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983B1 -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983B1
KR100660983B1 KR1020047016284A KR20047016284A KR100660983B1 KR 100660983 B1 KR100660983 B1 KR 100660983B1 KR 1020047016284 A KR1020047016284 A KR 1020047016284A KR 20047016284 A KR20047016284 A KR 20047016284A KR 100660983 B1 KR100660983 B1 KR 10066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rbic acid
extract
acid derivative
sal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451A (ko
Inventor
니시무라노리히토
이시이히로시
사이토마코토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3/00465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86384A1/en
Publication of KR2004010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09Esters of phosphoric acids
    • C07F9/117Esters of phosphoric acids with cycloaliphatic alcohols

Abstract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Figure 112004046167563-pct00011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직쇄상 또는 분기상이어도 좋은 1∼19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에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STABILIZED ASCORBIC ACID DERIVATIVES}
본 발명은 신규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정적인 화합물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각각 함유하는 비타민C 제제 또는 작용제, 콜라겐 생성 촉진제, 미백제, 피부 외용 또는 도포제, 의약, 농약, 동물 또는 가축약, 식품 첨가제 및 동물 사료 성분용 첨가제 등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등을 함유하는 각종 형태 또는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아스코르브산은 지질 퍼옥시드 생성의 억제, 콜라겐 생성의 촉진, 멜라닌 형성의 지연 및 면역기능 또는 성능의 향상 등의 활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아스코르브산은 의약, 농약, 동물 또는 가축약, 식품, 동물 사료 성분, 화장품 제제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은 경시 안정성이 떨어지고, 열악한 지질 용해성을 갖는다. 따라서,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중에 축적되는 아스코르브산의 양은 다소 한정되어, 아스코르브산 그 자체가 사용되는 경우, 반드시 비타민C의 생리적 작용이 만족할 만한 정도로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아스코르브산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JP-B(심사된 일본특허공보)52-1819호(특허문헌 1), 및 JP-A(미심사된 일본특허공보)02-279690호(특허문헌 2) 등에 기재된 산화가 능한 2- 또는 3-위치의 엔디올부에 존재하는 히드록실기가 인산 에스테르로 변환된 유도체, 또는 JP-A-59-170085호(특허문헌 3) 등에 기재된 지질 용해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지방산으로 아실화가 된 유도체 등, 그들의 각종 유도체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안정성 및 지질 용해성 모두를 개선시키는 유도체는 매우 적었다.
안정성 및 지질 용해성 모두를 개선시키는 아스코르브산으로서, JP-A-61-152613호(특허문헌 4)에는,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공보에 있어서, 그들의 황산 에스테르(인산 에스테르가 아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그들의 인산 에스테르 제조방법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작은 확실하지 않다. 이 점에서, 상기 공보에 있어서, 상기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가 실시 가능하게 개시되어 있다고는 인정하기 곤란하였다.
JP-A-10-298174호(특허문헌 5)에는,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이 물질의 구조 측정의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는 안정성 및 지질 용해성 모두가 개선되고, 세포로의 도입이 용이하다는 것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 중,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6-팔미틴산 에스테르 소디움 염 및 그들의 수용액은, 안정성의 관점에서, 아직 불충분하였다.
특허문헌 1: JP-B-52-1819호
특허문헌 2: JP-A-02-279690호
특허문헌 3: JP-A-59-170085호
특허문헌 4: JP-A-61-152613호
특허문헌 5: JP-A-10-2981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당면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성이 개선되고, 신규한 구조를 갖는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을 사용한 제제(화장품 재료 등)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새로이 합성된 6위치의 아실기(지방산 잔기)가 α-위치에서 분기된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이, 종래의 직쇄상 지방산 잔기를 갖는 6-O-고급 아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에 비하여 안정성에 있어서, 매우 개선된 것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에 기초하여 달성되었다.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6위치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가 α-탄소에서 분기된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라서, 종래의 6-O-고급 직쇄상 지방산 에스테르는, 저장 중에 분해 또는 균열되어 저장 후의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잔존율에 감소가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2-인산-6-지방산 에스테르는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와 경험에 의하면, 지방산 에스테르(시작 물질로서, α-탄소에서 분기된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아스코르브산-2-인산-6-지방산 에스테르 등)는, 증강된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다는 것을 가정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하기 사항에 관한 것이다.
[1]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1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직쇄상 또는 분기상이어도 좋은 1∼19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에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의 정수이다.)
[2] [1]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알루미늄, 철, 아연 및 비스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3] [1]에 있어서,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 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또는 2-아미노-1-메틸프로판올과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4] [1]에 있어서, 일반식(1)의 R1 및 R2에 있어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8∼18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5] [4]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의 R1 및 R2는 직쇄상 알킬기이고, R1 및 R2의 직쇄상 알킬기에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14 또는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6] [5]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의 R1은 n-C9H19 및 R2는 n-C7H15이거나; 또는, R1은 n-C8H17 및 R2는 n-C6H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7] 하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또는 그것의 염과 지방산, 지방산염,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할라이드 및/또는 지방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2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8] [7]에 있어서, 축합제 및/또는 탈수제의 존재 하에서 상기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9] [8]에 있어서, 상기 탈수제는 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7]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물, 아세톤, 디옥산, 톨루엔, 에틸벤젠, 메틸-tert-부틸 에테르 및 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제 중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제제.
[12]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제.
[13]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14]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5] [14]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6] [14]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의 나트륨염, 칼륨염, 망간염 또는 아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7] [14]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재료.
[18]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의약, 농약 또는 동물약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식품 또는 사료 첨가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후, 본 발명을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 및 "부"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비 또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또는 그것의 염이다: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3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직쇄상 또는 분기상이어도 좋은 1∼19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에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L-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상기 아스코르브산의 2-위치가 인산 에스테르로 에스테르화되므로, 산화되지 않고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있어서, 6위치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로 에스테르화되므로, 상기 화합물은 적당한 지질 용해성을 갖고, 세포로의 도입이 용이하게 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에서의 2-위치의 인산기는 생체 중의 포스파타아제에 의해 용이하게 가수분해되고, 6-위치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는, 리파아제 또는 에스테라제가 작용할 수 있는 1차 알콜(6-위치)과의 에스테르이고, 상기 화합물은 생체 중에서 용이하게 아스코르브산으로 변환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1)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또는 염은, 예컨대, 하기 반응식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4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1∼19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이고, R3은 수소원자, 양이온 또는 1∼5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또는 그것의 염을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α-탄소에서 분기된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것의 염 중 1종 이상과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2-인산-6-지방산 에스테르(1) 및/또는 그것의 염을 제조한다.
(탈수제 또는 축합제)
상기 반응은 탈수제 또는 축합제의 존재 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되는 탈수제 또는 축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축합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축합제로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N,N'-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벤즈트리아졸-1-일-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파이드 염,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가 열거된다. 이들 중,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포스포러스 펜톡시드, 고체 인산, 티타늄 옥시드, 알루미나 및 황산이 열거된다. 이들 중, 황산(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의 농황산)을 사용하고, 상기 농황산,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염 및 지방산 또는 에스테르 또는 그것의 염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3)의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 R3은 1∼5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에스테르를 나타내고, 1∼3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며,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시간 및 반응온도는, 상기 지방산이 유리산, 에스테르 또는 염인지에 따라서 달라지거나, 또는 상기 축합제의 종류 및 양에 따라서 달라진다. 그러나, 반응시간은 1∼120시간이 일반적이고, 4∼10시간이 바람직하며, 반응온도는 5∼70℃가 일반적이고, 30∼50℃가 바람직하다.
시작 물질 또는 촉매로부터 상기 반응액으로 운반되는 수분 함량은 10% 이하가 적당하고, 2% 이하가 바람직하다.
(용제)
용제가 상기 반응 중에 사용되는 경우, 축합제로서의 황산 그 자체를 용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작 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그 밖의 용제로부터 용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 밖의 용제의 구체예로는, 물, 아세톤, 디옥산, 톨루엔, 에틸벤젠 및 메틸-tert-부틸 에테르 등이 열거된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2)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또는 염을, 예컨대 하기 반응식에 따라서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5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1∼19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이며, Z는 할라이드를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스코르브산-2-인산 및/또는 그것의 염을 일반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α-탄소에서 분기된 지방산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2-인산-6-지방산 에스테르(1) 및/또는 그것의 염을 제조 한다.
(염기)
상기 반응은 염기의 존재 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는, 알콜과 산 할라이드의 반응에서의 탈수소 할로겐화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것의 바람직한 예로는, 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 등의 3차 아민이 열거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3)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또는 그것의 염은, 예컨대, 하기 반응식을 따라서 제조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6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1∼19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반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α-탄소에서 분기된 지방산 무수물을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스코르브산-2-인산 및/또는 그것의 염과 반응시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스코르브산-2-인산-6-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을 제조한다.
(몰비)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발 물질은 상기 반응 중에 어느 것에서도 동몰량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그러나, 소정의 반응 후에 영향을 받는 정제 또는 단리 동안에 실질적으로 어떤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 한, 어느 한쪽의 출발 물질을 약간 과량(예컨대, 상기 어느 한쪽의 출발 물질은 몰비로 약 1.0-3.0으로 존재하여도 좋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1.5으로 존재하는 것이다.)으로 존재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제 및/또는 단리)
정제 또는 단리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제 또는 단리는 용제 추출, 세정, 염석(salting out), 또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응 생성물은 헥산 등의 비극성 용제로 세정 또는 에테르 추출 중 어느 하나로 단리 또는 정제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얻어진 생성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더 정제시켜도 좋다.
상기 식(2)의 아스코르브산의 3- 및 5-위치에서의 X 및 Y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는 모두 H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반응 중 어느 것에서도, 상기 반응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보호기로 이들 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 다.
<비수용성 보호기의 구체예>
아실기, 알칸술포닐기, 치환되어도 좋은 벤젠술포닐기, 디알킬카르바모일기, 벤질기, 알킬기, 실릴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염은 하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7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직쇄상 또는 분기상이어도 좋은 1∼19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에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의 정수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아스코르브산-2-인산-6-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는, 예컨대, 물 또는 메탄올 등의 에스테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 중에 적당한 염기(예컨대, 소디움 히드록시드, 포타슘 히드록시드, 마그네슘 옥시드, 칼슘 히드록시드,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디시클로헥실아민)로 중화시켜, 상기 염기와의 염을 얻을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의 종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염의 용도를 실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입수의 용이성, 제제로의 그들의 배합성의 관점에서, 상기 염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알루미늄, 철, 아연 및 비스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소디움 및 포타슘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들의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해도 좋다.
(히드록실기의 보호)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있어서, 3- 또는 5-위치의 히드록실기는, 히드록실기로 쉽게 변환되는 종래 공지의 기로 보호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호기(예컨대, 아실기, 알칸술포닐기, 치환되어도 좋은 벤젠술포닐기,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벤질기, 알킬기, 실릴기 등)를 갖는 화합물이 열거될 수 있다. 상기 보호기는, 6-위치의 에스테르화 반응 전후에 소정의 화합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2-인산의 6-O-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뿐만 아니라, 상기 일반식(1)의 R1 및 R2가 각각 CH3 또는 C2H5를 나타내는 종래 공지의 6-O-저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작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종래 공지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비해 안정성 및 지질 용해성이 모두 현저하게 개선된 비타민C 활성을 나타 낸다. 따라서, 비타민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자체로 공급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제품(비타민C 제제)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의약, 농약, 식품, 사료 또는 화장품 제조 등에 혼합될 때, 비타민C는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비타민C 활성의 관점에서 L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6-위치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는 α-탄소원자에서 분기된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라서, 종래의 6-O-고급 직쇄상 지방산 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결합이, 저장 동안에 분해 또는 균열되어 저장 후의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의 잔존률이 감소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예컨대, α탄소에서 분기된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되는 아스코르브산-2-인산-6-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이 강화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저장 실험에 있어서 안정성이 개선된다고 추측된다.
상기 지질 용해성의 관점에서, 6-O-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로는, 2-부틸헥산산 에스테르, 2-헥실데칸산 에스테르 및 2-헵틸운데실산 에스테르가 열거될 수 있다.
(콜라겐 생성 촉진체, 피부 외용제 등)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콜라겐 생 성 촉진 효과 및 미백 효과가 있어서, 콜라겐 생성 촉진체나 미백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예컨대 다른 피부 용제와 조제됨으로써 피부 외용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피부 용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짐) 이외에,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할 수 있다.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8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이 함유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피 및 진피 모두에 아스코르브산원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이하, 상기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는 D-형, L-형, 및 DL-형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지만, L-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의 염은, 예컨대, 상기 인산에스테르가 상기 아스코르브산의 2-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인산에스테르의 인산기가 염기와 염을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의 염의 구체예는,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Zn염, Al염, Ti염 등이 열거된다. 이 중, 경제적 관점에서, Na염, K염, Mg염 및 Zn염이 바람직하고, Na염 및 Mg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본 발명에 있어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란, 예컨대, 피부 조직 중의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을 아미노산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고, 이렇게 얻어진 데이타를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의 지표로서 사용하는 경우, 실험 영역(또는 단편)에서의 히드록시프롤린 양이 대조 영역의 히드록시프롤린 양의 1.2∼2배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콜라겐 생성 촉진제, 미백제 또는 피부 외용제는 그 자체의 효과를 주효과로서 강조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효과를 변경 또는 조절하기 위해 거기에 다른 성분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콜라겐 생성 촉진제, 미백제 또는 피부 외용제에 있어서, 이들 조제품에 혼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양은, 소망 효과의 정도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과의 관계의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조제품의 전체량에 대해 0.01∼30질량%가 좋고, 0.03∼20질량%가 바람직하다.
콜라겐 제작 촉진 효과 및/또는 미백 효과를 활용하기 위해, 다른 첨가제(예컨대, 피부 노화에 대하여 효과적인 공지의 성분, 상기 콜라겐 생성 촉진 및 주름 억제에 효과적인 공지의 성분, 공지의 미백제 등)를 첨가할 수 있다.
차추출물, t-AMCHA, L-리신, L-아르기닌, 카페인, 탄닌, 베라파밀, 트란사민 산, 트란사민산 유도체, 히알루론산, 감초 추출물, 글라브리딘, 모과, 나무딸기 및 아보카도 등의 과일의 열수 추출물, 백포도주 효모 추출물, 각종 일본 및 중국의 생약 또는 그 추출물, 향기 추출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알부틴, 누룩(또는 맥아), 글루코오스, 푸룩토오스, 만노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피토글리코겐, 레티논산, 레티놀, 레티놀 아세테이트 및 레티놀 팔미테이트 등을 첨가제로서 혼합할 수 있다.
미백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후술하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조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염기 성분을 피부 외용제의 형태 또는 투약 형태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염기 성분은 각종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염기 성분의 구체예로는,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 에스테르 기름, 히드로카본 오일, 실리콘 수지, 실리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형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저급 알콜, 스테롤, 수용성 폴리머, 봉쇄제(예컨대, 디소디움 에데테이트, 트리소디움 에데테이트, 소디움 시트레이트, 소디움 폴리포스페이트, 소디움 메타포스페이트, 글루콘산), 중화제, pH조절제, 살균제 또는 곰팡이 방지제 및 향료를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이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손상시키는 않는 한, 피부 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혼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성분의 구체예로는, Yakuji Nippo, Ltd.에 의해 발행되고, Nippon Koteisho Kyokai에 의해 편집된 Japanese Standards of Cosmetic Ingredients(JSCI), 2nd Edition, Annotation(1984), Yakuji Nippo. Ltd.에 의해 발행되고, Examination Division,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에 의해 관장된 Specifications of Ingredient Other Than Those Listed in JSCI(1993), Yakuji Nippo, Ltd.에 의해 발행되고, Examination Division,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에 의해 관장된 Specification of Ingredient Other Than Those Listed in JSCI, Supplement(1993), Yakuji Nippo, Ltd.에 의해 발행되고, Examination Division,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에 의해 관장된 The Comprehensive Licensing Standards of Cosmetics by Category(1993) 및 Nikko Chemicals의 Kesho-hin Genryo Jiten(Handbook of Cosmetic Ingredients)(1991) 등에 기재된 약제들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품에 첨가될 수 있는 재료 또는 약제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열거한다. 이들 예로는, 오일, 고급 알콜, 지방산, 적외선 흡수제, 분체, 안료, 계면활성제, 다가 알콜 및 당류, 폴리머, 생물학적 활성 성분, 용제, 산화방지제, 향료 및 소독제 등이 열거된다. 그러나, 물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오일의 구체예
(에스테르형 오일상 성분)
트리글리세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부틸 미리스테이트, 에틸 리놀레이트, 이소프로필 리놀레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아라킬 네오펜타노에이트, 카프릴-카프린산 트리글리세리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 카프릴레이트, 데실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데실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세틸 리시놀레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라우레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데실 올레에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에이트, 옥틸도데실 리놀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 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운데실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테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 옥틸 이소노나노에이트, 헥실데실 네오데카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네오데카노에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릴세린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디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디알킬 카르보네이트(C12-18),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아랄킬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옥틸 시트레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세틸 락테이트, 옥틸데실 락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옥틸 시트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에이트, 2-에틸헥실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옥틸 세바케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올레에이트, 디히드로콜레스테릴 올레에이트,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 올레에이트, 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스테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탄화수소형 오일상 성분)
스쿠알렌, 액체 파라핀, α-올레핀 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액체 이소파라핀, 폴리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바셀린.
(동물 및 식물성 오일, 그것의 경화 오일, 및 천연 유래의 왁스)
소기름, 경화 소기름, 라드, 경화된 라드, 말오일, 경화 말오일, 밍크 오일, 오렌지 러피 오일, 어류 오일, 경화 어류 오일 및 달걀 노른자 오일 등의 동물성 오일 및 그것의 경화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카카오 오일, 살구씨 오일, 코코넛 오일, 참깨 오일, 밀 배아 오일, 쌀 배아 오일, 쌀겨 오일, 홍화 오일, 쉐어 버터(shea butter), 대두 오일, 달맞이꽃 오일, 동백나무 오일, 옥수수 오일, 채종유, 경화 채종유, 팜씨 오일, 경화 팜씨 오일, 팜 오일, 경화 팜 오일, 땅콩 오일, 경화 땅콩 오일, 피마자 오일, 수소화 피마자 오일, 해바라기 오일, 포도씨 오일, 호호바 오일, 경화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너트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면화씨 오일, 경화 면화씨 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및 그것의 경화 오일; 밀랍, 고산가 밀랍, 라놀린, 환원 라놀린, 액체 라놀린, 카르나우바 왁스 및 몬탄 왁스 등의 왁스.
(실리콘형 오일상 성분)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코폴리머,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아르옥시실록산 코폴리머, 알킬-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말단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디메티콘올(dimethiconol), 실리콘겔, 아크릴 실리콘, 트리메틸실록시 규산 및 실리콘 RTV 고무.
(불소계 오일상 성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불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불소화 피치, 플루오 로카본, 플루오로알콜 및 플루오로알킬·폴리옥시알킬렌-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고급 알콜의 구체예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베헤닐 알콜, 2-에틸헥사놀, 헥사데실 알콜 및 옥틸 도데칸올.
(3)지방산의 구체예
카프릴산, 카프린산, 운데실렌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팔미트올레인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리놀렌산, 아라킨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에루카산 및 2-에틸헥사논산.
(4)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
파라-아미노벤조산, 아밀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디히드록시프로필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옥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옥틸디메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렌글리콜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옥틸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 모노-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디에탄올아민 파라-메톡시히드로신나메이트,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신나민산 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칸산, 에틸 우로카네이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술폰산 및 그것의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소디움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포네 이트,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옥톡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메틸-O-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3-(4-메틸벤질리덴)캄포, 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2-에틸헥실 4-(3,4-디메톡시페닐메틸렌)-2,5-디옥시-1-이미다졸리딘프로피오네이트 및 폴리머 유도체 및 그것의 실란 유도체.
(5)분체 및 안료의 구체예
Food Red 104, Food Red 201, Food Yellow 4, Food Blue 1 및 Food Black 401 등의 안료; Food Yellow 4 AL 레이크 및 Food Yellow 203 BA 레이크 등의 레이크 안료; 나일론 분체, 실크 분체, 우레탄 분체, 실리콘 분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분체, 셀룰로오스 분체, 전분,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형 분체 및 폴리에틸렌 분체 등의 폴리머;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산화 크롬, 카본블랙, 군청색 및 감청 등의 색상 안료; 산화 아연, 산화 티탄 및 산화 세륨 등의 백색 안료;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카올린 및 바륨 술페이트 평판 등의 체질 안료; 마이카 티탄 등의 펄안료; 바륨 술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등의 금속염; 실리카 및 알루미늄 등의 무기성 분체;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팔미테이트, 아연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아연 라우레이트 및 아연 운데실렌에이트 등의 금속 비누;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및 보론 니트리드.
상기 형태(예컨대, 구형, 바형, 침형, 판형, 비결정형, 비늘형, 방추형) 및 이들 분체의 입자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분체는, 불소 화합물 처리, 실리콘 처리, 실리콘 수지 처리, 펜던트 처리, 염류 커플링제 처리, 티탄 커플링제 처리, 윤활제 처리, N-아실화 리신 처리, 폴리아크릴산 처리, 금속 비누 처리, 아미노산 처리, 레시틴 처리, 무기성 화합물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및 기계화학적 처리 등의 종래 공지의 표면처리에 의해 미리 표면이 처리되어도 좋고, 처리되지 않아도 좋다.
(6)계면활성제의 구체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비누, α-아실 술포네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알릴 술포네이트, 알킬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POE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미드 술페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POE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아미드 포스페이트, 알킬로일알킬 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알킬 에테르 카보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소디움 알킬술포아세테이트, 아실화 수소화 콜라겐 펩티드염 및 퍼플루오로알킬 인산 에스테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리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리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로미드, 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리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리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리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브로미드, 벤잘코늄 클로리드, 베헨산 아미노프로필디메틸 히드록시프로필암모늄 클 로리드,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레이트 및 라놀린 유도체 4급 암모늄염.
(양쪽성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도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도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레이트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및 아미도아민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 에테르, POE 지방산 에스테르, POE 수소화 피마자 오일, POE 피마자 오일, POE·PDP 코폴리머, POE·PD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라우린산 알칸올아미드, 알킬 아민 옥시드 및 수소화 대두 인지질.
(천연계 계면활성제)
레시틴, 사포닌 및 당계 계면활성제.
(7)다가 알콜 및 당의 구체예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3-메틸-1,3-부탄디올,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라피노제, 에리트리톨, 글루코스, 수크로스, 과일당, 크실리톨, 락토스, 말토스, 말티톨, 트레할로스, 알킬화 트레할로스, 혼합 이성화 당, 황산화 트레할로스 및 풀루란. 그들의 화학적 변성 생성물도 사용할 수 있다.
(8)폴리머 화합물의 구체예
아크릴산 에스테르/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코폴리머(Go'o Kagaku K.K. 제품의 PLUS-SIZE),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 코폴리머(NSC제품의 수지 28-1310),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비닐네오데카네이트 코폴리머(NSC제품의 28-2930), 메틸비닐에테르 말레인산 하프 에스테르(ISP제품의 GANTREZ ES), T-부틸아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코폴리머(BASF제품의 RUBIMER),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비닐프로피오네이트 코폴리머(BASF제품의 RUBISCOL VAP),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 코폴리머(BASF제품의 RUBISET CA),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BASF제품의 RUBISET CAP), 비닐피롤리돈/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ASF제품의 RUBIFLEX),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BASF제품의 ULTRAHOLD), 비닐아세테이트/부틸말레에이트·이소보로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ISP제품의 ADVANTAGE),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BF Goodrich제품의 CARBOPOL), 및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BF Goodrich제품의 PAMUREN) 등의 음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디알킬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의 아세트산 양쪽성 화합물(Mitsubishi Chemical제품의 YUKAFORMER) 및 옥틸아크릴아미드 아크릴레이트/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NSC제품의 AMPHOMER) 등의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차 화합물(ISP제품의 GAFQUAT) 및 메틸 비닐 이미다졸륨 클로리드/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BASF제품의 RUBICOTE) 등의 양이온성 폴리머; 및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BASF제품의 RUBISCOL) 및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ISP제품의 COPOLYMER VC713) 등의 비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또한, 셀룰로오스 및 그것의 유도체, 칼슘 알기네이트, 풀루란, 한천, 젤라틴, 타마린드씨 폴리사카리드, 크산텐 검, 카라기난, 고급 메톡실 펙틴, 저급 메톡실 펙틴, 구아 검, 검 아라비, 크리스탈 셀룰로오스, 아라비노 갈락탄, 카라야 검, 트라가칸트 검, 알기닌산, 알부민, 카세인, 카드런(cardrun), 젤란 검 및 덱스트란 등의 천연 유래의 폴리머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9)생물학적 활성 성분의 구체예
상기 생물학적 활성 성분은,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피부에 어떠한 생물학적 활성을 줄 수 있는 물질이 열거될 수 있다. 그것의 구체예로는, 미백 성분, 항염증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방어제, 다이어트제, 피부 탄력증진제, 항산화제, 발모제, 육모제(hair growing agent), 보습제, 혈액 순환 촉진제, 박테리아 방지제, 살균제, 건조제, 냉각제, 보온제, 비타민 화합물, 아미노산, 상처 치유 촉진제, 자극 완화제(torpent), 진통제, 세포 활성제 및 효소 성분이 열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되는 성분의 바람직한 예로는, 안젤리카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수국꽃 추출물, 알시아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애프리코트 추출물, 애프리코트핵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회향 추출물, 심황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 장미열매 추출물, 에치나세아 입 추출물, 골무꽃 뿌리 추출물, 황벽 껍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보리 추출물, 하이퍼리큠 추출물, 흰색 쐐기풀 추출물, 물냉이 추출물, 오렌지 주출물, 바다 염분, 해조 추출물, 가수분해된 엘라스틴, 가수분해된 밀분체, 가수분해된 실크, 카모마일 추출물,
당근 추출물, 사철쑥 추출물, 감초 추출물, 사브다리파(sabdariffa) 추출물, 피라칸타 포천안나 과일 추출물, 키위 추출물, 기나수 추출물, 오이 추출물, 구아노신, 치자나무 추출물, 동백죽 추출물, 고삼 뿌리 추출물, 호두나무 추출물, 포도열매 추출물, 클레마티스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껍지 추출물, 용담 추출물, 홍차 추출물, 효모 추출물, 우엉 추출물, 발효된 쌀겨 추출물, 쌀 배아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콜라겐, 월귤 추출물, 족두리풀 뿌리 추출물, 시호(bupleurum falcatum) 뿌리 추출물, 탯줄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사포나리아 추출물, 대나무 풀 추출물, 크라테거스 추출물, 잔톡실룸 열매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지황 뿌리 추출물, 자치(lithospermum) 뿌리 추출물, 들깨 추출물, 린덴 추출물, 터리풀(filipendula) 추출물, 작약 뿌리 추출물, 창포 뿌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속새 추출물, 담쟁이덩굴 추출물, 산사나무(hawthorn) 추출물, 흑딱총나무 추출물, 톱풀 추출물, 박하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천궁 뿌리 추출물, 당약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백리향(wild thyme) 추출물, 녹차 추출물, 정향 추출물, 코곤(cogon) 추출물, 감귤류 껍질 추출물, 안젤리카 뿌리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비터 오렌지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낫토(natto) 추출물, 인삼 추출물, 마늘 추출물, 들장미 추출물,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꽃 추출물, 백문동(ophiopogon tuber)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꿀, 위치 헤이즐 추출물, 펠리토리(pellitory) 추출물, 이소도니스 (isodonis) 추출물, 마트리카리아 추출물, 비파 나무 추출물, 콜츠풋(coltsfoot) 추출물, 머위(butterbur scape) 추출물, 복령 추출물, 버쳐꽃(butcher bloom) 추출물, 포도 추출물,
밀랍, 수세미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박하 추출물, 린덴 추출물, 작약 추출물, 홉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말밤나무 추출물, 스컹크 캐비지 추출물, 무환자나무(sapindaceae) 추출물, 밤민트(balm mint)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옥수수꽃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범위귀(saxifrage) 추출물, 감귤 추출물, 율무 추출물, 쑥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사과 추출물, 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차이니즈 밀크 베치(Chinese milk vetch) 추출물, 장미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로만 카모마일 추출물 및 로얄젤리 추출물이 열거될 수 있다.
그 밖의 예로는, 데옥시리보뉴클레인산, 무코폴리사카리드, 소디움 히알루로레니트, 소디움 콘드로이친 술페이트, 콜라겐, 엘라스틴, 키틴, 키토산 및 가수분해 알껍질막 등의 바이오 폴리머; 아미노산, 가수분해 펩티드, 소디움 락테이트, 우레아, 소디움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베타인, 유장 및 트리메틸글리신 등의 수분 유지 성분; 스핑고리피드,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인지질 등의 오일 성분; ε-아미노카프로인산, 글리시리진산, β-글리시리진산, 리소짐 클로리드, 구아이아즐렌 및 히드로코티손 등의 항염증제;
비타민A,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D, 비타민E, 칼슘 판토테네이트, 비오틴 및 니코틴산 아미드 등의 비타민; 알란토인, 디이소프로필아민 디클로로아세테 이트 및 4-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등의 활성 성분; 토코페롤,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리그닌 및 사포닌 등의 산화 방지제; α-히드록시산 및 β-히드록시산 등의 세포 활성제; γ-오리자놀 및 비타민E 유도체 등의 혈액 순환 촉진제;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 등의 상처 치유제; 알부민, 코직산, 태반 추출물, 황, 엘라지산, 리놀레인산, 트란사민산 및 글루타치온 등의 미백제; 세파라틴, 감초 추출물, 고추 팅크제, 히노키티올, 요오드화 마늘 추출물, 피리독신 히드로클로리드, DL-α-토코페롤,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니코틴산, 니코틴산 유도체, 칼슘 판토테네이트, D-판토테닐 알콜, 아세틸 판토테닐에틸 에테르, 비오틴, 알란토인,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타라디올, 카프로늄 클로리드, 벤잘코늄 클로리드, 디펜히드라민 히드로클로리드, 타카날(Takanal), 캄포, 살리실산, 바닐릴아미드 노닐레이트, 바닐릴아미드 노나노에이트, 피로크톤 올라민, 글리세릴 펜타데카노에이트, L-멘톨, 모노니트로구아이아콜, 레조르시놀, γ-아미노부티르산, 벤즈에토늄 클로리드, 멕실레틴 히드로클로리드, 옥신, 여성 호르몬, 칸다리스 팅크제, 시클로스포린, 아연 피리티온, 히드로크로티손, 미녹시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박하 오일 및 사다니시키(SADANISHIKI) 추출물 등의 육모제가 열거된다.
(10)산화 방지제의 구체예
소디움 히드로겐술파이트, 소디움 술파이트, 에리소르빈산, 소디움 에리소르베이트,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토코페롤, 톨릴비구아니드, 노르디히드로구아이레틴산, 파라히드록시 아니솔, 부틸히드록시 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 톨루 엔,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옥틸 갤레이트, 프로필 갤레이트,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리그닌, 사포닌 및 사과 추출물 및 정향 추출물 등의 산화 방지 효과를 갖는 식물 추출물.
(11)용제의 구체예
정제수, 에탄올, 저급 알콜, 에테르, LPG, 플루오로카본, N-메틸피롤리돈, 플루오로알콜, 휘발성 직쇄상 실리콘 및 차세대 프레온(플루오로카본, 클로로플루오로카본, CFC 등).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일반적인 농도로 기존의 유화제 등을 더 첨가하여도 좋다.
(피부 외용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스킨 밀크, 스킨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마사지 크림, 클린징 크림, 쉐이빙 크림, 클린징 폼, 스킨 로션, 로션, 팩, 샴푸, 린스, 육모제, 양모제, 염모제, 헤어 컨디셔너, 치약, 가글, 퍼머넌트 웨이브제, 연고, 입욕제 및 바디 비누 등의 화장 재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화장품 재료)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와, 예컨대,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알콜;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방부제; 및 정제수 등을 혼합함으로써 화장품 재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품 재료는 이들 구체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재료는, 예컨대,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아이 셰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볼터치, 립스틱 및 네일칼라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밀크 로션, 크림, 로션, 칼라민 로션, 선크림제, 선텐제, 애프터 쉐이브 로션, 프리 쉐이브 로션, 팩, 여드름 대책 화장품 및 에센스 등의 기초 화장품; 샴푸, 린스, 컨디셔너, 헤어컬러, 헤어토닉, 헤어세팅제, 양모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제 등의 헤어케어 화장품; 바디 파우더, 방취제, 탈모제, 비누, 바디 샴푸, 입욕제, 손세척 비누 및 향수로 분류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화장품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재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품 재료는, 2층 구조, 유중수(water-in-oil) 에멀젼, 수중유(oil-in-water) 에멀젼, 젤, 스프레이, 무스, 오일, 고체상, 시트상 및 분체상 등의 종래 공지의 형상을 가져도 좋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의약, 농약, 동물약, 식품 첨가제 및 사료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함량은 용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무차별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 그러나, 사용량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으로서의 필요량은, 약사법, 농약 단속법, 동물약 등의 단속규칙, 식품 위생법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A-1]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500g의 95% 황산에, 131mmol(36g)의 2-헥실데카논산을 40℃에서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146mmol(50g)의 L-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소디움 염을 첨가하고, 6시간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그 반응 혼합물을 780g의 얼음물에 부어 얻어진 침전물을 590g의 메틸-tert-부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에테르 용액에 590g의 13% 염수를 첨가하고, 이어서 pH가 약 8이 될 때까지 20% 소디움 히드록시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분별 깔대기로 상기 메틸-tert-부틸 에테르 층을 분리하고, 300g의 메탄올을 상기 메틸-tert-부틸 에테르층에 가하여 침전물을 석출하였다. 이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고, 소량의 메탄올로 세정한 후, 감압 하에서 건조하여 분말형상의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을 21g 얻었다(수율: 27%).
그 구조를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1H NMR(270MHz, D2O; 1H NMR 장치, 상품명; Nihon Denshi K.K.(JEOL LTD.)제품의 JNM-EX270) δ:
0.89ppm(t, 6H, J=6.6Hz), 1.30-1.63(b, 24H), 2.45(hep, 1H, J=6.6Hz), 4.20-4.35(m, 3H), 4.47(s, 1H)
13C NMR(67.8MHz, D2O; 13C NMR장치, 상품명; Nihon Denshi K.K. 제품의 JNM-EX270) δ:
16.4ppm(s, 1C), 25.0(s, 1C), 25.2(s, 1C), 29.4(s, 1C), 29.6(s, 1C), 31.5(s, 1C), 31.9(s, 1C), 32.1(s, 1C), 34.0(s, 1C), 34.5(s, 1C), 47.6(s, 1C), 67.6(s, 1C), 69.6(s, 1C), 80.8(s, 1C), 115.3(d, 1C, J=7.3Hz), 178.2(s, 1C), 179.4(s, 1C), 180.4(s, 1C)
31P NMR(109MHz, D2O; 31P NMR장치, 상품명; Nihon Denshi K.K. 제품의 JNM-EX270, mfd.) δ: 4.3ppm
<실시예 A-2>
L-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운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
실시예 A-1에 사용된 2-헥실데카노인산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2-n-헵틸운데카노인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A-1과 동일한 과정을 행하여 분말형상의 L-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운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을 16g 얻었다.
그 구조를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1H NMR(270MHz, D2O)δ:
0.89ppm(t, 6H, J=6.6Hz), 1.30-1.63(b, 24H), 2.43(hep, 1H, J=6.3Hz), 4.18-4.36(m, 3H), 4.57(s, 1H)
13C NMR(67.8MHz, D2O) δ:
16.5ppm(s, 1C), 25.2(s, 1C), 25.3(s, 1C), 29.5(s, 1C), 29.6(s, 1C), 31.6(s, 1C), 31.9(s, 1C), 32.1(s, 1C), 32.3(s, 1C), 33.9(s, 1C), 34.4(s, 1C), 34.6(s, 1C), 47.5(s, 1C), 67.2(s, 1C), 69.4(s, 1C), 80.3(s, 1C), 115.8(d, 1C, J=6.1Hz), 173.8(s, 1C), 178.3(d, 1C, J=3.7Hz), 179.9(s, 1C)
31P NMR(109MHz, D2O) δ: 4.1ppm
<실험예 A-1>
실시예 A-1에서 얻어진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을 2질량%의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뚜껑이 있는 유리병에 부어 10일 동안 40℃(광차단 조건 하에서)에서 방치시켰다. 저장 후의 상기 화합물의 잔존율을 Shodex(Showa Denko K.K의 등록상표) SB802.5HQ(Showa Denko K.K제품) 컬럼이 구비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컬럼: Shodex(Showa Denko K.K.의 등록상표) OHpak SB802.5HQ
온도: 40℃
용리액: 0.03M Na2SO4 + 0.03M
H3PO4/테트라히드로푸란 = 1:2
유속: 0.5ml/분
주입량: 20μL
검출: UV 270nm
<실험예 A-2>
실시예 A-1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대신에 실시예 A-2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A-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정성 실험을 행하였다.
<비교예 A-1>
실시예 A-1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대신에 특허문헌 5(JP-A-10-29817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틴산 에스테르 소디움 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A-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정성 실험을 행하였다.
<비교예 A-2>
실시예 A-1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대신에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L-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소디움 염(Showa Denko K.K.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A-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정성 실험을 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서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1에 모두 나타낸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잔존율(%)
실시예 A-1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95.3
실시예 A-2 L-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95.5
비교예 A-1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틴산에스테르 소디움 염 88.6
비교예 A-2 L-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소디움 염 96.9
화장품 재료의 처방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는 질량%를 의미한다.
[처방예 A-1]
크림(1):
축합 헥사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 1.0%
미립자 티타늄 옥시드 5.0%
2-옥틸도데실 피발레이트 8.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7.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
세타놀 2.0%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6.0%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2.0%
데카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3.0%
크산탄 검 0.3%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4.0%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처방예 A-2]
크림(2):
축합 헥사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 1.0%
2-옥틸도데실 피발레이트 8.0%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7.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
세타놀 2.0%
데카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3.0%
크산탄 검 0.3%
L-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4.0%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처방예 A-3]
스킨 로션:
L-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4.0%
시트르산 0.016%
소디움 시트레이트 2.0%
1,3-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3.0%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50℃에서 가열 하에 상기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교반 하에 냉각시켰다. 이어서, 온도가 30℃가 되면 상기 교반을 정지하고,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방치시켰다.
[처방예 A-4]
밀키 로션: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염 4.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2.0%
수소화 레시틴 0.1%
소디움 히알루로네이트 0.05%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3%
크산탄 검 0.3%
소디움 시트레이트 1.0%
폴리에틸렌글리콜-50 수소화 피마자 오일 0.5%
메틸파라벤 0.2%
총량이 100%가 되게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80℃로 가열 하에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을 제외한 상기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교반 하에 냉각시켰다. 이어서, 교반 하에 50℃에서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을 상기 얻어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온도가 40∼35℃가 되면, 상기 교반을 정지하고,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방치시켰다.
[실시예 B-1]
인간 피부 조직 3차원 모델(상품명: TESTSKIN LSD-d, Toyobo Co.,Ltd.제품)의 표면에 Dulbecco PBS(-)에 실험되는 각각의 물질(1)∼(3)을 용해시켜 얻어진 40μL의 용액과 얻어진 피부 조직 모델을, 2시간 동안 5% CO2의 존재 하에 37℃에서 배양시켰다. 이어서, 상기 실험 용액을 흡인으로 제거한 후, 5% CO2 존재 하에 37℃에서 상기 피부 조직 모델을 각각 2시간, 6시간 및 12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각각의 배양시간으로 채취된 피부 모델의 각 부분을 Dulbecco PBS(-)로 세정하고, 표면부를 6mmφ의 직경을 갖는 천공기를 사용하여 천공하고, HEPES 완충액(pH7.2) 중에서 균질화시켜 호모지네이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호모지네이트의 사용에 의해, 상기 피부 모델 중에 함유된 아스코르브산의 양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피부 모델 중의 단백질 함량은 Lowry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1)2%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소디움 염
2)0.5%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3)0.5%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조건:
<아스코르브산>
컬럼: Shodex(Showa Denko K.K.의 등록상표) Asahipak NH2P-50 4E
온도: 40℃
용리액: 아세토니트릴: 60mM H3PO4 = 80:20
유속: 0.8ml/분
검출: UV 245nm
결과적으로, 각각의 배양 시간에서의 아스코르브산의 양(단위: nmol/mg 피부 단백질)은, 하기와 같다.
배양 후 2시간 배양 후 6시간 배양 후 12시간
1) 30 24 5
2) 6 10 23
3) 5 11 26
상기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또는 0.5%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을 상기 피부 모델에 투여하는 경우, 투여 직후 시점부터 장시간에 걸쳐 상기 조직 중의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를 용이하게 효과적으로 강화시켜, 콜라겐 합성을 가속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농도가 제공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B-2]
하기 1)∼3) 실험 물질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베인 상처를 갖는 기니피그 모델을 사용하여 서로 간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실험 물질을 용해하기 위한 기초 재료는 20%의 에탄올, 및 3%의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정제수이었다.
1)2%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소디움 염
2)1%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3)1%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상기 실험에 있어서, 메스를 사용하여 2cm의 길이를 각각 갖는 2개의 베인 상처를 기니피그의 등 중앙부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되도록 등 위에 형성하였다. 그런 후, 거기에 4일 동안 하루에 2번 0.2ml의 실험 물질 용액을 투여하였다. 마지막 투여가 완료된 후, 피부 조각의 중심에 베인 상처 부분이 실질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기니피그의 등으로부터 2cm×2cm(정사각형)의 피부 조각을 대칭적으로 제거하였다. 그런 후, 상기 베인 상처 피부의 분리를 위해 요구되는 장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물질 1종에 대하여 5마리의 기니피그를 사용하였다.
상기 장력의 측정 후, 상기 베인 상처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베인 상처 부분의 양측 상에 5mm의 폭(즉, 이렇게 얻은 피부 부분은 10mm의 전체 폭을 가졌다)을 갖도록, 상기 피부편으로부터 피부 부분을 취하였다. 상기 얻어진 피부 부분을 0.5M 아세트산에 균질화시켜 호모지네이트를 얻었다. 상기 호모지네이트 용액의 1부피당 디에틸 에테르-에탄올의 혼합물(부피비=1:3)을 2부피배 첨가하고, 교반 하에 혼합하고, 용제층을 원심분리 후에 제거하였다. 상기 얻어진 용제층에 펩신 (Wac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품)을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15℃에서 상기 용제층과 반응시켰다.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 후, 상기 얻어진 상청액을 동결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피부 샘플의 단백질 함량은 염산에 의해 가수분해되고, AccQ·Tag Amino acid Analyzer(Waters Co.제품)을 사용하여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실험 물질이 도포된 베인 상처 부분의 분리 장력 측정과 그것의 히드록시피롤린 함량의 결과는 이하와 같다. 여기서, 상기 히드록시피롤린은 콜라겐의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다.
분리 장력 히드록시피롤린 함량
(g/cm) (nmol/피부습중량)
1) 123 32.1
2) 181 38.5
3) 187 37.6
상기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또는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각각의 투여는, 콜라겐 합성을 가속화시키는 효과를 가져 베인 상처 피부의 회복을 증진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처방예 B-1]
스킨 로션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2.0%
시트르산 0.016%
소디움 시트레이트 2.0%
1,3-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3.0%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50℃에서의 가온 하에, 상기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 하에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30℃가 되면, 교반을 정지하고, 그 혼합물을 방치하였다.
[처방예 B-2]
스킨 로션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2.0%
시트르산 0.016%
소디움 시트레이트 2.0%
1,3-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3.0%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50℃에서의 가온 하에, 상기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 하에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30℃가 되면, 교반을 정지하고, 그 혼합물을 방치하였다.
[처방예 B-3]
크림: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 2.0%
세타놀 5.0%
시클로메치콘 4.0%
세틸 옥타노에이트 4.0%
트리옥타노인 2.0%
팔미틸 알콜 1.0%
디메치콘 0.3%
부틸렌글리콜 7.0%
수소화 레시틴 1.0%
미리스틴산 폴리 글리세릴-10 1.0%
소디움 시트레이트 2.0%
메틸 파라벤 0.15%
프로필 파라벤 0.05%
크산탄 검 0.1%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80℃에서의 가온 하에 상기 성분(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 트)소디움 염은 제외)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하에 냉각시켰다. 50℃에서, 상기 혼합물에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 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35∼30℃가 되면, 상기 교반을 정지하고, 그 혼합물을 방치하였다.
[처방예 B-4]
크림: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헤틸운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 2.0%
세타놀 5.0%
시클로메치콘 4.0%
세틸 옥타노에이트 4.0%
트리옥타노인 2.0%
팔미틸 알콜 1.0%
디메치콘 0.3%
부틸렌글리콜 7.0%
수소화 레시틴 1.0%
미리스틴산 폴리 글리세릴-10 1.0%
소디움 시트레이트 2.0%
메틸 파라벤 0.15%
프로필 파라벤 0.05%
크산탄 검 0.1%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80℃에서의 가온 하에 상기 성분(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은 제외)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 교반 하에 냉각시켰다. 50℃에서, 상기 혼합물에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35∼30℃가 되면, 상기 교반을 정지하고, 그 혼합물을 방치하였다.
[처방예 B-5]
밀키 로션: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2.0%
글리세린 8.0%
부틸렌 글리콜 2.0%
수소화 레시틴 0.1%
소디움 히알루론에이트 0.05%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3%
크산탄 검 0.3%
소디움 시트레이트 1.0%
폴리에틸렌글리콜-50 수소화 피마자 오일 0.5%
메틸파라벤 0.2%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80℃에서의 가열 하에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을 제외한 상기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교반 하에 냉각하였다. 그런 후, 교반 하에 50℃에서 상기 얻어진 용액에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을 서서히 첨가하고, 온도가 40∼35℃가 되면 교반을 정지하고,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방치하였다.
[처방예 B-6]
밀키 로션: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2.0%
글리세린 8.0%
부틸렌 글리콜 2.0%
수소화 레시틴 0.1%
소디움 히알루론에이트 0.05%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3%
크산탄 검 0.3%
소디움 시트레이트 1.0%
폴리에틸렌글리콜-50 수소화 피마자 기름 0.5%
메틸파라벤 0.2%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는 정제수
(제조방법)
80℃에서의 가열 하에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헵틸 운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을 제외한 상기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교반 하에 냉각하였다. 그런 후, 교반 하에 50℃에서 상기 얻어진 용액에 L-아스코르브산-2-인산-6-(2'-헵틸운데카노에이트) 소디움 염을 서서히 첨가하고, 온도가 40∼35℃가 되면 교반을 정지하고,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방치하였다.
실시예 C-1(미백)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조성물의 양은 질량%(wt.%)에 대해 기재한다.
로션(1)
이하 성분 1)∼4)를 하기 최종 농도가 되도록 서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용해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 하에 성분 5)에 첨가시켜 로션(1)을 얻었다.
1)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2.00
2)에탄올 5.00
3)프로필렌 글리콜 5.00
4)메틸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0.20
5)정제수 87.8
로션(2)∼(4)
로션(1)의 성분(1) 대신에 하기 성분을 동일 농도로 각각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로션(1)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션(2)∼(4)를 제조하였다.
로션(2):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로션(3)(비교 대조):
아스코르브산-2-인산 소디움염
로션(4)(음성 대조):
정제수
상기 각각의 로션에 있어서,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시켰고, 상기의 로션은 모두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C-2
로션(5)
상기 성분 1)∼4)를 하기 최종 농도가 되도록 서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용해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 하에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5)을 얻었다.
1)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0.10
2)에탄올 5.00
3)프로필렌 글리콜 5.00
4)메틸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0.20
5)정제수 89.7
로션(6)∼(8)
로션(5)의 성분(1) 대신에 하기 성분을 동일 농도로 각각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로션(5)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션(6)∼(8)을 제조하였다.
로션(6):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로션(7)(비교 대조):
아스코르브산-2-인산 소디움 염
로션(8)(음성 대조):
정제수
상기 각각의 로션에 있어서,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시켰고, 상기 로션은 모두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C-3
겔형 외용제(1)
하기 성분 1)을 하기 최종 농도가 되도록 하기 성분 2)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 하에 성분 3)에 첨가하여 의도된 겔형 외용제(1)를 얻었다.
1)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 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10
2)글리세롤 20
3)옥틸 도데실 미리스트에이트 70
겔형 외용제(2)∼(4)
겔형제(1)의 성분(1) 대신에 각각의 하기 성분을 동일한 농도로 각각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겔형 외용제(1)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형 외용제(2)∼(4)를 제조하였다.
겔형제(2):
아스코르브산-2-인산-6-(2'-n-헵틸 운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겔형제(3)(비교 대조):
아스코르브산-2-인산 소디움 염
겔형제(4)(음성 대조):
정제수
각각의 상기 겔형 외용제에 있어서,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시켰고, 상기 겔형 외용 제제는 모두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C-4
(착색 방지의 효과)
7주령의 수컷 Wizer-Maple 기니피그(WM, SPF) 30마리의 등 전체면의 털을 일렉트릭 헤어 클리퍼(0.05mm 날)를 사용하여 깍은 후, 전기 면도기를 사용하여 피부를 면도하였다. 그런 후, 등 피부를 1.5cm×1.5cm의 크기를 각각 갖는 4개의 열린 창을 보유하는 접착성의 신축성 붕대(Silky-tex, 알루미늄 호일로 피복된 외측)로 등 피부를 덮었다. 각각의 창에 대해서, 실시예 C-1∼C-3에서 조제된 로션(1)∼(8) 및 겔형 외용제(1)∼(4)를 0.05ml의 양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10군데 도포하였다. 조제품의 도포 4시간 후, 물로 적셔진 탈지면을 사용하여 도포 부위를 물로 세정한 후, 건조하였다. 이어서, 각 동물을 감금 장치로 고정하고, 각 부위를 자외선-조사 장치(6개의 SE램프가 구비된 Toshiba FL40S/E30형 형광등, Shinano Seisakusho 제품)를 사용하여 약 10cm의 거리에서 300mJ/cm2의 방사노광의 중파장 자외선(UVB)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후, 각각의 상기 로션(1)∼(8) 및 겔형 외용제(1)∼(4)를 0.05ml의 양으로 각각 상기의 부위에 다시 도포하였다.
이 조작을 3일 후 반복하였다. 마지막 조사로부터 14일 후, 얻어진 착색의 정도를 하기의 평점에 의한 평가 기준을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의 광도를 각 투여/조사 부위의 4구석과 중앙부(총 5부위)에 관해서 색차미터(MINOLTA, CR-2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조제품에 대해서, 착색 방지의 효과를 평점의 평균(각 조제품에 대한 10개의 데이터) 및 광도의 평균(각 조제품에 대한 50개의 데이터)으로부터 평가하였다.
착색의 평가 기준
착색이 확인되지 않음: 평점 0
약간의 착색이 확임됨: 평점 1
낮은 정도의 착색이 확인됨: 평점 2
중간 정도의 착색이 확인됨: 평점 3
높은 정도의 착색이 확인됨: 평점 4
결과(평균)
조제품 평점 광도
로션(1) 0.8 63.0
로션(2) 1.0 61.1
로션(3) 2.1 61.8
로션(4) 3.0 59.5
로션(5) 2.0 61.7
로션(6) 2.2 62.1
로션(7) 3.0 59.9
로션(8) 3.0 60.1
겔형 외용제(1) 0.5 63.5
겔형 외용제(2) 0.8 62.8
겔형 외용제(3) 1.2 62.1
겔형 외용제(4) 3.0 59.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로션 및 겔형 외용제는 모두 착색 방지의 우수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C-5
(착색 제거의 효과)
6주령의 수컷 Wizer-Maple 기니피그(WM, SPF) 30마리의 등 전체면의 털을 일렉트릭 헤어 클리퍼(0.05mm 날)을 사용하여 깍은 후, 전기 면도기를 사용하여 피부를 면도하였다, 그런 후, 1.5cm×1.5cm의 크기를 각각 갖는 4개의 열린 창을 보유하는 접착성의 신축성 붕대(Silky-tex, 알루미늄 호일로 피복된 외측)로 등 피부를 덮었다. 이어서, 각 동물을 감금 장치로 고정하고, 각 부위를 자외선-조사 장치(6개의 SE램프가 구비된 Toshiba FL40S/E30형 형광등, Shinano Seisakusho 제품)를 사용하여 약 10cm의 거리에서 750mJ/cm2의 방사노광의 중파장 자외선(UVB)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후 4일부터 조사 후 28일까지, 각 창에 대해 하루에 두번(아침, 저녁) 각각의 실시예 C-1∼C-3으로 제조된 상기 로션(1)∼(8) 및 겔형 외용제(1)∼(4)를 0.05ml의 양으로 10부위에 순차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 조사로부터 28일 후, 얻어진 착색의 정도를 실시예 C-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점을 기준으로 하는 평가 기준을 따라 측정하였다. 각 조제품에 대해서, 착색 제거의 효과를 평점의 평균(각 제제에 대한 10개의 데이터)으로부터 평가하였다.
결과(평균)
조제품 평점
로션(1) 2.2
로션(2) 2.4
로션(3) 3.3
로션(4) 3.5
로션(5) 2.9
로션(6) 3.0
로션(7) 3.5
로션(8) 3.8
갤형 외용제(1) 2.2
겔형 외용제(2) 2.5
겔형 외용제(3) 2.9
겔형 외용제(4) 3.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로션 및 겔형 외용제는 모두 착색 제거의 명백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D-1>
43질량%의 오징어 밀(meal), 15질량%의 바다가재(또는 새우) 밀, 10질량%의 어류 밀, 10질량%의 천연(비정제) 어류 오일(Nippon Suisan K.K.제품), 10질량%의 맥주 효모, 3질량%의 활성 글루텐, 2질량%의 전분, 실시예 A-1에서 제조된 2질량%의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 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 및 5질량%의 미네랄 혼합물을 포함하는 5kg의 기본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런 후,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의 수분 함량을 4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생산품 온도가 115℃가 되도록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한 후, 약 10%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건조기로 건조하여 사료 성분의 입자를 얻었다.
<비교예 D-1>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 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D-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성분의 입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D-2, 실시예 D-3>
사육 실험을 무지개 송어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20마리의 무지개 송어(평균 물고기 중량: 0.79kg)을 준비하고, 순환 및 여과식 물탱크의 2개의 구획에 수용하여 각각의 구획에 10마리의 송어를 수용하였다. 이들 무지개 송어에 대해여, 실시예 D-1에서 제조된 사료 성분을 사용하여 사육 실험을 행하였다. 여기서, 비교예 D-1에서 제조된 사료 성분을 대조 실험용 구획에 공급하였다. 사육 시기의 수온은 18℃이었고, 사료 공급률은 물고기 중량 당 4%로 설정하였다. 사육 실험의 종료 후 , 10마리 물고기 모두를 꺼내어 물고기 중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영역의 무지개 송어에 대해서는, 그 평균 물고기 중량이 0.85kg이었고, 대조 영역의 평균 물고기 중량은 0.82kg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 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E-1>
25g의 밀납(용융점 60℃, Noda wax Co.,Ltd.제품)을 1kg의 달걀 노른자 레시틴(상품명 "PL-30", Kewpie Co., Ltd.제품, PC함량 약 25%)에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혼합물이 될 때까지 약 70℃에서의 가온 하에 교반하였다. 5분 동안 상기 조건을 유지한 후, 냉각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A-1에서 제조된 25g의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 데카노에이트)소디움 염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혼합물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한편, 2kg의 젤라틴, 1kg의 글리세롤 및 1.5kg의 물을 서로 충분히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젤라틴 시트 두장을 로타리형 캡슐 형성 기기에 설정하고, 상기 혼합물 1개의 캡슐당 300mg의 양으로 주입하였다. 각 캡슐의 주입구를 가압 하에 밀봉하고, 3500개의 캡슐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신규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세포내로의 흡수가 용이하고, 따라서 소량으로 세포로 투여되는 경우라도, 세포 중에 아스코르브산의 축적 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종래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비하여 개선된 저장 안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유효 성분으로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비타민C 제제, 피부 외용제, 의약, 농약, 동물약, 식품 첨가제, 및 사료 첨가제 등의 각종 조제품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주름 방지제 등의 화장품에 첨가되는 경우,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는 우수한 효과 및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져, 나이가 듦에 따른 피부 형태의 변화를 방지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의약, 의약 부외품,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Figure 112004046167563-pct00009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직쇄상 또는 분기상이어도 좋은 1∼19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및 R2에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5∼22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알루미늄, 철, 아연 및 비스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3. 제 1항에 있어서,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또는 2-아미노-1-메틸프로판올과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4.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1)의 R1 및 R2에 있어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8∼18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의 R1 및 R2는 직쇄상 알킬기이고, R1 및 R2의 직쇄상 알킬기에서의 탄소원자의 총개수는 14 또는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의 R1은 n-C9H19 및 R2는 n-C 7H15이거나; 또는, R1은 n-C8H17 및 R2는 n-C6H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7. 하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또는 그것의 염과 지방산, 지방산염,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할라이드 및/또는 지방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112004046167563-pct00010
    (여기서, X 및 Y는 각각 H 또는 OH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8. 제 7항에 있어서, 축합제 및/또는 탈수제의 존재 하에서 상기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제는 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물, 아세톤, 디옥산, 톨루엔, 에틸벤젠, 메틸-tert-부틸 에테르 및 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제 중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C 제제.
  12.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 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제.
  13.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14.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5. 제 14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및/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의 나트륨염, 칼륨염, 망간염 또는 아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7. 제 14항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재료.
  18. 삭제
  1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식품 또 는 사료 첨가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7016284A 2002-04-12 2003-04-11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KR100660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0341 2002-04-12
JPJP-P-2002-00110341 2002-04-12
PCT/JP2003/004659 WO2003086384A1 (en) 2002-04-12 2003-04-11 Stabilized ascorbic acid deriva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451A KR20040101451A (ko) 2004-12-02
KR100660983B1 true KR100660983B1 (ko) 2006-12-22

Family

ID=5015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284A KR100660983B1 (ko) 2002-04-12 2003-04-11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381B1 (ko) 2005-12-14 2007-05-22 이금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724691B1 (ko) * 2005-12-19 2007-06-04 이창구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451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750B2 (en) Stabilized ascorbic acid derivative
JP5113371B2 (ja) シロキクラゲ由来水溶性多糖類の加水分解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酸化剤並びに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食品
JP4574384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の皮膚外用剤
EP1226809B1 (en) Skin texture-improving agents
JP2003048846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抗老化用化粧料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JP2003055190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抗老化用化粧料
JP2006089452A (ja) 美白・美容用組成物
WO2006101119A1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JP2007099751A (ja) 美肌用組成物
JP2003137768A (ja) 抗老化剤
JP2002265348A (ja) 外用組成物
JP2014070057A (ja) TNF−αによる活性酸素産生抑制剤及び線維芽細胞障害抑制剤
US20030211183A1 (en) Skin-improving agent
WO2007094030A1 (ja) 美白剤
JP2017132703A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
KR100660983B1 (ko)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KR2005004542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5179286A (ja) ヒアルロン合成促進剤の皮膚老化防止剤への利用
JP2009234976A (ja) 細胞賦活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00063224A (ja) 化粧料
JP5313524B2 (ja) 抗炎症剤及び抗炎症用皮膚外用剤
JP2009249365A (ja) 細胞賦活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20160079979A (ko) 전복 점질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