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400B1 -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400B1
KR102119400B1 KR1020130050261A KR20130050261A KR102119400B1 KR 102119400 B1 KR102119400 B1 KR 102119400B1 KR 1020130050261 A KR1020130050261 A KR 1020130050261A KR 20130050261 A KR20130050261 A KR 20130050261A KR 102119400 B1 KR102119400 B1 KR 10211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time tabl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022A (ko
Inventor
주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4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면, 상기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일시적으로 발생된 상황 인지 정보인지 그렇지 않은 상황 인지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임 테이블을 수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사용자 단말별로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에 대한 목록인 타임 테이블을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타임 테이블에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상이할 경우, 상기 타임 테이블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여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임 테이블을 수정한 후, 수정된 상기 타임 테이블이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of recommendation using time table}
본 발명은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면, 상기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일시적으로 발생된 상황 인지 정보인지 그렇지 않은 상황 인지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임 테이블을 수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본 개념은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 망을 통해 여러 자원을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한 공간을 스마트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최근의 스마트 공간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 공간 내의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 인식 기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상황 인식 기술이란 사용자 주변에 산재한 사용자와 관련된 논리적, 물리적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context)을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 인식 기술은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 인식 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순히 현재의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매번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1173호, 2009년 1월 8일 공개 (명칭: 사용자 상황에 적합한 지능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계 기반의 추론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매번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지 않더라도, 기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면, 상기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일시적으로 발생된 상황 인지 정보인지 그렇지 않은 상황 인지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임 테이블을 수정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더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사용자 단말별로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에 대한 목록인 타임 테이블을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여, 타임 테이블에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상이할 경우, 타임 테이블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여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임 테이블을 수정한 후, 수정된 타임 테이블이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한 이후에,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여, 타임 테이블에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상이할 경우,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새로운 추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기간 단위로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한 후,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선정하고, 상황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상황 인지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타임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 로그 정보,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데이터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반복 상황 인지 정보일 경우, 타임 테이블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추천 정보를 선정하고, 선정된 새로운 추천 정보를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현재 상황 인지 정보 및 새로운 추천 정보가 저장되도록 타임 테이블을 수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에 대한 목록인 타임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통신부를 통해 타임 테이블이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가 수집되면,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타임 테이블에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상이할 경우, 통신부를 통해 새로운 추천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요청하여 수신한 후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단말 위치 정보, 단말 주변 환경에 대한 주변 환경 감지 정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움직임에 대한 동작 감지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사용자 일정 정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통화 이력 정보, 송수신된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기 저장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추천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상이할 경우, 타임 테이블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추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수집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생성된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상황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상황 인지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저장하여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추천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 로그 정보,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데이터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수집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타임 테이블을 수정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추천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상이할 경우, 서비스 장치가 타임 테이블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타임 테이블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추천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현재 상황 인지 정보 및 새로운 추천 정보가 저장되도록 타임 테이블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타임 테이블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반복 상황 인지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출근, 퇴근 등과 같이 특정 상황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반복적으로 이용하던 서비스를,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실행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면, 상기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일시적으로 발생된 상황 인지 정보인지 그렇지 않은 상황 인지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임 테이블을 수정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더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저장부에서 저장되는 사용자 기반 데이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3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망(3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단말(10) 내 구비되는 다양한 센서, 수집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에서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 이후에,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전송한 상황 정보에 적합한 컨텐츠 등의 추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로 수집된 상황 정보를 전송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현재 상황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며,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상황 정보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미리 가입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가입을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한 후, 서비스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한 후 사용자 단말(10) 내 인스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이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 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지 않더라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과 정보를 송수신하며, 사용자 단말(10)로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는 추천 정보는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뉴스, 음악, 영화, 어플리케이션, 광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이때의 컨텐츠는 텍스트,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집된 상황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분석된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한 이후에,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상황 인지 정보에 대해서는 별다른 상황 정보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지 않더라도, 적합한 추천 정보가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별로 타임 테이블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테이블이란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에 대한 목록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일상은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일상과 비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일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일상은 사용자의 출근, 등교, 퇴근, 하교 등이 될 수 있으며, 비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일상은 출장, 여행, 모임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매일 아침 8시부터 9시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집되는 상황 정보가 A 지역에서 B 지역으로 이동되고 있음을 알리는 위치 정보이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현재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이고, 도착지에서의 위치 정보가 회사에 대한 위치 정보일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위치 정보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출근하기 위해, 8시에서 9시 사이에 A 지역에서 B 지역으로 이동 중이며, 게임을 실행하고 있다."와 같은 사용자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측정되는 가속도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가 빠르게 이동되고 있을 경우, 차량을 통해 이동 중인지 도보를 통해 이동 중인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카드 사용 정보를 통해 지하철을 이용하였는지 버스를 이용하였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착지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도착지가 학교인지 회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서비스 장치(20)는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추천 정보는 사용자가 매번 8시부터 9시 사이에 실행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선정 과정을 거쳐 선정된 다른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추천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인식된 상황 인지 정보가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정보일 경우, 이를 타임 테이블로 저장하게 되며, 이때, 시간 정보(일시 정보 및 일자 정보)에 대응하여 상황 인지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해당 시간 정보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전술한 예에서, 사용자는 8시부터 9시 사이에 A 지역에서 B 지역으로 이동하여 출근 중이며, 게임을 실행하는 것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일상이므로, 서비스 장치(20)는 8시에 사용자 단말(10)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은 별다른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장치(20)는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상황 인지 정보 및 상기 상황 인지 정보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타임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 시간 정보에 해당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별다른 입력이 없더라도, 사용자가 해당 시간에 늘 이용하던 서비스가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기 저장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서로 상이할 경우, 타임 테이블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 타임 테이블을 수정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30)은 바람직하게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추천 정보에 따라 추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플랫폼이 미리 사용자 단말(10) 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10)의 운영체제(OS)와 다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수집된 상황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추천 정보를 적합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단말 하드웨어(11) 및 단말 운영체제(12)를 포함한다.
단말 하드웨어(11)는 통신 환경을 지원하는 단말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모뎀칩 프로세서 등 사용자 단말(10)의 물리적인 환경을 의미한다. 예컨대, 각종 통신 모듈, 스피커,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처리기, 카메라와 같은 비디오 처리기,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온도 센서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 메모리 등 다양한 모듈로 구성되는 환경이 될 수 있다. 단말 운영체제(12)는 사용자 단말(10)의 전반적인 운용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 제조사 또는 통신 서비스 사업 제공자에 의해 설치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플랫폼(13)과 같이 단말 운영체제(12)의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별도의 플랫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은 단말 운영체제(12)와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플랫폼(13)과 단말 운영체제(12)를 하나의 플랫폼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이 단말 운영체제(12)와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은 단말 운영체제(12)의 종류에 무관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의 동작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은 일정 주기 단위 또는 이벤트 단위로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5분 단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거나 특정 존(zone) 내 진입을 감지하여, 존(zone) 내 진입 시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되는 상황 정보는 단말 위치 정보, 단말 주변 환경에 대한 주변 환경 감지 정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움직임에 대한 동작 감지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같이 물리적인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단말 물리 정보와, 사용자 일정 정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통화 이력 정보, 송수신된 메시지 정보와 같은 단말 논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정보가 수집되면,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은 수집된 상황 정보를 단말 하드웨어(11)의 통신 모듈을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추천 정보에 따라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을 구동하고, 구동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을 통해 추천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음원 컨텐츠가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플랫폼(13)는 해당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은 다수 개의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가 평상 시에 즐겨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하는 실행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플랫폼(13)는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플랫폼(13)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은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통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다양한 정보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을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추천 정보를 해당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제공 플랫폼(13)을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15), 제어부(16), 저장부(17), 입력부(18) 및 출력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부(15)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관련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5)는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수집된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추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6)는 각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16)는 통신부(15), 저장부(17), 입력부(18) 및 출력부(19)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는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이때, 수집되는 상황 정보는 단말 위치 정보, 단말 주변 환경에 대한 주변 환경 감지 정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움직임에 대한 동작 감지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같이 물리적인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단말 물리 정보와, 사용자 일정 정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통화 이력 정보, 송수신된 메시지 정보와 같은 단말 논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수집될 수 있는 상황 정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물리적인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단말 물리 정보 중 단말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 구비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GPS 센서 모듈을 신호 수신 시의 시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 및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 위치 정보는 GPS 센서 모듈 이외도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기지국 또는 이동통신기지국의 서비스 셀 ID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정보, 기지국 신호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의 패턴을 비교하여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정보 및 와이파이(WiFi)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정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 정보가 감지될 수도 있다.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경우, 상기 단말 위치 정보를 통해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항상 소지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므로, 단말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주변 환경 감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 구비되는 다수의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될 수 있는 온도, 습도, 기압, 조도, 황사, 오존 정보와 같은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이다. 주변 환경 감지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이 현재 실내에 위치하는 지 실외에 위치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 구비된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장치를 통해 수집될 수 있는 영상 정보로, 사용자 단말(1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 정보가 될 수 있다. 수집되는 비디오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10)이 현재 바다, 산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오디오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 구비된 스피커, 마이크와 같은 모듈을 통해 수집될 수 있는 소리에 대한 정보로, 상기 오디오 정보를 통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시끄러운 장소인지 조용한 장소인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움직임에 대한 동작 감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 구비된 지자기, 가속도, 고도계, 자이로 센서 모듈 등 다양한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동작 감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뛰고 있는 지 또는 걷고 있는 지와 같은 상황을 판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감지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 구비된 다양한 통신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접속 중인 네트워크 정보로,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통해 현재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 정보가 'HKairport free WiFi'일 경우, 사용자 단말(10)가 홍콩 공항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단말 논리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에서 구동되는 기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정보를 기초로 수집되는 정보로, 예컨대,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일정 정보, 현재 사용자 단말9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통화 이력, 채팅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메시지 기능 등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정보와 같은 정보들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사용자 단말(10) 주변 상황에 대한 다양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6)는 다양한 상황 정보 중 변동성 있는 상황 정보와 변동성 없는 상황 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또는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 정보와 일정 기간 단위로 변하는 상황 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6)는 수집되는 상황 정보를 통신부(15)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상기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타임 테이블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추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16)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추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추천 정보가 출력부(19)를 통해 출력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음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수신되면, 음원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추천 정보에 따라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정보가 문자 메시지, 메모 기능 등 사용자 단말(10)이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출력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는 상황 정보 수집 모듈(16a) 및 서비스 제공 모듈(16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황 정보 수집 모듈(16a)은 상술한 바와 같인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황 정보를 통신부(15)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서비스 제공 모듈(16b)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추천 정보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등, 추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저장부(1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7)는 타임 테이블(17a)을 저장할 수 있으며, 수집된 상황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7)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단말(10)을 부팅시키기 위한 운영체제(OS)와 같은 사용자 단말(10) 구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7)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8)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사용자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6)로 전달한다. 이때, 입력부(18)가 후술할 출력부(19)의 표시 모듈(미도시)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입력부(18)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19)는 사용자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표시 모듈(미도시) 및 음원출력모듈(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 모듈(미도시)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8)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모듈(미도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음원출력모듈(미도시)는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추천 정보에 따라 추천 정보 출력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의 출력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도 3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을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도시된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ID(Mobile Internet Devi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한 이동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10)과 협업하여 상황 정보를 수집하거나,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추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인근의 PC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추천 정보가 출력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저장부에서 저장되는 사용자 기반 데이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2) 및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서비스 통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통신부(21)는 서비스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 또는 타임 테이블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통신부(21)는 서비스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별도의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사용자 기반 데이터, 빅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2)는 상황 정보 수집 모듈(22a),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 및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황 정보 수집 모듈(22a)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서비스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지원한다. 이때, 수집되는 상황 정보는 단말 위치 정보, 단말 주변 환경에 대한 주변 환경 감지 정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움직임에 대한 동작 감지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와 같이 물리적인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단말 물리 정보와, 사용자 일정 정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통화 이력 정보, 송수신된 메시지 정보와 같은 단말 논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은 상황 정보 수집 모듈(22a)을 통해 수집된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론하여 인식하여, 이에 따라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여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저차원 상황 정보를 고차원 상황 정보로 추론한 후, 최종적인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저차원 상황 정보는 수집된 상황 정보 그 자체, 즉 원 데이터(raw data)를 의미한다. 예컨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된 가속도 데이터 값(예컨대, 9.8m/s2)은 사용자의 저차원 상황 정보가 될 수 있다. 반면, 고차원 상황 정보는 저차원 상황 정보를 일정 규칙에 따라서 추론한 값으로, 전술한 예에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된 원 데이터가 특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 "뛴다"로 판단하는 것과 같이, 일정 규칙에 따라 저차원 상황 정보를 추론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황 정보 수집 모듈(22a)을 통해 수집된 상황 정보가 온도, 습도와 같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일 경우,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은 상기 주변 환경 정보의 값이 일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즉, "사용자가 외부에 있다."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다이어트 관련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다이어트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이 저차원 상황 정보이며, 상기 저차원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는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다"라는 고차원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최종적인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생성된 고차원 정보를 기초로 최종적인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는 것으로, 전술한 예에서, 생성된 고차원 상황 정보, 즉 "뛴다", "사용자가 외부에 있다", "사용자는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다"라는 고차원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은 '사용자가 다이어트를 위해 외부에서 뛰고 있다"를 최종적인 최종적인 사용자의 상황으로 인식하고, 이를 상황 인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은 다수 개의 상황 인지 정보를 시간대별, 요일별과 같이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그룹화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황 정보 수집 모듈(22a)을 통해 수집된 상황 정보가 8시부터 9시까지 1분 간격으로 수집된 상황 정보라 가정한다. 이때, 8시에 수집된 단말 위치 정보와 1분 간격으로 수집된 단말 위치 정보가 B 지역으로 이동 중임을 알리는 단말 위치 정보이며, 1분 간격으로 수집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가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이며, 가속도 센서 정보를 통해 측정된 정보가 사용자가 빠르게 이동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일 경우,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은 "사용자는 현재 A 지역에서 시작하여 B 지역까지 빠르게 이동 중에 있으며, 게임을 실행하고 있다."와 같은 고차원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황 정보 수집 모듈(22a)은 B 지역에 대응하는 장소를 확인하여, B 지역이 사용자의 회사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지하철을 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차원 상황 정보를 기초로 최종적인 "사용자는 출근을 위해 현재 A 지역에서 시작하여 B 지역까지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에 있으며, 게임을 실행하고 있다."와 같은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상기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을 통해 생성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초로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추천 정보는 사용자 기반 데이터 및 빅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기반 데이터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 로그 정보,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선호 정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정보로,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사용자 단말(10)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서비스 가입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선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정보 이용에 따른 정보로, 예컨대, 사용자 단말(10)로 기 전송된 추천 정보, 또는 별도의 카드사 장치(미도시)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카드 사용 내역에 따른 방문 가게 정보, 구매 물품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비한 음원, 영화와 같은 컨텐츠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로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어떠한 컨텐츠를 주로 이용하는지, 어제는 무엇을 먹었는지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는 사용자의 인맥과 관련된 정보로 예컨대 사용자 단말(10) 내 전화번호부 상의 인맥,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맺은 인맥, 이메일 계정으로 맺은 인맥 등 사용자와 관련된 인맥이 소비하거나 구매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반면, 빅 데이터는 사용자와 관련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소비하거나 구매한 정보로, 예컨대, 실시간 조회수에 기반한 인기 컨텐츠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이러한 사용자 기반 데이터, 빅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여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로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선호 정보를 파악하고, 사용자 선호 정보에 부합되는 컨텐츠 중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맥이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기 컨텐츠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황 정보 분석 모듈(22b)을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상황 인지 정보가 '점심 식사를 위해 외부로 나가는 중'일 경우,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피자, 햄버거, 쌀국수를 좋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사용자 로그 정보를 확인한 결과, 어제 점심에 쌀국수를 먹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피자, 햄버거 중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인들이 선호하는 음식음 햄버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햄버거는 A 사의 새로 나온 햄버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A 사의 새로 나온 햄버거를 추천 정보로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e)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의 과정에 대한 모든 내용을 추천 정보로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생성된 추천 정보를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e)로 전달하고,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3)은 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집된 상황 정보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추천 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은 사용자 단말(10)별로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에 대한 목록인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타임 테이블에 저장되는 상황 인지 정보는 비반복적인 상황 인지 정보가 아니라, 반복적인 상황 인지 정보를 중심으로 타임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어쩌다 한 번 7시에 서점에 갔을 경우(비반복적인 상황 인지 정보)와 매일 7시에 서점에 갔을 경우(반복적인 상황 인지 정보)가 의미하는 바가 서로 다를 것이다.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은 이러한 반복적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를 타임 테이블 형태로 생성하여 저장하며, 이때, 시간대별/요일별과 같은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월요일에 해당하는 타임 테이블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시간대별 상황 인지 정보 추천 정보
06:00~08:00 집에서 출근 준비 일정, 뉴스
08:00~09:00 지하철 타고 회사로 이동 게임
09:00~12:00 회사에서 오전 업무 경쟁사 관련 뉴스
12:00~13:00 점심 시간 맛집 정보
13:00~18:00 회사에서 오후 업무 음악
18:00~18:30 영어 학원 이동 영어 관련 정보
18:30~20:00 영어 학원 수업 수신 거부 서비스
20:00~21:00 집으로 이동 게임
21:00~23:00 집에서 취침 음악
즉,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은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을 통해 생성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 이후에, 반복되는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여 추천 정보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 이를 타임 테이블 형태로 관리하게 된다. 이후,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e)로 제공하고,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e)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별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수집되지 않더라도, 해당 요일의 해당 시간대에 기 생성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은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e)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타임 테이블에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서로 상이할 경우, 타임 테이블을 수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8시부터 9시 사이에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가 늘 실행하던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현재 사용자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비반복적인 행위인지 또는 반복적인 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대통령 선거 결과, 연예인 사망 뉴스와 같은 특정 사건, 사고가 발생되어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가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것이라면, 이는 비반복적인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어제도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대신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면, 이는 반복적인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 대신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이 사용자의 반복적인 행위일 경우,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은 사용자가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흥미가 잃은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 정보 생성 모듈(22c)로 새로운 추천 정보를 요청하여 추천 정보 제공 모듈(22e)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A 게임 어플리케이션 대신 DMB 를 반복적으로 실행한 경우, 타임 테이블 관리 모듈(22d)은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 대신 DMB 실행 요청 정보를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2)는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에 대한 목록인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여, 타임 테이블에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상이할 경우, 상기 타임 테이블을 수정함으로써, 보다 더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저장부(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부(22)의 동작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저장부(23)는 사용자 기반 데이터(23a), 빅 데이터(23b), 타임 테이블(23c)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사용자 기반 데이터(23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23a_1), 사용자 로그 정보(23a_2),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23a_3)가 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장치(2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서비스 장치(2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분류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 내부에 구현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저장부(23)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 장치(20)는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S101).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는 미리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고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타임 테이블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3).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로 생성하게 된다(S105).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상기 S105 단계에서 생성된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109).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상황 인지 정보와 상기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가 서로 상이할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타임 테이블의 수정 여부를 더 판단하여(S111), 타임 테이블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타임 테이블을 수정하고(S113), 그 이후에, 사용자 단말(10)로 수정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타임 테이블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먼저,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S201). 상기 상황 정보는 일정 기간 단위로 수집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가 사용자 단말(10)로 요청하여 수집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한다(S203).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분석된 상황 인지 정보를 기초로 적합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에 대응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 로그 정보, 사용자 소셜 네트워킹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S205), 불특정 다수에 의해 생성되는 인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S207).
그리고 나서,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사용자 기반 데이터, 빅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선정하고(S209). 상황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상황 인지 정보, 추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게 된다(S211 ~ S21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출근, 퇴근 등과 같이 특정 상황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반복적으로 이용하던 서비스를,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실행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면, 상기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일시적으로 발생된 상황 인지 정보인지 그렇지 않은 상황 인지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임 테이블을 수정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더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생성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추천 정보 생성 시의 상황 인지 정보와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되면, 상기 다른 상황 인지 정보가 일시적으로 발생된 상황 인지 정보인지 그렇지 않은 상황 인지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임 테이블을 수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출근, 퇴근 등과 같이 특정 상황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반복적으로 이용하던 서비스를,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실행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사용자 단말 11: 단말 하드웨어
12: 단말 운영체제 13: 컨텐츠 제공 플랫폼
14: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15: 통신부 16: 제어부
17: 저장부 18: 입력부 19: 출력부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3: 서비스 저장부 30: 통신망
100: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사용자 단말별로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천 정보에 대한 목록인 타임 테이블을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타임 테이블을 기초로,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타임 테이블에 기 저장된 상황 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상이할 경우, 상기 현재 상황 인지 정보가 반복적인 행위인지 비반복적인 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가 비반복적인 행위로 판단되면 현재 상황 인지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추천 정보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현재 상황 인지 정보 및 새로운 추천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타임 테이블이 수정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50261A 2013-05-03 2013-05-03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KR10211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261A KR102119400B1 (ko) 2013-05-03 2013-05-03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261A KR102119400B1 (ko) 2013-05-03 2013-05-03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22A KR20140132022A (ko) 2014-11-17
KR102119400B1 true KR102119400B1 (ko) 2020-06-05

Family

ID=5245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261A KR102119400B1 (ko) 2013-05-03 2013-05-03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7805B2 (en) 2017-03-08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43B1 (ko) * 2005-07-22 2006-12-28 (주)필링크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173A (ko)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상황에 적합한 지능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계기반의 추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63833A (ko) * 2008-11-25 2010-06-14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 추천 조건의 모니터링을 통해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43B1 (ko) * 2005-07-22 2006-12-28 (주)필링크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22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174B1 (ko) 테마 적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446811B1 (ko) 복수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통합 및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9589149B2 (en) Combining personalization and privacy locally on devices
KR102329333B1 (ko)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8120813A1 (zh) 一种智能推荐方法和终端
US201300070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processing of data items
US11321105B2 (en) Interactive informational interface
US20150186535A1 (en) Determining an Active Persona of a User Device
KR20160071732A (ko) 음성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441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recommendation
US20160253564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US201403572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refining rules for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based on users physical activites
US20200057804A1 (en) Content suggestion system
US114815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cene builder
US11803403B2 (en) Contextual navigation menu
KR20240055704A (ko) 지정 항목 추천 방법
EP3276487A1 (en) Method of detecting similar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same
WO2020264013A1 (en) Real-time augmented-reality costuming
US20210279262A1 (en) Generating clusters based on messaging system activity
US20240045899A1 (en) Icon based tagging
US10810058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150310093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of an electronic device
US20230237087A1 (en) System to generate contextual queries
KR102119400B1 (ko) 타임 테이블을 이용한 추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US201700244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cquiring user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