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743B1 -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743B1
KR100661743B1 KR1020050066709A KR20050066709A KR100661743B1 KR 100661743 B1 KR100661743 B1 KR 100661743B1 KR 1020050066709 A KR1020050066709 A KR 1020050066709A KR 20050066709 A KR20050066709 A KR 20050066709A KR 100661743 B1 KR100661743 B1 KR 100661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tate information
user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운
백옥동
강석태
Original Assignee
(주)필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링크 filed Critical (주)필링크
Priority to KR102005006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7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용자 자신과 그 상대방의 상태정보를 각각의 사용자 이동 단말에서 동시에 표현하는 이동 단말,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서 제 2 단말로 상태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 1 단말로 상태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동기화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 고객의 기본 정보와 기본 상태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레거시 장치부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 상에서 개별 사용자의 개인적인 프레즌스 또는 상태정보와 사용자 간의 공통적인 상태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을 동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레즌스, 상태정보 공유, 컨텍스트, 예약 메시징, 서비스 서버

Description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d managing presence information in mobile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상기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의 상세 구성 블럭도이다.
도3은 상기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4는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공유하는 상태정보가 표현된 표시화면이다.
도5는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 상대 단말과 동기화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6은 단말에서 수집된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자체에서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7은 서비스 서버에서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컨텍스트 규칙을 등록하고, 규칙에 의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흐름도이다.
도8은 상기 도7에서 처리된 과정에 이후 서비스 서버에서 변경 이벤트를 단말로 전송하여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9는 단말로 전달되는 이벤트에 적당한 컨텐츠를 추천하여 전달하는 흐름도 이다.
도10a,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상태 정보 공유 관리에서 예약 메시징을 각각 서버와 단말에서 처리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에 있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템에 의한 아이템 실행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이동 단말 11 : 상태정보관리부
12 : 서버 연동부 13 : 사용자I/F부
14 : 단말 DB 30 : 레거시 장치부
40 : 컨텐츠 제공서버(CP) 100 : 서비스 서버
110 : 규칙/컨텐츠 관리부 120 : 상태 정보 관리부
130 : 단말 연동부 140 : 레거시 연동부
150 : 서버 DB 151 : 사용자 DB
152 : 이벤트 DB 153 : 통계 DB
154 : 컨텍스트 규칙 DB 155 : 임시 컨텍스트 DB
156 : 컨텐츠 DB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 상에서 개별 사용자의 개인적인 상태정보와 사용자들 간의 공통된 프레즌스 정보를 공유 관리하며,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차별화 시켜주는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형적으로 통신사업자에 가입된 사용자간에 음성 통화가 기존적인 제공 형태이었고, 최근에 다양한 메시징 커뮤니케이션을 부가 서비스로서 제공하고 있다.
상기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수신자의 프레즌스(presence)를 발신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 가입자가 회의에 참석하거나 영화를 관람하는 동과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가 음성 메시지 센터 또는 음성 사서함 센터에 부재중 상황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등록하여 부재중 호출시 음성 메시지에 의한 상황 안내를 하게 된다.
한국특허공보 10-407350호는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키나 메뉴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사전에 등록해 놓으면, 상기 가입자가 부재중이라도 발신측 가입자는 해당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공받아 부재 중 가입자의 프레즌스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부재중 상황 알림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메시지의 기반이 주로 음성 메시지에 기반한 것이고, 실시간으로 단말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발신자가 발신하여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만 수신자의 부재 상황을 알려주는 것으로 사용자 간의 프레즌스를 공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05-59169호는 단말 장치 사이에 자동화된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고, 하나의 단말장치에 실행가능한 데이터 동작모드와 관련하여 휴대폰의 호 착신이나 메시지 수신시 동작 상태를 규정하는 개별모드를 확장하여 장치 간에 동기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단말 장치간의 자동 동기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장치간의 전원 온오프, 벨소리 설정, 진동설정, 호전환 설정 등 단말 장치의 동착 모드에 대한 동기화 방법으로서 사용자간의 프레즌스, 상태 정보나 공통 정보를 공유하여 관리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동 단말 상에서 개별 사용자의 개인적인 프레즌스 또는 상태정보와 사용자 간의 공통적인 상태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을 동기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에 있어서, 상태정보의 표현 컨텐츠 제공, 예약 메시징 등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시스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용자 자신과 그 상대방의 상태정보를 각각의 사용자 이동 단말에서 동시에 표현하는 이동 단말,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서 제 2 단말로 상태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 1 단말로 상태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동기화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 고객의 기본 정보와 기본 상태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레거시 장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은 제 1 단말에 상태 정보를 설정하여 대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로 데이터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이벤트로 처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를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은 서비스 서버에서 컨텍스트 규칙을 정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고객 정보, 위치 정보, 통계/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가 어느 컨텍스트 규칙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가 특정 규칙 감지에 해당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를 제 1 단말과 제 2 단말로 전송 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을 동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용자 자신과 그 상대방의 상태정보를 각각의 사용자 이동 단말에서 동시에 표현하는 이동 단말(10, 20)과, 제 1 단말(10)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서 제 2 단말(20)로 상태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 2 단말(20)로부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 1 단말(10)로 상태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제 1 단말(10)과 상기 제 2 단말(20)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동기화하는 서비스 서버(100),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10, 20)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 고객의 기본 정보와 기본 상태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레거시 장치부(30)를 포함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 상에 상기 사용자들의 상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CP, 40)가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연동되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이동단말(10, 20)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여 관리하는 서비스 요청을 단말(10, 20)로부터 받아서 상태 정보를 동기시키고 단말과 메시지 송/수신을 하여 수집된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를 동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는 레거시부(legacy, 30)가 연동되어 SMS, MMS와 같은 무선 메시지를 송신하고, 고객정보 또는 기본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레거시 장치부(30)는 고객 정보/기본 상태에 상태정보(presence)를 관리하는 프레즌스 관리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전송 요청된 무선메시지를 단말(10, 20)로 송신하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즌스 관리 서버의 기능은 서비스 서버(100) 내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는 단말 사용자와 그 상대방의 감정, 상태, 위치 또는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2는 상기 도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도1에 도시된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의 상세 구성은 상기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규칙을 등록하고, 이벤트에 컨텐츠를 추천하는 규칙/컨텐츠 관리부(110), 상기 상태 정보에 대한 변경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120), 이벤트를 단말(10, 20)로 전송하고, 정보 데이터를 수신, 해석하는 단말 연동부(130),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고 고객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 레거시 연동부(140),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 한 데이터 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규칙/컨텐츠 관리부(110)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규칙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규칙 등록부, 이벤트 감지에 따른 컨텐츠를 컨텐츠 DB에서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추천부,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40)에 규칙등록, 컨텐츠 등록, 상태 정보에 따른 고객 조회 등을 위한 CP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CP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120)는 상태 정보의 실시간 관리를 위하여 등록된 규칙에 따른 상태 정보 감지,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에 대한 처리와 이벤트 처리부로의 통지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간 상태정보 관리부, 통계 및 이력 정보 활용이 필요한 상태 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여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의 비교를 통한 상태 정보, 평균값을 통한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이벤트 처리부로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배치성 상태정보 관리부, 상기 상태 정보와 관련 이벤트(변경 이벤트)의 처리를 담당하고, 해당 상태 정보를 기다리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고 컨텐츠 추천부로 통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이벤트 처리부, 특정 고객의 상태 정보 및 특정 상태 정보의 고객 정보를 추출하는 상태 정보 조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연동부(130)는 단말로 SMS 및 데이터(패킷)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하며, 상기 송신 데이터는 자신 및 상대방의 상태 정보 동기화를 위한 정보, 단말에서 자체 판단 가능한 상태 정보 규칙 정보, 상태 정보 판단에 필요한 통계,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 송신부, 송/수신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하고, 수신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처리부로 데이터 전송하는 정보 해석부, 단말로 부터 SMS 및 데이터(패킷)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을 하며, 그 수신데이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감정, 상태, 위치, 규칙에 의해 감지된 정보와 같은 상태 정보, 단말에서 수집된 위치 등의 실시간 정보, 단말에서 일정시간 동안 수집한 위치 변화, 상태 변화 등의 통계성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거시 연동부(140)는 성별, 나이, 메신저 상태, 통화 상태 증 고객의 기본 정보 획득을 수행하는 고객 정보 획득부,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담당하는 SMSC 연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150)는 이벤트 발생시 추천,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DB(156), 고객정보 및 현재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DB(151),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이력(히스토리)을 저장하는 이벤트 DB(152), 시스템에 등록된 컨텍스트 감지 규칙을 저장하는 컨텍스트(context) 규칙 DB(154),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컨텍스트 감지 규칙을 저장하는 임시 컨텍스트 DB(155), 각종 통계 및 이력(히스토리)를 저장하는 통계 DB(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도1에 도시된 단말(1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상태 정보 변경에 대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11), 상기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 수신하기 위한 서버 연동부(12), 상태 정보 표시 메뉴를 제공하고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 상태 정보 변경 처리를 위한 컨텍스트 규칙과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도3에 도시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10, 2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서버 연동부(12)는 서버(100)로부터 SMS 및 데이터(패킷) 통신을 이용하여 자신 및 상대방의 상태 정보 동기화를 위한 정보, 단말에서 자체 판단 가능한 상태 정보 규칙 정보, 상태 정보 판단에 필요한 통계 또는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 수신을 담당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서버(100)로 SMS 및 데이터(패킷)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감정, 상태, 위치, 규칙에 의해 감지된 정보와 같은 상태정보, 단말에서 수집된 위치와 같은 실시간 정보, 통계성 정보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정보 송신부, 상기 송/수신 데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처리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 해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관리부(11)는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 정보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고,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하여, 서버 연동부(12)로 전달하는 상태정보 설정부,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규칙의 해석, 등록, 감지를 담당하는 이벤트 처리부, 자신의 현재 위치 및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여 통지하는 정보 수집부, 상태 정보의 실시간 관리를 위하여 등록된 규칙에 대한 상태정보 감지와 정보 송신부를 거쳐 서비스 서버(100)로 통지하는 실시간 상태정보 관리부, 통계 및 히스토리 활용이 필요한 상태 정보에 대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의 비교를 통한 상태 정보, 평균값을 통한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정보 송신부를 거쳐 서버(100)로 통지하는 배치성 상태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는 자신과 상대방의 상 태 정보를 단말의 대기(바탕)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이때 자신을 포함하여 2명 이상의 정보를 한 화면에 표시하고, 위치 상태, 감정, 공통 프레즌스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 표시부,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자신의 감정, 상태, 위치, 정보 보안, 기본 정보 변경/등록, 상태 정보의 통지 방법 선택, 규칙 등록과 같은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메뉴별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표시/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의 명령/기능 수행과 같이 사용자의 버튼 입력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를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4는 단말(10, 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에 의해서 동기시켜서 공유하는 상태정보가 표현된 표시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4에 도시된 대기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공통 상태 정보를 표현하는 공통 상태정보 표시부(13a), 사용자와 상대방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각각의 컨텍스트 정보 표시부(13b), 사용자와 상대방의 위치를 표시하는 각각의 위치 정보 표시부(13c), 상태 정보 표시를 위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메뉴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바(13d), 사용자와 상대방이 통신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티커 영역(13e)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에서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대기 화면은, 사용자 수에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될 수 있지만, 스크롤(scroll)하여 한 화면에 다수의 상태 정보를 동시에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10, 20)의 대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상태 정보는 위치의 경우 특정 지역명을 텍스트로 표현하거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축소된 맵을 제공하고 맵상에서의 위치를 표현하거나, 등록된 특정 지역 들에 대한 축소된 맵을 제공하고 맵 기준으로 현재 위치를 표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맵, 이미지, 사운드, 모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상태의 경우에는 '회의중/수업중/영화관람중/운전중' 과 같은 다양한 상태를 텍스트로 표현할 수 있으나, 맵상의 현재 위치에 상태에 관련된 이미지로서 예를들면, 회의중인 경우 책상 이미지, 수업중인 경우 책 이미지, 영화관람중인 경우 스크린 이미지, 운전중인 경우 자동차 이미지 등으로 표현하고 연락 가능 또는 불가능 상태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감정 상태는 '심심/우울/짜증/화남/기쁨' 등과 같은 다양한 감정 상태를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이미지, 모션, 이모티콘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상태 정보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공통적인 상태 정보로서 기념일, '100일/1년/ 생일/발렌타이테이' 등과 같은 공통 상태정보를 텍스트, 배경음악 또는 배경 화면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가 텍스트로 표현되는 경우, 상기 감정/상태/위치를 나열하는 경우 이외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심심'에서 '업무중'으로, '업무중'에서 '회사'로, '회사'에서 '심심해'로 텍스트가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은 상기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10, 20)에서 수집된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 20) 자체에서 상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 상기 단말에서 수집된 정보와 이력 및 통계를 통하여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변경 이벤트를 처리함으로써 상태 정보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도5는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 상대 단말과 동기화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은 제 1 단말에 상태 정보를 설정하여 대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 51, S52),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100)로 데이터 전송하는 단계(S53),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이벤트로 처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를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S54, S55, S56) 및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시키는 단계(S57, S58)를 포함한다.
도5에서, '우울해'라는 감정 상태 정보로 제 1 단말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의 메뉴표시/수행부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 설정하면(S51), 상태 정보 관리부(11)에서 처리한 후 제 1 단말 대기화면의 상태 정보 표시부가 변경되고(S52), 상기 변경된 데이터는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된다(S53).
상기 서비스 서버(100)의 단말 연동부(130)의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 상태 정보 처리부에서 이를 상태 정보 변경 이벤트로서 이벤트 처리부로 전달하고(S54), 상기 이벤트 처리부에서 상기 이벤트를 저장한 후(S55), 정보 송신부를 거쳐서 상대 단말인 제 2 단말로 상기 이벤트를 송신한다(S56).
상기 제 2 단말에서는 서버 연동부(12)의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수신하고(S57),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의 상태 정보 표시부에서 반영하여 단말의 대기화면을 변경하고 동기화시키게 되므로서,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 모두 '우울해'라는 감정 상태 정보가 동일하게 표현된다(S58).
여기서, 상기 감정 상태 정보의 경우와 동일하게, 공통 화면 배경을 변경하는 것을 상태 정보 변경으로 하여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의 대기화면을 공통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1 단말의 배경 화면 변경에 따라서 제 2 단말에서 자동으로 변경시켜서 공유할 수 있다.
도6은 단말에서 수집된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자체에서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6에 도시된 이동 단말에서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은,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태 정보에 대한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단계(S61),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해석하고 상태 정보의 변경으로 설정하는 단계(S62)를 포함하고, 이후 과정은 상기 도5에서와 동일하게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100)로 데이터 전송하는 단계(S63),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신된 상태 정 보를 이벤트로 처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를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S64, S65, S66) 및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시키는 단계(S67, S68)를 포함한다.
도6에서, 상기 단말의 상태정보관리부(11)의 정보수집은 예를 들면 GPS 기반의 단말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같은 정보가 단말에서 변경되는 경우 이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의 상태 정보 표시부에서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정보가 서비스 서버(100)로 전달되는 경우이다.
도7은 서비스 서버에서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컨텍스트 규칙을 등록하고, 상기 규칙에 의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흐름도이고, 도8은 상기 도7에서 처리된 과정 이후 서비스 서버에서 변경 이벤트를 단말로 전송하여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7,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은, 시스템에서 컨텍스트 규칙을 정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1, S72), 고객 정보, 위치 정보, 통계/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3), 상기 획득된 정보가 어느 컨텍스트 규칙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74), 상기 획득된 정보가 특정 규칙 감지에 해당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단계(S75, S76), 상기 이벤트를 제 1 단말과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77),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S78, S79)를 포함한다.
S71 단계에서 상기 컨텍스트 규칙은 서비스 서버(100)에서 활용 빈도가 높은 상태 정보에 대한 규칙을 시스템에 의하여 미리 지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규칙은 고객인 사용자가 활용빈도와 상관없이 고객별로 원하는 컨텍스트 규칙을 등록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 컨텍스트 규칙의 형식 또는 항목은 컨텍스트명, 조건, 활성화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텍스트(context)명은 단말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규칙들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이고, 상기 조건(condition)은 감지해야할 규칙을 표현한 것으로 자신 또는 상대방의 설정된 상태 정보, 통계 상태 정보, 시간, 지속시간 등을 이용하여 표현되며, 상기 활성화시간은 컨텍스트에 대한 지속시간으로 명시된 시간이 지나면 컨텍스트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된다.
S74단계에서 획득된 정보가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인 경우 실시간 상태 정보 관리부에서 실시간 관련 컨텍스트 규칙을 감지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통계적인 상태 정보, 이력 정보에서 도출된 상태 정보인 경우에는 배치성 상태 정보 관리부에서 컨텍스트 규칙을 감지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의 경우, 상태 정보 관리부에서 이벤트를 발생하는 상태 정보 감지 패턴의 예를 설명한다.
예1) 자신의 상태정보 또는 상태정보 변화
Context명: 생일, / Condition:생일=-3일전부터, / 활성화 시간:Unlimited
예2) 상대방의 상태정보 또는 상태정보 변화
Context명:퇴근 후 집 도착 / Condition:위치=집, 시간=19시 이후 / 활성 화 시간:2시간
Context명:회사에서 이탈 / Condition:위치=회사기타 / 활성화 시간:1시간
예3) 자신과 상대방의 상태정보 일치
Context명:데이트기회 / Condition:(자신)심심해, (상대방)심심해 / 활성화 시간:Unlimited
예4) 자신의 특정 상태정보와 상대방의 특정 상태정보 조건 일치
Context명:부탁하기 기회 / Condition:(자신)우울해, (상대방)기쁨 / 활성화 시간:Unlimited
한편, 서비스 서버(100)에서 이벤트를 발생시켜서 단말을 공유시키고 동기시키기 위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되는 상태 정보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하여 설정된다.
첫째, 단말 사용자가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로서 사용자가 단말 어플리케이션, 웹, 왑 등 각종 채널을 이용하여 직접 설정하는 상태 정보이다.
사용자 자신의 감정 및 현재 상태와 같이 시스템에 의해 자동 감지가 곤란한 경우이거나, 시스템에 의한 자동감지가 곤란한 경우, 또는 시스템에 의한 자동 감지된 상태정보가 실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활용된다.
둘째, 시스템에 의해서 설정되는 경우로, 이동 통신 사업자의 망 정보를 활용하여 생일, 메신저 온라인 상태와 같이 고객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도출되는 기본 상태 정보가 있고, 고객의 상태 정보를 통계적으로 또는 이력에 의하여 도출되 는 상태정보가 있다. 예를들면, 새벽 3시에서 평균위치는 고객의 집으로 하거나, 오전 11시 평균위치를 회사나 학교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자동감지 기능을 통해서 도출되는 상태 정보로서, 이전 위치가 집이고 현재 위치가 집이 아닌 경우 현재 요일/시간을 고려하여 출근중으로 인식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시스템 또는 사용자가 등록한 상태 정보의 규칙에 의하여 도출되는 경우로서 현재위치가 집이고, 시간이 19시 이후인 경우는 '퇴근 후 집도착'이라는 상태로 인식하는 경우이다.
한편, 상기 상태 정보는 특정 상태 정보에 따라서 또는 특정 시간대에 따라서 공개/비공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상태 정보에 보안을 위한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특정한 상태 정보에 대한 비공개 설정으로서 집 위치, 또는 메신저 상태에 대한 비공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밤 11시 이후의 모든 상태 정보를 비공개하거나 주말에 위치 정보를 비공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에서 공유되는 상태 정보가 동기화되었을때, 상대방 단말 사용자에게 상기 상태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태 정보 패턴에 따라서 벨소리, 진동, 램프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패턴별 벨소리를 설정하거나, 패턴별, 유형별 진동 설정하여 진동의 세기(강도), 진동 지속시간, 리듬을 이용하여, 상대방이 회사를 이탈하는 경우 5의 강도로 7초 동안 진동을 주고, 상대방이 집에 도착하는 경우 10의 강도로 5초 동안 진동을 주는 형태이다.
그러나, 벨소리/진동 등이 거슬리거나 중요도가 낮은 상태 정보인 경우에는 깜빡임 속도, 램프 색깔 이용하여, 자신이 수업중/공연관람중 인 상태, 상대방의 위치가 바뀜을 알리는 상태일 때 유용하고, 통지의 필요성이 적거나, 방해 받고 싶지 않은 경우, 자신/상대방이 너무 바쁜 경우인 때는 통지를 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9는 단말로 전달되는 이벤트에 적당한 컨텐츠를 추천하여 전달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5, 도6, 도8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에 적당한 컨텐츠를 조회하는 단계(S91) 및 상기 이벤트에 적당한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S9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전달과 컨텐츠 추천은 한번에 또는 여러번 나누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상태 정보의 공유 관리에 있어서, 자신이 외부에서 집에 도착하는 경우 그 상태를 상대방에게 메시지 전송하는 경우처럼 시간 기반이 아니라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예약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상태 정보 공유 관리에서 예약 메시징의 처리 흐름도로 도10a는 서버에서, 도10b는 단말에서 처리하는 경우이다.
도10a을 참조하면, 예약 메시징 과정은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사용자가 예약 메시지를 설정하는 단계(S101), 상기 예약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102, S103),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S104) 및 상기 수신 단말에서 상기 예약 메시지 전송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상기 서버에서 감지되면, 상기 서버에서 수신된 상기 예약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105)를 포함한다.
한편, 도10b를 참조하면, 단말에서 처리되는 예약 메시징 과정은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사용자가 예약 메시지를 설정하는 단계(S111),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로 상기 예약 메시지를 요청하여 에약메시지를 전송하고(S112), 상기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113, S114), 상기 단말 또는 수신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S115), 및 상기 예약 메시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되었던 예약 메시지를 표시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을 동기시키는 단계(S116)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말 사용자와 제 2 단말 사용자 사이에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메시지 본문 내에 미리 정의된 명령어를 삽입하여 전송하면, 상기 명령어에 따른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SMS 본문 내에 미리 정의된 명령어를 기입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티커 영역에서 티커 설정/해제나 주소록 검색 또는 서비스 가입/해제, 벨/진동 모드 전환, 대기화면 변경, 벨소리 변경, 전화 걸기 등의 단말제어와 같이 다양한 목 적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을 통하여 이루어졌던 통화 내용 또는 메시지 이용 내역을 상기 제 2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을 동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절친한 친구나 커플 사이에서 통화 또는 SMS 이용 내역을 자동으로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SMS의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버측의 SMS 센터, 게이트웨이와 같은 서버측에서 상대방에게 SMS 이력 및 내용을 전송할 수 있고, 통화의 경우에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버측 교환기에서 상대방에게 통화이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에 공유되는 상태 정보, 특히 프레즌스에 따른 광고를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태 정보에 따른 제공방식은 배경화면, 배경음악, 티커영역, 메시징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에 있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템에 의한 아이템 실행 흐름도이다.
여기서, 아이템이란 단말(10, 20)에서 특정한 기능이나 서비스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도구로서, 대기화면을 꾸미거나, 상기 예약 메시지를 수행하거나, 티커 영역 메시지의 자동 변경 예약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설정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아이템은 시스템에 의해서만 생성/발급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을 생성/발급하는것도 가능하다..
상기 아이템은 사용자가 구매한 후 자신 또는 상대방 단말에서 실행되며, 화면 꾸미기 아이의 경우 배경 화면에 해당 아이템이 표현되어 나타나고, 기능/서비스 아이템의 경우 해당 기능/서비스가 메뉴영역에서 추가되거나 직접 단말 내에서 고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11을 참고하여, 상기 아이템을 구매한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을 이용하는 예로서, 상대방 단말의 SMS 내용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대방 단말의 송/수신 SMS 내용을 사용자 단말로 자동으로 알려주는 아이템을 구매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하면(S121), 단말에서 아이템 실행에 따른 상태변경이 발생하고, 새로운 아이템이 아이템DB로 저장되고, 상기 아이템의 상태변경은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된다(S123).
상기 서버(100)에는 정보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아이템이 상태변경된 사실을 수신하여, 상태변경된 아이템을 아이템DB에 저장하고(S124), 상기 아이템의 상태변경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하고 저장한 후(S125), 상기 아이템 변경에 따른 이벤트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고(S126), 상기 상대 단말에서 이를 해석하여 아이템 실행과 동시에 아이템 실행중을 표시하고 아이템 DB에 저장한다(S127).
상기 아이템의 실행 중에 상대 단말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S128), 상기 아이템 실행 상태를 판단한 후 메시지 송신부에 의하여 SMS 메시지의 내용이 서버를 거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고(S129), 상기 아이템이 실행중이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S130) 상대 단말에서 메시지 수신후 절차가 종료된다(S130).
여기서, SMS 송신 내역도 메시지 송신부에 의하여 동일하게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이동 단말 상에서 개별 사용자의 개인적인 프레즌스 또는 상태정보와 사용자 간의 공통적인 상태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을 동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기반에 있어서, 상태정보의 표현 컨텐츠 제공, 예약 메시징, 광고 제공 등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태 정보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5)

  1.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용자 자신과 그 상대방의 감정이나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각각의 사용자 이동 단말에서 동시에 표현하는 이동 단말;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서 제 2 단말로 상태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 1 단말로 상태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 상에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2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동기화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 고객의 기본 정보와 기본 상태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레거시 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규칙을 등록하고, 상태 정보 변화에 따른 이벤트에 컨텐츠를 추천하며, 상기 규칙, 컨텐츠 등록, 상태 정보에 따른 고객 조회등을 위한 CP 연동기능을 하는 규칙/컨텐츠 관리부와,
    상기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특정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대한 변경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와,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서 전달된 이벤트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를 해석하여, 데이터 처리를 위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상태 정보를 배치하는 단말 연동부와,
    상기 이동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센터 연동과 고객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레거시 연동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 제공될 컨텐츠, 고객 정보와 현재 고객 상태 정보, 이벤트 이력 정보, 등록된 컨텍스트(context) 감지 규칙정보, 각종 통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상에 상기 사용자들의 상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동되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태 정보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 또는 통계적 추출로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벤트를 처리하는 상태정보 관리부;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정보를 해석하여, 데이터 처리를 위한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상태 정보를 배치하는 서버 연동부;
    사용자와 그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대기 화면을 통해서 실시간 표시하는 상태 정보 표시와 상기 상태 정보 표시를 위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메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태 정보 변경 처리를 위한 컨텍스트 규칙과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의 변경은 상기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설정하거나 단말에서 수집된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텍스트 규칙에 의하여 단말 자체에서 상태 정보를 변경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단말에서 수집된 정보와 이력 및 통계를 통하여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변경 이벤트를 처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공통 상태 정보를 표현하는 공통 상태정보 표시부;
    사용자와 상대방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각각의 컨텍스트 정보 표시부;
    사용자와 상대방의 위치를 표시하는 각각의 위치 정보 표시부;
    상태 정보 표시를 위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메뉴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바; 및
    사용자와 상대방이 통신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티커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대기 화면은,
    사용자 수에 따른 대기 화면을 분할하거나 스크롤하여 한 화면에 다수의 상태 정보를 동시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대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상태 정보는 텍스트, 맵, 이미 지, 사운드, 모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10. 제 1 단말에서 사용자의 감정 또는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에 대한 정보 수집을 수행하여,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해석하고 상태 정보의 변경으로 설정하면 상태 정보를 대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로 데이터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이벤트로 처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를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시키는 단계; 및
    상태정보의 패턴에 따라 벨소리 또는 진동 또는 램프를 이용하여 상태정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사용자의 감정 또는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컨텍스트 규칙을 정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고객 정보, 위치 정보, 통계/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가 어느 컨텍스트 규칙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가 특정 규칙 감지에 해당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를 제 1 단말과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상태 정보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태정보의 패턴에 따라 벨소리 또는 진동 또는 램프를 이용하여 상태정보를 계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단말 사용자가 단말 어플리케이션, 웹 또는 왑을 이용하여 직접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15.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사용자인 고객의 기본 정보, 상태 정보 통계, 상태정보 이력, 시스템 자동감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획득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16.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특정 상태 정보에 따라서 또는 특정 시간대에 따라서 공개/비공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시스템.
  17.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은 단말 상에 표시되는 컨텍스트명, 감지해야하는 규칙 내용을 표현하는 조건, 상기 컨텍스트 표시에 대한 활성화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18. 삭제
  19.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말에서 사용자가 예약 메시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예약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서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수신하여 저장 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메시지 전송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상기 서버에서 감지되면, 상기 서버에서 수신된 상기 예약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공유 관리 방법.
  20.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말에서 사용자가 예약 메시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단말로 상기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 또는 상기 수신 단말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메시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되었던 예약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공유 관리 방법.
  21.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에 적당한 컨텐츠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적당한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공유 관리 방법.
  22.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단말 사용자와 제 2 단말 사용자 사이에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메시지 본문 내에 미리 정의된 명령어를 삽입하여 전송하면, 상기 명령어에 따른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공유 관리 방법.
  23.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을 통하여 이루어졌던 통화 내용 또는 메시지 이용 내역을 상기 제 2 단말로 자동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을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공유 관리 방법.
  24.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에 공유되는 상태 정보에 따른 광고를 추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공유 관리 방법.
  25.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의 송/수신 SMS 내용을 사용자 단말로 자동으로 알려주는 아이템 을 구매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아이템 실행에 따른 상태변경이 발생하여, 새로운 아이템이 저장되고, 상기 아이템의 상태변경은 서비스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아이템이 상태변경된 사실을 수신하여, 상태변경된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상태변경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변경에 따른 이벤트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에서 이벤트 정보를 수신, 해석하여 아이템 실행하고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실행 중에 상대 단말에서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 실행 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SMS 메시지를 서버를 거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이 실행중이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상대 단말에서 절차가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상태 공유 관리 방법.
KR1020050066709A 2005-07-22 2005-07-22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61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09A KR100661743B1 (ko) 2005-07-22 2005-07-22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09A KR100661743B1 (ko) 2005-07-22 2005-07-22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743B1 true KR100661743B1 (ko) 2006-12-28

Family

ID=3781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709A KR100661743B1 (ko) 2005-07-22 2005-07-22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743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49B1 (ko) * 2007-05-30 2008-09-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기화면 컨텐츠 싱크 방법 및 장치
WO2009039703A1 (fr) * 2007-09-26 2009-04-0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cédé, système et serveur de moteurs de recherche pour l'acquisition d'informations d'état utilisateur
KR100919801B1 (ko) * 2008-02-04 2009-10-01 텔코웨어 주식회사 대기화면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장치
WO2009155033A3 (en) * 2008-05-30 2010-02-25 Motorola, Inc. Contact group dynamics in networked communication devices
KR100979310B1 (ko) * 2008-09-26 2010-08-31 심재산 휴대폰을 이용한 상대방 기분 사전파악 제공시스템
US8014806B2 (en) 2006-09-29 2011-09-06 Motorola Mobility, Inc. Dynamic creation of a communication group that includes contacts identified in one or more contact levels
KR101106782B1 (ko) 2009-12-09 2012-01-1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용자 프로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184515B1 (ko) 2010-12-20 2012-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KR101219529B1 (ko) * 2011-01-07 2013-01-11 주식회사 씽크풀 이벤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3183818A1 (ko) * 2012-06-08 2013-12-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20130143680A (ko) * 2012-06-21 2013-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메시지 서비스 장치, 단말 장치 및 그의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1397371B1 (ko) * 2013-07-18 2014-05-20 정지영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WO2014115990A1 (ko) * 2013-01-24 2014-07-31 Jeong Jiyoung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456674B1 (ko) * 2012-12-04 2014-11-05 (주)테슬라시스템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인구직 정보를 폰 주소록에 저장된 인맥에게 제공하는 방법
KR20140132022A (ko) * 2013-05-03 2014-11-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542520B1 (ko) 2009-01-13 2015-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망에서 프리젠스 서비스를 통한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618036B1 (ko) 2009-06-22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신저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60104463A (ko) * 2015-02-26 2016-09-05 김윤희 고객의 감정 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안내 장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그리고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20220150168A (ko) 2021-05-03 2022-11-10 박윤학 온라인 친구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4806B2 (en) 2006-09-29 2011-09-06 Motorola Mobility, Inc. Dynamic creation of a communication group that includes contacts identified in one or more contact levels
KR100858149B1 (ko) * 2007-05-30 2008-09-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기화면 컨텐츠 싱크 방법 및 장치
WO2009039703A1 (fr) * 2007-09-26 2009-04-0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cédé, système et serveur de moteurs de recherche pour l'acquisition d'informations d'état utilisateur
KR100919801B1 (ko) * 2008-02-04 2009-10-01 텔코웨어 주식회사 대기화면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장치
US9559867B2 (en) 2008-05-30 2017-01-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ntact group dynamics in networked communication devices
WO2009155033A3 (en) * 2008-05-30 2010-02-25 Motorola, Inc. Contact group dynamics in networked communication devices
KR100979310B1 (ko) * 2008-09-26 2010-08-31 심재산 휴대폰을 이용한 상대방 기분 사전파악 제공시스템
US9832310B2 (en) 2009-01-13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313635B2 (en) 2009-01-13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924025B2 (en) 2009-01-13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794395B2 (en) 2009-01-13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1647092B2 (en) 2009-01-13 202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1095737B2 (en) 2009-01-13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762720B2 (en) 2009-01-13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237395B2 (en) 2009-01-13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542520B1 (ko) 2009-01-13 2015-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망에서 프리젠스 서비스를 통한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US9462442B2 (en) 2009-01-13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618036B1 (ko) 2009-06-22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신저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1106782B1 (ko) 2009-12-09 2012-01-1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용자 프로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184515B1 (ko) 2010-12-20 2012-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KR101219529B1 (ko) * 2011-01-07 2013-01-11 주식회사 씽크풀 이벤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9338645B2 (en) 2012-06-08 2016-05-10 Sk Plane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service in multi-device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WO2013183818A1 (ko) * 2012-06-08 2013-12-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101954801B1 (ko) * 2012-06-21 2019-03-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그의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20130143680A (ko) * 2012-06-21 2013-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메시지 서비스 장치, 단말 장치 및 그의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1456674B1 (ko) * 2012-12-04 2014-11-05 (주)테슬라시스템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인구직 정보를 폰 주소록에 저장된 인맥에게 제공하는 방법
US10089340B2 (en) 2013-01-24 2018-10-02 D2 Emotion Co., Ltd. Group member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WO2014115990A1 (ko) * 2013-01-24 2014-07-31 Jeong Jiyoung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2022A (ko) * 2013-05-03 2014-11-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19400B1 (ko) * 2013-05-03 2020-06-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KR101397371B1 (ko) * 2013-07-18 2014-05-20 정지영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4463A (ko) * 2015-02-26 2016-09-05 김윤희 고객의 감정 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안내 장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그리고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101950493B1 (ko) * 2015-02-26 2019-04-22 김윤희 고객의 감정 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안내 장치,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그리고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20220150168A (ko) 2021-05-03 2022-11-10 박윤학 온라인 친구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743B1 (ko)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200535B2 (en) System for enabling call center interactive display responses
CN104065837B (zh) 提供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US8743895B2 (en) System for interactive queuing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KR101632438B1 (ko) 사용자 맞춤형 휴대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825016B1 (en) Active phone book enhancements
US10135975B2 (en) Call holding management
US200601679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notification of compatibility between real-time network participants
KR20020074304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1238259A (ja) 携帯電話機向けのurl通知装置
CN103733185A (zh) 多数据类型通信系统
KR100560439B1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CN102111510A (zh) 按键服务器、计算装置、媒体路由器、呼叫的方法及系统
JP5226004B2 (ja) 電話番号を利用した情報提供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112349A (ko) Ars 제공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의 ars 제공 방법
US20070161369A1 (en) Methods for Intelligent Number Dialing Assistance and Related Marketing Techniques
CA2534650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KR100871156B1 (ko)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13274A (ko) 인맥관리를 위한 상황인식기반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KR20010074611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푸시가 가능한전화통신장치
KR20050055972A (ko) 숫자이외의 데이터 입력을 통한 전화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0820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시스템
KR20050103487A (ko) 통화 시스템 및 이에 이용하는 서버와 수신 중계 장치
KR20020091622A (ko) 이동 통신 가입자 전화 번호 검출 방법
KR20180067128A (ko)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