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487B1 -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487B1
KR100655487B1 KR1020040059622A KR20040059622A KR100655487B1 KR 100655487 B1 KR100655487 B1 KR 100655487B1 KR 1020040059622 A KR1020040059622 A KR 1020040059622A KR 20040059622 A KR20040059622 A KR 20040059622A KR 100655487 B1 KR100655487 B1 KR 100655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handle
display
groov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994A (ko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경미건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미건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미건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4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에 고정 설치되어 출입문을 열고 닫는데 사용하는 출입문 손잡이(10)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손잡이(10)는 요홈(15)이 음각 형성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 요홈(15)에 투입되는 유색 액상 수지로부터 고형화되면서 본체부(11)에 고정되는 표시부(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지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투명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투명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본체부(11)에 음각 형성된 요홈(15)의 형상에 따라 유색 액상 수지가 고형화되어 그 형태가 표시 기능을 하므로 요홈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액상이 고형화하면서 본체부(11)의 요홈(15)에 고착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표시부(13)가 파손되거나 이탈할 가능성이 없으며, 표시부(13)와 본체부(11)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외관상 미려한 장점이 있으며, 제작 공정이 단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문손잡이, 음각, 요홈, 액상 수지

Description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A door knob with indicating function and a method to produce the door knob}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사시도이다.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출입문 손잡이 사시도이다.
도3 은 도2 출입문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사시도이다.
도5 는 도4 의 'A-A'부 단면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의 도5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출입문 손잡이
11 : 본체부 13 : 표시부
15 : 요홈
본 발명은 출입문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표시부를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내충격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형태의 표시를 하는 것이 용이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 은 실용1986-0005617에 의하여 공개된 종래 기술에 의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출입문 손잡이(100)는 음각 형성된 요입부(102)와, 상기 요입부(102)보다 더 깊게 음각 형성되어 표지판(103)을 설치하는 삽입부(106)와, 상기 삽입부(106)의 모서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공(107)을 구비하는 본체부(101)와; 상기 본체부 삽입부(106)에 장치되는 표지판(103)과; 상기 표지판(103)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107)에 끼워지는 돌봉(108)을 구비하며 상기 요입부(102)에 안착되는 투명판(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자판(103)에는 출입문 손잡이의 열림 방향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 출입문 손잡이가 부착되는 건물의 표시, 건물 소유자의 상표 등을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판(105)은 표지판(103)에 표시된 기호, 문자 또는 상표 등을 외부 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며, 상기 장착 후 투명판(105)이 본체부(1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판(105)과 요입부(102)가 접하는 부분을 접착제로 도포 고정하며, 돌봉(108)을 구비하고 돌봉(108)이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본체부(101)에는 결합공(107)을 형성한다.
도2 및 도3은 실용1987-0001032에 공개된 종래 기술에 의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다른 출입문 손잡이(200)를 도시한 것으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200)는 삽입부(202)가 형성된 본체부(201)와, 상기 본체부(201)에 형성된 삽입부(202)에 고정 설치되며 열림, 닫힘 등 표시 문자나 기호가 형성된 표지판(204)과, 상기 표시판(204)을 덮도록 상기 표지판(204) 위로 설치되는 투명판(205)과, 상기 표지판(204) 및 투명판(205)을 고정하기 위한 안내 지지구(20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판(205)은 상기 표지판(204)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료를 사용한다. 도3 에서 미설명 부호 206은 출입문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0, 2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본체부(101, 201)에 삽입부(106, 202)나 요입부(102)를 형성하여 표지판(103, 204)을 설치하고 표지판(103, 204) 위로 투명판(105, 205)을 설치하므로 본체부(101, 201)에 형성된 삽입부(106, 202)나 요입부(102)에 설치될 수 있도록 표지판(103, 204)과 투명판(105, 205)의 크기를 삽입부(106, 202)나 요입부(102)의 크기에 맞추어 정밀 가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본체부(101, 201)에 표지판(103, 204)을 고정하기 위하여 투명판(105, 205)과 본체부(101, 201) 사이에는 접착제나 안내 지지구(203)와 같은 고정 수단이 필요하며, 투명판(105, 205)이 고정 수단에 의하여 본체부(101, 201)에 고정되므로 투명판(105, 205)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본체부(101, 201)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표지판(103, 204)이 손상되거나 분리 이탈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문 본체부에 요홈을 음각 형성하고, 상기 음각 형성된 요홈에 유색 액상 수지 등을 투입하고 고형화시켜 고정하므로 요홈의 형상만으로 다양한 형태의 표시를 할 수 있으므로 가공 공정이 간단하며, 액상 수지가 고형화하면서 요홈에 고착되므로 별도의 고정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내충격성이 향상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각 형성된 요홈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요홈부에 투입된 유색 액상 수지가 고형화되면서 고착된 표시부로 이루어진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시부를 덮는 별도의 덮개판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덮개판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요홈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표시부와 본체부의 요홈에서 고형화하면서 고착되어 형성되므로 내충격성이 향상되며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 는 도4 에 도시된 출입문 손잡이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4 및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는 요홈(15)이 음각 형성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 요홈(15) 투입되어 고형화하면서 본체부(11)에 고착되는 표시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1)에 음각 형성되는 요홈(15)은 회사의 상표, 건물 소유회사의 로고, '여시오'나 '당기시오'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형태로 음각 형성된 요홈(15)에 유색 액상 수지를 투입하고 시 간이 경과하면 고형화하면서 상기 유색 액상 수지는 표시부(13)을 형성하게 되어 음각 형성된 요홈(15)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5)에 음각 형성된 요홈(15)에 유색 액상 수지를 투입하고 유색 액상 수지가 고형화된 후 본체부(11)의 전면부 표면(B) 높이에 맞추어 돌출된 표시부(13)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기도 한다.
상기 본체부(11)는 목재, 알루미늄, 철, 플라스틱, 인조 대리석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1)에 음각 형성된 요홈(15)에 투입되어 고형화되면서 고착되어 표시부(13)로 되는 액상 수지는 에폭시 수지, 액상 플라스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체부(11)를 제조하고 난 후에 절삭 가공과 같은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본체부(11)에 요홈(15)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체부(11)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본체부(11)에 요홈(15)를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본체부(11) 및 본체부에 요홈(15)을 형성할 수 있다.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도5 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는 표시부(13)가 본체부(11) 전면부 표면(B)보다 돌출 형성된다. 상기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는 본체부(11) 전면부 표면(B)보다 표시부(13)를 돌출 형성하므로써 출입문 손잡이(10)의 미적 기능을 향상하고 장애인 등에게 출입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6 에 도시된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는 먼저 출입문 손잡이 본체부(10)에 요홈(15)을 음각 형성하고, 상기 음각 형성된 요홈(15)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표시부(13)를 가공하여 상기 요홈(15)에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하여 표시부(13)를 조립한다.
상기 기재한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출입문 손잡이(10) 본체부(11)에 음각 형성된 요홈(15)에서 표시부(13)인 유색 액상 수지가 고형화 되면서 고정되므로 표시부(13)를 고정하기 위하여 투명 덮개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나 나사못과 같은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음각 형성된 요홈(15)의 형상에 따라 유색 액상 수지가 고형화되므로 별도의 가공 없이 요홈(15)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액상이 고형화하면서 요홈(15)에 고착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표시부가 파손되거나 이탈할 가능성이 없으며, 표시부(13)가 본체부(11)에 고착되면서 형성되므로 외관상 미려한 장점이 있으며, 제작 공정이 단순한 효과가 있다. 한편, 표시부(13)를 본체부(11) 요홈(15)에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하여 돌출 형성하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의 경우에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하여 표시부(13)를 본체부(11)에 고정하므로 표시부(13)를 고정하기 위한 덮개판이 필요하지 않으며,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하여 고정하므로 접착제나 나사못과 같은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표시부(13)가 돌출 형성되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장애인 등에게 출입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출입문에 고정 설치되어 출입문을 열고 닫는데 사용하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손잡이(10)는 표시 기능을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요홈(15)이 음각 형성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 요홈(15)의 크기보다 크게 가공되어 상기 요홈(15)에 억지 끼워 맞춤되면서 상기 본체부(11)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1)의 전면부 표면(B)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표시부(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
  4.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손잡이 본체부(11)에 요홈(15)을 음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홈(15)에 액상 수지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요홈(15)에 투입된 액상 수지를 고형화하는 단계, 상기 고형화된 액상 수지에서 본체부(11) 전면부 표면(B)보다 높은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10) 제조 방법.
KR1020040059622A 2004-07-29 2004-07-29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0655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622A KR100655487B1 (ko) 2004-07-29 2004-07-29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622A KR100655487B1 (ko) 2004-07-29 2004-07-29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635U Division KR200366940Y1 (ko) 2004-07-29 2004-07-29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994A KR20060010994A (ko) 2006-02-03
KR100655487B1 true KR100655487B1 (ko) 2006-12-12

Family

ID=3712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622A KR100655487B1 (ko) 2004-07-29 2004-07-29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4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226U (ko) * 1991-08-07 1993-03-20 김철용 양산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226U (ko) * 1991-08-07 1993-03-20 김철용 양산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994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91843U (zh) 用于车辆的输入装置
KR100655487B1 (ko)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200366940Y1 (ko)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출입문 손잡이
JP5039501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CN203799896U (zh) 金属框架结构的玻璃面板墙壁开关盒
KR200459793Y1 (ko) 광고용 장식구
WO2002062693A8 (en) Decorative reel housing
JP2007288322A (ja) パネル構造
CN201937753U (zh) 一种液晶电视装饰条及其安装结构
KR200228481Y1 (ko) 페어글라스 창호
KR200387618Y1 (ko) 벽면매립형 스위치용 플레이트
KR20050091431A (ko) 디스플레이 프레임
CN215815046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广告标识牌
CN209591317U (zh) 一种二维码标示牌
CN213637833U (zh) 一种手机电池盖装饰片
KR200356801Y1 (ko) 발광형 액자
CN217581746U (zh) 一种分体式导向块组件
CN203796064U (zh) 保险箱装饰门板
KR200403722Y1 (ko) 도어장식물
CN201336007Y (zh) 计算机机箱
KR200263970Y1 (ko) 장식용 액자
KR100493876B1 (ko) 게시판 및 게시판 부착용 액자
KR200365798Y1 (ko) 장식용 접시
KR200317254Y1 (ko) 얼룩말무늬를 갖는 틀재로 조립된 액자
KR100524495B1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