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40B1 -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40B1
KR100659640B1 KR1020050039759A KR20050039759A KR100659640B1 KR 100659640 B1 KR100659640 B1 KR 100659640B1 KR 1020050039759 A KR1020050039759 A KR 1020050039759A KR 20050039759 A KR20050039759 A KR 20050039759A KR 100659640 B1 KR100659640 B1 KR 10065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roller
conveying
resistance valu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명호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640B1/ko
Priority to US11/341,428 priority patent/US20060257156A1/en
Priority to CNA2006100818294A priority patent/CN186240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 G03G15/165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comprising a rotatable holding member to which the second base is attached or attracted, e.g. screen transfer hol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belt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forming a transport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Abstract

개시된 기록 매체 이송 상태 감지 방법은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접촉 회전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기초로 행해진다.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이송 롤러의 사이(이송닙)의 상류에서 기록 매체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으면 이송닙 상류에서 기록매체 잼이 유발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송닙에 기록 매체의 선단이 진입하여 저항이 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이송 롤러의 저항이 다시 변하지 않으면 이송닙에서 기록매체 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 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OCUMENT FEEDING STATE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중간 전사 유닛을 통하지 않고, 인쇄매체에 직접 중첩 전사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접촉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기초로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기초로 기록매체 이송 상태 판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송 닙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을 따른 기록 매체 이송 상태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그리고,
도 5는 도 2의 구성을 기초로 기록매체 이송 상태 판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송 닙을 통과하는 기록매체의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1 : 픽업 롤러 103 : 기록매체
106 : 기록매체 대전 롤러 107 : 이송 롤러
109 : 이송 벨트 130 : 현상 유닛
131 : 감광체 160 : 전사 유닛
161 : 전사 롤러 N : 이송 닙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과 같은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다수의 감광체에 각각 형성된 정전 잠상을 색상별 현상제로 현상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이 가시화상을 중간전사유닛을 통하거나 기록매체로 직접 중첩하여 전사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한다.
도 1은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중간 전사 유닛을 통하지 않고, 기록매체에 직접 중첩 전사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예컨대, 4개의 색상(BLACK, YELLOW, MAGENTA, CYAN)별 상 형성유닛(10)을 구비한다. 각각의 상 형성유닛(10)은 감광체(11), 대전 롤러(미도시), 현상 롤러(12) 및 현상제 케이스(13) 등을 구비한 다. 각 감광체(11)는 광 주사 유닛(20)으로부터 조사되는 예컨대, 레이저 빔에 의해 소정의 정전 잠상이 형성되며, 이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12)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상으로 현상된다.
기록매체 이송 유닛(30)은 다수의 감광체(11)와 접촉하며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31)와 이송벨트(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벨트 지지 롤러(33,35)들로 구성된다.
전사 롤러(41)들은 이송 벨트(31)의 내측에 위치하며 각 감광체(11)와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전사 롤러(41)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수의 감광체(11) 및 이송 벨트(31)의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P)에 상기 감광체(11)의 가시화상들을 중첩 전사한다.
기록매체(P)는 화상 형성장치 본체(50)에 마련된 기록재 공급 카세트(51)로부터 픽업 롤러(52)에 의해 픽업되어 각 감광체(11) 및 이송 벨트(31) 사이로 공급된다. 이때, 벨트 지지 롤러(33,35)와 대응하는 측에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55)가 설치된다. 따라서, 기록매체(P)는 유동하지 않고, 정전기에 의해 이송 벨트(31)에 잘 부착되어 이송된다.
정착유닛(60)은 전사 롤러(41)에 의해 기록매체(P)에 전사된 화상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컬러 화상이 기록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유닛(60)을 통해 화상이 고착된 기록매체(P)는 배지 롤러(80)를 통해 배지 트레이(90)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이송 중인 기록매체(P), 예컨대, 픽업 롤러(52)를 통해 픽업되어 기록 매체 대전 롤러(55) 및 벨트 지지 롤러(33)의 사이 또는 기록 매체 대전 롤러(55) 및 벨트 지지 롤러(33)의 사이에 진입한 기록 매체(P)의 이송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기록매체 감지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기록매체를 대전하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에 대한 구조를 활용하여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의 변화를 시간적으로 해석하여 기록재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를 기초로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따르면, 감광체측으로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로 진입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대전하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는 이송 롤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송닙의 상류에서 상기 기록매체가 감지된 시점부터 카 운팅 동작을 하여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송닙 상류의 상기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송닙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진입하여 저항값이 변한 시점으로부터 카운팅 동작을 행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다시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이송닙에 진입하여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을 기초로 상기 전사유닛의 고압인가시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이송 벨트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따르면,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이송 롤러;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는 제 2 이송 롤러; 상기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닙 상류에 위치하는 시점으로부터 카운팅 동작을 행한 후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저항값이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의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이송닙으로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한 시점으로부터 카운팅 동작을 하여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저항값이 다시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에서 기록매체 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따르면,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이송 롤러 사이(이송닙)의 전단계에서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상기 기록매체가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송닙의 상류를 통과하는 기록매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기록 매체 공급 카세트로부터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닙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한 시점을 기초로 전사유닛의 고압인가시점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사이에는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 벨트가 개재되고,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이송 벨트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따르면,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사이(이송닙)로 기록매체가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다시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다시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송닙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한 시점을 기초로 전사유닛의 고압인가시점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사이에는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 벨트가 개재되고,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이송 벨트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를 따르면,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가 접촉되는 이송닙의 상류에서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송 롤러 또는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상기 기록매체가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제 1 이송 롤러 또는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를 따르면, 제 1 이송 롤러와 마주하는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송 롤러 및 상기 제 2 이송 롤러의 사이(이송닙)로 기록매체가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다시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다시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접촉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기초로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픽업 롤러(101)가 회전하여 기록매체 공급 카세트(110)로부터 기록매체(103)를 픽업한다. 픽업된 기록매체(103)는 롤러(105)를 통해 기록매체 대전 롤러(106) 및 이송 롤러(107)의 사이로 진입한다. 이때, 기록매체 대전 롤러(106) 및 이송 롤러(105)의 사이에는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 벨트(109)가 설치되어 기록매체(103)는 이송 벨트(109)와 접촉되어 상승한다. 여기서, 이송 롤러 (107)는 이송 벨트(109)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송 롤러(107)와 마주하는 반대쪽에 벨트 지지 롤러(111)가 설치되어 이송 벨트(109)가 무한 궤도 운동한다. 이송 벨트(109)의 무한 궤도 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송 롤러(113,115)들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4개의 색상(BLACK, YELLOW, MAGENTA, CYAN)별 상 형성유닛(130)이 이송벨트(109)와 접촉하여 나란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상 형성유닛(130)은 감광체(131), 대전 롤러(133), 현상 롤러(135) 및 현상제 케이스(137) 등을 구비한다. 각 감광체(131)는 광 주사유닛(150)으로부터 조사되는 예컨대, 레이저 빔에 의해 소정의 정전 잠상이 형성되며, 이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135)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상으로 현상된다.
각 감광체(131)와 대응하여 이송 벨트(109)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사 유닛(160)인 복수의 전사 롤러(161)들이 설치된다.
기록매체 대전 롤러(106)는 전원(170)과 연결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기록매체(103)에 정전기를 발생하여 기록매체(103)가 이송벨트(109)에 부착되어 이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된다.
기록매체 대전 롤러(106)와 마주하는 이송 롤러(107)에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106)와 이송 롤러(107)의 사이(이하 "이송닙(N)" 이라 칭함)에 기록매체(103)가 통과할 경우 변하는 저항값을 검출하는 저항검출기(190)가 연결된다.
저항검출기(190)는 제어기(210)와 연결되고 제어기(210)는 저항검출기(190)로부터 전달되는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그 저항값이 변하는가 여부를 판별 하여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 이에 더하여 소정의 시점(후술함)으로부터 카운팅 동작하고 저항값이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판단 과정을 통해 기록매체(103)의 이송 상태를 파악한다.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서 이송닙(N) 상류 예컨대, 기록매체 공급 카세트(110)로부터 픽업되는 기록매체(103)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21)가 추가로 도시된다.
다음은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기초로 기록매체의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을 기초로 기록매체 이송 상태 판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송닙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따른 기록 매체 이송 상태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픽업 롤러(101)로부터 기록매체(103)가 픽업되면 감지센서(221)를 통해 기록매체(103)가 감지(S10)된다.
한편, 저항검출기(190)는 이송 롤러(107)의 저항을 지속적으로 체크 (S30)한다.
계속하여, 제어기(210)에서는 감지센서(221)를 통해 기록매체(103)가 픽업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팅(S50)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검출기(190)를 통해 지속적으로 저항이 체크되고, 제어기(210)를 통해 카운팅 동작이 되는 동안 기록매체(103)는 계속 이송되어 기록매 체(103)의 선단이 이송닙(N)에 진입하면 저항값이 변한다. 제어기(210)는 이와 같이 저항값이 변하는 것을 체크하여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하는 시점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카운팅 단계(S50)에 의해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 값에 도달하였는데도 저항값이 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기록매체(103) 이송 상태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S90)하고 인쇄 동작을 중지(S110)시킨다.
다음, 제어기(210)는 단계(S70)에서 판단된 기록매체(103) 진입 시점을 기초로 전사 롤러(41)의 고압 인가 시점을 제어(S130)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기 단계(S70)의 동작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록 매체(P)가 이송닙(N)의 상류에서 감지된 시점(F)부터 저항값이 월등히 증가하는 A지점이 도시된다. A지점은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하여 저항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제어기(210)는 기록매체(103)가 진입하기 전의 기본 저항값(R1)과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하여 급격히 증가하는 작동 저항값(R2)을 비교 판단하여 그 차가 소정의 오차 범위를 넘으면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도 5에서 구간(FA)는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의 상류에서 감지된 시점(F) 예컨대, 픽업 롤러(52)를 통해 기록 매체(103)가 픽업된 시점부터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정상적으로 진입하는 시점(A)까지 소요되는 기준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기(210)는 단계(S30)에서 카운팅되는 시간 즉, 기록매체(103) 가 픽업된 시점으로부터 카운팅 된 시간이 기준 시간( 상기 구간(FA) 만큼의 시간)에 도달하였는데도 이송 롤러(107)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으면 이송닙(N)의 상류에서 기록매체(103) 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5는 도 2의 구성을 기초로 기록매체 이송 상태 판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송닙(N)을 통과하는 기록매체의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이송 롤러(107)의 저항을 지속적으로 검출(S310)한다.
이후, 이송 롤러(107)의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 다시 말해서,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한 시점(도 5의 A지점)을 판단(S330)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어기(210)에는 상기 A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팅(S350)한다.
계속하여 제어기(210)는 기록매체(103)가 이송닙(N)에 진입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이송 롤러(107)의 저항값이 다시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S370)한다.
단계(S370)에서 기준 시간 내에 이송 롤러(107)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으면 비정상 상태, 즉 기록매체(103) 잼 변상이 발생한 상태로 판단(S380)한다.
한편, 제어기(210)는 단계(S330)에서 판단된 기록매체(103) 이송닙(N) 진입 시점을 기초로 하여 전사 유닛(160)인 전사 롤러(161)의 고전압 인가 시점을 제어(410)한다.
다시, 도 4를 참조로 하여 단계(S370)의 동작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 다.
도 4를 참조하면, 작동 저항값(R2)이 기준 저항값(R1)보다 증가된 상태가 기준시간 동안 유지되는 구간(AB)이 도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시점은 기록매체(103)의 선단이 이송닙(N)에 진입된 시점을 나타낸다. 한편, B시점은 기록매체(103)의 후단이 이송닙(N)을 이탈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제어기(210)는 단계(S350)의 동작에 따라 A시점부터 카운팅 된 시간이 구간(AB)만큼의 시간이 흘렀는데도 이송 롤러(107)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으면 이송닙(N)에서 기록매체(103) 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기록매체 대전 롤러(106)과 마주하는 이송 롤러(107)의 저항을 검출하여 기록 매체(103)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록 매체(103)를 이송하는 모든 형태의 이송 롤러들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 롤러의 저항 변화를 인식하여 기록 매체를 검출함은 물론 저항값을 시간적으로 해석하여 기록 매체의 이송 상태를 쉽게 확인 할수 있다.
따라서, 기록매체 이송상태 감지를 위하여 별도의 기록매체 감지 센서를 두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성의 단순화 및 재료비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삭제
  2. 감광체로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로 진입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대전하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
    상기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이송 롤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송닙의 상류에서 상기 기록매체가 감지된 시점부터 카운팅 동작을 하여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송닙 상류의 상기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감광체로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로 진입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대전하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
    상기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이송 롤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송닙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진입하여 저항값이 변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다시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기록매체 이송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감광체로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로 진입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대전하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
    상기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이송 롤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감광체로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로 진입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대전하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
    상기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이송 롤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이송닙에 진입하여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을 기초로 상기 전사유닛의 고압인가시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감광체로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로 진입하는 상기 기록매체를 대전하는 기록매체 대전 롤러;
    상기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이송 롤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이송 벨트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삭제
  8.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이송 롤러;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는 제 2 이송 롤러;
    상기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닙 상류에 위치하는 시점으로부터 카운팅 동작을 행한 후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저항값이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의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이송 롤러;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마주하여 이송닙을 이루는 제 2 이송 롤러;
    상기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저항검출기; 및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저항값이 소정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변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이송닙으로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한 시점으로부터 카운팅 동작을 하여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저항값이 다시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에서 기록매체 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이송 롤러 사이(이송닙)의 전단계에서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상기 기록매체가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닙의 상류를 통과하는 기록매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기록 매체 공급 카세트로부터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닙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한 시점을 기초로 전사유닛의 고압인가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사이에는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 벨트가 개재되고,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이송 벨트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
  14. 삭제
  15.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사이(이송닙)로 기록매체가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다시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다시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닙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한 시점을 기초로 전사유닛의 고압인가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
  16. 기록매체 대전 롤러와 마주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사이(이송닙)로 기록매체가 진입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다시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다시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매체 대전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사이에는 무한 궤도 운동하는 이송 벨트가 개재되고,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이송 벨트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
  17.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가 접촉되는 이송닙의 상류에서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송 롤러 또는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상기 기록매체가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제 1 이송 롤러 또는 제 2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기준 시간 이내에 변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닙 상류에서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불량 상태 감지 방법.
  18. 삭제
KR1020050039759A 2005-05-12 2005-05-12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방법 KR10065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59A KR100659640B1 (ko) 2005-05-12 2005-05-12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방법
US11/341,428 US20060257156A1 (en) 2005-05-12 2006-01-30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veying state of printing medium and a method thereof
CNA2006100818294A CN1862408A (zh) 2005-05-12 2006-05-12 确定打印介质传送状态的成像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59A KR100659640B1 (ko) 2005-05-12 2005-05-12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640B1 true KR100659640B1 (ko) 2006-12-21

Family

ID=3738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759A KR100659640B1 (ko) 2005-05-12 2005-05-12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57156A1 (ko)
KR (1) KR100659640B1 (ko)
CN (1) CN1862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370B2 (en) 2009-01-07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323B1 (ko) * 1999-11-20 2002-06-21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의 용지 이송 제어방법
CN100556059C (zh) * 2003-12-04 2009-10-28 尼司卡股份有限公司 薄片重送检测方法和薄片供给器及采用它的图像读取装置
US7403722B2 (en) * 2005-02-22 2008-07-22 Lexmark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media and media tray sensing in an image form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370B2 (en) 2009-01-07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47472B1 (ko) 2009-01-07 2015-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2408A (zh) 2006-11-15
US20060257156A1 (en)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69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5169702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759433B2 (ja) 画像形成装置
US7962079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7314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of setting transfer current and forming image
US90146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velocity control feature
US7474870B2 (en) Fixing unit,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thereof
US80551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5642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280043B1 (ko)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형성장치의용지 또는 전사벨트의 저항 측정방법
KR10065964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이송 상태 감지방법
US2009006061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8064819A (ja) 画像形成装置
CN107861351B (zh) 定影装置和图像形成设备
US20090263154A1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8028599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JP200520211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148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59483A (ja) 画像形成装置
JP579389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2712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媒体の厚さ検知方法
JP4561267B2 (ja) 画像形成装置
JP4820067B2 (ja) 画像形成装置
JP4218799B2 (ja) 画像形成装置
JP4638994B2 (ja) タンデム式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