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601B1 -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601B1
KR100663601B1 KR1020000037331A KR20000037331A KR100663601B1 KR 100663601 B1 KR100663601 B1 KR 100663601B1 KR 1020000037331 A KR1020000037331 A KR 1020000037331A KR 20000037331 A KR20000037331 A KR 20000037331A KR 100663601 B1 KR100663601 B1 KR 100663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mobile terminal
user
video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956A (ko
Inventor
한민규
한원식
이철민
권혜진
모순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0003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6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06Q50/5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단말을 이용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긴급호출 및 동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긴급상황 동영상을 긴급호출 신호와 함께 전송하며,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신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황을 판단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있어 긴급호출 서버에서의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로부터 긴급호출 신호, 단말 고유번호 및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 단말 고유번호를 파라미터로 하여 DB를 조회해 해당 사용자 신상정보 및 이 사용자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위치에서 상기 동영상에 보인 상황으로 긴급호출을 요청했음을 긴급호출 처리기관에게 통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신상정보, 사용자 위치정보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긴급호출 처리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긴급호출 서비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이동단말, 긴급호출, 동영상, 위치 정보

Description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emergency call service method through mobile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긴급호출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처리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단말 11 : 네트워크 접속부
12 : 긴급호출부 13 : 동영상 전송부
14 : 동영상 촬영부 20 : 긴급호출서버
21 : 네트워크 접속부 22 : 사용자 관리부
23 : GPS부 24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25 : 동영상 수신부 26 : 동영상 저장부
27 : 긴급호출처리부 30 : 긴급호출 처리기관
40 : 네크워크
본 발명은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촬영 및 긴급호출부를 구비한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의 동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긴급호출 서비스는 전화를 걸어 위치 및 상황을 알려주어야 하므로, 전화를 걸 수 없을 정도의 위급한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긴급호출 및 동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긴급상황 동영상을 긴급호출 신호와 함께 전송하며,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신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황을 판단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망에 있어 긴급호출 서버에서의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로부터 긴급호출 신호, 단말 고유번호 및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 단말 고유번호를 파라미터로 하여 DB를 조회해 해당 사용자 신상정보 및 이 사용자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위치에서 상기 동영상에 보인 상황으로 긴급호출을 요청했음을 긴급호출 처리기관에게 통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신상정보, 사용자 위치정보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긴급호출 처리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긴급호출 서버에, 이동단말로부터 긴급호출 신호, 단말 고유번호 및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 단말 고유번호를 파라미터로 하여 DB를 조회해 해당 사용자 신상정보 및 이 사용자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및 상기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신상정보, 사용자 위치정보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긴급호출 처리기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긴급호출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긴급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40)를 통해 긴급호출 신호 및 동영상을 전송하는 이동단말(10)과, 상기 이동단말(10)로부터 긴급호출 신호 및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하고, 동영상을 수신 및 저장한 후, 상기 이동단말(10) 의 위치 및 현재 상황을 보고하는 긴급호출 서버(20) 및 상기 긴급호출 서버(20)로부터 상황 및 이동단말(10)의 위치를 수신하여 긴급상황에 대처하는 긴급호출 처리기관(30)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10)은, 상기 네트워크(40)를 통해 이동단말 번호, 긴급호출 신호 및 동영상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접속부(11)와, 긴급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긴급호출부(12)와, 상기 긴급호출부(12)에서 긴급호출 신호가 발생될 때, 현재의 상황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부(14)와, 상기 동영상 촬영부(14)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1)를 통해 상기 긴급호출 서버(20)로 전송하는 동영상 전송부(13)를 포함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서버(20)는, 상기 네트워크(40)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10)로부터 전송된 이동단말 번호, 긴급호출 신호 및 동영상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21)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1)로부터 수신된 이동단말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4)에서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긴급호출 신호를 전송한 이동단말(10)의 위치를 GPS부(23)를 통해 확인하는 사용자 관리부(22)와, 상기 사용자 관리부(22)로부터 이동단말(10)의 위치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긴급호출 처리기관(30)으로 전송하는 긴급호출 처리부(27)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1)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는 동영상 수신부(25) 및 상기 동영상 수신부(25)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1)를 통해 상기 긴급호출 처리기관(30)으로 상기 동영상을 전송하는 동영상 저장부(26)를 포함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처리흐름도이다.
먼저,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긴급상황에서 이동단말(10)에 구비된 긴급호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긴급호출부(12)를 구동시킨 후(100), 상기 긴급호출부(12)에서 발생한 긴급호출 신호를 네트워크 접속부(11)를 통해 긴급호출 서버(20)로 전송한다(102). 이때, 상기 이동단말(10)의 고유번호도 함께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10)의 동영상 촬영부(14)가 긴급상황을 촬영하면(104), 동영상 전송부(13)는 상기 동영상 촬영부(14)로부터 긴급상황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1)를 통해 상기 긴급호출 서버(20)로 상기 동영상을 전송한다(106).
상기 이동단말(10)로부터 이동단말 정보 즉, 이동단말의 고유번호, 긴급호출 신호 및 동영상을 수신한 상기 긴급호출 서버(20)의 네트워크 접속부(21)는 상기 이동단말 정보 중 이동단말의 고유번호를 사용자 관리부(22)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부(22)는 상기 이동단말의 고유번호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3)에서 확인한 후(108), 상기 긴급호출 신호,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긴급호출 처 리부(27)로 전송한다(110).
상기 긴급호출 처리부(27)는 상기 긴급호출 신호,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1)를 통해 긴급호출 처리기관(30)으로 전송한다(112).
상기 긴급호출 처리기관(30)은 상기 긴급호출 서버(20)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상황에 대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긴급호출 입력장치 및 동영상 촬영부를 구비한 이동단말을 이용함으로써 긴급호출 처리기관과 직접 통화를 하지 않아도 현재의 긴급상황을 정확히 전달하여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이동통신망에 있어 긴급호출 서버에서의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로부터 긴급호출 신호, 단말 고유번호 및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 단말 고유번호를 파라미터로 하여 DB를 조회해 해당 사용자 신상정보 및 이 사용자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위치에서 상기 동영상에 보인 상황으로 긴급호출을 요청했음을 긴급호출 처리기관에게 통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신상정보, 사용자 위치정보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긴급호출 처리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4.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긴급호출 서버에,
    이동단말로부터 긴급호출 신호, 단말 고유번호 및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 단말 고유번호를 파라미터로 하여 DB를 조회해 해당 사용자 신상정보 및 이 사용자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및
    상기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신상정보, 사용자 위치정보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긴급호출 처리기관으로 전송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37331A 2000-06-30 2000-06-30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KR100663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331A KR100663601B1 (ko) 2000-06-30 2000-06-30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331A KR100663601B1 (ko) 2000-06-30 2000-06-30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956A KR20020002956A (ko) 2002-01-10
KR100663601B1 true KR100663601B1 (ko) 2007-01-02

Family

ID=1967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331A KR100663601B1 (ko) 2000-06-30 2000-06-30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8243A2 (en) * 2008-10-22 2010-04-29 X-Tel Communications, Inc. Cellular phone data streaming for surveillance and personal secur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001A (ko) * 2002-04-24 2003-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사태 경보 서비스 방법
KR20030091565A (ko) * 2002-05-28 2003-12-03 김선일 동영상 무선 송신 기능을 갖는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37684A (ko) * 2004-10-28 2006-05-03 배중학 구급차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19773B1 (ko) * 2007-07-30 2008-04-08 (주) 후하시스템즈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6630B1 (ko) * 2010-02-08 2012-01-20 주식회사 유먼더스 모바일 영상 감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8243A2 (en) * 2008-10-22 2010-04-29 X-Tel Communications, Inc. Cellular phone data streaming for surveillance and personal security
WO2010048243A3 (en) * 2008-10-22 2010-07-22 X-Tel Communications, Inc. Cellular phone data streaming for surveillance and personal secur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956A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69880B (zh) 一种基于融合通信的移动终端控制门禁的方法和系统
KR20140118014A (ko) 클라이언트 인증 방법
CA2335629A1 (en) Image recording system
KR100663601B1 (ko)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CN114338650A (zh) 文件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060066445A1 (en) Emergency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KR100961391B1 (ko) 화상 통화 중 저장된 영상 관리 방법 및 영상 관리 장치 및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010085429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의 개인 정보 검증 방법
CN207638739U (zh) 物体所有者的联系系统
CN114153698B (zh) 显示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6015871A (zh) 数据传输系统及方法
KR100645731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N112422896A (zh) 一种视频监控终端的管理方法和网关
KR100488353B1 (ko) 전화망의 사용자 터미널의 데이터통신 중에음성호출신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82733A (ko) 메시지를 기반으로 분실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CN110443990A (zh) 一种路由器及其防丢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S5834648A (ja) 加入者デ−タを用いたプロトコル検証方式
KR100681127B1 (ko) 무선 인터넷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355594B (zh) 一种基于区块链统计流量的方法及设备
KR100208947B1 (ko) 원격 안전 관리시스템에서 무인 방범단말기의 장애데이터 관리방법
KR100696055B1 (ko) 위성을 이용한 시각 및 주파수 전송시스템에서의 위성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5240B1 (ko) 망 사업자 간의 과금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01098857A3 (en) Remote server management method on the network
KR960020321A (ko) 카마방식을 이용한 과금데이타 전송/관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