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279B1 -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279B1
KR100657279B1 KR1020040073377A KR20040073377A KR100657279B1 KR 100657279 B1 KR100657279 B1 KR 100657279B1 KR 1020040073377 A KR1020040073377 A KR 1020040073377A KR 20040073377 A KR20040073377 A KR 20040073377A KR 100657279 B1 KR100657279 B1 KR 10065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audio
mobile system
d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575A (ko
Inventor
주인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2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은, 오디오 재생 수단, 및 오디오 재생 수단의 출력 상태에 따라 복수의 전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오디오 재생 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원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에 의하면, 확장 시스템의 연결 여부 또는 직류 전력 공급 장치의 연결 여부에 따라 복수의 전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전력을 오디오 재생에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시스템에서도 고출력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Mobile system comprising power supply selector}
도 1은 확장 시스템과 연결된 모바일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모바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시스템(mobile system)이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CD 플레이어 등과 같이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모바일 시스템은 이동 중의 사용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전력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이동 중에는 충전지나 건전지 등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출력의 오디오 재생을 하는 경우 재생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디오의 재생을 위해서도 고출력의 출력 장치보다는 저출력의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모바일 시스템에서도 사용자가 고출력의 오디오 재생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시스템을 확장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확장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가 도킹 스테이션이다. 이와 같은 확장 시스템과 연결된 경우, 확장 시스템이 구비한 고출력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확장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 장치와 메인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동시에 이용하여 오디오를 재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는 저음 영역의 오디오를 출력하고, 메인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는 중음 또는 고음 영역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모바일 시스템에서는 메인 시스템에서 저전력의 전원만을 채용하므로, 확장 시스템에서는 고출력의 오디오가 재생될 수 있음에도 메인 시스템에서는 저출력의 오디오 재생만이 가능하여 확장 시스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바일 시스템에 별도로 구비된 직류 전원 입력(DC-IN) 잭에 직류 전력 공급 장치(DC power supply)를 연결하여 이를 통해 전력을 입력받는 경우, 또는 저전력의 전원 상태임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고출력의 오디오 재생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고출력의 오디오 재생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 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스템의 상태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오디오 출력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모바일 시스템은, 오디오 재생 수단; 및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의 출력 상태에 따라 복수의 전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원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모바일 시스템의 하나인 PDA(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킹 스테이션이란, 이동 중의 사용에 특화된 구성을 가지는 모바일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모바일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부가되는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PDA(100)의 예를 들면,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시되지 않은) 대형 모니터나 프린터, 키보드 등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은 부가적인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와 저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스테이션을 채용함으로써, 모바일 시스템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 이외에도 모바일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가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확장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도 1에 도시된 도킹 스테이션 (200)은 확장 시스템의 일 예로서 소개되었다. 확장 시스템에 대비하여, 원래의 모바일 시스템(100)을 메인 시스템(main system)이라고 부른다.
도 2는 일반적인 모바일 시스템(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시스템(300)은 확장 시스템(400)과 연결된 상태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시스템(300)은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310), 메인 증폭기(330),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340), 메인 전원(350), 및 도킹 연결 수단(320)을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310), 메인 증폭기(330) 및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340)은 함께 오디오 재생 수단을 형성한다.
도 2에는 확장 시스템(400)의 일 예로서 도킹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스테이션(400)은 도킹 증폭기(410), 도킹 오디오 출력 수단(420), 및 도킹 전원(430)을 포함한다.
도킹 연결 수단(320)은 도킹 스테이션(400)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310)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메인 증폭기(330) 또는 도킹 증폭기(410)로 전달한다.
도킹 스테이션(400)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310)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는 도킹 연결 수단(320)을 거쳐 메인 증폭기(330)로 전달된다. 메인 증폭기(330)는 메인 전원(350)에 의해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전원(350)은 충전지 또는 건전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전원(350)은 저출력 오디오를 지원하는 저전력 공급 장치이다.
메인 증폭기(33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340)에 서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340)은 소형 스피커 또는 이어폰과 같이 저출력의 출력 장치이다.
모바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이동 중에 사용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제작되므로 저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따라서, 전력에 여유가 있거나 별도의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고출력의 전원을 메인 증폭기(330)에 공급할 수는 없다.
도킹 스테이션(400)이 연결된 경우, 도킹 연결 수단(320)은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310)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도킹 증폭기(410)로 전달한다. 도킹 증폭기(410)는 도킹 전원(430)에 의해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전원(430)은 가정용 교류 전원 또는 이를 정류한 어댑터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이 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전원(430)은 충전지 또는 건전지와 같은 저전력 공급 장치가 될 수 있다.
도킹 증폭기(41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도킹 오디오 출력 수단(420)에서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오디오 출력 수단(420)은 고출력의 저음용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연결 수단(320)은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310)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메인 증폭기(330) 및 도킹 증폭기(410) 모두에 전달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는 각각의 증폭기(330 및 410)에서 증폭되어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340 및 420)에서 출력된다. 이러한 모바일 시스템(300)에 있어서는, 도킹 오디오 출력 수단(420)에서 고출력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됨에도 불구 하고,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340)에서는 저출력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시스템의 상태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인 오디오 출력 전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시스템은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에 따라 복수의 전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50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시스템(500)은 확장 시스템의 일 예인 도킹 스테이션(600)과 연결된 상태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500)은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510), 도킹 연결 수단(520), 메인 증폭기(530),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540), 전원 선택 수단(550), 제 1 전원(560), 제 2 전원(570), 직류 전원 입력 수단(DC-IN, 580), 및 핫키(hot key) 신호 발생 수단(590)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시스템은 (도시되지 않은) 3개 이상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2개의 전원(560 및 570)을 포함한 모바일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지만, 이는 동일하게 3개 이상의 전원을 포함한 모바일 시스템에 대해 적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선택 수단(550)이 복수의 전원들(560 및 570)과 메인 증폭기(530)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 선택 수단(550)은 모바일 시스템(500)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전원(560) 또는 제 2 전원(57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메인 증폭기(530)에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상태는 오디오 재생 수단의 출력 상태,즉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출력의 크기에 따라 고출력 상태 또는 저출력 상태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상태는 도킹 스테이션(600)이 메인 시스템(500)과 연결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연결 수단(520)은 도킹 스테이션(600)이 메인 시스템(500)에 연결된 경우, DOCK-IN 신호(1)를 발생하여 전원 선택 수단(550)으로 전달한다. 전원 선택 수단(550)은 DOCK-IN 신호(1)가 전달된 경우, 고출력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해서 복수의 전원들(560 및 570) 중에서 고출력의 전원을 선택하여 그 전력을 메인 증폭기(530)로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연결 수단(520)은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510)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메인 증폭기(530) 및 도킹 증폭기(610) 모두에 전달한다. 고출력의 전원 전력이 메인 증폭기(530)에 공급되었으므로, 오디오 신호는 고출력으로 증폭되어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540)에서 고출력으로 출력된다. 또한 오디오 신호는, 고출력의 도킹 전원(630)의 전력이 공급되는 도킹 증폭기(610)에서 증폭되어, 도킹 오디오 출력 수단(620)에서 고출력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540) 및 도킹 오디오 출력 수단(620) 모두에서 고출력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연결 수단(520)은 도킹 스테이션(600)이 메인 시스템(50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DOCK-IN 신호(1)를 전원 선택 수단(550)에 보내 지 않는다. 이때 전원 선택 수단(550)은 복수의 전원들(560 및 570) 중에서 저출력의 전원을 선택하여 그 전력을 메인 증폭기(530)로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시스템(500)은 저전력 전원을 사용하므로 장기간 이동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직류 전원 연결 수단(580)은 고출력의 직류 전력 공급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모바일 시스템(500)과 연결한다. 직류 전력 공급 장치의 예로는 가정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어댑터 장치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류 전원 연결 수단(580)은 (도시되지 않은) 직류 전원 입력 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직류 전원 연결 수단(580)은 직류 전력 공급 장치(예를 들어, 어댑터 장치)가 직류 전원 입력 잭에 연결된 경우 이 전원의 전력을 전원 선택 수단(550)에 공급한다. 전원 선택 수단(550)은 공급된 전력을 메인 증폭기(530)에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서 메인 시스템(500)은 도킹 스테이션(600)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킹 스테이션(6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선택 수단(550)은 직류 전원 연결 수단(580)에 연결된 직류 전원과 메인 시스템에 구비된 복수의 전원들(560 및 570) 중에서 고출력 또는 저출력의 전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메인 시스템(500)의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출력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핫키 신호 발생 수단(590)은 핫키(hot key)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선택 수단 (550)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핫키 신호 발생 수단(590)은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 상의 특수 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핫키 신호는 고출력 또는 저출력 상태를 선택하는 신호이다. 이러한 핫키 신호에 따라 전원 선택 수단(550)은 오디오 재생 수단의 출력 상태를 결정하고 복수의 전원들(570 및 580) 중에서 출력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을 선택하여 그 전력을 메인 증폭기(530)에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킹 스테이션(600)의 연결 여부 또는 직류 전력 공급 장치의 연결 여부에 관계 없이, 임의로 오디오의 출력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70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700)은,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710), 도킹 연결 수단(720), 메인 증폭기(730), 메인 오디오 출력 수단(740), 전원 선택 수단(750), 메인 전원(760), 직류 전원 입력 수단(DC-IN, 770), 핫키 신호 발생 수단(780), 및 도킹 전원 연결 수단(79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전원(7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원(560 및 5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블록(760)으로 표시하였다.
도킹 전원 연결 수단(790)은 도킹 스테이션(600)이 메인 시스템(700)에 연결된 경우, 도킹 전원(630)을 전원 선택 수단(750)에 연결한다. 전원 선택 수단(750)은 메인 전원(760), (도시되지 않은) 직류 전력 공급 장치, 및 도킹 전원(63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전력을 메인 증폭기(730)에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킹 스테이션(600)이 메인 시스템(700)에 연결되고, 직류 전력 공급 장치가 직류 전원 입력 수단(77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선택 수단(750)은 도킹 전원(630)을 선택하여 그 전력을 메인 증폭기(730)에 공급하며, 오디오 신호는 고출력으로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전원(760)은 저출력을 가지며, 도킹 전원(630)은 고출력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핫키 신호 발생 수단(780)이 고출력 상태에 대응하는 핫키(hot key) 신호를 발생한 경우, 전원 선택 수단(750)은 도킹 전원(630)을 선택하여 그 전력을 메인 증폭기(730)로 공급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킹 스테이션의 연결 여부, 직류 전력 공급 장치가 직류 전원 입력 잭에 연결되었는지 여부, 및 핫키 신호의 발생 여부들의 여러 가지 조합에 의해서 오디오 출력 상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전원 선택 수단(750)은 결정된 오디오 출력 상태에 대응하는 출력을 가지는 전원을 선택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메인 증폭기(730)에 공급한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에 의하면, 확장 시스템의 연결 여부 또는 직류 전력 공급 장치의 연결 여부에 따라 복수의 전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전력을 오디오 재생에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시스템에서도 고출력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전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출력의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오디오 재생 수단; 및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출력 크기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전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원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선택 수단은 상기 모바일 시스템이 소정의 확장 장치에 연결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선택 수단은 상기 모바일 시스템의 직류 전원 입력 잭에 소정의 직류 전력 공급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선택 수단은 상기 모바일 시스템의 키보드 입력으로 소정의 핫키(hot key)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 수단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출력 크기의 상태는 고출력 상태 또는 저출력 상태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40073377A 2004-09-14 2004-09-14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 KR10065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377A KR100657279B1 (ko) 2004-09-14 2004-09-14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377A KR100657279B1 (ko) 2004-09-14 2004-09-14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575A KR20060024575A (ko) 2006-03-17
KR100657279B1 true KR100657279B1 (ko) 2006-12-14

Family

ID=3713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377A KR100657279B1 (ko) 2004-09-14 2004-09-14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2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575A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158B1 (ko) 포터블 멀티미디어 기기에 사용되는 포터블 스피커 장치
JP4569842B2 (ja) 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このオーディオ装置に用いられる外部アダプタ
JP3714882B2 (ja) 携帯型通信端末充電システム
CN101019463A (zh) 便携式音频再现系统
US8275159B2 (en) 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speakers with rotatable connecting means
JP2001125688A (ja) 拡張装置
US200702428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Sound Level Control Method
US20090268922A1 (en)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system, personal computer reproducing method,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program, output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control program,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or device, cradle device using the same,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reproducing system
JP2004128672A (ja) 再生装置、出力装置、及び消費電力制御方法
KR100609171B1 (ko) 이어폰의 기능 키를 이용한 음악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411703B (zh) 音频播放方法以及耳机盒、无线耳机和耳机套件
KR100657279B1 (ko) 전원 선택 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시스템
CN1956095B (zh) 支持多通讯接口的存储装置
JP6103005B2 (ja) 音楽再生装置
JP2007110430A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6341047B2 (ja) オーディオ装置
KR100693589B1 (ko) 음원 데이터의 동시 재생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7243910A (ja) 電力線通信用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クレードル装置並びに電力線通信再生システム
JP2003295981A (ja) データ処理装置
KR20020015579A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스테이션 장치
JP2006048853A (ja) 電気機器および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10067733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겸용 거치대 운용 방법
KR100408192B1 (ko) 착탈형 오디오 스테이션에서의 기능 모드 설정장치 및방법
KR20000061637A (ko) 플래쉬 메모리를 가진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JP2010086603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オーディオ再生方法、及びオーディオ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