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433B1 -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433B1
KR100661433B1 KR1020060059039A KR20060059039A KR100661433B1 KR 100661433 B1 KR100661433 B1 KR 100661433B1 KR 1020060059039 A KR1020060059039 A KR 1020060059039A KR 20060059039 A KR20060059039 A KR 20060059039A KR 100661433 B1 KR100661433 B1 KR 10066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rganic
door
cassette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순
Original Assignee
(주)엑스포전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스포전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엑스포전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5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31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설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결합하여 순환식 라운드형의 다단 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밀폐된 가열 공간부가 형성된 에이징 챔버와, 유기 이엘 모듈이 다수 개 탑재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에이징 챔버의 가열 공간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제1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유기 이엘 모듈에 전원인가 및 동영상을 구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와 연결부재에 의해 전기적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모듈동작수단과, 상기 모듈동작수단을 상기 제1 이송수단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 이송수단, 및 상기 에이징 챔버와 모듈동작수단과 제1 및 제2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에이징 공정을 순환 컨베이어 상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에이징 챔버 내에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와 공간 효율의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유기 이엘 모듈, 동영상, 컨베이어, 에이징, 2단

Description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THE HIGH TEMPERATURE AGING APPRATUS FOR IMPLEMENTING THE MOVING PICTURE OF THE ORGANIC EL MODULE OF THE ROUND CONVEYOR TYPE}
도 1은 종래의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를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및 모듈동작수단이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송수단의 주요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어 어셈블리 및 에어 커튼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써클 도어 타입의 이중 도어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써클 도어 타입의 이중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기 이엘 모듈 2. 전극패드
10. 프레임 20. 에이징 챔버
30. 카세트 40. 제1 이송수단
50. 모듈동작수단 60. 제2 이송수단
70. 제어수단 80. 이중 도어 어셈블리
90. 에어 커튼 110. 상부프레임
120. 하부프레임 210. 투시창
220. 가열부재 310. 몸체
320. 안착부 322. 접속블록
330. 접속부 410. 슬라이딩 로울러
412. 회전축 420. 가이드 홈
510. 연결부재 512. 커넥터
514. 프레임부재 520. 실리콘 부재
610. 체인콘베이어 612. 구동스프라켓
614. 보조스프라켓 620. 모터
622. 감속기 630. 트레이
810. 도어 812. 힌지
814. 반사판 816. 개폐감지센서
820. 가이드 830. 도어개폐구동부
832. 로터리 실린더 834. 구동절
836. 종동절 838. 볼소켓 조인트
840. 물체감지센서 850. 제어부
850. 제어부 860. 솔레노이드 밸브
870. 에어 밸브 880. 써클 도어
881. 도어 판 882. 회전축
883,884. 셀 885. 물체감지센서
910. 도어스위치 920. 에어 커튼 팬
본 발명은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형 컨베이어에서 연속적으로 에이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상표시소자로는 음극선관(CRT), 평판 표시소자인 액정표시소자(LCD)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이엘(EL,Organic Light ElectroLuminessence) 모듈 등이 있다.
위의 화상표시소자 중 음극선관은 화질 및 밝기의 측면에서 다른 소자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대형 스크린을 필요로 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평판 표시소자는 음극선관에 비해 부피와 무게가 매우 작다는 장점이 있어 그 용도가 점차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차세대용 표시소자로서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기 이엘 모듈은 외부전기장이 유기 발광물질에 인가되면 유기물 내에서 전자와 홀이 결합하여 빛을 내는 자체 발광 현상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마주보는 상판 글라스와 하판 글라스의 세로 전극패턴과 가로 전극패턴 사이의 구성 교차점에서 전기장이 유기 발광물질에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여 갖가지 문자나 패턴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유기 이엘 모듈은 고품위 패널 특성인 저전력, 고휘도, 고반응속도, 저중량을 나타내고 있어 이동통신단말기, PDA, 캠코더, 팜 PC(Palm PC) 등의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생산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완성한 후 모든 디스플레이는 작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제거하거나 유기 발광물질의 마이크로 그레인들이 자리를 잡아 동작특성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최적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에이징(Aging) 테스트를 일정시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이징 테스트는, 예컨대 소정 온도범위 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기 이엘 모듈의 작동 특성이 변화하는지를 시험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챔버 내에서 유기 이엘 모듈의 작동 특성이 변화하는지를 시험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챔버 내에서 유기 이엘 모듈 세트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유기 이엘 모듈에 일반패턴 및 동영상이 잘 구현되는지를 확인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는 대략 40 내지 60°C의 실내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된 에이징 챔버(13)와, 유기 이엘 모듈(10)이 적재된 랙(11)을 수납하는 카세트(12)와, 상기 유기 이엘 모듈(10)을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유기 이엘 모듈(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14)과, 상기 유기 이엘 모듈(10)과 전원(14)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종래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에서 고온 에이징을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유기 이엘 모듈(10)이 적재된 랙(11)을 카세트(12)에 다단으로 적재하여 실내온도가 고온(40 내지 60°C)으로 제어되는 에이징 챔버(13) 내에 수납시키고, 상기 전원(14)으로부터 상기 유기 이엘 모듈(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에이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는 에이징챔버의 실내 크기가 제한되므로 1회 에이징시 에이징 챔버 내에 수납되는 유기 이엘 모듈의 수량이 제한된다. 즉, 배치(batch)작업으로 인하여 에이징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도 2에 도시된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로서, 이 에이징 장치는 공고실용신안 20-0151055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2의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소정 공간부(111)가 터널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된 에이징 챔버(110)와, 이 에이징 챔버(110)의 공간부(111)가 소정 범위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승온 및 강온 가능하게 제어되는 히터(120) 및 냉각기(130)와, 유기 이엘 모듈(10)이 탑재된 팔레트(600)가 다수 적재된 카세트(200)를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11)에 설치되는 컨베이어(300)와, 상기 유기 이엘 모듈(1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팔레트(600)에 전기적으로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101)에 설치되는 전원인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 이엘 모듈 에이징 장치는 유기 이엘 모듈(10)이 탑재된 팔레트(600)가 다수 적재된 카세트(20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입구측과 출구측 각각에 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에이징 챔버(110)를 외부와 밀폐시키는 장치가 없어 에이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 이엘 모듈의 고온 에이징 장치를 라운드형 컨베이어에 적재하여 연속적으로 에이징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이징 장치의 입구측·출구측에 이중 도어 어셈블리 및 에어커튼을 설치하여 에이징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킨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을 검사하는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결합하여 순환식 라운드형의 다단 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밀폐된 가열 공간부가 형성된 에이징 챔버와, 유기 이엘 모듈이 다수 개 탑재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에이징 챔버의 가열 공간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제1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유기 이엘 모듈에 신호 및 전원인가, 일반 패턴 및 동영상을 구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와 연결부재에 의해 전기적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모듈동작수단과, 상기 모듈동작수단을 상기 제1 이송수단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 이송수단, 및 상기 에이징 챔버와 모듈동작수단과 제1 및 제2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와 전기적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며 외부의 신호, 전원인가 및 동영상이 구현되도록 연결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이송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가 구름접촉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 배열된 한 쌍의 슬라이딩 로울러와, 상기 슬라이딩 로울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카세트와 모듈동작수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연결부재와 가이드 홈과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리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스프라켓에 함께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스프라켓에 권취되어 강제 연속회전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체인컨베이어에 감속기를 거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 그리고 상기 체인컨베이어와 수직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모듈동작수단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에이징 챔버는, 챔버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례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이중 도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는,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를 에이징 챔버의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와,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는, 원통형 세그먼트와 같은 셀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도어판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입구측 및 출구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는, 원통형 세그먼트와 같은 셀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도어판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입구측 및 출구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온 상태로 스위칭되는 도어스위치와, 상기 도어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으로 인가된 구동전원에 따라 동작하는 에어 커튼 팬으로 구성되는 에어 커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는, 상부(110) 및 하부프레임(120)을 결합하여 순환식 라운드형의 다단 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10)에 에이징 챔버(20)가 설치되고, 유기 이엘 모듈(1)이 탑재된 카세트(30)를 상기 에이징 챔버(20)의 내·외부로 장입 및 취출시키기 위한 제1 이송수단(40)과 상기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와 연결된 모듈동작수단(50)을 회전이송되도록 하는 제2 이송수단(60) 및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순환식 라운드형의 다단 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다음에 설명되는 에이징 챔버(20)와 제1 이송수단(40)의 구성요소들이 안착되는 상부프레임(110)과, 모듈동작수단(50)과, 제2 이송수단(60) 및 제어수단(70)의 구성요소들이 안착되는 하부프레임(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유기 이엘 모듈(1)을 에이징 테스트하기 위한 밀폐된 소정의 가열 공간부가 형성된 에이징 챔버(2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에이징 챔버(2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설비된다.
상기 에이징 챔버(20)의 외부에는 그 내면이 투시될 수 있도록 예컨대, 유리와 같은 투명재가 벽면의 일부로 형성되는 투시창(2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이와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도 유기 이엘 모듈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투시창(210)은 에이징 챔버(20) 내의 임의의 부분에서 작업 에러가 발생되었을 때 작업자가 쉽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미닫이문의 형식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에이징 챔버(20)의 내부에는 유기 이엘 모듈(1)이 적재된 카세트(30)를 소정 온도의 조건에서 소정 시간 동안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공간부가 형성되고, 가열 공간부를 소정 범위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승온 및 강온 가능하게 제어되는 가열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 가열 부재(220)는 에이징 챔버(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히터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에이징 챔버(20)의 내부는 통상 25 ~ 80℃의 온도범위로 조절되고 유기 이엘 모듈(1)의 자체 발열 온도 등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내에 목표 온도에 도달될 수 있도록 승온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도 유기 이엘 모듈(1)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에이징 챔버(20)는 알루미늄, 스틸, 니켈 등과 같은 프로세스 내성 물질로 형성되고, 고온의 처리온도를 견디도록 만들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및 모듈동작수단이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기 이엘 모듈이 적재된 카세트(30)는 다수 개의 유기 이엘 모듈(1)을 적재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ㄴ" 형태의 몸체(3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몸체(310) 내에는 복수의 안착부(320)가 마련되어 있어서, 그 안착부(320)에는 유기 이엘 모듈(1)의 외단에 형성된 전극패드(2)에 접속되는 접속블록(322)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블록(322)은 바람직하기로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그 일측에 전원을 접속하면 전체적으로 통전되어 유기 이엘 모듈(1)의 전극패드(2)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카세트(30)의 저면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모듈동작수단(50)으로부터 신호 및 전원을 인가받아 유기 이엘 모듈(1)에 전달하고, 전기적으로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접속부(33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카세트(30)는 유기 이엘 모듈(1)의 이탈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에이징 시 유기 이엘 모듈(1)의 발열에 견딜 수 있는 적절한 절연재질, 바람직하게는 전기적 절연재질일 뿐만 아니라 열적 단열재질, 예를 들어 세라믹 재질이나 베이클라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듈동작수단(5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듈동작수단(50)은 카세트(30)에 탑재되어 제1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중인 유기 이엘 모듈(1)에 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고 일반 패턴 및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설비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듈동작수단(50)은 일측으로 상기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와 전기적으로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며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51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510)는 모듈동작수단(50)과 결합되어 상기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외측으로 커넥터(512)와, 상기 커넥터(512)를 감싸는 프레임부재(514)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512)는 전선(미도시)을 통하여 카세트(30)에 장착된 유기 이엘 모듈(1)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일반 패턴 및 동영상 구현을 위한 테스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512)는 외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프레임부재(514)로 보호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10)는 제1 이송수단(40)에 의해 가이드 홈(42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되는데, 이때 가이드 홈(420)에는 틈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에이징 챔버(20)의 내부로 들어갔을 때 이 틈새 공간으로 챔버 내의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틈새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부재(520)가 더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이송수단(40)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가 구름접촉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 배열된 한 쌍의 슬라이딩 로울러(410)와, 상기 슬라이딩 로울러(4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유기 이엘 모듈 적재 유니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42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로울러(410)는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되는 회전축(412)에 의해 회전되도록 원형의 회전봉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420)은 카세트(30)가 제1 이송수단(40)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될 때 카세트(30)와 모듈동작수단(5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10)가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는 안내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이송수단(40)은 알 루미늄, 스틸, 니켈 등과 같은 프로세스 내성 물질로 이루어져 에이징 챔버(20) 내에 처리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즉, 상기 카세트(30)를 제1 이송수단(4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카세트(30)와 연결된 모듈동작수단(50)이 탑재된 제2 이송수단(60)을 구동하여 체인컨베이어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카세트(30)를 에이징 챔버(20)의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송수단의 주요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수단(60)은 체인컨베이어와(610), 모터(620) 및 트레이(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인컨베이어(61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동스프라켓(612)에 함께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스프라켓(614)에 권취되어 강제 연속회전된다.
상기 모터(620)는 상기 체인컨베이어(610)에 감속기(622)를 거쳐 회전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모터(62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스프라켓(612)는 회전하며, 구동스프라켓(612)가 회전함에 따라 보조스프라켓(614)에 권취된 체인컨베이어(6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컨베이어(610)와 수직축으로 결합된 트레이(630)가 트레이(630)의 상부에 놓여진 상기 모듈동작수단(50)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수단(70)은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에이징 챔 버(20)의 각종 미도시된 스위치 및 센서를 제어하여 고온 에이징 장치의 전체 상황을 제어하고, 제2 이송수단(60)의 모터(620)를 제어하며, 또한 다음에 설명되는 이중 도어 어셈블리(80) 및 에어 커튼(90)을 동작을 유기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1)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는 상기 에이징 챔버(20) 내부의 고온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 도어 어셈블리(80) 및 에어 커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이중 도어 어셈블리 및 에어 커튼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80)는 유기 이엘 모듈(1)이 탑재된 카세트(30)를 에이징 챔버(20)의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도어(810)와, 상기 도어(8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이드(820)와, 상기 도어(810)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구동부(830)와, 상기 도어(8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840)와, 상기 물체감지센서(8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구동부(830)를 제어하는 제어부(850)와, 상기 제어부(850)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860)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860)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 밸브(870)를 포함한다.
도어(810)의 후면의 하부에는 도어(810)를 구동시켜주는 도어개폐구동부(8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개폐구동부(830)는 공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로터리 실린더(832)와, 로터리 실린더(832)의 구동에 따라 움직이는 3절 링크로 구 성되어 있다. 여기서, 3절 링크는 구동절(834)과 종동절(836)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절(834)의 말단은 로터리 실린더(832)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절(834) 상단부는 종동절(836)의 말단부와 힌지(835)되어 있으며, 종동절(836)의 상단부는 도어(810)의 하부면 일정영역에 볼소켓 조인트(838)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구동부(830)와 물체감지센서(840)는 제어부(850)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어부(85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솔레노이드 밸브(860) 및 에어 밸브(870)를 작동시켜 도어(81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중 도어 어셈블리(80)는 먼저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를 에이징 챔버(20)에 투입시키기 위하여 도어(810)가 양측으로 개방되는데 제어부(85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860)에 전원을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밸브(860)가 작동하고, 솔레노이드 밸브(860)가 작동되면 솔레노이드 밸브(860)의 신호에 의해서 에어 밸브(870)가 작동되면서 로터리 실린더(832)의 인너 튜브(미도시)에 공기가 주입된다. 이후, 로터리 실린더(832)에 공기가 주입되면 로터리 실린더(832)는 시계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로터리 실린더(832)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절(834)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절(834)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절(834)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종동절(836)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도어(810)를 개방하게 된다.
이후,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의 투입이 완료되면 제어수단(7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860)에 전원공급을 하여 솔레노이드 밸브(860)를 동작시키고, 솔레노이드 밸브(860)가 동작되면 솔레노이드 밸브(860)의 신호에 의해서 에어 밸브(870)가 작동하면서 로터리 실린더(832)의 아웃터 튜브(미도시)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어서, 로터리 실린더(832)의 아웃터 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면 로터리 실린더(83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로터리 실린더(832)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절(834) 또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절(834)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절(834)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종동절(836)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도어(810)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중 도어 어셈블리(80)의 도어(810)는 좌우로 개폐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상하로 개폐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폐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80)의 도어(8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어부(8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차례로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제어수단(70)에 포함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써클 도어 타입의 이중 도어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써클 도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 어셈블리(80)는 써클 도어(Circle Door,880)로 구비된다.
상기 써클 도어(880)는 내부와 외부가 구비된 에이징 챔버(20)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써클 도어(880)는 반원형의 도어 판(881)과, 도어 판(88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882)을 구비한다. 설치된 회전축(882)과 도어 판(881)은 원통형 세그먼트와 같은 셀(883,884)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써클 도어(880)는 상기 회전축(88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도어(882)의 입구측 및 출구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885)가 구비되어 제어수단(70)에서 상기 물체감지센서(88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써클 도어(880)의 동작을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제 1 구역(가) ~ 제 4 구역(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판(881)이 제 1 구역(가) 및 제 2 구역(나), 제 2 구역(나) 및 제 3 구역(다)에 위치할 때에는 써클 도어(880)의 입구가 열려있는 상태가 되고, 써클 도어(880)의 출구는 닫혀있는 상태가 되어 써클 도어(880)의 입구로 카세트가 들어오게 되고 써클 도어(880)의 출구는 닫혀있어 에이징 챔버(20) 내의 고온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판(881)이 제 3 구역(다) 및 제 4 구역(라), 제 4 구역(라) 및 제 1 구역(가)에 위치할 때에는 써클 도어(880)의 입구는 닫혀있는 상태가 되고, 써클 도어(880)의 출구는 열려있는 상태가 되어, 써클 도어(880)의 내부로 들어온 카세트가 에이징 챔버(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에도 써클 도어(880)의 입구는 닫혀있어 에이징 챔버(20) 내의 고온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80)의 상측에 에어 커튼(90)이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커튼(90)은 상기 에이징 챔버(20)의 입구측 및 출구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중 도어 어셈블리(80)와 함께 에이징 챔버(20) 내부의 고온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810)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810)가 개방됨에 따라 온(ON) 상태로 스위칭되는 도어스위치(91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스위치(910)의 스위칭 동작으로 인가된 구동전원에 따라 동작하는 에어 커튼 팬(9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이징 챔버(20)의 내부로 새로운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가 이송되어 이중 도어 어셈블리(80)의 도어(810)가 열리게 되면, 이를 도어스위치(910)가 감지하여 에어 커튼 팬(920)을 구동시키고, 이후 도어(810)가 닫히게 되면 전술된 바와 같이 에어 커튼 팬(920)의 작동은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에이징 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에이징 챔버(110)의 내부는 상기 가열 부재(400)에 의해 소정의 온도 즉 25℃ ~ 80℃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10) 상에는 상기 카세트(30)를 에이징 챔버(20)의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제2 이송수단(40,60)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테스트하고자 하는 유기 이엘 모듈(1)을 카세트(30) 상에 장착한 후 상기 제1 이송수단(210) 상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작업자가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제2 이송수단(60)의 모터(620)에 의하여 트레이(630)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카세트(30)를 에이징 챔버(20)의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80)가 차례로 열리면서 에어 커튼(90)이 구동되고, 이에 따라 카세트(30)가 제1 이송수단(40)에 슬라이딩 되면서 에이징 챔버(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카세트(30)는 에이징 챔버(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빠져나가는 동안, 상기한 가열부재(220)는 에이징 챔버(20) 내에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여 그 내부온도를 25℃ ~ 80℃로 유지하고,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30)는 제1 이송수단(40)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고온의 에이징 챔버(20) 내를 이동하면서 에이징 테스트를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카세트(30)는 제1 이송수단(40)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카세트(30)의 저면에 마련된 연결부재(510)를 통해 모듈동작수단(50)과 접속되며, 모듈동작수단(50)과 커넥터(512)를 통해 유기 이엘 모듈(1)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동영상 구현을 위한 테스트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고온의 에이징 챔버(20) 내에서 유기 이엘 모듈(1)의 동영상이 정상적으로 구현되는지 여부를 인-라인(in-line)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카세트(30)가 상기 에이징 챔버(20)의 출구측 단부에 도달하면,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80)가 열리고, 에어 커튼(90)이 동작하면서 카세트(30)를 에이징 챔버(20)로부터 취출해 낸다. 이때 작업자는 취출된 카세트(30)로부터 유기 이엘 모듈(1)을 교체한 후, 다시 테스트할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를 에이징 챔버(20) 내부로 다시 인입시켜서, 상술한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에이징 장치는, 에이징 테스트를 마친 후 유기 이엘 모듈(1)이 장착된 카세트(30)가 되돌아오는 순환식 라운드형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에이징 테스트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중 도어 어셈블리 및 에어커튼에 의해 에이징 챔버(20) 내부의 고온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는 에이징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에이징 챔버 내에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으며, 에이징 공정을 순환 컨베이어 상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에이징 검사를 행할 수 있어서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 공간 효율의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이징 장치의 입구·출구측에 이중 도어 어셈블리 또는 에어 커튼이 설치되어 있어서 에이징 챔버 내부의 고온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인 테스트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 디스플레이 PDP, LCD 등의 에이징 장치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결합하여 순환식 라운드형의 다단 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밀폐된 가열 공간부가 형성된 에이징 챔버와;
    유기 이엘 모듈이 다수 개 탑재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에이징 챔버의 가열 공간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제1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유기 이엘 모듈에 신호 및 전원인가, 일반 패턴 및 동영상을 구현시키기 위해 상기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와 연결부재에 의해 전기적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모듈동작수단과;
    상기 모듈동작수단을 상기 제1 이송수단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 이송수단; 및
    상기 에이징 챔버와 모듈동작수단과 제1 및 제2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와 전기적 접속 및 이탈이 가능하며 외부의 신호, 전원인가 및 동영상이 구현되도록 연결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가 구름접촉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 배열된 한 쌍의 슬라이딩 로울러와;
    상기 슬라이딩 로울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카세트와 모듈동작수단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연결부재와 가이드 홈과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리콘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스프라켓에 함께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스프라켓에 권취되어 강제 연속회전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체인컨베이어에 감속기를 거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와 수직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모듈동작수단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챔버는,
    챔버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례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이중 도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는,
    유기 이엘 모듈이 탑재된 카세트를 에이징 챔버의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와;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입구측 및 출구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도어 어셈블리는,
    원통형 세그먼트와 같은 셀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도어 판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입구측 및 출구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온 상태로 스위칭되는 도어스위치와, 상기 도어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으로 인가된 구동전원에 따라 동작하는 에어 커튼 팬으로 구성되는 에어 커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KR1020060059039A 2006-06-29 2006-06-29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KR10066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039A KR100661433B1 (ko) 2006-06-29 2006-06-29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039A KR100661433B1 (ko) 2006-06-29 2006-06-29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433B1 true KR100661433B1 (ko) 2006-12-27

Family

ID=3781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039A KR100661433B1 (ko) 2006-06-29 2006-06-29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4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6B1 (ko) 2009-04-28 2009-07-31 주성기 라텍스 쿠션물 제조설비의 예열장치
KR101149055B1 (ko) 2010-05-25 2012-05-24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오엘이디 패널의 에이징 장치
KR101841903B1 (ko) 2016-08-29 2018-03-26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산업용 고무롤의 원료 배합 시스템
CN108761243A (zh) * 2018-06-06 2018-11-06 广州市长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温度多时间段自动老化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6B1 (ko) 2009-04-28 2009-07-31 주성기 라텍스 쿠션물 제조설비의 예열장치
KR101149055B1 (ko) 2010-05-25 2012-05-24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오엘이디 패널의 에이징 장치
KR101841903B1 (ko) 2016-08-29 2018-03-26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산업용 고무롤의 원료 배합 시스템
CN108761243A (zh) * 2018-06-06 2018-11-06 广州市长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温度多时间段自动老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7286B (zh) 載置單元及處理系統
JP2012521653A (ja) インライン熱処理装置
KR100661433B1 (ko) 유기 이엘 모듈의 동영상 구현 라운드 컨베이어형 고온 에이징 장치
KR101484734B1 (ko)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처리 시스템 및 그 열처리 방법
JP5555757B2 (ja) 基板検査装置
JP3908468B2 (ja) 高能率冷却式熱処理装置
JP2002198348A (ja) 液処理装置
JP2004218984A (ja) スライドスリット式熱処理装置
KR100671170B1 (ko) 포토레지스트 건조/경화 장치 및 그 방법
JP4352063B2 (ja) 液晶パネル検査装置
WO2008068845A1 (ja) パレット搬送装置、および基板検査装置
KR100831906B1 (ko) 온도 제어실 및 그 온도 제어실을 이용한 진공 처리 장치
CN100507641C (zh) 用于液晶显示板的检查装置
KR100586094B1 (ko) 디스플레이 평판의 다단식 건조/소성로
TW202146828A (zh) 基板熱處理爐
KR102166492B1 (ko) 열처리 장치
KR20090088733A (ko) 공정 챔버 및 이것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비
KR102666737B1 (ko) 다수의 글래스 처리가 가능한 포이즌 에이징 장치
KR102635226B1 (ko) Oled 공정 중 ai 및 ag 전극의 불량율 개선을 진공환경의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포이즌 에이징 장치
KR101289703B1 (ko) 기판 적재장치
KR101288132B1 (ko) 이송장치를 구비한 챔버
JP2004205145A (ja) Pdp用基板乾燥装置
KR100978262B1 (ko) 액정표시소자 검사장치
KR20080074068A (ko) 석영관 회전장치
KR20220074120A (ko) 도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경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