) 4770(cd/m2)
92% 8.70(mm) 3547(cd/m2) 13.90(mm) 3881(cd/m2) 17.08(mm) 4238(cd/m2) 19.72(mm) 4619(cd/m2)
90%(Lb) 8.95(mm) 3470(cd/m2) 15.06(mm) 3796(cd/m2) 18.65(mm) 4145(cd/m2) 21.68(mm) 4519(cd/m2)
표 2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투과율 20~40%의 확산판 No. 2~4에서의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상기 거리(L)는, 각각 8, 9, 11mm이고, 각 확산판 No. 2~4 모두 상기 부등식(1)을 만족하는 거리(L)에서는, 램프이미지가 확산판 발광면에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 확산판 No. 3 및 4에서는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0%가 되는 거리(L)를 선택한 경우라도, 표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발광면에 있어서 가장 어두운 부분인 상기 X점에서의 휘도치가 4000cd/m2이상이고, 발광면을 고휘도로 확보할 수 있었다.
즉, 도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투과율 50%의 확산판 No. 5에 비해, 거리(L)를 비교적 크게 했을 때에, X점에서의 휘도가 저하하기 쉬운 투과율 30% 및 40%의 확산판 No. 3 및 4를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 부등식(1)의 우변에서 규정되는 Lb이하의 값으로 제한한 거리(L)를 채용하므로써 램프이미지 발생을 방지하여 양호한 발광품위를 유지하면서, 고휘도의 발광면을 구성할 수 있었다.
또, 투과율이 20%의 확산판 No. 2에서는 예를 들면 최대휘도치(Bmax)의 90%의 경우에 X점에서의 휘도가 3796cd/m2와 4000cd/m2를 약간 밑돌지만, 발명자의 다른 실험결과에 따르면, 램프피치(LP)를 12mm 이하로 하므로써 램프이미지를 발생시키지 않고 해당 X점에서의 휘도를 4000cd/m2이상의 고휘도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거리(L)를 7mm정도로 한 박형의 백라이트를 구성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실험결과에 따르면, 30% 투과율의 확산판을 이용하여 상기 램프피치(LP)를 12mm로 한 경우, 램프이미지의 걱정이 없는 7000cd/m2이상의 휘도를 갖는 발광면을 구성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확산판 No. 2~4에서의 각 거리(L)는, 각각 8.00~15.06mm(바람직하게는 12.16~13.90mm), 9.00~18.65mm(바람직하게는 14.82~17.08mm), 및 11.00~21.68mm(바람직하게는 16.29~19.72mm)이고, 상기 20%~40% 중, 최대투과율의 확산판 No. 4를 이용한 경우라도, 거리(L)를 22mm이하의 21.68mm로 할 수 있었다. 또한, 20%~40% 중, 투과율이 높은 것 일수록 거리(L)의 허용범위가 크다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즉, 투과율이 높은 것 일수록 발광품위가 양호하고 고휘도의 발광면을 구성할 때의 설계자유도가 넓다는 것이 확인되었 다.
이에 대해, 종래에 시판되었던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백라이트에 있어서는, 거리(L)를 25mm정도로 밖에 할 수 없었고, 본 발명품은 종래품에 비해 큰 폭으로 박형화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종래품의 확산판에서 거리(L)를 작게 하면, 램프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서 발광품위가 저하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확산판(2)은, 저투과율의 것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거리(L)를 작게해도램프이미지가 발생하기 어려워서 확산판(2)에서의 휘도의 균일성(발광품위)이 유지된다. 또한, 단순한 저투과율의 확산판의 채용은 휘도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는, 종래품에 비해 거리(L)를 작게 하고 있으므로, 저투과율의 확산판을 채용해도비교적 적은 램프갯수로 높은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직하형 백라이트(1)를 박형화한 경우라도, 원하는 휘도를 확보한 발광면에서의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20~40%의 저투과율의 확산판(2)을 이용한 경우에, 상기 최대휘도치(Bmax)에서 규정되는 La 이상의 거리(L)를 선택하므로써, 확산판(2)과 반사시트(8)의 간격치수에 비교적 여유를 가지게 할 수 있게 되어, 확산판(2)에 대해 램프(4)가 너무 가까운 것에 기인하여 상기 중간위치 위쪽부분으로 입사되는 램프광의 광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20~40%의 투과율 중, 가장 높은 40%의 확산판(2)을 이용한 경우라도, 해당 확산판(2)의 상기 X점에서의 휘도가 그 부분주위, 예를 들면 램프(4)의 바로 위 부분에서의 휘도에 비해 저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확산판 발광면에 램프이미지가 시각으로 확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램프(4)를 확산판(2)에 대해 비교적 떨어져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램프(4)의 발열에 의한 열 등의 영향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0%로 규정되는 Lb이하에 거리(L)를 제한하므로써, 확산판(2)과 반사시트(8)와의 간격치수를 작게 하여 백라이트(1)의 박형화를 비교적 쉽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20~40%의 투과율 중, 가장 낮은 20%의 확산판(2)을 이용한 경우라도, 해당 확산판(2)에 대해 램프(4)가 너무 떨어지는 것에 기인하는 발광면에서의 휘도저하를 막아서 원하는 휘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거리(L)를 제한하므로써, 저투과율의 확산판(2)을 이용한 점과 함께, 비교적 적은 램프수로도발광면을 고휘도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판(2) 및 케이싱(3)내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비전력이 적은 백라이트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각관찰에 의하면, 램프이미지가 확산판 발광면에 나타나 있지 않고, 양호한 발광품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거리(L)를 최대휘도치(Bmax)의 92%~95%의 범위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범위로 하므로써, 특히 발광품위가 뛰어난 박형의 백라이트(1)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상기 X점에서의 휘도가 최대휘도치(Bmax)의 92%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 이하의 값을 상기 거리(L)로 하여 선택하므로써, 원하는 휘도를 확보한 직하형 백라이트(1)를 더 확실하게 박형화할 수 있다. 또, 상기 거리(L)에 상기 X점에서의 휘도가 최대휘도치(Bmax)의 95%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 사이의 거리 이상의 값을 채용하므로써 램프(4)의 발열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억제한 직하형 백라이트(1)에 있어서 발광품위가 저하되는 것 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PC용 액정디스플레이에서는, 수시간 연속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렇게 장시간동안 백라이트(1)를 연속사용하면, 램프(4)의 연속적인 발열에 동반하여 케이싱(3)내의 온도가 예상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5%보다도높은 휘도가 되는 확산판(2)과 반사시트(8)간의 거리보다도상기 거리(L)를 크게 하고, 램프(4)와 확산판(2)을 비교적 떨어지게 배치하므로써, 장시간 연속사용했을 때의 상기 온도상승 등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는 사진네거티브 필름, 뢴트겐사진 등에 빛을 조사하여 시각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한 라이트박스나, 간판이나 역구내의 벽면 등에 설치되는 광고 등을 라이트업하는 발광장치의 백라이트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발광품위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고휘도화 또는 대형화하고, 박형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확산판의 배후에 냉음극관 램프가 소정의 램프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백라이트 유효발광 영역의 대각 길이가 10인치 이상의 대형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램프간의 거리가 10mm이하가 되도록 램프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확산판은 유리제이고, 탁도치가 95%이상, 투과율이 10%~40%이며, 발광면에 있어서의 휘도가 4000cd/m2이상의 고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과 상기 냉음극관 램프간의 거리가 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피치가 12mm~30mm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피치를 4mm~12mm의 범위내로 하면서, 상기 확산판의 투과율을 30%이하로 하고 상기 확산판과 냉음극관 램프간의 거리를 5mm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5. 확산판의 배후에 냉음극관 램프가 소정의 램프피치로 복수배치되고, 백라이트 유효 발광영역의 대각 길이가 10인치 이상인 대형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냉음극관 램프와의 사이의 거리(L)가 10mm이하가 되도록 램프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확산판은 유리제이며, 탁도치가 95%이상, 투과율이 10%~60%이며,
    상기 램프피치가 4mm~12mm의 범위내이고,
    발광면에 있어서의 휘도가 4000cd/m2이상의 고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6. 확산판과, 이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에서 소정의 램프피치에 의해 복수개 배치된 냉음극관 램프를 구비하고, 백라이트 유효 발광영역의 대각 길이가 10인치 이상인 대형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로서,
    상기 확산판의 투과율이 20%~40%임과 동시에,
    인접하는 두개의 냉음극관 램프 중간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확산판의 발광면상에서의 휘도가 최대휘도치(Bmax)가 되는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를 La로 하고, 상기 휘도가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0%가 되는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를 Lb(단, Lb>La)로 했을 때에, 하기의 부등식(1)을 만족하도록,
    La ≤ L ≤Lb … (1)
    이들 확산판과 반사면 사이의 거리(L)를 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가 상기 최대휘도치(Bmax)의 92%~95%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거리(L)를 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8. 삭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에 있어서의 휘도가 4000cd/m2이상의 고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
KR1020030066911A 2002-10-01 2003-09-26 직하형 백라이트 KR100664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8435A JP2004127643A (ja) 2002-10-01 2002-10-01 直下型バックライト
JPJP-P-2002-00288435 2002-10-01
JP2002338334A JP4174303B2 (ja) 2002-11-21 2002-11-21 直下型バックライト
JPJP-P-2002-00338334 2002-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314A KR20040030314A (ko) 2004-04-09
KR100664547B1 true KR100664547B1 (ko) 2007-01-03

Family

ID=3733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911A KR100664547B1 (ko) 2002-10-01 2003-09-26 직하형 백라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4547B1 (ko)
TW (1) TWI3086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4694B2 (en) * 2005-01-12 2007-12-04 Cree, Inc. Solid colloidal dispersions for backlighting of liquid crystal displays
KR100943261B1 (ko) * 2008-02-20 2010-02-23 희성전자 주식회사 직하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8653B (en) 2009-04-11
TW200406619A (en) 2004-05-01
KR20040030314A (ko) 200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64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045092B2 (en) Multifunctional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60098434A1 (en)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US20080225203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0790497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KR20160022211A (ko)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TWI460503B (zh) 背光單元
KR100999011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5472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JP201020550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JP2004127643A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
KR20110064876A (ko) 액정 표시장치
JP2009176512A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20050200773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86249B1 (ko) 직하형용 발광면부재 및 직하형 면발광장치
JP2009187929A (ja) バックライト
JP4815930B2 (ja)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664547B1 (ko) 직하형 백라이트
JP2004045645A (ja) 面光源装置並びに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70383B1 (ko) 백라이트 장치의 도광판
JP2000338895A (ja) 直下式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198725A (ja) 液晶表示装置、直下型バックライト、及び拡散板
KR10086052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조
US20040109314A1 (en) Backlight module
KR20080022717A (ko)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