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272B1 -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및 그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및 그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272B1
KR100664272B1 KR1020050136055A KR20050136055A KR100664272B1 KR 100664272 B1 KR100664272 B1 KR 100664272B1 KR 1020050136055 A KR1020050136055 A KR 1020050136055A KR 20050136055 A KR20050136055 A KR 20050136055A KR 100664272 B1 KR100664272 B1 KR 10066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code
input
tim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에 롱 키 입력 방식이라는 문자코드 자동변환 입력 방식을 새로 추가하여, 문자에 해당하는 키를 길게 누르면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들이 자동으로 변환되고,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서 키를 놓으면 해당 문자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시 한 번의 간편한 키 입력으로 각종 문자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편의적인 환경을 제안한다.
문자 입력, 문자코드, 텍스트, 키 패드, 키 할당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METHOD FOR PROCESSING TEXT CODE IN ACCORDANCE WITH INPUT METHOD OF KEY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송수신부 120: 저장부
130: 키 패드 140: 제어부
150: 표시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나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 해 키 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키 패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나 전화번호 입력, 애플리케이션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엄지족'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만큼 휴대단말기 사용자들 사이에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는 일이 많아지게 되어, 키 패드의 크기나 누르는 느낌 등 편의적인 측면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제한된 키 패드로 많은 양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키(버튼)에 많은 글자가 할당되어 있으며, 한글과 영문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한글 모드와 영문 모드를 구별하여 선택해야만 하고, 영문입력 시에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기 위해 모드 선택을 해줘야만 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를 여러 번 반복해서 눌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키 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에 익숙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실수로 한두 번 키를 더 눌러서 오타를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에게 오타를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키를 여러 번 누름으로 인해 키 패드의 코팅이 벗겨지거나 키 패드에 인쇄된 글자가 지워지거나 때가 묻는 등의 미관상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은, 문자 입력 창에서 키가 눌려지는 과정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이 롱 키 방식이면, 기 설정된 문자코드 순서 및 문자 입력 모드에 따라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입력하고 순서대로 변환하는 과정과; 키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해당 시점에 변환된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이 쇼트 키 방식이면, 할당된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거나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다음 차례 문자코드로 한번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는,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문자 입력을 위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에서 키(버튼)가 눌려지는 방식에 따라 롱 키 방식인 경우 기설정된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문자코드를 연속하여 변환시키고 키의 눌림이 제거되는 시점의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변환되는 문자코드 및 입력 처리된 문자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키가 소정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지면 이 압 력이 지속되는 시간(압력이 해제되기까지의 시간)을 타이머 등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롱 키 방식인 것을 확인하고 기설정된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문자코드를 연속하여 변환시키고 키 패드의 눌림이 제거되는 시점의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 된 시간이 소정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키가 쇼트 키 방식으로 입력된 것으로 확인하고, 종래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할당된 문자코드를 바로 입력 처리하거나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다음 차례 문자코드로 한번 변환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는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11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문자 입력을 위한 키 패드(130)와; 상기 키 패드(130)에서 키가 눌려지는 방식에 따라 롱 키 방식인 경우 기설정된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문자코드를 연속하여 변환시키고 키의 눌림이 제거되는 시점의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변환되는 문자코드 및 입력 처리된 문자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롱 키 방식은 키가 소정 시간 이상 눌려지는 방식을 말하는데, 상기 제어부(140)는 키가 소정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지면 이 압력이 지속되는 시간(압력이 해제되기까지의 시간)을 타이머 등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롱 키 방식인 것을 확인한다.
상기 롱 키 방식과 반대로 소정 시간 미만으로 키가 눌려지는 쇼트 키 방식이 있고, 키가 쇼트 키 방식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종래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할당된 문자코드를 바로 입력 처리하거나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다음 차례 문자코드로 한번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2번 키에 문자코드를 'A, B, C, a, b, c, 2, ㄴ'의 순서로 할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문자 입력 창에서 상기 2번 키를 누르면 최초 'ㄴ'이 입력되고, 키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계속 누르는 롱 키 방식을 이용한다면, 입력된 'ㄴ'은 상기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A', 'B', 'C', ... 의 순서로 변환된다. 'ㄴ'이 4차례의 변환과정을 거쳐 'a'로 변환된 경우, 즉, 'ㄴ'에서 'A'로,'A'에서 'B'로,'B'에서 'C'로 차례대로 연속해서 변환되고, 다시 'C'에서 'a'로 변환되었을 때 사용자가 키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면, 'a'가 입력 처리된다.
이를 모드 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상기의 경우는 한글 모드일 때로써, 영문 모드일 때는 상기 2번 키의 문자코드 순서가 'A, B, C, a, b, c, 2, ㄴ'의 순서로 바뀌어 할당되며, 사용자가 롱 키 방식으로 키를 누르면, 최초 'A'가 입력되고, 'B', 'C', 'a', ... 의 상기 바뀌어 할당된 순서대로 자동으로 연속해서 변환된다.
숫자 모드인 경우에는 '2, A, B, C, a, b, c, ㄴ'이나 '2, ㄴ, A, B, C, a, b, c'의 순서 등으로 문자코드의 순서가 바뀌어 할당될 수 있을 것이고, 영문 모드에서도 대문자 모드와 소문자 모드를 구분하여, 영문 소문자 모드인 경우에는 'a, b, c, A, B, C, 2, ㄴ'이나 'a, b, c, ㄴ, 2, A, B, C'의 순서 등으로 문자코드의 순서가 바뀌어 할당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2번 키에 상기와 같은 문자코드를 할당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어떤 키에 어떤 문자 코드를 어떤 순서대로라도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수신부(110)는 10Mbps 이상의 고속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송수신부일 수 있으며,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튜너와 같은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키 패드(130)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장치적인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 외에도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외장형 스피커와 같은 외부 출력장치와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모듈, MP3 모듈, 모바일 뱅킹용 칩 등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은, 문자 입력 창에서 키가 눌려지는 과정(S210)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을 판단하는 과정(S220)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이 롱 키 방식이면, 기 설정된 문자코드 순서 및 문자 입력 모드에 따라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입력하고 순서대로 변환하는 과정(S230)과; 키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해당 시점에 변환된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과정(S240)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이 쇼트 키 방식이면, 할당된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거나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다음 차례 문자코드로 한번 변환하는 과정(S250)을 더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판단 단계(S220)에서, 키가 소정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지면 이 압력이 지속되는 시간(압력이 해제되기까지의 시간)을 타이머 등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입력 방식이 상기 롱 키 방식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입력 방식이 쇼트 키 방식인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롱 키 방식은 키가 소정시간 이상 눌려지는 입력 방식을 말하고, 상기 쇼트 키 방식은 키가 소정시간 미만으로 눌려지는 입력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는,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에 롱 키 입력 방식이라는 문자코드 자동변환 입력 방식을 새로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시 한 번의 간편한 키 입력으로 각종 문자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편의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문자 입력을 위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가 눌려지는 방식에 따라 롱 키 방식인 경우 기설정된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문자코드를 연속하여 변환시키고 키 패드의 눌림이 제거되는 시점의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변환되는 문자코드 및 입력 처리된 문자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롱 키 방식은
    키가 소정 시간 이상 눌려지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가 소정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지면 이 압력이 지속되는 시간을 타이머 등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입력 방식이 상기 롱 키 방식인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 리를 위한 휴대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입력 방식이 쇼트 키 방식인 것을 확인하고, 할당된 문자코드를 바로 입력 처리하거나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다음 차례 문자코드로 한번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
  5. 문자 입력 창에서 키가 눌려지는 단계와;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이 롱 키 방식이면, 기 설정된 문자코드 순서 및 문자 입력 모드에 따라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입력하고 순서대로 변환하는 단계와;
    키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해당 시점에 변환된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롱 키 방식은
    키가 소정시간 이상 눌려지는 입력 방식으로, 키가 소정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지면 이 압력이 지속되는 시간을 타이머 등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팅 된 시 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방식이 롱 키 방식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가 눌려지는 방식이 쇼트 키 방식이면, 할당된 문자코드를 입력 처리하거나 문자코드 순서에 따라 다음 차례 문자코드로 한번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키 방식은
    키가 소정 시간 미만 눌려지는 방식으로, 키가 소정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지면 이 압력이 지속되는 시간을 타이머 등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쇼트 키 방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
KR1020050136055A 2005-12-30 2005-12-30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및 그 휴대단말기 KR10066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55A KR100664272B1 (ko) 2005-12-30 2005-12-30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및 그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55A KR100664272B1 (ko) 2005-12-30 2005-12-30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및 그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272B1 true KR100664272B1 (ko) 2007-01-04

Family

ID=3786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055A KR100664272B1 (ko) 2005-12-30 2005-12-30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및 그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852A2 (en) * 2007-12-06 2009-06-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KR100990242B1 (ko) 2007-12-06 2010-10-29 김승환 키패드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852A2 (en) * 2007-12-06 2009-06-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WO2009072852A3 (en) * 2007-12-06 2009-09-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KR100990242B1 (ko) 2007-12-06 2010-10-29 김승환 키패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518B2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26125A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음성통화 방법
KR100664272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키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코드 처리 방법및 그 휴대단말기
KR20060110084A (ko)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KR20040000688A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멀티 에쓰엠에쓰 전송 방법
TW57842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numbers
KR10081031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문자 배열구조 및 입력방법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6351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외부의 av 장치로 출력중에도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44311B1 (ko) 이동통신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600601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626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656621B1 (ko)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55693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복키 인식방법
KR101069756B1 (ko) 문자인식 리모콘
JP2002259032A (ja) 機能確定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605972B1 (ko) 휴대폰에서 다기능 키 이용방법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2485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볼륨 업/다운키를 이용하여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610897B1 (ko) 대소문자 변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소문자변환방법
KR1006147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KR200325714Y1 (ko) 다기능 휴대폰
JP2008234454A (ja) 携帯機器の文字入力装置
KR20040001807A (ko) 리모콘 장치 및 리모콘 장치의 문자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