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80B1 - 노트북 컴퓨터 - Google Patents

노트북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80B1
KR100658880B1 KR1020050104127A KR20050104127A KR100658880B1 KR 100658880 B1 KR100658880 B1 KR 100658880B1 KR 1020050104127 A KR1020050104127 A KR 1020050104127A KR 20050104127 A KR20050104127 A KR 20050104127A KR 100658880 B1 KR100658880 B1 KR 100658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base unit
rack
unit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베이스 유닛과, 상기 베이스 유닛의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결과가 표시되는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서 회전 개폐되도록 축지시키는 캠 힌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개폐 동작 시 소망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캠 힌지에서 발생된 토크가 소산되거나 반발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에 구비되는 래크 피니언 댐퍼가 포함되는 노트북 컴퓨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베이스 유닛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덮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베이스 유닛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덮혀진 디스플레이 유닛을 펼칠 때 보다 수월하게 열 수있는 효과가 있다.
노트북, 캠 힌지, 토크, 래크 피니언, 완충, 유압 댐퍼

Description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도 1은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힌지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래크 피니언 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래크 피니언 댐퍼의 설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래크 피니언 댐퍼가 적용된 노트북 컴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래크 피니언 댐퍼에 의한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유닛 개폐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트북 컴퓨터 110 : 베이스 유닛
120 : 디스플레이 유닛 200 : 캠 힌지
210 : 회전편 220 : 샤프트 캠
230 : 힌지 하우징 300 : 래크 피니언 댐퍼
310 : 래크 312 : 스프링
320 : 피니언 330 : 회전판
332 : 오일 유로 340 : 댐퍼 하우징
342 : 격판 360 : 오일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베이스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에 작용되는 토크의 정도를 보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덮혀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는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2차전지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장소의 제약을 받지않고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로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자판과 같은 입력수단이 구비된 베이스 유닛(10)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액정표시장치(21) 및 액정표시장치(21)를 지지하는 백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2)와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23)로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유닛(10)은 상하부 케이스(11)(12) 및 메인보드(13), CPU(14), 각종 칩셋(15), 하드 디스크(16) 등의 기억장치와 키보드(17)와 터치패드(18)로 이루어진 데이터 입력수단, 전원을 공급하는 2차전지(19),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랜카드(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CPU(14)와 각종 칩셋(15)은 메인보드(13)에 부착되고, 기억장치와 키보드(17), 터치패드(18), 랜카드 등은 메인보드(13)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부 케이스(11)(12)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노트북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유닛(20)과 베이스 유닛(10)을 접어 래치(30)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유지시켜 휴대하게 되며, 사용시에는 래치(30)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시선에 부합되도록 적당한 각도로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펼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이 개방되면 사용자는 베이스 유닛(10)의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고 그에 따른 데이터의 처리결과가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액정표시장치(21)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접철 가능토록 회전됨과 동시에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도에서 펼쳐진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힌지 유닛(40)에 의해 베이스 유닛(10)과 연결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힌지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힌지 유닛(40)은 캠축(41)과, 상기 캠축(41)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되는 베이스 유닛에 고정된 고정편(42)와, 상기 캠축과 일체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유닛(20)에 고정된 회전편(43)으로 구성되어, 상기 캠축(41)이 고정편(42)의 내경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마찰력을 발휘하게 되는 마찰회동구조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각도로 디스플레이 유닛(20)이 베이스 유닛(10)에서 힌지 유닛(40)을 중심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을 베이스 유닛(10)에 덮게 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일정한 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자중에 의하여 자유낙하하여 베이스 유닛(10)을 덮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힌지 유닛(40)은,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펼치거나 닫을 때의 토크를 힌지 유닛(40)에서 간섭하게 되므로, 힌지 유닛(40)이 노후되면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사용자가 선택한 각도로 유지되지 않고 임의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20)이 베이스 유닛(10)에서 펼쳐지거나 덮혀지게 됨에 따라 상기 힌지 유닛(40)의 고정편(42) 내경에서 회전되는 캠축(41)이 마모하게 된다. 마모된 캠축(41)은 고정편(42) 내경과의 마찰이 줄어들게 되어 디스플레이 유닛(2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자중에 의해 임의적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유닛(10)에 덮혀져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20)이 베이스 유닛(10)에 충돌하여 고가의 액정표시장치(21)를 파손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유닛으로 디 스플레이 유닛을 덮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베이스 유닛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덮혀진 디스플레이 유닛을 펼칠 때 보다 수월하게 열 수 있도록 힌지 유닛에서 발생된 토크를 적정하게 소산시키거나 반발시킬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베이스 유닛과, 상기 베이스 유닛의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결과가 표시되는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서 회전 개폐되도록 축지시키는 캠 힌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개폐 동작 시 소망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캠 힌지에서 발생된 토크가 소산되거나 반발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에 구비되는 래크 피니언 댐퍼가 포함되는 노트북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크 피니언 댐퍼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피니언이 구비된 유압 댐퍼 및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승강되되 상부 케이스로 일부가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유닛과 접촉하게 되는 래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크가 위치한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매립홀 및 상기 매립홀에 구비되어 상기 래크를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 힌지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덮혀짐에 따라 상기 래크를 눌러 하강시키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되는 누름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는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는 자판(117) 및 터치패드(118)와 같은 입력수단이 구비된 상하부 케이스(111)(112)로 이루어진 베이스 유닛(110)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121)를 지지하는 프론트 커버(123)와 백 커버(122)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베이스 유닛(110)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상기 베이스 유닛(110)과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캠 힌지(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유닛(110)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덮혀짐에 따라, 덮혀진 상태를 강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래치(130)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베이스 유닛(110)과 결속되어 덮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캠 힌지(200)는 일측이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고정되는 한편, 타측으로 베이스 유닛(110)에 고정되는 힌지 하우징(230)에 샤프트 캠(2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축받이 된다. 즉, 상기 캠 힌지(2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별도 의 체결수단(체결용 볼트등)에 의해 고정되는 회전편(210)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편(21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타단에 캠의 형상을 갖는 샤프트 캠(2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캠(220)의 캠 형상과 부합되는 내경을 갖는 힌지 하우징(230)의 고정편(240)이 베이스 유닛(110)에 고정된다.
상기 캠 힌지(2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베이스 유닛(110)의 일측 양단에 구비되는 바, 상기 캠 힌지(200)는 내경을 갖는 힌지 하우징(230)에 샤프트 캠(220)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샤프트 캠(220)의 회전편(210)이 고정되고, 힌지 하우징(230)에 구비된 고정편(240)이 베이스 유닛(1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캠 힌지(200)를 중심점으로 하여 베이스 유닛(110)에 덮거나 펼칠 때, 상기 캠 힌지(12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산시키거나 반발시키도록 베이스 유닛(110)에 래크 피니언 댐퍼(300)가 구비된다. 상기 래크 피니언 댐퍼(300)는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 케이스(112)에 고정되고 래크 피니언 댐퍼(300)의 래크(310)가 상부 케이스(11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회전에 따라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래크 피니언 댐퍼의 구조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래크 피니언 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래크 피니언 댐퍼는 크게, 오일이 충진되고 피니언이 구비된 유압 댐퍼와, 상기 유압 댐퍼의 피니언과 맞물려 승강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의 승강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유닛(110)에 내설되는 래크 피니언 댐퍼(300)는, 베이스 유닛(110)의 내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댐퍼 하우징(340)의 일측으로 고정편(34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으로는 오일(360)이 기밀하게 충진되고, 상기 오일(360)속에서 회전하게 되는 회전판(330)이 피니언(320)과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댐퍼 하우징(340)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330)에는 회전판을 관통하는 오일 유로(332)가 형성되어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에 충진된 오일(360)이 지나가는 통로의 역활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320)이 회전하게 되면 일체로 이루어진 회전판(330)이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에 충진된 오일(360)속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30)은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에 구비된 격판(342)에 의해 일정구간만을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에 구비된 격판(342)은 회전판(330)의 회전구간을 제어하게 되는 한편, 회전판(330)의 회전속도를 간섭하는 오일(360)이 자유롭게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막게 되고, 상기 오일(360)은 회전판(330)의 오일 유로(332)를 통해 회전판(3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회전판(330)에 저항을 발생시켜 회전판(330)의 회전속도가 일정하도록 감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20)과 맞물려 승강하는 래크(310)가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 케이스(111)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래크(310)의 하방으로 스프링(312)이 구비되어 상기 래크(310)의 승강에 따라 압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래크 피니언 댐퍼의 설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캠 힌지(200)는 베이스 유닛(110)과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크 피니언 댐퍼(300)는 베이스 유닛(110)에 내설되는 바, 상기 래크 피니언 댐퍼(300)의 고정편(344)이 베이스 유닛(110)의 하부 케이스(112) 내측벽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래크 피니언 댐퍼(300)의 래크(310) 일부가 상부 케이스(111)의 래크홀(110a)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래크(310)의 하방에는 스프링(312)이 구비되는 바, 상기 스프링(312)이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112)에는 매립홀(120a)이 구비되어 스프링(312)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크(310)와 스프링(312)과 상부 케이스(111)의 래크홀(110a) 및 하부 케이스(112)의 매립홀(120a)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유압 댐퍼의 피니언(320)과 맞물리는 래크(310)가 상승 내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래크(310)가 래크홀(110a)에서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별도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 이러한 스토퍼 구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캠 힌지(20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래크(310)를 누르게 되는 누름부재(350)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재(35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프론트 커버(123)에 구비되되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회전에 따라 눌러줄 수 있도록 캠 힌지(200) 중심의 래크홀(110a) 회전반경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베이스 유닛(110)에 덮혀짐에 따라 상기 누름부재(350)와 래 크(310)가 접촉시 그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래크 피니언 댐퍼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의 동작을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래크 피니언 댐퍼가 적용된 노트북 컴퓨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래크 피니언 댐퍼에 의한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유닛 개폐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캠 힌지(200)는 베이스 유닛(110)과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고정되는 캠 힌지(200)의 회전편(21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편(210)과 일체로 이루어진 샤프트 캠(220)이 회전하게 되면서, 힌지 하우징(230)의 내경에 형성된 캠 형상과 부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베이스 유닛(110)으로 덮혀지는 낙하 구간을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 구간을, 캠 힌지(200)의 샤프트 캠(220)과 힌지 하우징(230)의 내경에 형성된 캠 형상이 맞물리는 캠 곡선에 의해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자유낙하 구간이 설정되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베이스 유닛(110)으로 덮혀지는 순간에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누름부재(350)가 래크(310)와 접촉하게 되어 상부 케이스(111)에서 돌출된 래크(310)를 하방으로 밀어 스프링(312)을 압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래크(310)가 래크홀(110a)에서 하강하게 됨에 따라 래크(310)와 맞물리 피니언(320)이 회전을 개시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320)과 일체로 이루어진 회전판(330)이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에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30)의 회전속도는 댐퍼 하우징(340)의 내경에 충진된 오일(360)에 의해 감속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베이스 유닛(110)에 덮혀짐에 따라 발생되는 캠 힌지(200)의 토크를 래크 피니언 댐퍼(300) 및 스프링(320)이 완충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는 것을 부드럽게 만들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를 1차적으로 스프링(312)의 압축에 의해 완충시키게 되고, 2차적으로 댐퍼 하우징(340) 내경에 구비된 회전판(330)의 회전속도를 오일(360)의 유동저항에 의해 다시 한번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캠 힌지(200)를 중심으로 베이스 유닛(110)으로 덮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하강속도를 래크 피니언 댐퍼(300)에서 완충시켜 캠 힌지(200)에서 발생된 토크를 소산시킨 후 부드럽게 하강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래치(130)에 의해 베이스 유닛(110)과 결속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베이스 유닛(110)에 덮혀진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캠 힌지(200)를 중심으로 펼칠 때에는 결속된 래치(130)를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래치(130)가 해제되면 압축된 스프링(312)이 탄성력에 의해 래크(310)를 래크홀(110a)의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래크홀(110a)에서 일부 돌출된 래크(310)가 접하고 있던 누름부재(350)를 밀어 올려 베이스 유닛(110)에 덮혀진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캠 힌지(200)를 중심으로 부양시키게 되므로, 캠 힌지(200)에서 발생된 토크를 반발시켜,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베이스 유닛(110)에서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노트북 컴퓨터는, 펼쳐진 디스플레이 유닛을 베이스 유닛으로 덮을 때 캠 힌지에 발생되는 토크를 래크 피니언 댐퍼에서 소산시켜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강속도를 늦추어 디스플레이 유닛이 부드럽게 베이스 유닛에 덮혀지도록 하게 되므로 충돌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베이스 유닛에서 펼치게 될 때에는 래크를 밀어 올리는 스프링에 의해 캠 힌지에서 발생된 토크를 반발시켜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유닛을 베이스 유닛에서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결과가 표시되는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서 회전 개폐되도록 축지시키는 캠 힌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개폐 동작 시 소망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캠 힌지에서 발생된 토크가 소산되거나 반발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에 구비되는 래크 피니언 댐퍼;가 포함되는 노트북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피니언 댐퍼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피니언이 구비된 유압 댐퍼; 및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승강되되 상부 케이스로 일부가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유닛과 접촉하게 되는 래크;가 더 포함되는 노트북 컴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가 위치한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매립홀; 및
    상기 매립홀에 구비되어 상기 래크를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노트북 컴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힌지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덮혀짐에 따라 상기 래크를 눌러 하강시키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되는 누름부재;가 더 포함되는 노트북 컴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더 포함되는 노트북 컴퓨터.
KR1020050104127A 2005-11-02 2005-11-02 노트북 컴퓨터 KR10065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27A KR100658880B1 (ko) 2005-11-02 2005-11-02 노트북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27A KR100658880B1 (ko) 2005-11-02 2005-11-02 노트북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880B1 true KR100658880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127A KR100658880B1 (ko) 2005-11-02 2005-11-02 노트북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471B1 (ko) 2010-10-20 2017-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컴퓨터 디바이스
CN113969936A (zh) * 2021-10-22 2022-01-25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控台及翻转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471B1 (ko) 2010-10-20 2017-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컴퓨터 디바이스
CN113969936A (zh) * 2021-10-22 2022-01-25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控台及翻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8713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支撑装置
US7596830B2 (en) Hinge
US7631397B2 (en) Hinge
US20030056322A1 (en) Hinge device
EP1594124A3 (en) Pivot shaft fixing structure in data storage device
JP4764448B2 (ja) 電子機器
TWI543695B (zh) 電子裝置
CN103183187B (zh) 便携设备箱
JPH0916324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及びキーボード
JP3195898U (ja) 容器
KR100658880B1 (ko) 노트북 컴퓨터
KR100706501B1 (ko) 노트북 컴퓨터
CN212541152U (zh) 一种笔记本减震装置
JP4690282B2 (ja) 開閉装置の緩衝部材、および開閉装置
WO1997032505A1 (fr) Dispositif de levage et de support de partie receptrice
CN201910021U (zh) 一种两段式扭力带动旋转的铰链
KR200314300Y1 (ko) 회동덮개 닫힘 충격 방지장치
EP2690520A2 (en) Dampen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225854B1 (ko) 노트북 컴퓨터의 상태표시부 틸트 장치
KR101069242B1 (ko) 노트북 컴퓨터용 힌지장치
KR20040079289A (ko) 회동덮개 닫힘 충격 방지장치
JP2012073919A (ja) 情報処理装置
US6946591B2 (en) Safety device used on pianos to prevent lid-slamming
CN209538980U (zh) 铰链
KR1007019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