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93B1 -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93B1
KR100658893B1 KR1020040078757A KR20040078757A KR100658893B1 KR 100658893 B1 KR100658893 B1 KR 100658893B1 KR 1020040078757 A KR1020040078757 A KR 1020040078757A KR 20040078757 A KR20040078757 A KR 20040078757A KR 100658893 B1 KR100658893 B1 KR 10065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terminal device
movement
portable terminal
convers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895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는 단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동변환수치를 출력하는 이동감지장치; 상기 이동변환수치를 연산하여 게임 진행에 적용시키는 게임엔진부; 상기 게임엔진부로부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처리하고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게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동감지장치, 게임엔진부,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에 의하면, 부가적인 외부장치를 장착할 필요 없이 게임 객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게임 컨텐츠의 개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거나 직접 움직임으로써 현실감넘치고 보다 재미있게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movement-sensor for game pla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가 "미로 찾기"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게임 객체가 반응하는 형태를 LCD상에서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의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게임에 적용될 변환수치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의 게임엔진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12: LCD부 114: 디스플레이전처리부
120: 이동감지장치 130: 게임엔진부
132: 게임컨텐츠 134: 게임엔진
134a: 이동감지 제어모듈 134b: 인터페이스모듈
134c: 네트워크모듈 134d: 인공지능모듈
134e: 물리제어모듈 134f: 사운드모듈
136: 엔진 드라이버 140: 제어부
150: 사용자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이동감지장치를 장착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Book폰 등 휴대가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장치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장치는 통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다이어리 기능, 촬영/재생 기능 및 오락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의 제공이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게임 플레이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짧은 시간에도 즐길 수 있는 점, 무선 통신 기능과 연계하여 상대방과 함께 겨룰 수 있는 점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게임은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을 이용한 PC(Personal Computer)게임과는 달리 여러가지 제약을 가지는데, 크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휴대단말장치는 모니터 대신 소형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을 이용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가지고, 게임은 단순한 화면과 그래픽으로 구성된다.
둘째, 휴대단말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그리고 조이스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없고, 단지 제한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키조합, 신속한 이동 및 효율적인 버튼 등을 적용할 수 없는 휴대단말장치상의 게임은 시나리오와 컨텐츠의 다양성에 제약을 가진다.
하지만, LCD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재 해상도가 "176*220" 사이즈 혹은 "320*240(QVGA)" 사이즈 이상인 LCD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므로 전술한 첫 번째 제약은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과 같은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장치 모델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인터페이스상의 제약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인터페이스상의 제약은 LCD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휴대단말장치 게임의 컨텐츠, 그래픽, 화면의 구성 및 시나리오의 개발을 방해하는 큰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새로운 게임 컨텐츠에 부합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용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성을 제약하는 외부 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채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휴대단말장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는 단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동변환수치를 출력하는 이동감지장치; 상기 이동변환수치를 연산하여 게임 진행에 적용시키는 게임엔진부; 상기 게임엔진부로부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처리하고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게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동감지장치, 게임엔진부,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이동감지장치(120), 게임엔진부(130), 제어부(140) 및 사용자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이동감지장치(120)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의 이 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직접 이동하거나 상기 휴대단말장치(100)를 파지한 채 이동시키면 그 위치, 방향, 속도 등의 변환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감지장치(120)의 대표적인 예로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들 수 있는데, 자이로스코프는 상/하, 좌/우, 전/후에 발생하는 각도의 변화를 읽어 이동체의 속도,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일종의 센서이다.
마이크로 자이로스코프는 상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장치로서, 실리콘 웨이퍼상에 극소형 진동 구조물을 제작하고 이 진동 구조물의 회전에 의하여 각변위가 생기면 1초에 0.1도 이하의 각도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
이동감지장치(120)는 상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의 이동변환수치를 출력하여 상기 게임엔진부(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변환수치는 방향변환수치 및 위치변환수치로 나눌 수 있는데, 방향변환수치는 사용자 혹은 상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가 회전하는 경우의 변환수치를 의미하고, 위치변환수치는 사용자 혹은 상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가 "상/하", "전/후", "좌/우"로 진행하는 경우의 변환수치를 의미한다.
상기 게임엔진부(130)는 상기 방향변환수치만을 이용하거나 혹은 상기 위치변환수치만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고, 또는 두 개의 변환수치 모두를 연산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엔진부(130)는 사용자에게 "미로 찾기" 게임을 제공할 수 있 다. 사용자가 "미로찾기" 게임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에 구비되는 키패드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를 이동시키거나 직접 위치를 바꿈으로써 신속하고 현실감 넘치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가 "미로 찾기"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게임 객체가 반응하는 형태를 LCD상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의하면, 미로 상에서 게임 객체(a1)는 우회전하기 직전의 상태에 있다(확대된 도면(A) 참조). 이때, 휴대단말장치(100)가 우측으로 회전하면,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게임 객체(a2)도 우측으로 회전하여 다음에 이어지는 직선 미로를 이동할 수 있는 상태(확대된 도면(B) 참조)로 된다.
만일,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LCD상에 미로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경우(A, B)라면, 도 2a 및 도 2b와는 달리 게임 객체(a1, a2)뿐만 아니라 게임의 전체화면(미로의 방향)에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전체 뷰포트(b1, b2)도 이동해야 된다.
게임엔진부(130)는 상기 연산처리된 데이터를 게임 진행에 적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대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LCD부(112) 및 디스플레이 전처리부(114)로 구성되는데, 디스플레이 전처리부(114)는 상기 게임엔진부(130)로부터 게임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이를 화면 특성에 맞추어 전처리하고, LCD부(112)는 LCD를 제어하여 전처 리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화면출력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150)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게임 메뉴 및 게임 모드 등을 제공하여 게임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명령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사용자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 데이터는 상기 게임엔진부(130)로 전달되어 게임 진행의 제어에 이용된다.
또한, 사용자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방향변환수치, 상기 위치변환수치 혹은 두 개의 변환수치 모두를 게임에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사용자부터 상기 방향변화수치 및 위치변환수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치를 선택하는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인터페이스(150)가, 게임에 적용될 변환수치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인터페이스(15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 데이터가 전달되면, 게임엔진부(130)는 상기 선택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환수치를 게임 진행에 적용가능한 정보로 변환하여 게임 제어에 사용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이동감지장치(120), 게임엔진부(130), 디스플레이부(110)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의 게임엔진부(13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게임엔진부(130)는 게임컨텐츠(132), 게임엔 진(134) 및 엔진 드라이버(136)로 구성되고, 게임엔진(134)은 이동감지 제어모듈(134a), 인터페이스모듈(134b), 네트워크모듈(134c), 인공지능모듈(134d), 물리제어모듈(134e) 및 사운드모듈(134f)을 구비하고 있다.
게임엔진(134)은 핵심적인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체로서, 각 기능을 담당하는 실행 프로그램 모듈들로 이루어져 있다.
인터페이스모듈(134b)은 키패드, 마우스 등의 신호를 해석하여 화면에 적용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모듈(134c)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다중 플레이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상대편 휴대단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인터페이스(150)가 사용자로부터 위치변환수치, 방향변환수치 등의 게임에 적용될 변환수치를 선택받으면, 게임엔진부(130)의 인터페이스모듈(134b)은 이동감지 제어모듈(134a)에 선택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동감지 제어모듈(134a)은 필요한 이동변환수치만을 게임 진행에 적용가능한 정보로 변환한다.
네트워크모듈(134c)은 각 휴대단말장치상의 게임 객체의 이동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해당 프로그램모듈로 각 데이터를 전달한다.
인공지능모듈(134d)은 객체간의 접촉, 충돌에 따른 연산, 객체의 움직임을 현실세계와 동일하게 보이도록 하는 연산 등을 처리한다.
그리고, 물리제어모듈(134e)은 게임 객체들의 움직임과 뷰포트의 이동 등을 연산처리한다.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게임 객체가 이동한다면 상기 이동감지 제어모듈(134a)과 연동하여 상기 물리제어모듈(134e)은 뷰포트를 관리하게 된다.
사운드모듈(134f)은 객체의 동작에 현실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각종 이벤트음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감지 제어모듈(134a)은 상기 이동변환수치를 게임 진행에 적용가능한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34b), 네트워크모듈(134c), 인공지능모듈(134d), 물리제어모듈(134e) 및 사운드모듈(134f)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게임용 휴대단말장치(100)의 이동을 게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엔진 드라이버(136)는 상기 이동감지장치(120)로부터 전달되는 이동변환수치를 상기 게임엔진(134)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게임컨텐츠(132)는 각종 화면의 구성과 시나리오 등을 제공하는데, 이동변환수치가 적용되어 최종적으로 화면출력되는 데이터들을 구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에 의하면, 부가적인 외부장치를 장착할 필요 없이 게임 객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게임 컨텐츠의 개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거나 직접 움직임으로써 현실감넘치고 보다 재미있게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동변환수치를 출력하는 이동감지장치;
    상기 이동변환수치를 연산하여 게임 진행에 적용시키는 게임엔진부;
    상기 게임엔진부로부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처리하고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게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동감지장치, 게임엔진부,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엔진부는
    상기 이동변환수치를 게임 진행에 적용가능한 정보로 변환하는 이동감지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게임엔진;
    상기 이동감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이동변환수치를 상기 게임엔진에 전달하는 엔진 드라이버; 및
    상기 이동변환수치가 적용되어 화면출력되는 게임컨텐츠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장치는
    자이로스코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변환수치는
    방향변환수치, 위치변환수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향변화수치 및 위치변환수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치를 선택하는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게임엔진부는 상기 명령 데이터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수치를 게임 진행에 적용가능한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KR1020040078757A 2004-10-04 2004-10-04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KR10065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57A KR100658893B1 (ko) 2004-10-04 2004-10-04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57A KR100658893B1 (ko) 2004-10-04 2004-10-04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895A KR20060029895A (ko) 2006-04-07
KR100658893B1 true KR100658893B1 (ko) 2006-12-15

Family

ID=3714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757A KR100658893B1 (ko) 2004-10-04 2004-10-04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311A2 (en) * 2009-04-28 2010-11-04 Darwon Moon Method for playing game accompanying music using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311A2 (en) * 2009-04-28 2010-11-04 Darwon Moon Method for playing game accompanying music using mobile terminal
WO2010126311A3 (en) * 2009-04-28 2011-02-17 Darwon Moon Method for playing game accompanying music using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895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2102B2 (en)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KR101430761B1 (ko) 방위-감응 신호 출력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4179614B2 (ja) 移動体通信端末用外部装置、移動体通信端末及び移動体通信端末用外部表示システム
US20090262074A1 (en)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JP4220943B2 (ja) 電子機器
US20060256076A1 (en) Interactive system with movement sensing capability
JP504827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201223979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処理方法
CN101211242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0658893B1 (ko) 이동감지장치를 구비한 게임용 휴대단말장치
CN1991691B (zh) 交互式控制平台系统
JP2002297284A (ja) 携帯端末装置
KR100888632B1 (ko) 관성 센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구동장치 및 방법
CN112169304B (zh) 智能终端的陀螺仪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885235B (zh) 基于虚拟标签卡片的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TWI470483B (zh) Controller combination
CN1385824A (zh) 可自动旋转显示画面的电子装置
JP4331239B2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4394742B2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16492666A (zh) 手柄、手柄操作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5941829A (zh) 移动终端及其姿态固定方法
CN118079379A (zh) 游戏动画的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664253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게임영상 제어 장치 및방법
CN115357112A (zh) 一种基于5G技术的vr远程教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