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952B1 -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52B1
KR100654952B1 KR1020060080082A KR20060080082A KR100654952B1 KR 100654952 B1 KR100654952 B1 KR 100654952B1 KR 1020060080082 A KR1020060080082 A KR 1020060080082A KR 20060080082 A KR20060080082 A KR 20060080082A KR 100654952 B1 KR100654952 B1 KR 10065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otation
socket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광
Original Assignee
금정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정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금정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6008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열등 및 형광등과 같이 수명이 다한 램프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조명기구의 탈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실내 벽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램프의 발광을 위한 전기설비가 탑재되는 본체, 및 상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일측면 및 상면이 개구되며 제1회전구멍이 형성된 중공을 갖추고, 저면은 인입홈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중공에 탑재되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제1회전구멍에 연통하는 제2회전구멍과, 상기 제2회전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과, 상기 제2회전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 배치되는 접속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설비와 통전시키는 단자로 된 통전부재; 일측면에 형성되어 양단이 개구되도록 길게 형성된 인입라인과, 상기 제1,2회전구멍과 연통하는 회전축 고정구멍과, 상기 통전부재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통전막대와, 상기 인입라인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통전막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램프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접전편과, 상기 인입라인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로 된 소켓;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회전구멍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고정구멍과 연동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형성된 홈과,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와,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통전막대를 상기 접속대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으로 된 핸들; 및 상기 소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라인과 상하로 연통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에 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저면이 상기 이동부재와 맞물리면서 상기 이동홈과 연통된 상기 인입라인으로도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대로 된 회전방지기구로 구성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Attaching structure of Lamp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램프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통전부재 내 통전막대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케이스 내 소켓과 회전방지기구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구조에서 형광등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하우징 110 ; 전선인입구
120 ; 갓 200 ; 본체
300, 300' ; 고정체 310 ; 소켓
311 ; 인입라인 312 ; 이동부재
313 ; 회전축 고정구멍 314 ; 통전막대
320 ; 핸들 322 ; 회전축
324 ; 토션스프링 330 ; 케이스
331 ; 인입홈 332 ; 회전구멍
340 ; 회전방지기구 341 ; 걸림대
342 ; 이동홈 350 ; 통전부재
351, 351' ; 가이드홈 352, 352' ; 단자
353 ; 회전구멍
본 발명은 백열등 및 형광등과 같이 수명이 다한 램프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조명기구의 탈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는 영구적인 물품이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교체 또는 교환해서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조명기구는 전기기구이므로, 램프의 교체과정 중 감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고, 교체의 편의를 위해 램프와 소켓 간의 물리적인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부주의할 경우엔 결합된 램프가 소켓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에 의한 파손을 야기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램프를 교체할 경우엔 램프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여 사용자가 소켓과 접촉하더라도 감전되지 않도록 하고, 교체가 완료되면 램프가 소켓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벽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램프의 발광을 위한 전기설비가 탑재되는 본체, 및
상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일측면 및 상면이 개구되며 제1회전구멍이 형성된 중공을 갖추고, 저면은 인입홈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중공에 탑재되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제1회전구멍에 연통하는 제2회전구멍과, 상기 제2회전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과, 상기 제2회전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 배치되는 접속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설비와 통전시키는 단자로 된 통전부재; 일측면에 형성되어 양단이 개구되도록 길게 형성된 인입라인과, 상기 제1,2회전구멍과 연통하는 회전축 고정구멍과, 상기 통전부재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통전막대와, 상기 인입라인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통전막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램프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접전편과, 상기 인입라인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로 된 소켓;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회전구멍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고정구멍과 연동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형성된 홈과,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와,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통전막대를 상기 접속대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으로 된 핸들; 및 상기 소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라인과 상하로 연통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저면이 상기 이동부재와 맞 물리면서 상기 이동홈과 연통된 상기 인입라인으로도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대로 된 회전방지기구로 구성되는 고정체;
로 이루어진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램프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의 실시예로 상기 램프는 막대형 형광등으로 하고, 형광등(400)의 작동원리는 본 발명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형광등(400)은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전극단자(410)를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형광등(400)을 실내에 물리적으로 고정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하우징(100)과 결합한다. 이때, 상기 형광등(400)과 하우징(100) 간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은 한 쌍의 고정체(300, 300')를 매개로 하며, 상기 고정체(300, 30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갓(120) 사이로 삽입 배치된다.
본체(200)는 상기 고정체(300, 300')를 하우징(100)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진 않지만 고정체(300, 300')의 단자(352)와 통전하는 전선과 안정기, 콘덴서 등 형광등을 발광시킬 수 있는 각종 전기설비들을 탑재한다.
상기 형광등(400)은 양단에 각각 전극단자(4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극단 자(410)는 형광등(400)으로의 전기공급수단과 물리적인 고정수단으로 활용된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고정체(300, 300')에는 전극단자(410)가 삽입되는 인입라인(311)을 구비한 소켓(31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300, 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체(300)는 고정체(3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330)와, 상기 케이스(330) 내에 탑재되는 통전부재(350)와, 상기 통전부재(350)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켓(310)과, 상기 소켓(3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막는 회전방지기구(340)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소켓(3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30)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구된 중공을 가지며, 하단 중심에는 회전구멍(332)이 형성된다. 또한, 저면에는 인입홈(331)이 형성되어서, 상기 형광등(400)의 전극단자(410)가 상기 중공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330)는 상기 본체(200)에 고정될 것이다.
상기 통전부재(350)는 상기 케이스(330)의 중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회전구멍(332)에 연통하는 회전구멍(353)을 갖추고, 상기 회전구멍(353)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절개된 한 쌍의 가이드홈(351, 35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351, 351')의 일단에는 통전막대(314)와 접촉하여 통전하는 접속대(352a)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대(352a)는 본체(200) 내 전기설비와 통 전하기 위한 단자(3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대(352a)의 배치위치가 중요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대(352a)는 한 쌍의 가이드홈(351, 351')의 일단에만 위치하면서 각각의 가이드홈(351, 351')에 위치한 한 쌍의 접속대(352a, 352a' ; 도 3 참조)는 회전구멍(353)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상기 소켓(310)는 상기 케이스(330)의 회전구멍(332) 및 상기 통전부재(350)의 회전구멍(353)에 연통하는 회전축 고정구멍(313)을 갖추고, 일측면은 양단으로 개구되는 인입라인(311)이 형성되며, 상기 통전부재(350)와 맞닿는 타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351, 351')으로 각각 삽입하는 한 쌍의 통전막대(3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통전막대(314)는 상기 인입라인(311)에 배치된 접전편(316 ; 도 4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인입라인(311)의 상단은 상기 인입라인(31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312)가 배치된다. 상기 이동부재(312)는 양단에 끼움돌부(312a)를 갖추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이동부재(312) 내 양측면에는 맞물림홈(315)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이동부재(312)의 끼움돌부(312a)가 상기 맞물림홈(315)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인입라인(311) 내 상기 이동부재(312)의 이동을 원활하면서 이탈없이 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이동부재(31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좋을 것이므로, 상기 맞물림홈(315)을 일정거리만큼 형성시켜서, 상기 일정거리 내로 이동부재(312)의 이동범위를 한정한다.
상기 이동부재(312)의 상면은 원형인 상기 소켓(310)에 상응하게 곡면으로 되어서, 상기 이동부재(312)가 상기 인입라인(311) 내 최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소켓(310)이 완전한 원형이 된다.
상기 핸들(320)은 상기 케이스(330)의 타측면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원형으로, 상기 회전구멍(332, 353)과 상기 회전축 고정구멍(313)을 관통하는 회전축(322)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322)의 둘레부에는 홈(32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22)은 회전구멍(332, 353)으로 관통하여 회전하지만, 상기 회전축 고정구멍(313)과는 단단히 체결되어서 상기 회전축(322)이 회전하면 상기 소켓(310)도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홈(323) 내에는 회전축(322)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324)이 탑재되어서, 상기 핸들(320)이 회전하면 복원력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310)의 작동을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상기 핸들(320)의 외면에는 돌부(321)을 둘 수 있는데, 상기 돌부(321)는 사용자가 핸들(320)을 조작함에 있어 편의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방지기구(340)는 상하로 형성된 이동홈(342)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홈(342)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대(34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대(341)는 그 저면이 상기 이동부재(312)의 상면과 맞닿아, 상기 이동부재(312)의 이동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312)가 상기 인입라인(311)의 안쪽으로 유입되면 상기 걸림대(341) 또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인입라인(311)으로 일부가 삽입되고, 이로인해 상기 이동홈(342)과 인입라인(311) 사이에 걸림 대(341)가 끼워져 소켓(310)의 회전은 정지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작동모습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통전부재 내 통전막대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전부재(350)는 소켓(310)의 통전막대(314)가 가이드홈(351, 351')으로 각각 삽입되면서 맞물려서 회전축(32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320)을 회전시켜 가이드홈(351, 351') 내 통전막대(31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351, 351') 내에는 단자(352, 3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대(352a)가 배치되어서, 상기 통전막대(314)의 위치조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통전된다.
도 3(a)는 통전막대(314)와 접속대(352a)가 서로 이격되어 통전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상태를 만들기 위해 사용자가 토션스프링(324)의 반발력 이상의 힘으로 핸들(320)을 회전시킨다.
도 3(b)는 통전막대(314)와 접속대(352a)가 서로 맞닿아 통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24)의 탄발력으로 상기 소켓(31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접속대(352a)와 통전막대(314)가 서로 접촉하여 통전하고, 상기 단자(352, 352')로부터 유입되는 전기가 접속대(352a), 통전막대(314) 및 접전편(316)을 통해 형광등(400)의 전극단자(41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51, 351')은 한정된 범위로 절개 형성되므로, 상기 통전막대(314)가 가이드홈(351, 351')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형광등(400)의 회전각도는 제한을 받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케이스 내 소켓과 회전방지기구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구조에서 형광등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구조는 형광등(400)의 탈부착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극단자(410)는 소켓(310)의 인입라인(311)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체(300)에 전기적 물리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라인(311)은 케이스(330)의 저면에 형성된 인입홈(331)과 연통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극단자(410)가 상기 인입홈(331)을 경유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312)는 인입라인(31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인입라인(311)의 상면과 맞닿은 상기 회전방지기구(340)의 걸림대(341)는 이동홈(34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단부가 인입라인(311)에 삽입된다. 즉, 소켓(310)은 상기 걸림대(341)가 이동홈(342)과 인입라인(311) 사이에 배치되면서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된다. 상기 도 4(a)의 도면은 도 3(a)의 상태로, 상기 소켓(310)은 토션스프링(324)으로부터 탄발력을 받고 있는 상태다.
도 4(b)는 상기 인입라인(311)으로 형광등(400)의 전극단자(410)가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형광등(400)을 밀어올리면 그 힘으로 이동부 재(312)가 상방이동하고, 상기 이동부재(312)는 걸림대(341)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최종적으로, 전극단자(410)가 접전편(316)과 접촉할 수 있는 상당한 높이로 삽입되면 상기 이동부재(312)는 인입라인(311) 내에서 최고점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대(341)는 그 하단부가 인입라인(311)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324)의 탄발력으로 빠르게 회전하여 상기 인입홈(331)을 폐구한다.
결국, 상기 전극단자(410)는 상기 접전편(316)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라인(311) 내에 위치하고, 물리적으로 상기 고정체(3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형광등(400)의 교체 등을 위해 고정체(300)로부터 형광등(400)을 분리하려면 상기 핸들(32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전하는 소켓(310)의 인입라인(311)이 상기 이동홈(342)과 일직선상에 놓이면서 하중으로 형광등(400)이 하방이동한다. 이후, 상기 전극단자(410)에 지지되는 이동부재(312)가 하방이동하고, 상기 걸림대(341) 또한 하방이동하면서 인입라인(311)에 그 하단부가 걸려 상기 소켓(310)은 상기 토션스프링(324)의 탄발력을 버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형광등(400)을 교체한 후 새로운 형광등을 인입라인(311)을 따라 삽입하면 상기 이동부재(312) 및 걸림대(341)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소켓(310)을 토션스프링(324)의 탄발력으로 빠르게 복귀시켜 교체된 형광등이 고정체(300, 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형광등과 같은 램프를 소켓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쉽게 하고, 형광등의 분리를 위해 형광등을 회전시키면, 소켓으로 흐르는 전기가 단전되면서 감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 형광등의 바른 끼움 즉시 상기 형광등과 소켓이 서로 고정되므로 램프의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내 벽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램프의 발광을 위한 전기설비가 탑재되는 본체, 및
    상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일측면 및 상면이 개구되며 제1회전구멍이 형성된 중공을 갖추고, 저면은 인입홈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중공에 탑재되는 평판형상으로, 상기 제1회전구멍에 연통하는 제2회전구멍과, 상기 제2회전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과, 상기 제2회전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 배치되는 접속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설비와 통전시키는 단자로 된 통전부재; 일측면에 형성되어 양단이 개구되도록 길게 형성된 인입라인과, 상기 제1,2회전구멍과 연통하는 회전축 고정구멍과, 상기 통전부재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통전막대와, 상기 인입라인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통전막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램프의 전극단자와 접하는 접전편과, 상기 인입라인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로 된 소켓;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회전구멍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고정구멍과 연동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형성된 홈과,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와,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통전막대를 상기 접속대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으로 된 핸들; 및 상기 소켓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라인과 상하로 연통하는 이동 홈과, 상기 이동홈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저면이 상기 이동부재와 맞물리면서 상기 이동홈과 연통된 상기 인입라인으로도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대로 된 회전방지기구로 구성되는 고정체;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KR1020060080082A 2006-08-23 2006-08-23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KR10065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82A KR100654952B1 (ko) 2006-08-23 2006-08-23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82A KR100654952B1 (ko) 2006-08-23 2006-08-23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52B1 true KR100654952B1 (ko) 2006-12-06

Family

ID=3773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082A KR100654952B1 (ko) 2006-08-23 2006-08-23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179B1 (ko) 2007-04-19 2007-08-01 (주)평화엔지니어링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전등 설치구조
KR101244572B1 (ko) 2011-10-07 2013-03-25 저스트에너지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감전방지 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179B1 (ko) 2007-04-19 2007-08-01 (주)평화엔지니어링 관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전등 설치구조
KR101244572B1 (ko) 2011-10-07 2013-03-25 저스트에너지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감전방지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954B1 (ko) 공동주택 내 형광등형 조명기구
US8215820B2 (en) LED night-light
US6019477A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US9853256B2 (en) Battery box and a necklace provided with the same
JP2016058394A (ja) 管状光源のための端部キャップ
KR101092612B1 (ko) 슬라이딩 체결 및 접점구조를 갖는 천장용 조명등
RU2322742C2 (ru) Ламповый узел и лампа для светильника
KR20130007383U (ko) 형광등 홀더 조립체
JP2013508933A (ja) 照明器具
CN110762492A (zh) 固定座、灯具固定装置以及灯具
US20190242531A1 (en) Lighting Lamp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654952B1 (ko) 실내용 램프의 탈부착구조
CN210772011U (zh) 固定座、灯具固定装置以及灯具
KR101532869B1 (ko) 엘이디 조명등장치
CN114321786A (zh) 灯具安装结构及灯具
KR20100008100U (ko) 개량 형광등 소켓
JP2006309966A (ja) 照明器具
KR20200074533A (ko) 원터치 착탈식 조명 시스템
KR102606223B1 (ko) 직선형 마그네틱 엘이디 조명등
KR101511643B1 (ko) 착탈식 소켓이 구비된 등기구 장치
US20050265032A1 (en) Fluorescent utility light
CN114334508A (zh) 控制盒组件、灯具组件及可拼接灯具
JP6205672B2 (ja) 照明器具
JPH07302507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