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956B1 -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956B1
KR100656956B1 KR1020060000751A KR20060000751A KR100656956B1 KR 100656956 B1 KR100656956 B1 KR 100656956B1 KR 1020060000751 A KR1020060000751 A KR 1020060000751A KR 20060000751 A KR20060000751 A KR 20060000751A KR 100656956 B1 KR100656956 B1 KR 10065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ignal
modulation
digital input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섭
김태욱
김성우
이정훈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956B1/ko
Priority to US11/471,512 priority patent/US74002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4Position modulation, i.e. PP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06Details of the milling cutter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위상 변조 장치에서는, RF 위상 쉬프터가 디지털 입력에 따라 VCO에서 생성된 로컬 신호의 위상을 변조하고, 이때 상기 RF 위상 쉬프터는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가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라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로컬 신호로부터 생성한 변조 기준 신호에 위상 록킹되도록 위상 제어 루프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위상 제어 루프는 상기 RF 위상 쉬프터에서 생성된 위상 변조된 신호가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위상값을 가지도록 상기 변조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록킹한다.
트랜스미터, 극 변조, 파워 증폭기, VCO, 위상 변조

Description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High Speed Passband Phase 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수퍼 헤테로다인 방식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극 변조 방식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 변조 방식 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디지털-제어 위상 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6은 도 4의 전압-제어 위상 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7은 도 4의 디지털-제어 위상 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도 8은 도 4의 전압-제어 위상 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도 9는 발진기로부터의 직각 신호들을 이용하는 경우의 위상 변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위상 변조기의 동작 설명을 위한 신호들 LO, SLO, PMS 간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위상 변조기의 동작 설명을 위한 신호들 RCLK, LCLK, REF, DIV 간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로컬 신호 생성부
320: 위상 변조기
330: 버퍼
410: RF 위상 쉬프터
420: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
430: 위상 제어 루프
440: 위상 에러 검출부
본 발명은 RF(Radio Frequency) 송신기(transmitter: Tx)에서의 위상 변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대역 처리에 있어서의 적용을 위한 극 변조(Polar Modulation) 방식의 고속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DMB 폰, PDA 등 고속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에서 송신 방식으로서 수퍼 헤테로다인(Super Heterodyne) 또는 극 변조(Polar Modulation)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퍼 헤테로다인 방식 송신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100)는 중간 처리부(110), 반송파 처리부(120), 쏘우 필터(SAW filter)(130) 및 파워 증폭기(14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기저 대역에서 위상 변조된 신호(I, Q)가 상기 중간 처리부(110)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업(up) 변환되고, 상기 반송파 처리부(120)에서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재차 업 변환된다. 상기 중간 처리부(110) 및 상기 반송파 처리부(120)에서 기저 대역의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이미지(image) 톤(tone)이 노이즈처럼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쏘우 필터(130)에서 제거된다. 상기 쏘우 필터(130)에서 이미지가 제거된 신호는 상기 파워 증폭기(140)에서 적절한 전력을 가지도록 증폭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퍼 헤테로다인 방식 송신기(100)에서는 이미지 톤의 제거를 위한 쏘우 필터(130)가 필수적이고, 특히 QPSK, BPSK 등 변조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리니어리티(linearity) 특성을 파워 증폭기(140)가 모두 커버해야 하므로, 다중 대역 처리에 부적합하다.
예를 들어,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스템을 위한CDMA, GPS, PCS, IMT2000, Wibro, WLAN, UWB, WiMax 방식 등에 모두 적용하여 기저 대역 신호를 업 변환하기 위하여 극 변조 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는 일반적인 극 변조 방식 송신기(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200)는 PLL(Phase-Locked Loop)(210),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220), 파워 증폭기(230), 변조부(240) 및 콘트롤러(2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극 변조 방식에서는, 기저 대역의 신호(I, Q)에 따라 상기 변조부(240) 및 상기 PLL(210)의 동작으로 상기 VCO(220)에서 출력되는 통과 대역(Passband)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고, 이에 따른 위상 변위 발생에 따라 상기 콘트 롤러(250)는 위상 변위 전후에서 적절한 파워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콘트롤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극 변조 방식 송신기(200)에서는, PLL(210)을 이용하여 VCO(220)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구조이므로, 위상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PLL(210)내의 루프 필터(미도시)의 빠른 반응 속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루프 대역폭의 제한으로 고속의 위상 변조가 어렵다. 또한, 위상 변화를 위하여 VCO(220)를 직접 제어하는 위와 같은 극 변조 방식에서는, 위상 변화 시점에서 순간적인 주파수 변동을 피할 수 없으며, 이때, 이를 만족시킬 만한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상기 파워 증폭기(230)의 설계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을 커버하는 고속 위상 변조를 위하여 VCO 뒤에서 통과 대역 신호를 위상 변조하는 극 변조 방식을 위한 위상 변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위상 변조 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처리에 적합한 위상 변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극 변조 방식 송신기에 이용되는 위상 변조기는, 디지털 입력에 따라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고, 콘트롤 전압에 따라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위상 조정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위상값을 가지는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RF 위상 쉬프터; 상기 로컬 신호를 기반으로 기준 클럭 신호를 상기 디지털 입력에 대응되는 위상값 만큼 위상 조정하여 변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 및 상기 변조 기준 신호와 피드백되는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콘트롤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변조 기준 신호에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위상 록킹시키는 위상 제어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컬 신호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에 위상 록킹된 발진 신호이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보다 주파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는 수정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기저 대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상기 RF 위상 쉬프터는,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 각각을 받기 위하여 저항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를 가지는 R-C 필터에서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상기 어레이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 각각을 위상 변화시키는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 및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을 받기 위하여 저항 및 바랙터를 가지는 다른 R-C 필터에서 상기 콘트롤 전압에 따른 상기 바랙터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을 위상 조정하여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의 차동 신호들을 생성하는 전압-콘트롤 위상 쉬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상기 RF 위상 쉬프터는,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를 가지고, 상기 로컬 신호를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받아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상기 어레이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고,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 및 다른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바랙터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상기 다른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받아 상기 콘트롤 전압에 따른 상기 바랙터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위상 조정하여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상기 다른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전압-콘트롤 위상 쉬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상기 위상 변조기는, 선택 신호에 따라 90 도씩 위상이 차이나는 4가지 발진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로컬 신호로서 출력하는 먹스; 및 상기 디지털 입력을 디코딩하여 상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디코더가 상기 4가지 발진 신호들 중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목표 위상값에 가까운 신호가 선택되도록 상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먹스에서 선택된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는 상기 RF 위상 쉬프터의 위상 조정량에 대한 부담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위상 변조 방법은, 디지털 입력에 따라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고, 콘트롤 전압에 따라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위상 조정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위상값을 가지는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로컬 신호를 기반으 로 기준 클럭 신호를 상기 디지털 입력에 대응되는 위상값만큼 위상 조정하여 변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 기준 신호와 피드백되는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콘트롤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변조 기준 신호에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위상 록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 변조(polar modulation) 방식 송신기(transmitter)(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300)는 로컬 신호 생성부(310), 위상 변조기(320) 및 파워 증폭기(Power Amplifier: PA)(330)를 포함한다.
상기 로컬 신호 생성부(310)는 PLL(Phase-Locked Loop: 위상 동기 루프)(311)를 이용하여 기준 클럭 신호(RCLK)에 위상 록킹된 로컬 신호(LO)를 생성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PLL(311)에 의하여 위상 록킹을 콘트롤하기 위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VCO(Voltage-Controlled Oscillator: 전압 제어 발진기)(312)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RCLK)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일정 로컬 발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VCO(312)에서 생성된 발진신호는 일정 버퍼(313)에서 버퍼링 된 후 상기 로컬 신호(LO)로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클럭 신호(RCLK)는 수정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깨끗하고 안정적인 기저 대역의 클럭 신호이고, 이보다 높은 고주파(Radio Frequency), 예를 들어, 일정 반송파 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로컬 신호(LO)가 상기 로컬 신호 생성부(310)에서 생성된다.
특히, CDMA, GPS, PCS, IMT2000, Wibro, WLAN, UWB, WiMax 방식 등에 모두 적응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스템 등 다중 대역 처리에 적합한 극 변조 방식을 채용하는 본 발명에서의 상기 송신기(300)에서는, 상기 VCO(312) 뒤에서 통과 대역(Passband)을 가지는 상기 로컬 신호(LO)의 고속 위상 변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위상 변조기(320)는 상기 로컬 신호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상기 로컬 신호(LO)를 위상 변조될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라 해당 위상값 만큼 위상 변조하여 위상 변조된 신호(PMS)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위상 변조기(320)에서 생성되는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가 위상 록킹되도록 하기 위한 기준 신호로서 상기 안정적인 기저 대역의 기준 클럭 신호(RCLK)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신기(300)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VCO(312)를 직접 또는 피드백 형태로도 제어하지 않으므로, 위상 쉬프트시에 종래에 나타날 수 있었던 상기 로컬 신호(LO) 또는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의 주파수 변화가 없다. 따라서, 고속으로 위상 변화를 일으켜서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가 빠르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심 사항은 아니지만, 상기 위상 변조기(320)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는 상기 파워 증폭기(330)에서 적절한 파워를 갖도록 증폭된 후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는 콘스턴트(constant) 엔벌롭(envelope)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QPSK, BPSK 등 변조 방식에 상관없이 상기 파워 증폭기(330)로서 포화 증폭기가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상 변조기(320)의 구체적인 블록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위상 변조기(320)는 RF(Radio Frequency) 위상 쉬프터(410), 리미터(limiter)(413),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420), 위상 제어 루프(430), 및 위상 에러 검출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RF 위상 쉬프터(410)는 DCPS(Digital-Controlled Phase Shifter: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411) 및 VCPS(Voltage-Controlled Phase Shifter: 전압-콘트롤 위상 쉬프터)를 포함한다. 상기 DCPS(411)는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라 목표 위상값에 가까이 로컬 신호(LO)를 위상 변화시켜서 위상 변화된 신호(SLO)를 생성한다. 상기 DCPS(411)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SLO)는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로부터의 콘트롤 전압(VCTRL)에 따라 상기 VCPS(412)에서 다시 정밀하게 위상 조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VCPS(412)에서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른 위상값을 가지는 위상 변조된 신호(PMS)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른 목표 위상값(TP)이 90도 인 경우에, 상기 DCPS(411)는 목표 위상값(TP)에 가까이, 즉, P1 만큼 위상 변화된 신호(SLO)를 생성하고, 상기 VCPS(412)는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SLO)를 다시 정밀하게 P2 만큼 더 위상 조정하여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 도 5내지 도 8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상기 DCPS(411) 및 상기 VCPS(412)는 저항 및 바랙터(varactor) 또는 스위치-커패시터(switched-capacitor)의 어레이를 가지는 R-C 필터를 이용하고,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 또는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에 따른 상기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변동시켜 위상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DCPS(411) 및 상기 VCPS(412)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를 이용하고,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 또는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에 따른 상기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위상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413)는 상기 로컬 신호(LO)를 입력받아 임계치 레벨과 비교하여 구형파처럼 로직 하이(logic high) 또는 로우(low) 신호를 가지도록 버퍼링된 클럭 신호(LCLK)를 생성한다.
상기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420)는 상기 로컬 신호(LO)가 상기 리미터(413)에서 버퍼링된 클럭 신호(LCLK)를 이용하여, 도 11과 같이, 기준 클럭 신호(RCLK)를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대응되는 위상값만큼 위상 조정하여 변조 기준 신호(REF)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로컬 신호(LO)가 상기 리미터(413)에서 버퍼링된 클럭 신호(LCLK)의 펄스 수가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대응되는 위상값, 예를 들어, 0, 90, 180, 270 도 만큼 일정 카운터에 의하여 카운트될 수 있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RCLK)가 상기 카운트 값만큼 위상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상기 변조 기준 신호(REF)는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RF 위상 쉬프터(410)에서 생성된 위상 변조된 신호(PMS)도 피드백되어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로 입력된다.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는 상기 변조 기준 신호(REF)와 피드백되는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로부터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을 생성하여 상기 변조 기준 신호(REF)에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PMS)를 위상 록킹시킨다.
도 4와 같이,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는 리미터(434), 주파수 분주기(435), 위상/주파수(Phase/Frequency) 검출기(431), 차지 펌프(charge pump)(432) 및 루프 필터(loop filter)(433)를 이용한다.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는 상기 피드백되는 위상 변조된 신호(PMS)를 주파수 분주한 신호(DIV)와 상기 변조 기준 신호(REF)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을 생성한다. 즉, 상기 리미터(434)는 상기 피드백되는 위상 변조된 신호(PMS)를 입력받아 임계치 레벨과 비교하여 구형파처럼 로직 하이 또는 로우 신호로 신호를 가지도록 버퍼링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주파수 분주기(435)는 상기 리미터(434) 출력을 주파수 분주한다. 상기 주파수 분주기(435)로부터의 상기 주파수 분주된 신호(DIV)는 상기 변조 기준 신호(REF)와 같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431)는 상기 주파수 분주된 신호(DIV)와 상기 변조 기준 신호(REF)의 위상을 비교하여 두 신호의 위상차 신호(PD)를 생성한다(도 11 참조).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는 디지털 회로로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위상차 신호(PD)도 디지털 값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위상차 신호(PD)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위상차 신호(PD)에서 양의 값(+) 및 음의 값(-)을 나타내는 신호들, 즉, 업(up) 신호 및 다운(down) 신호가 별도로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지 펌프(432)는 상기 위상차 신호(PD)에 따라 출력 전하량을 조절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위상차 신호(PD)가 업 신호 및 다운 신호로 분리되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지 펌프(432)에서 상기 업 신호에 의하여 출력 전하량이 증가되고, 상기 다운 신호에 의하여 출력 전하량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차지 펌프(432)의 동작에 따라, 상기 루프 필터(433)는 상기 차지 펌프(432) 출력에 대응되는 일정 전압을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으로서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상 변조기(320)는 위상 에러 검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에러 검출부(440)는 위상 에러 카운터(441) 및 결정부(442)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터(413) 출력(LCLK)와 상기 위상차 신호(PD)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되고 있는 상기 위상 변조 신호(PMS)의 위상 에러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상 에러 카운터(441)는 상기 리미터(413) 출력(LCLK)의 펄스 수를 상기 위상차 신호(PD)가 나타내는 위상만큼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정부(442)는 상기 위상 에러 카운터(441)에서 카운트한 값이 임계치(THV)보다 큰지 작은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운트한 값이 위상 20도를 나타내는 임계치(THV)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플래그 신호는 로직 하이를 가지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플래그 신호가 로직 로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DCPS(411)의 구체적인 회로의 일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DCPS(41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도 4의 VCPS(412)의 구체적인 회로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DCPS(411)는 인버터(inverter: 반전 회로) 형태의 버퍼 4개(510, 520, 550, 560), 저항(R1)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VC1)로 구성된 R-C로우 패스 필터(530), 및 저항(R2)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VC2)로 구성된 R-C 하이 패스 필터(540)를 포함한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530)와 상기 하이 패스 필터(540)의 동작을 통하여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SLO+, SLO-)이 180도 위상차이로 대칭적인 출력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들 R1 및 R2는 같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뿐만 아니라 상기 어레이들 VC1 및 VC2도 같은 크기로 커패시턴스 값이 변동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적인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6에서 상기 VCPS(412)는 인버터 형태의 버퍼 4개(610, 620, 650, 660), 저항(R1) 및 바랙터(VC1)로 구성된 R-C 로우 패스 필터(630), 및 저항(R2) 및 바랙터(VC2)로 구성된 R-C 하이 패스 필터(6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VCPS(412)는 상기 DCPS(41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도 5에서 상기 DCPS(411)의 상기 로우 패스 필터(530)와 상기 하이 패스 필터(540)를 구성하는 상기 어레이(VC1, VC2)의 커패시턴스 변동은 디지털 입력 VCTRL[N]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도 6에서 위상의 정밀 조정을 위하여 상기 로우 패스 필터(630)와 상기 하이 패스 필터(640)를 구성하는 바랙터들(VC1, VC2)의 커패시턴스 변동은 위상 제어 루프(430)로부터의 콘트롤 전압(VCTRL)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5와 같이, 상기 DCPS(411)는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LO+, LO-) 각 각이 버퍼(510/520)을 통과한 신호를 받기 위한 저항(R1/R2)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VC1/VC2)를 가지는 R-C 로우/하이 패스 필터(530/540)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라 상기 어레이(VC1/VC2)의 바랙터에 가해지는 전압을 다르게하거나 스위치-커패시터들의 개수를 선택함으로써 커패시턴스가 변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LO+, LO-) 각각이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SLO+/SLO-)가 버퍼(550/560)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들(510, 520)은 상기 차동 신호들(LO+, LO-)의 제로-크로싱(zero-crossing) 정보(예를 들어, 0 볼트 전압) 가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LO+, LO-)이 적절한 전압 내(예를 들어, 0~3 볼트 피크-피크)에서 스윙하는 경우에 상기 버퍼(510, 520)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퍼들(530, 540)은 상기 필터들(530, 540)에서 필터링된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적절한 전압 스윙을 가지도록 버퍼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옵션(optional)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VCPS(412)는 상기 DCPS(411)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SLO+, SLO-)을 받기 위한 저항(R1/R2) 및 바랙터(VC1/VC2)를 가지는 R-C 로우/하이 패스 필터(630/640)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에 따라 상기 바랙터(VC1/VC2)에 가해지는 전압이 다를 때, 커패시턴스가 변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SLO+, SLO-) 각각이 정밀 위상 조정되어 최종 위상 변조된 차동 신호들(PMS+/PMS-)이 버퍼(650/660)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버퍼들(610, 620, 650, 660)은 옵션일 수 있다.
도 4의 DCPS(411)의 구체적인 회로의 다른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DCPS(41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도 4의 VCPS(412)의 구체적인 회로의 다른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및 도 8에서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710/810)를 이용하여 다중 대역의 넓은 대역을 커버해야 하는 시스템에서도 좀더 빠른 속도로 위상 변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7에서, 상기 DCPS(411)는 고정 커패시터(CB1, CB2), 트랜스포머(710),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제1 및 제2 어레이(VC1, VC2)를 포함한다. 여기서도, 상기 어레이들 VC1 및 VC2이 같은 크기로 커패시턴스 값이 변동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적인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8에서, 상기 VCPS(412)는 고정 커패시터(CB1, CB2), 트랜스포머(810), 제1 바랙터(VC1), 제2 바랙터(VC2) 및 저항들(R1, R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VCPS(412)는 상기 DCPS(41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위상 제어 루프(430)로부터의 콘트롤 전압(VCTRL)이 적절히 상기 제1 및 제2 바랙터(VC1, VC2)로 전달 될 수 있도록 상기 저항들(R1, R2)을 가진다. 또한, 상기 DCPS(411)의 상기 어레이들(VC1, VC2)의 커패시턴스 변동은 디지털 입력 VCTRL[N]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위상의 정밀 조정을 위하여 상기 VCPS(412)를 구성하는 바랙터들(VC1, VC2)의 커패시턴스 변동은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7과 같이, 상기 DCPS(411)에서는, 차동이 아닌 단일 로컬 신호(LO)의 위 상 변화를 위하여 트랜스포머(710)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CB1/CB2)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VC1/VC2)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라 상기 어레이(VC1/VC2)의 바랙터에 가해지는 전압을 다르게하거나 스위치-커패시터들의 개수를 선택함으로써 커패시턴스가 변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상 변화된 신호(SLO)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CB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VCPS(412)는 상기 DCPS(411)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SLO)을 위상 조정하기 위하여 트랜스포머(810)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CB1/CB2) 및 바랙터(VC1/VC2)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저항(R1/R2)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콘트롤 전압(VCTRL)에 따라 상기 바랙터(VC1/VC2)에 가해지는 전압이 다를 때, 커패시턴스가 변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SLO)가 정밀 위상 조정되어 최종 위상 변조된 신호(PMS)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CB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VCO(312)로부터의 4가지 직각(quadrature) 발진 신호들(LOI+, LOI-, LOQ+, LOQ-)을 이용하는 경우의 위상 변조기(9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DCPS(930)은 도 4의 DCPS(411)에 대응되고, VCPS(940)은 도 4의 VCPS(412)에 대응된다. 상기 위상 변조기(900)는 먹스(multiplexer)(910) 및 디코더(decoder)(920)을 가진다.
상기 위상 변조기(900)에서는 4가지 직각 발진 신호들(LOI+, LOI-, LOQ+, LOQ-)을 이용하여 좀더 빠른 위상 변조가 가능하다. 즉, 상기 먹스(910)는 상기 디 코더(920)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따라 90 도씩 위상 차이나는 4가지 발진 신호들(LOI+, LOI-, LOQ+, LOQ-)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VCPS(940)로 입력될 로컬 신호(LO)로서 출력한다. 상기 발진 신호들(LOI+, LOI-, LOQ+, LOQ-)은 VCO(312)에서 생성될 수 있고, VCO(312)에서 모두 출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소정 PPF(Poly Phase Filter)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디코더(920)는 상기 4가지 발진 신호들 중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른 목표 위상값에 가까운 신호가 선택되도록 디지털 입력 VCTRL[N]을 디코딩하여 상기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먹스(910)에서 선택된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는 상기 DCPS(930) 및 상기 VCPS(940)의 위상 조정량에 대한 부담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출력되는 위상 변조된 신호(PMS)의 위상이 LOI+의 위상과 근접한 위치에 있고,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른 목표 위상값이 180도 위상 쉬프트인 경우에, 상기 디코더(920)로부터의 선택 신호는 상기 LOI+와 180도 위상 차이나는 LOI-가 선택되도록 해당 디지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먹스(910)는 LOI-를 로컬 신호(LO)로서 선택하여 상기 DCPS(93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 상기 DCPS(930) 및 상기 VCPS(940), 즉, 도 4의 RF 위상 쉬프터(410)에서는 180도를 모두 위상 쉬프트할 필요 없고, 상기 먹스(910)에서 선택된 신호의 에러만 보상하는 정도의 작은 조정량으로 해당 위상 변조된 신호(PMS)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 변조기(320)에서는, RF 위상 쉬프터(410)가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라 VCO(312)에서 생성된 로컬 신호(LO)의 위상을 변조할 때, 상기 RF 위상 쉬프터(410)는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420)가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라 기준 클럭 신호(RCLK)와 상기 로컬 신호(LO)로부터 생성한 변조 기준 신호(REF)에 위상 록킹되도록 위상 제어 루프(43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위상 제어 루프(430)는 상기 RF 위상 쉬프터(410)에서 생성된 위상 변조된 신호(PMS)가 상기 디지털 입력 VCTRL[N]에 따른 위상값을 가지도록 상기 변조 기준 신호(REF)를 이용하여 위상 록킹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상 변조기에서는, VCO 뒤에서 통과 대역 신호를 위상 변조하므로, QPSK, BPSK 등 다양한 위상 변조 방식에 대하여 다중 대역 처리를 위한 고속 극 변조기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고속 무선 통신을 위한 휴대 폰, DMB 폰, PDA 등이나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송신기에 적용되어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3)

  1. 디지털 입력에 따라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고, 콘트롤 전압에 따라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위상 조정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위상값을 가지는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RF 위상 쉬프터;
    상기 로컬 신호를 기반으로 기준 클럭 신호를 상기 디지털 입력에 대응되는 위상값만큼 위상 조정하여 변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 및
    상기 변조 기준 신호와 피드백되는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콘트롤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변조 기준 신호에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위상 록킹시키는 위상 제어 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신호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에 위상 록킹된 발진 신호이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보다 주파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럭 신호는 수정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기저 대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위상 쉬프터는,
    상기 로컬 신호가 로직 하이 또는 로우 신호로 버퍼링된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에 대응되는 위상값만큼 상기 기준 클럭 신호를 위상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 루프는,
    상기 피드백되는 위상 변조된 신호를 주파수 분주한 신호와 상기 변조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콘트롤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 루프는,
    상기 피드백되는 위상 변조된 신호를 로직 하이 또는 로우 신호로 버퍼링하는 리미터;
    상기 리미터 출력을 주파수 분주하는 분주기;
    상기 주파수 분주된 신호와 상기 변조 기준 신호의 위상 비교하여 위상차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주파수 검출기;
    상기 위상차 신호에 따라 출력 전하량을 조절하는 차지 펌프; 및
    상기 차지 펌프 출력에 대응되는 일정 전압을 상기 콘트롤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루프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신호와 상기 로컬 신호를 기반으로 위상 에러를 검출하는 위상 에러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에러 검출부는,
    상기 로컬 신호가 로직 하이 또는 로우 신호로 버퍼링된 신호의 펄스 수를 상기 위상차 신호가 나타내는 위상만큼 카운트하는 위상 에러 카운터; 및
    상기 카운트값이 임계치보다 큰지 작은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를 생성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위상 쉬프터는,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 각각을 받기 위하여 저항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를 가지는 R-C 필터에서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상기 어레이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 각각을 위상 변화시키는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 및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을 받기 위하여 저항 및 바랙터를 가지는 다른 R-C 필터에서 상기 콘트롤 전압에 따른 상기 바랙터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을 위상 조정하여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의 차동 신호 들을 생성하는 전압-콘트롤 위상 쉬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위상 쉬프터는,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를 가지고, 상기 로컬 신호를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받아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상기 어레이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고,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 및
    다른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바랙터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상기 다른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받아 상기 콘트롤 전압에 따른 상기 바랙터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디지털-콘트롤 위상 쉬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위상 조정하여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상기 다른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전압-콘트롤 위상 쉬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선택 신호에 따라 90 도씩 위상 차이나는 4가지 발진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로컬 신호로서 출력하는 먹스; 및
    상기 디지털 입력을 디코딩하여 상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4가지 발진 신호들 중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목표 위상값에 가까운 신호가 선택되도록 상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먹스에서 선택된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는 상기 RF 위상 쉬프터의 위상 조정량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조기는 극 변조 방식 송신기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기.
  14. 디지털 입력에 따라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고, 콘트롤 전압에 따라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위상 조정하여,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위상값을 가지는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로컬 신호를 기반으로 기준 클럭 신호를 상기 디지털 입력에 대응되는 위상값만큼 위상 조정하여 변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 기준 신호와 피드백되는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콘트롤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변조 기준 신호에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위상 록킹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신호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에 위상 록킹된 발진 신호이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보다 주파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럭 신호는 수정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기저 대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되는 위상 변조된 신호를 주파수 분주한 신호와 상기 변조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가 위상 록킹되도록 상기 콘트롤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 각각을 받기 위하여 저항 및 바랙터 또는 스 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를 가지는 R-C 필터에서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상기 어레이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로컬 신호의 차동 신호들 각각을 위상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을 받기 위하여 저항 및 바랙터를 가지는 다른 R-C 필터에서 상기 콘트롤 전압에 따른 상기 바랙터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위상 변화된 차동 신호들을 위상 조정하여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의 차동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바랙터 또는 스위치-커패시터의 어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로컬 신호를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받아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상기 어레이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로컬 신호를 위상 변화시키고,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다른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측 코일 각각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바랙터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상기 다른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받아 상기 콘트롤 전압에 따른 상기 바랙터의 커패시턴스를 변동시켜 상기 위상 변화된 신호를 위상 조정하여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상기 다른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을 디코딩하여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90 도씩 위상 차이나는 4가지 발진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로컬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4가지 발진 신호들 중 상기 디지털 입력에 따른 목표 위상값에 가까운 신호가 선택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조 방법은 극 변조 방식 송신기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변조 방법.
  23. 제 14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0000751A 2006-01-04 2006-01-04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51A KR100656956B1 (ko) 2006-01-04 2006-01-04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
US11/471,512 US7400211B2 (en) 2006-01-04 2006-06-21 High speed passband phase 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51A KR100656956B1 (ko) 2006-01-04 2006-01-04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956B1 true KR100656956B1 (ko) 2006-12-14

Family

ID=3773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751A KR100656956B1 (ko) 2006-01-04 2006-01-04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00211B2 (ko)
KR (1) KR100656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680B2 (en) * 2005-12-20 2009-0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on path delay mismatch compensation in a polar modulation transmitter
US9319021B2 (en) 2012-11-30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ly controlled phase shif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646A (ko) * 1996-12-20 2000-11-2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위상 동기 루프에 의해 수행된 직접 디지털 합성기를 포함하는 연속 위상 변조기
KR20050070044A (ko) * 2002-10-08 2005-07-05 엠/에이-컴, 인크. 전달 함수 결정 방법, 입력 파의 전자기 처리 방법, 입력파의 전자기 처리 장치 및 신호 송신기
JP2005191999A (ja) 2003-12-26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変調器、半導体集積回路、有線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20050083741A (ko) * 2002-10-08 2005-08-26 엠/에이-컴, 인크. 변조된 출력 신호를 적응성 재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9352B2 (en) * 2006-04-04 2008-01-15 Johann-Christoph Scheytt Phase and amplitude modul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646A (ko) * 1996-12-20 2000-11-2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위상 동기 루프에 의해 수행된 직접 디지털 합성기를 포함하는 연속 위상 변조기
KR20050070044A (ko) * 2002-10-08 2005-07-05 엠/에이-컴, 인크. 전달 함수 결정 방법, 입력 파의 전자기 처리 방법, 입력파의 전자기 처리 장치 및 신호 송신기
KR20050083741A (ko) * 2002-10-08 2005-08-26 엠/에이-컴, 인크. 변조된 출력 신호를 적응성 재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5191999A (ja) 2003-12-26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変調器、半導体集積回路、有線および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52767A1 (en) 2007-07-05
US7400211B2 (en)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2163B (zh) 数字锁相环的两点注入式宽带直调
US7755443B2 (en) Delay-based modulation of RF communications signals
US8126401B2 (en) Transmitter PLL with bandwidth on demand
US8013681B2 (en) Wide spectrum radio transmit architecture
US7933359B2 (en) Polar transmitter for increasing modulation rate using multi-phase generator
US20200403627A1 (en) Clock and data recovery devices with fractional-n pll
WO2023034003A1 (en) Differential digital-to-time converter for even-order inl cancellation and supply noise/disturbance rejection
US201402181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scillating output signal
US20180191360A1 (en) Tuned offset phase-locked loop transmitter
US20150263670A1 (en) Frequency Modulation Based on Two Path Modulation
JP6594457B2 (ja) 電圧制御発振器の制御されたミューティングおよび出力増減
US7667551B2 (e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or having sigma-delta modulated phase rotator
KR100656956B1 (ko) 고속 통과 대역 위상 변조 장치 및 그 방법
EP1929643B1 (en) Receiv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N201270504Y (zh) 频率合成器
US8638141B1 (en) Phase-locked loop
CN110519193A (zh) Ce-ofdm相位解调系统及解调方法
US8995506B2 (en) Transceiver with sub-sampling based frequency synthesizer
JP4045978B2 (ja) デジタル信号送受信機
KR20020000895A (ko) 통신 시스템
JP4751427B2 (ja) 通信システム
US20090098833A1 (en) Optical module
US9350364B1 (en) Phase-locked loop circuit having low close-in phase noise
Staszewski All-digital RF frequency modulation
Mueller et al. Novel system clock generation from a modulated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