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942B1 - 트위스트 드릴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42B1
KR100654942B1 KR1020060004898A KR20060004898A KR100654942B1 KR 100654942 B1 KR100654942 B1 KR 100654942B1 KR 1020060004898 A KR1020060004898 A KR 1020060004898A KR 20060004898 A KR20060004898 A KR 20060004898A KR 100654942 B1 KR100654942 B1 KR 10065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 drill
drill
inclination angle
land portion
web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예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툴 filed Critical (주)예스툴
Priority to KR102006000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0Drilling tools comprising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위스트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자루부(10)의 선단에 장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인서트(20)가 끼워지는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0)는 씨닝날(22)을 포함하는 웨브부(21)가 주절삭날(26)을 포함하는 랜드부(25)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선단 경사각(θ1)을 가짐으로서, 웨브부(21)가 랜드부(25)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위스트 드릴{Twist dril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서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인서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절삭날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절삭날을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트위스트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씨닝날(thining edge)을 포함하는 웨브부(web portion)가 주절삭날을 포함하는 랜드부(land portion)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트위스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위스트 드릴은 드릴링 포인트에 인서트를 끼워 드릴링 작업을 인덱서블 타입(indexable type)의 트위스트 드릴과 솔리드 타입(solid type)의 트위스트 드릴로 구분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83850호(1995년 04월 10일 등록)에 "파이롯트 팁이 있는 자기-중심 드릴비트"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파이롯트 팁이 있는 자기-중심 드릴비트는 쌩크단부(shank end)와 중간부분 및 작업단부(working end)가 하나로 결합된 드릴몸체를 포함하고 ; 드릴몸체에 형성되고, 각각이 쌩크단부와 중간부분의 연결부로부터 드릴몸체의 자유단부 팁(free end tip)까지 연장하는 연속표면을 가진 세로홈(flutes)을 포함하고 ; 드릴몸체의 작업단부는 규정된 주 드릴직경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가공물내에 일차 구멍을 절삭하기 위해 "지느러미"형태로 배열된 주 절삭립을 갖추었고 ; 드릴몸체의 작업단부는 드릴몸체의 쌩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이것과 하나로 결합한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 드릴몸체의 제 2 부분은 규정된 주 드릴직경보다 더 작은 드릴직경으로 형성되며 ; 드릴몸체의 제 2 부분은 일차구멍의 절삭에 앞서 작업물내에 2차 구멍을 절삭하기 위한 작은 절삭립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 단계식 드릴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롯트 팁이 있는 자기-중심 드릴비트는 센터링 작업 성능의 향상과 드릴링 작업 성능의 향상을 위해, 제 1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부분이 제 1 부분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지만, 제 2 부분이 공작물의 표면을 천공할 때, 제 2 부분의 단차 높이만큼 초기작업시간이 지연되고, 공작물에 홈을 천공할 때,홈의 바닥면이 제 2 부분의 단차 높이만큼 단차부가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에는, 센터링 작업 성능의 향상과 드릴링 작업 성능의 향상을 위해, 웨브부가 랜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것이 아직까지 소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씨닝날(thining edge)을 포함하는 웨브부(web portion)가 주절삭날을 포함하는 랜드부(land portion)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경사각을 가짐으로서, 센터링 작업 성능이 향상되고 드릴링 작업 성능이 향상되는 인덱서블 타입과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은 자루부(10)의 선단에 장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인서트(20)가 끼워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서트(20)는 씨닝날(22 ; thining edge)을 포함하는 웨브부(21 ; web portion)가 주절삭날(26)을 포함하는 랜드부(25 ; land portion)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선단 경사각(θ1)을 가짐으로서, 웨브부(21)가 랜드부(25)에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20)의 웨브부(21)가 랜드부(25)에서 돌출되므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은 버(burr)의 발생을 방지하는 스탭 드릴(step drill)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웨브부의 작용에 의해 초기 드릴링 작업의 센터링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초기작업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공작물을 천공하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웨브부(21)는 직경(d)이 인서트 직경(D)의 25~35%이고, 바람직하게는 30%이고, 높이(h)가 선단 경사각(θ1)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 경사각(θ1)은 일반적으로 130°~ 150°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140°가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웨브부(21)의 직경(d)이 인서트 직경(D)의 30%이고, 선단 경사각(θ1)이 140°일 때, 웨브부의 높이(h)는 (0.3D/2)×tan20가 된다.
위에서, 웨브부(21)의 직경(d)은 주절삭날(26)의 길이(S)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웨브부(21)의 직경(d)이 35%를 초과할 경우, 주절삭날(26)의 길이(S)가 작아져 절삭저항이 커지게 되고, 웨브부(21)의 직경(d)이 25% 이하일 경우, 칩핑(chipping) 현상이 발생하거나 칩의 배출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선단 경사각(θ1)이 130°이하일 경우에는 웨브부(21)의 높이(h)가 높아져 칩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서, 씨닝날(22)의 스러스트 로드(thrust load)가 커지고, 선단 경사각(θ1)이 150°이상일 경우에는 초기 센터링 성능 및 드릴이 구멍을 천공하는 추진력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 랜드부(25)는 제 1 릴리프면(28)과 제 2 릴리프면(29)의 경계선(30)이 드릴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직교선(X)과 최소한 일치되거나 상기 직교선(X)에서 하부로 소정의 경사각(θ2)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θ2)은 0°~ 5°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경계선이 직교선(X)과 일치될 경우, 랜드부(25)가 소위 "플랫 버텀 드릴(flat bottom drill)"로 일컬어지는 드릴의 랜드부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경사각(θ2)이 0°~ 5°일 경우, 마진(31 ; 도 3 참조)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칩이 강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5°를 초과할 경우, 칩의 성장이 늦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웨브부(21)와 랜드부(25)의 경계선(27)은 라운딩 처리되므로서, 웨브부(21)와 랜드부(25)가 매끄럽게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웨브부(21)의 씨닝날(22)에 의해 생성되는 칩과 랜드부(25)의 절삭날(25)에서 생성되는 칩의 경계선에서 칩이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브부(21)에서, 씨닝날(22)은 립거리(L ; lip length)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곡률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씨닝날(22)의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서, 이점 쇄선으로 표신된 것처럼 직선으로 형성되었을 때보다 두께가 두꺼워져 씨닝날(22)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칩의 컬링(curling)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은 자루부(50)의 외주면에 칩 배출을 위한 2개의 플루트(52, 53)가 형성되고,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절삭날(60)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절삭날(60)은 씨닝날(62 ; thining edge)을 포함하는 웨브부(61 ; web portion)가 주절삭날(66)을 포함하는 랜드부(65 ; land portion) 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선단 경사각(θ1)을 가짐으로서, 웨브부(61)가 랜드부(65)에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60)의 웨브부(61)가 랜드부(65)에서 돌출되므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은 버(burr)의 발생을 방지하는 스탭 드릴(step drill)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웨브부의 작용에 의해 초기 드릴링 작업의 센터링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초기작업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공작물을 천공하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웨브부(61)는 직경(d)이 인서트 직경(D)의 25~35%이고, 바람직하게는 30%이고, 높이(h)가 선단 경사각(θ1)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 경사각(θ1)은 일반적으로 130°~ 150°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140°가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웨브부(61)의 직경(d)이 인서트 직경(D)의 30%이고, 선단 경사각(θ1)이 140°일 때, 웨브부의 높이(h)는 (0.3D/2)×tan20가 된다.
위에서, 웨브부(61)의 직경(d)은 주절삭날(66)의 길이(S)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웨브부(61)의 직경(d)이 35%를 초과할 경우, 주절삭날(66)의 길이(S)가 작아져 절삭저항이 커지게 되고, 웨브부(61)의 직경(d)이 25% 이하일 경우, 칩핑(chipping) 현상이 발생하거나 칩의 배출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선단 경사각(θ1)이 130°이하일 경우에는 웨브부(61)의 높이(h)가 높아져 칩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서, 씨닝날(62)의 스러스트 로드(thrust load)가 커지고, 선단 경사각(θ1)이 150°이상일 경우에는 초기 센터링 성능 및 드릴의 추진력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 랜드부(65)는 드릴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직교선(X)과 최소한 일치되거나 상기 직교선(X)에서 하부로 소정의 경사각(θ2)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θ2)은 0°~ 5°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랜드부(65)가 직교선(X)과 일치될 경우, 소위 "플랫 버텀 드릴(flat bottom drill)"로 일컬어지는 드릴의 랜드부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경사각(θ2)이 0°~ 5°일 경우, 마진(81; 도 6 참조)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칩이 강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5°를 초과할 경우, 칩의 성장이 늦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웨브부(61)와 랜드부(65)의 경계선(67)은 라운딩 처리되므로서, 웨브부(61)와 랜드부(65)가 매끄럽게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웨브부(61)의 씨닝날(62)에 의해 생성되는 칩과 랜드부(65)의 절삭날(66)에서 생성되는 칩의 경계선(67)에서 칩이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브부(61)에서, 씨닝날(62)은 립거리(L ; lip length)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곡률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씨닝날(62)의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서, 이점 쇄선으로 표신된 것처럼 직선으로 형성되었을 때보다 두께가 두꺼워져 씨닝날(62)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칩의 컬링(curling)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드릴은 웨브부가 랜드부에서 돌출되도록 다른 경사각을 가짐으로서, 버(burr)의 발생을 억제하고, 초기 드 릴링 작업의 센터링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초기작업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공작물을 천공하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자루부(10)의 선단에 장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인서트(20)가 끼워지는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0)는 씨닝날(22)을 포함하는 웨브부(21)가 주절삭날(26)을 포함하는 랜드부(25)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선단 경사각(θ1)을 가짐으로서, 웨브부(21)가 랜드부(25)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부(21)는 직경(d)이 인서트 직경(D)의 25~35%이고, 높이(h)가 선단 경사각(θ1)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선단 경사각(θ1)이 일반적으로 130°~ 15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부(25)는 드릴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직교선(X)과 최소한 일치되거나 상기 직교선(X)에서 하부로 소정의 경사각(θ2 ; θ2= 0°~ 5°)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부(21)와 랜드부(25)의 경계선(27)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닝날(22)은 립거리(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6. 자루부(50)의 외주면에 칩 배출을 위한 2개의 플루트(52, 53)가 형성되고,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절삭날(60)이 형성된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60)은 씨닝날(62)을 포함하는 웨브부(61)가 주절삭날(66)을 포함하는 랜드부(65)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선단 경사각(θ1)을 가짐으로서, 웨브부(61)가 랜드부(65)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부(61)는 직경(d)이 인서트 직경(D)의 25~35%이고, 높이(h)가 선단 경사각(θ1)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선단 경사각(θ1)이 130°~ 15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부(65)는 드릴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직교선(X)과 최소한 일치되거나 상기 직교선에서 하부로 소정의 경사각(θ2 ; θ2= 0°~ 5°)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부(61)와 랜드부(65)의 경계선(67)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타입의 트위스트 드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씨닝날(62)은 립거리(L)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솔리드 타입의 트위시트 드릴.
KR1020060004898A 2006-01-17 2006-01-17 트위스트 드릴 KR100654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898A KR100654942B1 (ko) 2006-01-17 2006-01-17 트위스트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898A KR100654942B1 (ko) 2006-01-17 2006-01-17 트위스트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42B1 true KR100654942B1 (ko) 2006-12-08

Family

ID=3773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898A KR100654942B1 (ko) 2006-01-17 2006-01-17 트위스트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37A1 (ko) * 2017-08-09 2019-02-14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드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37A1 (ko) * 2017-08-09 2019-02-14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드릴
KR20190016714A (ko) * 2017-08-09 2019-02-19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드릴
KR101964754B1 (ko) * 2017-08-09 2019-04-03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드릴
CN110997202A (zh) * 2017-08-09 2020-04-10 韩国冶金株式会社 可转位钻头
CN110997202B (zh) * 2017-08-09 2021-11-16 韩国冶金株式会社 可转位钻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550B2 (ja) 旋削インサート及び旋削工具
US9168601B2 (en) Multi-flute reamer and cutting insert therefor
EP1332815B1 (en) Cutting insert for grooving and profiling
US9381582B2 (en) Milling tool with recessed cutting edge
US20180043441A1 (en) Drill
EP2258504A1 (en) Radius end mill and cutting insert
JP2009018360A (ja) 金属加工用ドリル
CN205218135U (zh) 一种微型钻头
CN202137424U (zh) 复合定位切削的螺旋刀具
KR100891606B1 (ko) 절삭 공구 및 절삭 인서트
JP5549080B2 (ja) ドリル
KR100654942B1 (ko) 트위스트 드릴
EP3957421A1 (en) Drill
WO2004078393A1 (ja) 深穴加工用ドリル
JP4807521B2 (ja) ツイストドリル
JP6994166B1 (ja) 切削工具
JP2010162643A (ja) ドリルおよび該ドリルの研削加工方法
KR101032667B1 (ko) 센터링용 드릴
JP2023531275A (ja) ドリル工具用の金属切削インサート及びドリル工具
CN103706844A (zh) 复合刃中心钻或复合刃锪钻
JP2005177891A (ja) ドリル
JP4554383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US11992887B2 (en) Drill
CN217070867U (zh) 一种增加子刃带的直槽阶梯钻
CN217370607U (zh) 一种直槽扩孔钻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