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411B1 - 전기통신 교환기간 혼잡 제어 - Google Patents

전기통신 교환기간 혼잡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411B1
KR100663411B1 KR1020007009876A KR20007009876A KR100663411B1 KR 100663411 B1 KR100663411 B1 KR 100663411B1 KR 1020007009876 A KR1020007009876 A KR 1020007009876A KR 20007009876 A KR20007009876 A KR 20007009876A KR 100663411 B1 KR100663411 B1 KR 10066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gestion
rnc
message
exchang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1668A (ko
Inventor
발렌틴폰투스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1004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혼잡 상황을 결정하고, 소스 교환기(RNC)(2221)에 혼잡 메세지를 전송하는 목표 교환기(RNC)(2222)를 가진다. 소스 교환기는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적어도 몇개의 접속을 제어한다. 혼잡 메세지는 소스 교환기로 하여금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을 조정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서 목표 교환기는 혼잡 상황을 고려하여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결정한다. 이런 제 1 모드에서 혼잡 메세지는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식별하고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에 대한 조정값(예를 들어 전력 감소값)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모드에서 혼잡 메세지는 혼잡 지역내에 혼잡의 극심도를 나타내는 극심도 값뿐만 아니라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혼잡 지역(예를 들어 셀)의 식별을 포함한다. 극심도 값은 혼잡 지역내의 혼잡에서 요구된 감소를 표시할 수 있다.
목표 교환기, 소스 교환기, 혼잡 메세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국 조정 메세지

Description

전기통신 교환기간 혼잡 제어{TELECOMMUNICATIONS INTER-EXCHANGE CONGESTION CONTROL}
본 특허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전기통신 교환기간 측정 전송"인 1998년 3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09/035,821 및 발명의 명칭이 "여러 기지국 사이에 부하 균형 진행 호출을 위한 이동 전기통신 네트웨크에서 사용된 시스템과 방법"인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08/_,_(대리인 번호:34648-404 USPT)에 관한 것이며,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셀룰러 전기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동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제어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과 다른 고려사항
이동 전기통신에서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국(MS)은 무선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과 통신한다. 각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셀로 공지된 특정한 영역에 대해 선택된 무선 채널을 통해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한다. 그 셀은 흔히 몇개의 섹터(sector)로 세분된다. 전형적으로 다수의 기지국은 또한 교환기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노드(RNC)로 알려진 기지국 제어기 노드에 접속된다. 하나 이상의 RNC들은 이동 스위칭 센터(MSC)와 차례로 접속되거나 포함된다. 이동 스위칭 센터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gateway)를 경유하여 공중 교환 전화망과 같은 다른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또는 인터넷과 같은 패킷-데이터(packet-data)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도1은 이동 스위칭 센터(MSC)(241 및 242)에 각각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 및 222)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20)를 도시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는 기지국(BS)(261,1, 261,2 및 261,3)에 접속되고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는 기지국(BS)(262,1, 262,2 및 262,3)에 접속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 및 222)는 RNC간 전송 링크(32)에 의해 접속된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이동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특정한 이동국 사이에 전송된 정보는 수학적인 코드(가령, 확산 코드)에 의해 변조되어 이 정보를 동일한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이동국에 대한 정보와 구별한다. 그러므로, CDMA에서 개개의 무선 링크는 코드를 기초로 해서 구별된다. CDMA의 다양한 면이 Garg, Vijay K 등이 Prentice Hall(1997)에 발표한 "무선/개인휴대 전기통신에서 CDMA의 응용"에 서술되어 있다.
게다가, CDMA 이동 전기통신에서 일반적으로 적절한 확산과 함께 동일한 기저대 신호는 중첩된 유효범위를 갖는 몇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다. 그래서 이동 단말기는 동시에 몇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무선 환경이 급속하게 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동국이 최상의 채널을 선택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무선 간섭을 낮게 그리고 용량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향하는 신호를 사용하도록 이동국은 동시에 몇개의 기지국으로의 무선 채널을 가질것 같다. 예를 들어 CDMA 방식에서 발생한 것과 같이 이동국에 의한 다수의 기지국에/으로부터 무선 채널의 이런 사용은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또는 "매크로 다이버스티(macro diversity)"라 칭한다.
도 1 에서 도시되고 상기 요약된 바와같이 이동국(MS)은 두 기지국, 특히 기지국(261,2 및 261,3)과 무선 통신하는 것으로서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선(281,2 및 281,3)은 각각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특히 선(281,2)은 이동국(MS)으로부터 기지국(BS)(261,2)으로의 무선 채널과 기지국(BS)(261,2)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로의 육상선 링크 채널 둘다를 나타낸다. 선(281,3)은 이동국(MS)으로부터 기지국(BS)(261,3)으로의 무선 채널과 기지국(BS)(261,2)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로의 육상선 링크 채널 둘다를 나타낸다. 선(281,2 및 281,3) 둘다의 경우에서 육상선 링크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의 다이버스티 핸드오버 장치(DHU)(301)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도1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MS)과의 이동 접속은 잠정적으로 몇개의 "다리들(legs)"을 사용하는데, 각각의 다리는 도1의 이동국(MS)의 경우에는 선(281,2 및 281,3)으로 표현된다. 이동국(MS)과 어느 다른 파티들 사이의 전체적인 접속이 검사될때, 다이버스티 핸드오버 장치(DHU)(301)는 본질적으로 이동국에 의해 사용된 여러 다리들을 결합하기도 하고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이 분리는 이동국 쪽으로 향하는 정보가 복수의 병렬 다리들을 따라서 여러 기지국으로 향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분리라고 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실제로 몇개의 다리를 통해서(예를 들어, 몇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데, 그런 의미에서 다이버스티 핸드오버 장치(DHU)(301)는 결합 함수(combining function)를 서비스한다. 다이버스티 핸드오버 장치에 의해 수행된 작용은 예를들어 공동 계류중인 발명의 명칭이 "CDMA 이동 전기통신을 위한 다단식의 다이버스티 운영"인 1997년 11월 26일에 출원되고 미국 특허 출원 번호 08/979,866와 관련하여 이해되는데, 이것이 본원에 참조되어 있다.
도 1 은 선(281,2 및 281,3)로 표현된 여러 접속 다리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에 접속된 모든 기지국(BS)에 대해 존재하는 간단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국(MS)이 신호를 포착하기 위하여 다른 기지국에서 예를 들어 기지국(BS)(262,1)과 같은 다른 기지국에 의해 조정되는 셀 내로 또는 이 셀 근처로 충분히 이동한다면, 예를 들어 도 1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복잡한 상황이 발생한다.
도1a 에 도시된 상황은 차례로 여러 RNC들에 의해 제어된 기지국에 의해 제어된 셀의 그룹들 사이에 경계(311)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도 1a 에서 이동국(MS)은 선(281,3)으로 표현된 다리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현재 선(282,1)으로 표현된 다리에 의해서도 통신한다. 선(282,1)으로 표현된 다리는 RNC간 전송 링크(32)를 통해 운반된 이동 접속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국(MS)과 기지국(BS)(262,1) 사이의 무선 링크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도 1a 에 도시된 상황에서 이동국(MS)을 포함하는 이동 접속은 여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속하는 기지국을 사용한다. 그런 상황은 여러 형태의 핸드오버 - RNC간 소프트 핸드오버를 포함한다. RNC간 소프트-핸드오버는 두개 또는 몇개의 RNC 사이에서 행해진다. 도 1a 에 도시된 특정한 상황에서, RNC간 소프트 핸드오버는 또한 "소스" RNC로 알려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와 "목표(Target)" RNC 로 알려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사이에서 행해진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는 이동 무선 접속을 현재 제어하기 때문에 소스 RNC이다. 목표 RNC는 이동 무선 접속에 의해 사용된 기지국을 가지거나 가지려고 결정되었던 소스 RNC와 다른 RNC이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1 및 222)를 접속시키는 RNC간 전송 링크(32)는 예를 들어 RNC간 소프트-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한다. RNC간 전송 링크(32)는 소스 RNC(221)과 목표 RNC(222)사이에 제어와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예를 들어, 국제 출원 번호 PCT/US94/12419(국제 공개 번호 WO95/15665)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직접 링크 또는 논리 링크중 하나일 수 있다.
국제 출원 번호 PCT/FI94/00038(국제 공개 번호 WO95/20865)은 두 RNC에 접속된 경계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동국이 소스 RNC에 의해 소유된 기지국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경계 기지국에 접속될때, RNC간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GSM을 위한 GSM 권고안 09.02 "이동 응용 부분(MAP)"; AMPS/D-AMPS/IS-95을 위한 IS41; 또는 PDC를 위한 INHAP와 같이 상술된 교환기간 핸드오버 프로토콜이 있다. IS-41 사양에서, 예를 들면 특정 채널상에서 호출 관련 신호 품질 측정에 대해 교환기간 전송이 규정되어 있다. 신호 품질 측정은 제 2의 교환기로부터 제어된 기지국에 의해 행해지고 이동국에 대한 호출이 제어되는 제 1의 교환기에 전송된다. 이 측정은 단지 특정 이동국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제 2 교환기로부터 특정 이동국에 대해 가능한 핸드오버 셀 후보 목록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이런 관점에서 또한 국제 출원 번호 PCT/US94/12419(국제 공개 번호 WO95/15665)를 참조하라.
도 1a 에 도시된 특정 상황에서, 소스 RNC(221)은 다리(281,3 및 282,1)을 통해 이동국(MS)과의 접속을 제어한다. 다리(282,1)를 포함하는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RNC(221)는 목표 RNC(222)로부터 무선 소스를 미리 요청했다. 무선 자원이 목표 RNC(222)로부터 요청되고 목표 RNC(222)에 의해 소스 RNC(221)에 할당된 후에, 목표 RNC(222)가 목표 RNC(222)에 의해 관리된 무선 네트워크 영역 예를 들어, 기지국 BS(262,1)이 위치해 있는 셀에서 혼잡이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소스 RNC(222)에 알리기 위한 수단이 없다. 그러므로 소스 RNC(221)에 의해 제어된 접속을 위하여 소스 RNC(221)에 자원의 할당을 고려시, 목표 RNC(222)가 관리하는 네트워크 영역에서 혼잡을 포괄적으로 관리하거나 제어할 수 없다.
혼잡 제어를 위한 전형적인 방법은 호출이 막 설정되려고 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전체 전력(예를 들어 간섭) 결정에 기초를 둔다. 전체 전력 결정은 기지국이 현재 전기통신중에 있는 모든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합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호출은 계속된다. 그러나 임계값이 초과된다면, 접속은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접속에 의한 자원의 허용된 사용량을 변경시키고, 접속을 행렬로 대기시키고, 접속을 종료하고, 또는 접속을 이동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자원이 네트워크의 다른 영역에서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의 영역에서 혼잡을 관리하기 위한 혼잡 제어 기술이다.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혼잡 상황을 결정하고, 소스 교환기에 혼잡 메세지를 전송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다. 소스 교환기는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적어도 얼마간의 접속을 제어한다. 혼잡 메세지는 소스 교환기로 하여금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을 조정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모드에서, 목표 교환기는 혼잡 상황을 고려하여 조정되어야만 하는 선택된 접속을 결정한다. 이 제 1 모드에서 선택된 접속이 소스 교환기에 의해 제어된다면, 혼잡 메세지는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식별하고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에 대한 조정값(예를 들어 전력 감소값)을 또한 포함한다. 소스 교환기는 선택된 접속에 참여하는 이동국에 조정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선택된 접속을 조정하고 또한 목표 교환기에 조정을 통지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모드에서, 목표 교환기는 소스 교환기에 혼잡의 존재를 통지하기 위해 혼잡 메세지를 사용한다. 제 2 모드에서, 혼잡 메세지는 혼잡 지역에서 혼잡의 극심도(severity)를 나타내는 극심도 값뿐만 아니라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혼잡 지역(예를 들어 셀)의 식별도 포함한다. 극심도 값은 혼잡 지역에서 필요한 혼잡 감소량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 소스 교환기는 어떤 접속을 조정할지를 결정하고 조정된 접속에 참여하는 이동국에 조정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조정을 이행한다. 추가로, 목표 교환기는 조정된 접속을 통지 받는다.
앞서 말한 것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장점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서 명백해질 것이며, 전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문자가 병기되어 있다. 전체 도면들은 반드시 본래 크기대로 도시할 필요는 없고 대신 본 발명의 원리들을 강조하여 도시하였다.
도 1 과 도 1a 는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와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관한 이동 접속의 종래 기술 관리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혼잡 제어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 접속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모드에 따라서 작동하는 교환기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모드에 따라서 작동하는 기지국(BS)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는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 따른 혼잡 메세지의 준비, 전송 그리고 사용안에 포함된 기본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2 모드에 따른 혼잡 메세지의 준비, 전송 그리고 사용안에 포함된 기본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S 간섭 메세지에 대한 형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는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 따른 혼잡 메세지에 대한 형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b 는 본 발명의 제 2 모드에 따른 혼잡 메세지에 대한 형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 는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 따른 혼잡 제어 루틴(routine)안에 포함된 기본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8b 는 본 발명의 제 2 모드에 따른 혼잡 제어 루틴안에 포함된 기본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모드에 따른 목표 RNC 노드에 의해 관리된 접속 식별 목 록을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모드에 따른 소스 RNC 노드에 의해 관리된 목표 RNC를 통한 접속 식별 목록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구조, 인터페이스, 기술등이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었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한 세부사항을 벗어난 다른 실시예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널리 알려진 장치, 회로 그리고 방법의 상세한 설명도 본원에서 생략되어 있다.
도 2 는 이동 스위칭 센터(MSC)(2241 및 2242)에 각각 접속된 교환기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 및 2222)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220)을 도시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는 기지국(BS)(2261,1, 2261,2 및 2261,3)에 링크(2251,1, 2251,2 및 2251,3)을 경유하여 접속된다. 기지국(BS)(2261,1, 2261,2 및 2261,3)은 각각의 셀(2271,1, 2271,2 및 2271,3)을 서비스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는 마찬가지로 기지국(BS)(2262,1),(2262,2)와(2262,3)에 링크(2252,1, 2252,2 및 2252,3)을 경유하여 접속된다. 기지국(BS)(2262,1, 2262,2 및 2262,3)은 각각의 셀(1272,1, 1272,2 및 1272,3)을 서비스한다. 교환기 경계(231)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의해 제어된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된 제 1 그룹의 셀(즉 셀(2271,1, 2271,2 및 2271,3))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제어된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된 제 2 그룹의 셀(즉 셀(2272,1, 2272,2 및 2272,3))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 및 2222)는 RNC간 전송 링크(232)로 접속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는 많은 기지국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 기능의 주체적 역활을 하는 어떤 형태의 교환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는 떨어져 위치하거나 한곳에 위치될 수 있고 심지어 이동 스위칭 센터(MSC)(224)와 함께 놓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RNCs)에 접속할 수 있고 접속될 것이라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부가적인 RNC간 전송 링크(232)가 도시되어 있다. RNC간 전송 링크(232)는 직접 링크 또는 고정된 전화 네크워크와 접속하는(MSC)와 같은 다른 교환기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링크일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의 예는 스위치(24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RNC 제어 장치(242)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240)는 다수의 포트를 가지고, 그 포트의 일부는 다이버스티 핸드오버 장치(DHU)(230)에 접속되고 그 포트에 나머지 부분은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다이버스티 핸드오버 장치(DHU)(230)는 타이밍 장치(241)에 접속된다. RNC제어 장치(242)는 RNC(222)의 각 요소에 접속된다. RNC(222)는 시그널링(signaling) 인터페이스(243)를 경유하여 시그널링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시그날링 인터페이스(243)는 RNC 제어 장치(242)에 접속된다. 스위치(240)의 포트에 접속된 인터페이스는 MSC 인터페이스 장치(244);RNC 인터페이스 장치(246);그리고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248)를 포함한다. MSC 인터페이스 장치(244)는 적절한 이동 스위칭 센터(224)에 접속된다. RNC 인터페이스 장치(246)는 RNC간 전송 링크(232)에 접속된다.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248)는 RNC(222)에 의해 서비스된 기지국(BS) 세트에 접속된다.
기지국(BS)(226) 예는 스위치(26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 제어 장치(262)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260)는 다수의 포트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일반적으로 몇개의 스위치(260)의 포트는 각각의 송수신기(Tx/Rx) 기판들(264)에 접속된다. 송수신기(Tx/Rx) 기판들(264)은 기지국(BS)(226)에 의해 서비스된 셀내에 위치된 안테나에 접속된다. 제어 장치(262)는 또한 단말기 기판(266)이 접속된 것과 같이 스위치(260)의 포트에 접속된다. 기지국(BS)(226)이 단말기 기판(266)을 통해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와 통신하는데, 링크(225)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도 3 참조)의 적당한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248)와 단말기 기판(266) 사이에 접속된다.
도 4 의 예에서 네개의 송수신기 기판(Tx/Rx)(2641 내지 2644)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송수신기 기판은 각각의 안테나(2741 내지 2744) 각각과 관계되어 있다. 안테나(2741 내지 2744)는 셀(290)의 섹터(2841 내지 2844) 각각에 서비스한다. 섹터의 수와 송수신기 기판(Tx/Rx)(264)의 수는 본 발명에서 중대하지 않고 심지어 필요한 셀의 섹터화(sectorization)도 아니다라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은(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된 호출 능력에 의지하는) 세개 내지 여섯개의 섹터 및 하나 내지 세개 주파수를 가지지만 본 발명은 셀 섹터화와 다중의 주파수 사용에 제한받지 않는다.
도 3 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와 도 4 에 도시된 기지국(224)의 특정 실시예는 ATM을 근거로한 노드이다. 이런 관점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의 스위치(240)와 기지국(BS)(224)의 스위치(260) 둘 모두는 도해된 실시예에서, ATM 스위치인데, 이 스위치를 통해서 ATM 셀이 지시받는다. 본 발명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와 도시된 기지국(BS)(224)의 예의 특정 구조에 제한받지 않고 ATM 스위치의 사용에도 제한받지 않지만 다른 구조와 데이터 전송 기술이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 안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혼잡 제어 기술의 두 모드의 예는 지금 도 2 의 네트워크 형태의 문맥에 기술된다. 특히 도 2 의 예에서 이동국(220)은 셀(2272,3)에 있고 예를 들어 기지국(BS)(2262,3)과 무선 주파수 접촉중에 있다. 이동국(220)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로 이동할 때, 이동국(220)과의 접속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로부터 무선 자원을 미리 요청했던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의해 제어된다. 후술되는 것과 같이 어떤 환경하에서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가 본 발명의 모드에 따라 혼잡 메세지를 준비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는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의 혼잡이 셀(2272,3)에서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는 셀(2272,3)내의 혼잡 상태를 고려하여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결정한다. 이 제 1 모드(도 5a 와 도 8a 에 의해 더 상세히 도시됨)에서, 혼잡 메세지는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식별하고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에 대한 조정값(예를 들어 전력 감소값)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모드(도 5b 와 도 8b 에 더 상세히 도시됨)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는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의해 제어된 어떤 접속이 조정되어야만 되는지를 결정하지 않지만 대신에 혼잡 지역에서 혼잡의 극심도를 나타내는 극심도 값 뿐만 아니라 혼잡 메세지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혼잡 지역(예를 들어 셀(2272,3))의 식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 대해서, 단계(5a-1)는 송수신기 기판(Tx/Rx)(264)이 무선 통신중인 다양한 이동국으로부터(주파수를 사용하는 모든 접속을 통해) 수신된 총 전력을(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측정하는 기지국(BS)(2262,1)의 송수신기 기판(Tx/Rx)(264)을 도시한다.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각 송수신기 기판(Tx/Rx)(264)은 도 5a 에 화살표(5A-2)로 표시된 것과 같이 BS 제어 장치(262)에 전력 수신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화살표(5A-2)로 나타낸 전력 수신 메세지는 보고된 무선 주파수의 식별과 그 무선 주파수(예를 들어 주파수마다)에 대한 수신 전력을 측정값의 표시를 포함한다. 단계(5a-3)와 같이, BS 제어 장치(262)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그 간격을 통해 수신된 전력의 평균값(예를 들어, 주파수당 평균 간섭)의 계산을 수행한다. 수신된 간섭은 수신된 전력, 예를 들어 기지국(BS)(2262,1)에 의해 검파될 충분히 강한 전송과 함께 모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BS)(2262,1)에서 수신된 전력과 동일하게 된다.
각 간격의 끝에서, 단계(5a-3)에서 얻어진 평균 간섭값의 측정은 도 6 에 도시된 포맷을 가진 BS 간섭 메세지에 포함된다. 도 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BS 간섭 메세지는 단계(5a-1)에서 수신된 기지국 BS(2262,3)에 의해 사용된 각 주파수에 대한 평균 간섭(예를 들어 전력값)을 포함한다. 특히 도 6 은 메세지를 BS 간섭 메세지로서 식별(필드 600);BS 간섭 메세지를 전송하는 기지국 노드의 식별(필드 610);기지국 BS(2262,3)에 의해 현재 사용된 주파수의 수 Q(필드 630);그리고 각각의 Q 주파수에 대한 레코드 세트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BS 간섭 메세지의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각 레코드(예를 들어 레코드 640)는 주파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드와 그 레코드의 제 1 필드에 의해 식별된 주파수에 관련된 단계(5a-3)에서 얻어진 평균 간섭(예를 들어 업링크 전력)을 포함하는 제 2 필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경우, BS 간섭 메세지는 또한 섹터와 주파수를 근거로 하여 포맷될 수 있다.
BS 간섭 메세지는 링크(2252,1)를 통해서 기지국(BS)(2262,3)의 BS 제어 장치(262)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로 전송된다. 도 5a 내에 화살표(5A-4)(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도 2 에서(화살표 5-4))는 기지국(BS)(2262,3)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전송된 BS 간섭 메세지의 전송을 도시한 것이다. 수신시에, BS 간섭 메세지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를 통해 RNC 제어 장치(242)로 루팅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제어된 전부는 아니지만 몇개의 기지국(BS)으로부터 BS 간섭 메세지를 수신한다.
BS 간섭 메세지(예를 들어 단계(5a-4))를 수신한 후에, 단계(5a-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혼잡 상태, 예를 들어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정도의 간섭이 셀(2272,3)에서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혼잡은 측정된 간섭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검출될 것이다. 측정된 간섭이 이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혼잡 상황이다.
혼잡이 셀(2272,3)에 존재한다면,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제어 장치(242)는 단계(5a-6)에서 혼잡 제어 루틴을 수행함으로써 임계값 아래로 혼잡을 줄이기 위해서 노력한다. 제 1 모드 혼잡 제어 루틴은 도 5a 에 그리고 더 상세히 도 8a 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혼잡 제어 루틴에 대해 논의하기 전에, 예비 문제로서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가 관리하는 각 셀에 대해 도 9 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접속 식별 목록을 유지하는 것이 언급된다. 접속 식별 목록은 특히 혼잡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접속 식별 목록은 그 목록이 속하는 셀에서 각각의 존재하는 접속에 대한 레코드를 포함한다. 각 레코드는 다른 파라미터(비트 에러율과 지연과 같은)에 대한 필드뿐만 아니라 접속 ID 필드, 소스 RNC 필드 그리고 비트율 필드를 포함하는 몇개의 필드를 가진다.
도 8a 는 제 1 모드에 따라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관리된 셀 k에서 혼잡을 줄이기 위해 시도중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에 의해 수행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단계(8a-1)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셀 k에 대해 측정된 간섭값과 임계값 사이에 차이 D를 결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D = 간섭값 - 임계값. 축적 전력 감소값(APRV)은 단계(8a-2)에서 초기화되었다. 그리고나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단계(8a-3내지 8a-8)를 포함하는 루프를 수행한다.
단계(8a-3)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최고의 비트율을 가지는 접속을(혼잡 셀에 대한 도 9 의 접속 식별 목록으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나서, 단계(8a-4)에서 최고의 비트율을 가지는 접속이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제어되는지가 결정된다. 만약 최고의 비트율을 가지는 접속이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제어된다면, 단계(8a-5내지 8a-8)를 포함하는 루프의 나머지가 수행된다.
단계(8a-5)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단계(8a-4)에서 선택된 접속에 대한 비트율을 감소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트율 감소는 인자 R(예를 들어, R=2)만큼이다.
단계(8a-6)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단계(8a-5)의 감소(최고의 비트율을 가지는 접속에 대한 비트율 감소)로부터 발생되는 셀 k에 대한 업링크 전력 감소(UPR)를 계산하거나 예측한다. 이런 계산은 예를 들어(1)이동국(MS)로부터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까지의 거리, 그리고(2)비트율(또는 다른 파라미터)을 조정하는 특정 이동국 MS에 의해 사용된 업링크 전력에 근거를 두었다. 이 UPR값은 단계(8a-7)에서 축적 전력 감소값(APRV)에 가산된다. 만약 축적 전력 감소값(APRV)이 차이 D(단계(8a-1) 참조)와 같거나 보다 더 크면, 셀 k에서 혼잡은 당분간 허용할 수 있는 레벨로 만족스럽게 감소된다.
축적 전력 감소값(APRV)이 단계 5-6-8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차이 D 이하로 유지된다면, 단계(8a-3내지 8a-8)의 루프는 다시 수행되고, 이 다음 루프의 수행은 최고의 비트율을 가지는 도 9 의 접속 식별 목록내의 접속으로서 단계(8a-3)에서 다른 접속이 선택될 것 같다.
만약 단계(8a-3)에서 도 9 의 접속 식별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접속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라고 단계(8a-4)에서 결정되면, 단계(8a-10)이 수행된다. 단계(8a-10)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전송을 위한 혼잡 메세지를 준비한다. 실제 혼잡 메세지의 전송은 도 5a에서 화살표(5A-8)로(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도 2 에 화살표(5-8)로) 도시되어 있다.
혼잡 메세지 예에 대한 포맷은 본 발명의 제 1 모드, 예를들어 도 8a, 를 따르고 도 7a 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모드의 혼잡 메세지는 메세지 형태 식별 필드(필드 700a);소스 RNC(2221)의 식별자(필드706);목표 RNC(2222)의 식별자(필드 707a);조정을 요하는 RNC(2221)에 의해 제어된 접속의 표시(필드 710a);그리고 소망 조정의 양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전력 감소[예를 들어 데시벨에서])(필드 720a)를 포함한다. 소망 조정양을 나타내는 이와 같은 값은 예를 들어 비트율 감소 인자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비트 에러율 증가 인자 또는 지연 증가 인자와 같은 다른 형태의 값들이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혼잡 메세지는 단계(8a-3)에서(접속 식별자 필드 710a에서 포함된) 도 9 의 접속 식별 목록으로부터 선택된(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제어되지 않은) 접속을 식별하고 필드 720a에서(도 7a를 참조) 필요한 조정의 양(예를 들어 비트율 감소 인자 R)을 또한 포함한다.
혼잡 메세지가 셀 k에서 혼잡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도 5a 의 남아있는 단계들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단계(8a-6내지 8a-8)를 수행한다. 만약 단계(8a-10)에서 혼잡 메세지의 전송이 혼잡을 충분히 감소시킨다면, 도 8a 의 혼잡 제어 루틴은 단계(8a-9)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이 끝나게되고(화살표(5-7)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부가적인 혼잡 모니터링(monitoring)을 위해 단계(5a-5)로 되돌아간다. 만약 혼잡의 정도가 아직 성공적으로 감소되지 못했다면, 단계(8a-3내지 8a-8)를 포함한 도 8 의 루프는 혼잡이 충분히 감소될 때까지 반복된다.
일련의 혼잡 메세지는 혼잡이 만족스럽게 감소될때까지(예를 들어 단계(8a-10)의 반복된 수행동안)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로부터 발부될 것이다는 것이 특히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혼잡 제어의 제 1 모드의 논의로부터 이해되어야만 한다. 반면, 혼잡 제어의 제 1 모드상의 변화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대신에 일시적으로 지연되고 몇개의 접속을 식별하는 단일 혼잡 메세지를 준비한다. 이런 관점에서, 제 1 RNC (2221)-제어 접속이 조정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난 후에,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또한 결국 조정에 의해 얻어진 추정된 축적 전력 감소값(EAPRV)를 결정할 수 있고 실제 축적 전력 감소값(APRV)과 추정된 축적 전력 감소값(EAPRV)의 합계를 근거로 도 8a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계의 루프를 반복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그 합계가 혼잡을 줄이는 것이 충분하다고 간주되지 않는다면, 부가적인 접속이 도 9 의 접속 식별 목록으로부터 선택된다. 만약 이러한 접속들의 하나가 제 2 RNC(2221)-제어 접속이라면, 추정된 축적 전력 감소값(EAPRV)은 갱신된다. 일단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RNC(2222)-제어 접속에 대해) 실제 축적 전력 감소값(APRV)과 추정된 축적 전력 감소값(EAPRV)의 합계가 차이 D와 같거나 초과한다는 것을 결정하면, 단일 혼잡 메세지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전송된다.(또한 도 5 에서 화살표(5-8)로 도시됨). 그런 혼잡 메세지는 RNC(2221)의 수-조정을 요하는 접속을 식별하고;특정한 RNC(2221)-조정을 요하는 접속을 식별하고; 조정양을 각각의 이와 같은 접속에 제공한다. 이 대안에서, 도 7a 의 혼잡 메세지는, 혼잡 메세지에 포함된 접속의 수를 나타내기 위해 수정되는데, 쌍을 이룬 필드(710a와 710b)는 각각의 이와 같은 접속을 위하여 제공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 따른 혼잡 메세지의 실행, 수신, 일반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혼잡 메세지 수신시, 혼잡 메세지는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를 통해서 RNC 제어 장치(242)에 루팅된다. 그리고 나서, 단계(5a-9)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RNC 제어 장치(242)는 조정을 요하는 접속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도 8a 에 의해 표현된 제 1 모드에 대하여, 조정을 요하는 접속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에 의해 식별되었다.(도 8 에서 단계(8a-3)를 참조) 조정된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비트율 감소 인자, 비트 에러율 증가 인자, 또은 지연 증가 인자일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단계의 나머지는 한 이동국(220)에 대한 혼잡 제어 조정의 실행을 보여준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RNC 제어 장치(242)가 복수의 이동국에 대해 도 5a 의 남아있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단계(5a-9)에서 조정한후, 단계(5a-10)에서 RNC 제어 장치(242)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 로 하여금 조정된 접속에 포함된 이동국에 전송되는(화살표(5a-11)로 표현된) MS 조정 메세지를 준비하게 한다. 도 2 에서 화살표(5-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MS 조정 메세지는 RNC간 링크(232)를 통해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DHU에서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로 루팅되고,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단계(5a-12)에 의해 나타난대로) 루팅된다. 보다 낮은 비트율을 갖는 MS 조정 메세지를 수신시, 이동국(220)은 자신의 비트율을 낮게 한다.
단계(5a-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C 제어 장치(242)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로 하여금 또한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전송된(도 5 에서 화살표(5A-13)에 의해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 2 에서 화살표(5-13)으로 표현된) 목표 RNC 조정 메세지를 준비하게 한다. 동료 MS 조정 메세지에 의해 조정된 접속에 대하여, 단계(5a-14)에서 목표 RNC 조정 메세지는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에 의해 유지된 도 9 의 접속 식별 목록내의 비트율을 갱신한다.
제 1 모드의 혼잡 제어 기술에서,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가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의해 제어된 어떤 접속이 조정을 요하는지를 결정하는 방법 및 혼잡 메세지에 따라서 소스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통지하는 방법이 상술되었다.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는 조정을 행하고 그에 따라 MS 조정 메세지와 목표 RNC 조정 메세지를 전송한다. MS 조정 메세지는 이동국(220)으로 하여금 전력을 감소시켜, 셀(2272,3)에서 발생하는 혼잡을 경감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모드는 제 1 모드(도 5a)의 단계(5a-1내지 5a-5) 각각과 동일한 단계(5b-1내지 5b-5)를 가진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가 조정을 위한 소스 RNC에 의해 제어된 접속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혼잡의 정도와 실제에 대해 소스 RNC에 경보를 발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 2 모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에 의해 수행된(단계(5b-6)에 나타냄) 특정한 혼잡 제어 루틴의 실행에 있어서 다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 2 모드에서, 혼잡 메세지는 선택된 접속의 식별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혼잡 셀에서 필요한 소스 RNC로부터 간섭 감소(dB에서)를 나타내는 극심도 값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 혼잡 지역(예를 들어(셀 2272,3))의 식별을 포함한다. 더구나 본 발명의 제 2 모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RNC 제어 장치(242)가 조정되어야만 되는 접속을 선택하기 때문에 단계(5a-9)대신에 단계(5b-9a)와 단계(5b-9b)를 가진다.
도 8b 는 일반적으로 도 5b 의 단계(5b-6)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모드의 혼잡 제어 루틴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제 2 모드의 단계(8b-1 및 8B-2)는 제 1 모드의 대응적으로 열거된 단계(8a-1 및 8a-2), 예를 들어 차이 D의 계산과 축적 전력 감소값(APRV)의 초기화, 와 유사하다. 제 1 모드와 대조적으로, 제 2 모드는 단계(8b-2a)와 단계(8b-2b)를 포함한다. 단계(8b-2a)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혼잡 극심도를 결정한다. 단계(8b-2b)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이 접합에서 혼잡 제어가 목표 RNC-제어 접속 또는 셀 k내로 확장하는 소스 RNC-제어 접속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목표 RNC-제어 접속이 혼잡을 경감하도록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단계(8b-3내지 8b-8)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8b-3)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도 9 의 접속 식별 테이블로부터 현재 최고의 비트율을 사용하는 목표 RNC(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의해 제어된 접속을 선택한다. 소스 RNC(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의해 제어된 접속은 단계(8b-3)의 결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감소시키기 위하여 목표 RNC-제어 접속을 선택한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각각 유사하게 번호가 매겨진 단계(8a-5내지 8a-8)와 비교될 수 있는 단계(8b-5 내지 8b-8)를 수행한다. 이런 관점에서, 단계(8b-5)에서 선택된 접속의 비트율은 인자 R만큼 감소된다. 단계(8b-6)에서, 이 접속에 기인한 셀 k에서 업링크 전력 감소가 계산되고 단계(8b-7)에서, 단계(8b-6)의 감소는 축적 전력 감소값(APRV)에 가산된다. 그리고 나서, 단계(8a-9)와 유사한 단계(8b-9)에서 축적 전력 감소값(APRV)이 차이 D와 같은지 또은 초과하였는지(즉 혼잡이 충분히 감소되었는지) 결정된다.
만약 혼잡이 단계(8b-8)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충분히 감소되었다면, 제 2 모드의 혼잡 제어 루틴은 단계(8b-9)로 표현된 것과 같이 끝나게 된다. 반면 혼잡이 충분히 감소되지 않았다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목표 RNC-제어 접속 또은 소스 RNC-제어 접속이 조정되는지를 평가하는 단계(8b-2b)보다 앞서 혼잡을 다시 계산하는 단계(8B-2A)로 되돌아 간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계(8b-2b)에서 결정은 목표 RNC-제어 접속으로부터 소스 RNC-제어 접속으로 변경할 것이다.
만약 단계(8b-2b)에서 소스 RNC-제어 접속이 조정되어야만 한다고 결정된다면, 단계(8b-20)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혼잡 메세지(도 7b 의 포맷을 가짐)를 전송한다. 도 7b 의 혼잡 메세지의 포맷 및 이를 수신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동작이 후술된다.
그러므로, 제 2 모드는 접속 선택 단계(8b-3)에서 소스 RNC에 의해 제어된 접속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1 모드와 다르다. 제 2 모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가 감소를 위하여 소스 RNC-제어 접속과 목표 RNC-제어 접속사이를 어느 지점에서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1 모드와 다르다. 조정 목표 RNC-제어 접속으로부터 조정 소스 RNC-제어 접속까지(제 2 모드에 따른 혼잡 메세지의 전송에 의해 수행된 것과 같이) 스위치는 임의의 몇개의 기준에 의해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기준중 한 형태의 예에 대하여, 제 2 모드의 혼잡 메세지를 전송시키는 스위치는 혼잡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킴이 없이, 모든 목표 RNC-제어 접속을 소정의 전력 레벨위로 조정하는 목표 RNC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그런 기준의 제 2 예는 소정수의 목표 RNC-제어 접속을 조정하는 목표 RNC이다.
도 7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모드의 혼잡 메세지는 메세지 형태 식별 필드(필드 700b);소스 RNC(2221) 식별자(필드 706b);목표 RNC(2222) 식별자(필드 707b);조정을 요하는 셀의 표시(필드 710b);그리고 혼잡의 극심도를 나타내는 값(필드 720b)(즉 혼잡 셀에서 요구된 소스 RNC로부터 간섭 감소(dB에서) )를 포함한다. 상술된 예에서, 혼잡 메세지는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셀(2272,3)에 속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혼잡 메세지는 한 셀보다 많은 참조(reference)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그러한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다수의 셀이 지정될 수 있고 각각의 셀에 대해 소망의 조정양뿐만 아니라 셀 식별자가 제공된다.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서 수신시, 혼잡 메세지는 스위치(240)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RNC 제어 장치(242)로 루팅된다. 제 2 모드를 위한 단계(5b-9a)와 같이, 필드(710b)에서 식별된 셀에서 혼잡의 발생에 경보를 발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RNC 제어 장치(242)는 소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에 의해 제어된 셀에서 어떤 접속이 조정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렇게 하여 소스 RNC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는 유지되는 목표 RNC 식별 목록을 경유한 접속을 참고한다.
대표적인 목표 RNC를 통한 접속 식별 목록의 포맷 예는 도 10 에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목표 RNC를 통한 접속 식별 목록 각각의 레코드는 접속 ID 필드,목표 RNC 필드, 셀 ID 필드, 비트율 필드, 비트 에러율 필드, 그리고 지연 필드를 포함한 여러 필드를 가진다. 도 8 의 단계(8b-3내지 8b-3)에서 제어되는 접속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가 조정하였던 것과 동일한 많은 방법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RNC 제어 장치(242)는 최고의 비트율을 가지고 셀 k에서 혼잡 극심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도 10 의 목표 RNC를 통한 접속 식별 목록으로부터 하나 또는 이상의 접속을 선택한다. RNC(2221)은 혼잡 셀에서 예측되는 감소된 업링크 간섭의 대략적인 값을 계산하거나 예측한다. 이런 계산은 예를들어(1)셀들 사이의, 또는 혼잡 셀을 제어하는 이동국 MS로부터 기지국까지의 거리, 그리고(2)비트율(또는 다른 파라미터)이 조정되는 특정 이동국 MS에 의해 사용된 업링크 전력에 근거를 둘 수 있다.
셀(2272,3)에서 어떤 접속이 조정되어야만 하는지 단계(5b-9a)에서 결정한 후, 단계(5b-9b)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1)의 RNC 제어 장치(242)는 제 2 모드에 대하여 상술된 방식과 많이 동일한 방식으로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모드에 대해 상술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서 단계(5b-10)에서 이동국(220)에 MS 조정 메세지를 전송하고 단계(5b-12)에서 목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에 목표 RNC 조정 메세지를 전송한다.
제 2 모드의 변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222)의 RNC 제어 장치(242)는 도 8b 보다 차라리 도 8a 와 훨씬 유사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그렇게 하여 단계(8a-10)에서 도 7a 의 혼잡 메세지보다 오히려 도 7b의 혼잡 메세지를 전송한다.
제 2 모드에서 혼잡 메세지는 혼잡 셀을 가지는 임의의 목표 RNC로부터 소스 RNC로서 작용할 수 있는 모든 RNC로 전송된다. 목표 RNC는 목표 RNC에 의해 관리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접속용 소스 RNC로서 작용할 수 있는 RNC들의 목록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혼잡 제어 기술에 따라서 혼잡이 하나의 교환기(예를 들어 RNC(2222))에 의해 관리된 셀에서 발생될때 그러나 무선 자원이 다른 교환기(예를 들어 RNC(2221))에 의해 할당된 것이기 때문에 혼잡 메세지는 교환기, 예를 들어 RNC 노드 사이에서 전송된다. 혼잡 메세지는 시그널링 네트워크의 공통 채널 시그널링 링크를 통해서 또는 동일대역(in-band) 시그널링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혼잡 메세지는 이동국에 대한 다수의 접속 각각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거나 또은 복수의 접속을 위한 혼잡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장 실용적이고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 범위의 정신과 범위내에서 의 각종 수정 및 동등한 장치를 포함한다.

Claims (20)

  1. 목표 교환기를 갖는 전기통신 네트워크로서,
    상기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혼잡 상황을 결정하고, 소스 교환기에 혼잡 메세지를 전송하며,
    상기 소스 교환기는 상기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접속을 제어하고,
    상기 혼잡 메세지는 상기 소스 교환기가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에서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을 조정하도록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교환기는 혼잡 상황을 고려하여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결정하고 상기 혼잡 메세지는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메세지는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에 대한 조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접속에 대한 조정값은 전력 감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메세지는 조정되어야만 되는 복수의 선택된 접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메세지는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혼잡 지역의 식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지역은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메세지는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복수의 혼잡 지역의 식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메세지는 혼잡 지역내의 혼잡의 극심도를 나타내는 극심도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극심도 값은 혼잡 지역에서 혼잡의 요구된 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 교환기를 가진 전기통신 네트워크.
  11.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의 혼잡 상황을 목표 교환기에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교환기로부터 상기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접속을 제어하는 소스 교환기로 혼잡 메세지를 준비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소스 교환기는 혼잡 메세지에 응답하여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서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을 조정하도록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혼잡 상황을 고려하여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목표 교환기에서 결정하는 단계와,
    혼잡 메세지에서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의 식별을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혼잡 메세지에서 조정되어야만 되는 선택된 접속을 위한 조정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접속을 위한 조정값이 전력 감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혼잡 메세지에서 조정되어야만 되는 복수의 선택된 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혼잡 메세지에서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 혼잡 지역의 식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 지역은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혼잡 메세지에서 목표 교환기에 의해 관리된 영역내에 복수의 혼잡 지역의 식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혼잡 지역에서 혼잡의 극심도를 나타내는 극심도 값을 혼잡 메세지에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극심도 값은 혼잡 지역내에 혼잡에서 요구된 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KR1020007009876A 1998-03-06 1999-03-02 전기통신 교환기간 혼잡 제어 KR100663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35,788 US6233222B1 (en) 1998-03-06 1998-03-06 Telecommunications inter-exchange congestion control
US9/035,788 1998-03-06
US09/035,788 1998-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668A KR20010041668A (ko) 2001-05-25
KR100663411B1 true KR100663411B1 (ko) 2007-01-02

Family

ID=2188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876A KR100663411B1 (ko) 1998-03-06 1999-03-02 전기통신 교환기간 혼잡 제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33222B1 (ko)
EP (1) EP1060630B1 (ko)
JP (1) JP4290877B2 (ko)
KR (1) KR100663411B1 (ko)
CN (1) CN1129343C (ko)
AU (1) AU753630B2 (ko)
BR (1) BR9908573B1 (ko)
CA (1) CA2322316C (ko)
DE (1) DE69936842T2 (ko)
RU (1) RU2219662C2 (ko)
WO (1) WO1999045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5245B2 (en) 1998-03-06 2005-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ion(Publ) Telecommunications interexchange measurement transfer
DE69839825D1 (de) * 1998-12-07 2008-09-11 Nokia Corp Verfahren und system zur zelllaststeuerung
AU2417799A (en) * 1998-12-30 2000-07-24 Nokia Networks Oy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GB9903125D0 (en) * 1999-02-11 1999-04-0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19911179C1 (de) * 1999-03-12 2000-11-02 Deutsche Telekom Mobil Verfahren zur Adaption der Betriebsart eines Multi-Mode-Codecs an sich verändernde Funkbedingungen in einem CDMA-Mobilfunknetz
US6665272B1 (en) * 1999-09-30 2003-12-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ersistence-vector-based modification of usage rates
SE515986C2 (sv) * 1999-12-10 2001-11-05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i ett telekommunikationssystem
JP3338821B2 (ja) * 2000-02-23 2002-10-28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移動体通信輻輳制御方式
US7016310B2 (en) * 2000-04-05 2006-03-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riving control parameters for telecommunications in-and-out-of-synchronization detection
US6829482B2 (en) 2000-05-16 2004-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witching from dedicated to common channels when radio resources are controlled by drift radio network
EP1161004A1 (en) * 2000-05-25 2001-12-05 Lucent Technologies Inc. Synchronisation of CDMA communication systems
KR100338661B1 (ko) * 2000-08-18 2002-07-13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US7054638B2 (en) * 2001-01-12 2006-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ell information between control nodes in radio access network
JP2004527934A (ja) * 2001-01-16 2004-09-09 オペラックス エービー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マネージャ
US7184710B2 (en) * 2001-02-13 2007-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of filtering/filtered information over the lur interface
DE60236720D1 (de) * 2001-02-13 2010-07-29 Ericsson Telefon Ab L M Teilweise unterstützung der mobilität zwischen zugangsfunknetzwerken
US6871075B2 (en) * 2001-05-17 2005-03-22 Nokia Mobile Phones Ltd. RRM optimization on Iur for congestion control
KR20020090710A (ko) * 2001-05-29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올 아이피 이동 통신망에서 엠지더블유 제어 방법
US7961616B2 (en) 2001-06-07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83153B2 (en) 2001-06-07 2006-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3026321A2 (de) * 2001-08-31 2003-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mmunikationsnetzwerk
JP3775278B2 (ja) * 2001-10-25 2006-05-17 日本電気株式会社 網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網サービス情報提供装置並びにその方法及び端末
AU2002337538A1 (en) * 2001-11-22 2003-06-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gestion control in distributed communication networks
JP3943980B2 (ja) * 2002-04-09 2007-07-11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基地局
US7313091B2 (en) * 2002-05-24 2007-12-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congestion in CDMA systems
US7146175B2 (en) * 2003-04-21 2006-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load determination and signaling for admission and congestion control
US8005055B2 (en) 2003-07-23 2011-08-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05086510A1 (fr) * 2004-03-05 2005-09-15 Utstarcom Telecom Co., Ltd Optimisation de la transmission sur la base du partage de charge dans un systeme de station radio fixe
US8452316B2 (en)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US7197692B2 (en) 2004-06-18 2007-03-27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erasure detection and erasure-rate-based closed loop power control
US7747221B2 (en) * 2004-07-27 2010-06-29 Nec Corporation Method of uplink radio resource control,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US7724656B2 (en) * 2005-01-14 2010-05-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congestion detection and control between nodes in a radio access network
US8942639B2 (en) * 2005-03-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8574B2 (en) * 2005-03-1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36791B2 (en) * 2005-06-30 2007-06-26 Lucent Technologies Inc. Radio channel allocation for national security and emergency preparedness calls
CN101331698B (zh) * 2005-10-27 2012-07-18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估计无线通信系统中的反向链路负载的方法和设备
JP2007159005A (ja) * 2005-12-08 2007-06-21 Fujitsu Ltd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トラフィック切替方法並びに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トラフィック処理装置、回線多重装置及び上位装置
CN1874351B (zh) * 2006-01-26 2012-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自动拥塞控制的方法
US20080117849A1 (en) * 2006-09-08 2008-05-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of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with slow osi
US8670777B2 (en) * 2006-09-0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adjustment
JP4272225B2 (ja) * 2006-10-10 2009-06-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交換機
US20080254798A1 (en) * 2007-04-10 2008-10-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Method and System
US8948046B2 (en) 2007-04-27 2015-02-03 Aerohive Networks, Inc. Routing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network
KR100748187B1 (ko) * 2007-06-01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드 가용도 예측 기반의 그리드 네트워크 혼잡 제어 장치및 방법
US8265033B2 (en) * 2007-08-13 2012-09-11 Telefonaka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handover
US20100222066A1 (en) * 2007-10-09 2010-09-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managing radio resources in a cellular radio system
US8218502B1 (en) 2008-05-14 2012-07-10 Aerohive Networks Predictive and nomadic roaming of wireless clients across different network subnets
US9674892B1 (en) 2008-11-04 2017-06-06 Aerohive Networks, Inc. Exclusive preshared key authentication
US8483194B1 (en) 2009-01-21 2013-07-09 Aerohive Networks, Inc. Airtime-based scheduling
US9900251B1 (en) * 2009-07-10 2018-02-20 Aerohive Networks, Inc. Bandwidth sentinel
US11115857B2 (en) * 2009-07-10 2021-09-07 Extreme Networks, Inc. Bandwidth sentinel
US9002277B2 (en) 2010-09-07 2015-04-07 Aerohive Networks, Inc. Distributed channel selection for wireless networks
RU2573253C2 (ru) * 2010-10-12 2016-01-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вязи машинного типа через iu интерфейс в универсальной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10091065B1 (en) 2011-10-31 2018-10-02 Aerohive Networks, Inc. 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on a subnetted network
US8787375B2 (en) 2012-06-14 2014-07-22 Aerohive Networks, Inc. Multicast to unicast conversion technique
US9253702B2 (en) 2012-09-06 2016-02-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over in heterogeneous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based on systematic imbalance differences
US9413772B2 (en) 2013-03-15 2016-08-09 Aerohive Networks, Inc. Managing rogue devices through a network backhaul
US10389650B2 (en) 2013-03-15 2019-08-20 Aerohive Networks, Inc. Building and maintaining a network
CN104168601B (zh) * 2014-07-25 2018-07-10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无线网络拥塞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05A (ja) * 1992-07-17 1994-02-10 Glory Ltd 循環式硬貨入出金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39283A (en) * 1990-08-23 1994-09-27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cellular radio: handoff between half rate and full rate channels according to estimated received signal quality
DE69333516T2 (de) 1993-09-24 2005-04-07 Nokia Corp. Weiterreichsteuerungsverfahren in einem zellularen kommunkationssystem
JPH08506472A (ja) 1993-12-02 1996-07-09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システム内の局部装置間で通信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09511107A (ja) 1994-01-27 1997-11-04 ノキア テレコミュニカシオン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セルラー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ミ・ハード・ハンドオフ
US5515359A (en) * 1994-08-26 1996-05-0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redit enhanced proportional rate control system
US5940762A (en) 1996-05-01 1999-08-17 Lee; Kuo-Chun Inter-system calling supporting inter-system soft handof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05A (ja) * 1992-07-17 1994-02-10 Glory Ltd 循環式硬貨入出金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2316A1 (en) 1999-09-10
EP1060630A1 (en) 2000-12-20
AU2756399A (en) 1999-09-20
WO1999045735A1 (en) 1999-09-10
CA2322316C (en) 2010-05-18
CN1129343C (zh) 2003-11-26
AU753630B2 (en) 2002-10-24
US6233222B1 (en) 2001-05-15
KR20010041668A (ko) 2001-05-25
JP4290877B2 (ja) 2009-07-08
CN1299572A (zh) 2001-06-13
EP1060630B1 (en) 2007-08-15
JP2002506333A (ja) 2002-02-26
DE69936842D1 (de) 2007-09-27
BR9908573B1 (pt) 2013-12-10
RU2219662C2 (ru) 2003-12-20
BR9908573A (pt) 2000-11-21
DE69936842T2 (de)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411B1 (ko) 전기통신 교환기간 혼잡 제어
EP1060631B1 (en) Call admission control using cell condition information from plural cells
KR100455243B1 (ko) 시스템간소프트핸드오프를지원하는시스템간호출
US6490452B1 (en) Group handov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CA2287337C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333603C (zh) 优化无线电系统中的资源的方法以及无线电系统
EP1060629B1 (en) Load balancing of ongoing calls between different base station controllers
CA2287193C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elements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2504792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測定報告
CA23138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base addresses in a wireless network
GB2455068A (en) A base station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20080311924A1 (en) Method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and Radio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EP2117239B1 (en) Base station device and cell switching determination method
SE515898C2 (sv) En metod för cellastfördelning i ett cellulärt mobilradiokommunikationssystem
JP2002026807A (ja) 基地局制御装置、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40120286A1 (en)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WO2001080448A1 (en) Handling of resources in cdma system
JP4037293B2 (ja) 伝送レート制御方法、制御局、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MXPA00008569A (en) Telecommunications inter-exchange congestion control
CN101083562A (zh) 优化无线电系统中的资源的方法以及无线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