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450B1 -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동작하는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동작하는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450B1
KR100654450B1 KR1020050010074A KR20050010074A KR100654450B1 KR 100654450 B1 KR100654450 B1 KR 100654450B1 KR 1020050010074 A KR1020050010074 A KR 1020050010074A KR 20050010074 A KR20050010074 A KR 20050010074A KR 100654450 B1 KR100654450 B1 KR 10065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msk
data signal
wireless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011A (ko
Inventor
김병완
서상범
성민영
이재욱
윤남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450B1/ko
Priority to CNA2006100033513A priority patent/CN1816070A/zh
Priority to EP06101132.6A priority patent/EP1689086B1/en
Priority to JP2006026316A priority patent/JP4464358B2/ja
Priority to US11/346,199 priority patent/US7630726B2/en
Publication of KR2006008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통신 장치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과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RF 프로트엔드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 프론트엔드부로 제공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송수신하는 신호들을 처리하는 다수의 신호처리 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탑재되어 무선 전화기와 무전기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무선 전화기(cordless phone), 무전기(walkie-talkie)

Description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동작하는 통신 장치{Communication method operated by software and apparatus by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블록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505: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
510: FM 복조 모듈
515: 데시메이션 모듈
520: MSK 복조 모듈
525: 통신 프로토콜 모듈
53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535: MSK 변조 모듈
540: 인터폴레이션 모듈
545: 스위칭 모듈
550: FM 변조 모듈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해 900MHz 무선 전화기(cordless phone)와 무전기(walkie-talkie)를 동시에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무선 전화기 또는 무전기가 개발되고 있는데, 예컨대 도 1에서는 종래의 이러한 무선 전화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 전화기(100)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5)를 포함하는 RF 송수신부(110), 특정 신호를 검색하는 신호 검색부(140), FM 변조(modulation)와 복조 (demodulation)를 수행하는 FM 변조부(165) 및 FM 복조부(115),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MSK(Minimum shift keying) 변조와 복조를 수행하는 MSK 변조부(160) 및 MSK 복조부(135), 음성 통화를 위한 압축부(compressor)(175), 확장부(125),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부(170), 디-엠퍼시스(de-amphasis)부(120) 등의 회로와 음성 입출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마이크(180), 스피커(130), 디스플레이(150), 키(key)(155) 등과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105)은 무선 전화기(100)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우선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105)에서 전송된 RF 신호가 안테나(105)를 통해 RF 송수신부(110)로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45)에서는 RF 송수신부(105) 내에 포함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제어하여 수신 채널을 바꾸면서 각 채널의 신호 유무를 감시한다. 이 때, 신호 검색부(140)는 해당 채널의 신호 레벨을 검사하여 신호가 있는 경우 FM 복조부(115)에 의해 복조 과정이 진행된다. FM 복조부(115)의 출력 신호는 MSK 복조부(135)에서 MSK 복조되어 이미 정해진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정해진 데이터 프레임 헤더가 있는 경우에는 MSK 복조된 신호를 제어부(145)가 해석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105)으로부터 도착한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통화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가 'Ring on'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전화 벨을 울리게 된다. 만일 통화가 연결 중이면서 메시지 데이터가 없 는 경우에는 FM 복조부(115)에 의해 복조된 신호가 디-엠퍼시스부(120)와 확장부(125)를 거쳐 스피커(130)를 통해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어부(145)는 제어를 위한 펌웨어(firmware)가 탑재된 마이컴(micom)이 사용된다.
무선 전화기(100)에서 전화를 거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무선 전화기(100)에 있는 '통화' 버튼과 같은 키(key)(155)를 누름으로써 동작이 시작이 되는데, 이때, 제어부(145)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채널이나 가장 혼신이 적은 채널을 검색하는 등의 방법으로 채널을 선택하고 RF 송수신부(110) 내에 있는 국부 발진기를 제어하여 채널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45)는 '통화'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MSK 변조부(160)에 의해 MSK 변조가 수행된다. MSK 변조된 신호는 FM 변조부(165)에 의해 FM 변조되고, FM 변조된 신호는 RF 송수신부(110)에서 선택된 채널 주파수에 실려 안테나(110)를 통해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105)으로 송신된다.
만일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105)에서 통화 허락이 이루어지고 다이얼 톤(dial tone)이 뜨게 되면, 사용자는 무선 전화기(100)의 번호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화를 걸 수 있게 된다. 이 때에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각 버튼의 데이터가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105)으로 전송되어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105)에서 DTMF(Dual-tone-multi-frequency)방식으로 변환되어 전화를 걸게 된다.
한편, 무전기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방식으로서, 수화기 버튼을 누를 때에만 음성신호를 FM 또는 AM 변조하여 채널에 실어 전송하고, 수화기 버튼을 누르지 않을 때에는 채널 신호를 FM 또는 AM 복조하여 음성을 재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현재의 무선 전화기는 모든 동작이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이루어지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45)에 탑재되는 펌웨어(firmware)도 해당 하드웨어에만 한정되어 설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조 회사와 제조 모델별로 서로 다른 하드웨어와 서로 다른 펌웨어(firmware)가 사용되어 기기의 확장성, 호환성, 재사용성 등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제약은 무전기 역시 마찬가지로써 다수의 무전기 사이에 주파수, 변복조 방식(FM/AM)등에서 제조사 및 모델별로 상호 통신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이는 기기의 확장성이나 호환성, 재사용성이 아닌 통신 채널의 공유(혼신)로 인해 발생되는 현상이다.
즉, 기존의 방식은 대부분의 신호제어 및 제어 처리가 하드웨어(hardware)로 이루어지므로, 설계시에 고려된 주파수 대역과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만을 지원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들간의 호환성을 제공하거나 새로운 주파수 대역, 변복조 방식, 통신 프로토콜등을 지원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결국,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기능을 최소화하고 대부분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방식 통신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의 컴퓨팅 기기에서 무전기 또는 무선 전화기 등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이 높기 때문에 기타 통신 시 스템 개발에 활용되어 개발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다양한 컴퓨팅 기기에서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해 900 MHz 대역 무선전화기(cordless phone)와 무전기(walkie-talkie)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무선 전화기 또는 무전기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MSK 변조하고, 상기 MSK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FM 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FM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에 대응하는 RF 신호 대역으로 천이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음성 신호를 FM 변조하고, 상기 FM 변조된 음성 신호를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에 대응하는 RF 신호 대역으로 천이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SK 변조 및 FM 변조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장치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과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RF 프로트엔드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 프론트엔드부로 제공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송수신하는 신호들을 처리하는 다수의 신호처리 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탑재되어 무선 전화기와 무전기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 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210)과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제1 통신 장치(250)과 제2 통신 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통신 장치(250)와 제2 통신 장치(270)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동일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것으로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통신 장치(250)는 무전기와 무선 전화기의 기능을 모두 사용하고, 제2 통신 장치(270)는 FM 무전기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210)에서 제1 통신 장치(250)으로의 통신은 959 ~ 960 MHz의 RF 주파수 대역에서 이루어지고, 제1 통신 장치(250)에서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210)으로의 통신은 914 ~ 915 MHz에서 이루어진다. 이 1 MHz의 주파수 대역폭은 25kHz 대역폭의 채널들 (1번 ~ 40번 채널)로 구성되는데, 통신에는 이 중 하나의 채널이 동적으로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를 위해 RF 주파수(Radio Frequency)와 IF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간 변환을 담당하는 RF 프론트엔드(252, 272)와 아날로그/디지털 신호간 변환을 담당하는 ADC/DAC(Analog-Digital Convertor, Digital-Analog Converter)(254, 274)를 제외한 베이스밴드(baseband),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모든 처리 부분은 CPU 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성된다.
제1 통신 장치(250)와 제2 통신 장치(270)간의 무선기 통신에도 두 개의 주 파수 대역(914MHz 및 959MHz)을 사용하도록 한다. 원래 무선기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무선 전화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RF 프론트엔드(252, 272)의 부품을 최대한 활용하고, 별도의 개발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선 전화기의 주파수 대역을 그대로 활용하여 풀 듀플렉스(full-duplex) 방식의 무전기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 때, 풀 듀플렉스(full-duplex) 방식의 무전기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변경없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무선기를 위한 FM 변조 및 복조 등과 같은 주요 신호 처리가 소프트웨어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RF 프로트엔드부는 쉽게 재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에서 도시한 시스템은 대부분의 주요 통신 처리가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다는 점인데, 예컨대 900 MHz 대역의 RF 신호와 2 MHz 이하의 낮은 주파수의 IF 신호간의 변환, 그리고 IF 신호와 디지털 샘플 스트림간의 변환 기능을 제외한 베이스밴드 처리 및 프로토콜 처리는 모두 CPU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라디오(software radio)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제1 통신 장치(2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주요 하드웨어는 RF 프론트엔드부(340, 350)와 ADC/DAC(320, 330)으로 이루어진다.
RF 프론트엔드부(340, 350)는 무선 전화기의 기능을 위한 959MHz 또는 무전 기의 기능을 위한 914MHz 대역의 수신 RF 신호를 0.7 ~ 2.0 MHz 대역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down-conversion)하거나 반대로 0.7 MHz 대역의 IF 신호를 무선 전화기의 기능을 위한 914MHz 또는 무전기의 기능을 위한 958 MHz 대역의 송신 RF 신호로 변환(up-conversion)하는 기능을 가진다.
ADC(320)는 아날로그 IF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샘플 스트림을 만드는 역할을 하고 DAC(330)는 디지털 샘플 스트림으로부터 아날로그 IF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210)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할 때의 구성 및 동작을 보면, 수신시 RF-IF변환에는 바람직하게는 900MHz 대역 'image-reject transceiver chip'인 Maxim사의 제품 모델 번호 MAX2420에 대한 evaluation board(이하, 'MAX2420 EVK'라고 칭하기로 한다)(350)가 사용될 수 있다.
MAX2420 EVK는 원래 MAX2420 chip의 특성을 관찰하는 용도로 제작되어 있어서 내장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의 성능이 통신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좋지는 않고, IF 출력도 낮아서 ADC 보드(320)의 입력 전압 레벨(+/- 1V)로 증폭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글루 로직 보드(glue logic board)(340)를 이용하여 외부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와 증폭기를 추가하도록 한다.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210)에서 전송되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는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가 959.0125 MHz (채널1번) ~ 959.9875 MHz (채널40번) 에 걸치게 된다. 이 신호는 MAX2420 EVK(350)의 Rx_In 단자에 입력되 고, 글루 로직 보드(340)에 있는 958.0125 MHz의 국부 발진기와 믹스(mix)됨으로써, 그 차 성분인 1.0 MHz ~ 1.975 MHz 주파수의 IF 신호가 발생된다.
이 신호는 다시 MAX2420 EVK(350)의 Rx_Out 단자로 출력되어 글루 로직 보드(340)에 있는 증폭기에 의해 적절한 출력으로 증폭되어 ADC(320) 보드로 인가된다. 바람직하게는 ADC(320)으로서 'Measurement Computing'사의 PCI-DAS4020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CI-DAS4020 보드는 최대 20 MHz의 샘플 속도를 지원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5 MHz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IF의 최대 주파수가 2.0 MHz 미만이므로 나이키스트(Nyquist) 이론에 따라 샘플 속도가 4 MHz 이상이면 충분하고, 또한 불필요하게 높은 샘플 속도에 따른 시스템 버스의 과부하(overload) 및 전체적인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샘플 크기는 12비트(bit)를 사용할 수 있다.
PCI-DAS4020 보드(320)로 인가된 신호는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310)를 거쳐 제1 통신 장치(250)에 탑재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소프트웨어에 의해 음성 또는 데이터가 복원된다.
한편, 제1 통신 장치(250)에서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210)으로 RF 신호를 송신할 때의 구성 및 동작을 보면, 제1 통신 장치(250)에 탑재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샘플 스트림은 700 KHz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갖는 FM으로 변조된 신호이다. 샘플 속도는 5 MHz이며 이 신호는 DAC 보드(330)에 인가되어 IF 신호로 변환된다. 바람직하게는 DAC 보드(330) 는 'ADLINK Technology'사의 'DAQ2010'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DAQ2010(330)은 8255 칩을 내장하여 송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서는 914.7125 ~ 915.6875 MHz 범위의 특정 외부 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제어함에 있어서 8255를 사용하도록 한다.
IF 신호는 MAX2420 보드(350)에 입력되어 914.7125 ~ 915.6875 MHz의 외부 국부 발진기와 믹스(mix)되고, 그 차 성분인 914.0125 ~ 914.9875 MHz의 RF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RF 신호는 MAX2420 보드(350)의 Tx_Out 단자로 출력되고, 필터(360)로 입력된다. 필터(360)는 SAW(Surface Acoustic Wave)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SAW 필터는 914.5 MHz를 중심으로 +/- 10 MHz 대역을 통과시키도록 한다.
필터(360)를 거친 RF 신호는 증폭기(370)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210)으로 송신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제2 통신 장치(27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기본적인 구성은 도 3에서 도시한 제1 통신 장치(25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RF 수신 신호는 중심 주파수가 914.0125 MHz인 FM 변조된 신호이며 이는 8255로 제어되는 914.7125 MHz의 외부 국부 발진기와 믹스(mix)되어 0.7 MHz의 IF 신호를 발생시킨다. 반대로 송신부는 958.0825 MHz의 RF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블록도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2에서 도시한 제1 통신 장치(250) 또는 제2 통신 장치(270)에 탑재되어 동작된다.
CPU(580)는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570)와 디바이스 드라이버(560)와 버스(bus)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때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57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310)에 대응한다. CPU(580)는 무선 전화기 기능을 제공할 것인지 아니면 무전기 기능을 제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570)에 설정함으로써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570)와 결합하는 RF 프로트엔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프트웨어는 크게 제어 모듈과 신호처리 모듈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통신 프로토콜 모듈(525)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30)은 제어 모듈에 속하고,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 FM 복조 및 FM 변조 모듈(510, 550), 데시메이션 및 인터폴레이션 모듈(515, 540), MSK 복조 및 변조 모듈(535) 및 스위칭 모듈(545) 등은 신호 처리 모듈로 분류될 수 있다.
수신되는 RF 신호는 RF 프론트엔드를 거쳐 아날로그 IF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아날로그 IF 신호는 ADC 보드를 거쳐 12-bit 5 MS/s의 디지털 샘플 스트림으로 변환되어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570)를 통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입력된다. 그리고 나서, 이 샘플 데이터는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로 전달된다.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은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채널을 결정한다. 무선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이 IF 주파수 1.0 ~ 2.0 MHz 대역의 특정 채널로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이 때, 채널 감지 및 필 터 선택 모듈(505)은 입력된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실행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주파수를 검출하는 방식에 의해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이 선택한 채널을 감지한다.
일단 대상 신호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가 결정되면 해당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갖는 신호를 0 Hz로 변환(translation), FIR 필터링(filtering)(저역 통과 필터), 데시메이션(decimation)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의 또다른 기능으로서 샘플 속도를 현격하게 줄임으로써 이후에 신호 처리를 위한 연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검색과 채널 선택의 두 동작을 데이터의 이동 없이 한번에 처리함으로써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채널 감지는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송신하는 채널 신호를 검색하기 위해, ADC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FFT연산을 통하여 전체 채널의 채널별 신호 강도를 구하고, 그리고 나서,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신호가 있을 경우, 검출된 신호의 평균 주파수를 연산하여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채널 선택은 주파수 변환(frequency translation), 저역 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 데시메이션(decimation)을 일괄 수행하는 채널 필터로 구성하여 검출된 중심 주파수를 0Hz로 천이시키고 필터를 거친 후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감소시켜서 이후 신호 처리 연산에서 연산량을 줄여주게 된다.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을 거친 신호는 FM 복조 모듈(510)에 의해 복조된다. FM 복조는 바람직하게는 Quadrature FM 복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입력되는 FM 변조된 신호 샘플을 I채널과 Q채널로 분리하고, 각각의 I/Q 채널의 값을 이용하여 역탄젠트(arctangent) 연산으로 각(phase) 변화량을 구함으로써 원래의 신호를 복조하는 방식이다. 복조된 신호로부터 메시지 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데, 상기 메시지 신호는 음성 신호 또는 MSK 변조된 데이터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메시지 신호가 음성 신호일 경우에는 스피커로 출력되고, 만일 데이터 신호일 경우에는 데시메이션 모듈(515)로 입력된다.
데시메이션 모듈(515)은 신호 처리 모듈들간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맞추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입력받은 배수로 줄여준다. 즉, 3MS/sec의 신호를 3배 데시메이션하게 되면 1MS/sec의 신호가 생성된다. 예컨데, {1,4,7,10,13,16}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3배로 Sampling rate를 줄이면 1, 4번째 데이터만 선택이 되어 {1,10}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데시메이션 모듈(515)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MSK 복조 모듈(520)로 전달되어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MSK 복조 모듈(520)은 MSK 변조로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 샘플을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바꿔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oncoherent' 방식을 사용하여 0과 1을 나타내는 주파수 성분으로 분리한다. 또한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대하여 비트 동기화(bit sync)를 추적하고 보정하는 부분을 추가함으로써 MSK 복조 능력을 향상시 킬 수도 있다.
MSK 복조된 비트 스트림이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 패턴을 갖는 유효한 프레임인 경우 프레임 단위로 수신 프레임 큐(미도시)에 삽입한다. 삽입된 프레임은 통신 프로토콜 모듈(525)에 의해 디큐(dequeue)되어 처리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모듈(525)은 수신 신호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사용자의 입력 등을 바탕으로 수신 프레임 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송신 프레임 큐를 접근 및(또는) 제어하거나 이들로부터의 이벤트를 처리함으로서 무선 전화기 또는 무전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을 지원한다. 즉, 통신 프로토콜 모듈(525)은 무선 전화기와 무전기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동작을 찾아내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비롯한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제어하고, 송신 및 수신 프레임 큐의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큐에 입력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30)은 도 6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착신 램프를 깜빡이거나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여 버튼을 클릭하거나 메뉴에서 특정 값을 입력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무선 전화기 또는 무전기의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송신될 데이터 프레임은 송신 프레임 큐(미도시)에 위치하게 된다. 만일 송신 프레임 큐에 송신할 프레임이 존재할 경우에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트 스트림이 MSK 변조 모듈(535)로 전달되고, 전달된 비트 스 트림은 MSK 변조 모듈(535)에 의해 정현파, 예컨대 사인파(sine 파)로 변환된다. MSK 변조 방식은 데이터 비트 0과 1을 각각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변조된 각각의 신호가 바로 전 신호의 각(phase)을 기억하여 서로 각(phase)이 동일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데이터 비트를 0또는 1을 나타내는 정현파 셈플 데이터 25개로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2400bps의 입력 데이터는 60KS/sec의 신호 샘플로 변환되는 것이다.
MSK 변조 모듈(535)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인터폴레이션 모듈(540)로 전달된다.
인터폴레이션 모듈(540)은 샘플링 레이트를 입력받은 배수로 늘려준다. 즉, 1MS/sec신호를 3배 인터폴레이션하면 3MS/sec의 신호가 생성이 되어 나온다. 이 때, 계단 현상을 없애기 위해 데이터 사이의 증분을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10,...}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3배로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늘리기 위해 단순히 3번 반복 출력을 하면 {1,1,1,10,...}과 같이 출력 데이터 사이의 계단 현상이 발생 한다. 그래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증분 (10-1)/3=3을 구한 후, 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증분만큼 가산하여 {1,4,7,10,...}과 같이 출력한다.
인터폴레이션 모듈(54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스위칭 모듈(545)을 거쳐 FM 변조 모듈(550)로 전달된다.
스위칭 모듈(545)은 MSK 변조된 신호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중 하나의 신호만을 FM 변조 모듈(55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송신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면 MSK 변조된 신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음성 신호를 선택한다.
데이터의 선택은 MSK 변조 데이터가 음성에 우선하는 순서를 갖기 때문에 MSK 변조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MSK 변조 데이터는 데이터가 있을 때는 연속적인 정현파 형태를 갖고 데이터가 없을 때는 0을 연속적으로 보내기 때문에, 0이 연속으로 들어오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MSK 변조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한다.
FM 변조 모듈(550)은 스위칭 모듈(545)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FM 변조한다. FM 변조 모듈(550)에 의한 FM 변조는 700KHz의 전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각(pahse) 변화량을 가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phase에 대응하는 사인파(sine파)의 크기(amplitude)를 구하기 위해 초기화 단계에서 미리 사인파(sine파) 룩업(look-up) 테이블을 제작하여 신호 처리 연산 속도를 높이도록 한다.
FM 변조 모듈(550)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디바이스 드라이버(560)와 무선 전화 인터페이스(570)를 거쳐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DAC보드(330)로 전달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무선 전화기 및 무전기 겸용 소프트웨어를 리눅스(Linux) 운영 체제에서 실행했을 때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이다.
도 6을 보면 기능 모드 선택에 따라 무선 전화기 핸드셋(650) 또는 무전기(6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기능 모드는 도 6에서 도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에 위치한 메뉴(610)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만일 무선 전화기 핸드셋 모드로 실행중인 경우, 일반 무선 전화기를 사용하듯이 걸려오는 전화를 받거나 다이얼링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전기 모드에서는 무전기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소정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말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다음은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는 경우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13번 채널로 'ring' 메시지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착신 램프를 깜빡이는 과 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장치에 의한 처리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우선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로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FFT 연산을 통해 가장 높은 강도를 갖는 채널을 검색하여 가장 높은 강도로 신호가 지속되는 채널이 13번 채널임을 인지한 후(S710), 13번 채널 내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중간 주파수를 계산한다(S720). 그리고 나서, 수신 채널과 중간 주파수를 13번 채널과 연산된 중간 주파수로 각각 설정하고, 주파수 변환(translation), 저주파 필터링, 데시메이션(decimation)을 수행한다(S730, S740).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FM 복조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때, 변화된 베이스밴드 신호는 음성 신호이거나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S750). 따라서,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50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음성 출력을 위한 모듈(예컨대, 스피커)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모듈로 각각 전송된다. 여기에서는 현재 통화 연결이 되지 않았으므로 음서어 출력을 위한 모듈로 전송되는 것은 무시하기로 한다.
FM 복조된 신호는 데시메이션 과정을 거쳐 MSK 복조되고(S760), 복조된 신호의 프레임이 정상적인 프레임인 경우에는 큐(queue)에 쌓이게 된다. 이 때, 큐(queue)를 감시중이던 통신 프로토콜 모듈(525)은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ring' 명령이 왔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S770).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 모듈(525)은 벨소리와 함께 화면에 착신 램프와 'ring' 이라는 문자열을 깜빡이게 된다(S78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통화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과정 을 예로 들고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개인용 컴퓨터(PC)의 사운드 카드를 통해 입력된다(S810). 이 때, 사운드 카드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서 40KS/sec 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갖고 스위칭 모듈(545)로 전송된다.
스위칭 모듈(545)은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와 음성 신호 중에서 데이터 신호가 없을 때에는 음성 신호만을 선택하여 FM 변조 모듈(550)로 전달한다(S820). FM 변조 모듈(550)은 전달된 베이스밴드의 음성 신호를 700kHz 케리어(carrier)로 FM 변조를 수행한다(S830). FM 변조가 수행되면 40KS/sec의 입력 신호는 5MS/sec로 변환되고(S840), 변환된 신호는 도 3에서 도시되는 DAC 보드(330)으로 전송된다. DAC 보드(330)로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는 700kHz 케리어(carrier)를 갖는 FM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RF 프론트엔드, 즉 도 3에서 도시한 MAX2420 EVK(350)로 입력된다(S850).
MAX2420 EVK(350)로 입력된 신호는 외부 국부 발진기와 믹스(mix)되어 해당 채널의 주파수로 천이하고(S860), SAW 타입의 대역 통화 필터(360)와 증폭기(370)를 거쳐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S870, S88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해 동작하는 통신 장치는 RF/IF신호간 변환과 ADC/DAC를 제외한 모든 신호처리 및 제어 처리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RF/IF 변환 및 ADC/DAC 하드웨어를 휴대 가능한 크기로 제작하고 USB 등의 개인용 컴퓨터(PC)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제작하면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note PC), PDA 등의 다양한 컴퓨팅 기기에서 900MHz 무선 전화 및 무전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무선 전화기 또는 무전기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MSK 변조하고, 상기 MSK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FM 변조하는 단계;
    상기 FM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에 대응하는 RF 신호 대역으로 천이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음성 신호를 FM 변조하고, 상기 FM 변조된 음성 신호를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에 대응하는 RF 신호 대역으로 천이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SK 변조 및 FM 변조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이 선택한 채널을 감지하고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FM 복조하는 단계;
    상기 FM 복조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을 출력 하는 단계;
    상기 FM 복조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FM 복조된 신호를 데시메이션하고, 상기 데시메이션한 신호를 MSK 복조한 후, 상기 MSK 복조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는 입력된 신호에 대해 FFT를 실행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주파수를 검출하여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M 복조는 Quadrature FM 복조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SK 복조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MSK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형성하는 프레임이 유효한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 결과, 유효한 프레임인 경우 상기 프레임을 큐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큐에 저장된 프레임이 디큐되어 상기 디큐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K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인터폴레이션하고, 인터폴레이션된 데이터 신호를 FM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K 변조된 데이터 신호가 계속하여 0 값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 변조는 700KHz의 전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사용하는 통신 방법.
  9.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과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프론트엔드부;
    상기 RF 프로트엔드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 프론트엔드부로 제공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송수신하는 신호들을 처리하는 다수의 신호처리 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탑재되어 무선 전화기와 무전기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무선 전화기와 무전기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송신 또는 수신 프레임 큐의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큐에 입력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통신 프로토콜 모듈; 및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이 선택한 채널을 감지하고 필터링하는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FM 복조하는 FM 복조 모듈;
    상기 FM 복조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인 경우에 상기 FM 복조된 신호를 데시메이션하는 데시메이션 모듈; 및
    상기 데시메이션한 신호를 MSK 복조하는 MSK 복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MSK 복조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감지 및 필터 선택 모듈은 입력된 신호에 대해 FFT를 실행하여 높 은 강도를 갖는 주파수를 검출하여 채널을 감지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FM 복조는 Quadrature FM 복조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무선 전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트 스트림을 MSK 변조하는 MSK 변조 모듈;
    상기 MSK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인터폴레이션하는 인터폴레이션 모듈;
    상기 인터폴레이션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FM 변조시키는 FM 변조 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와 상기 인터폴레이션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FM 변조 모듈로 전달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인터폴레이션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가 계속하여 0 값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FM 변조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M 변조는 700KHz의 전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
KR1020050010074A 2005-02-03 2005-02-03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동작하는 통신 장치 KR100654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074A KR100654450B1 (ko) 2005-02-03 2005-02-03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동작하는 통신 장치
CNA2006100033513A CN1816070A (zh) 2005-02-03 2006-01-26 由软件操作的通信方法及其设备
EP06101132.6A EP1689086B1 (en) 2005-02-03 2006-02-01 communication method operated by software and apparatus thereof
JP2006026316A JP4464358B2 (ja) 2005-02-03 2006-02-02 ソフトウェア方式による通信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動作する通信装置
US11/346,199 US7630726B2 (en) 2005-02-03 2006-02-03 Communication method operated by software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074A KR100654450B1 (ko) 2005-02-03 2005-02-03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동작하는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011A KR20060089011A (ko) 2006-08-08
KR100654450B1 true KR100654450B1 (ko) 2006-12-06

Family

ID=3649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074A KR100654450B1 (ko) 2005-02-03 2005-02-03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동작하는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30726B2 (ko)
EP (1) EP1689086B1 (ko)
JP (1) JP4464358B2 (ko)
KR (1) KR100654450B1 (ko)
CN (1) CN1816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764A1 (ko) * 2020-02-07 2021-08-12 ㈜알고코리아 휴대 단말 일체형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무전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2295B2 (en) * 2006-03-31 2010-04-06 Intel Corporation Single packa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945498B (zh) * 2009-07-06 2014-10-2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通讯装置及信号处理方法
US20120191823A1 (en) * 2011-01-21 2012-07-26 T-Mobile Usa, Inc. Software-Implemented Communications Adapter
KR101350502B1 (ko) * 2011-12-29 2014-01-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음성 신호 변복조 장치
CN105471450B (zh) * 2015-12-09 2018-02-13 北京中科汉天下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fm发射系统
CN110049477B (zh) * 2019-04-24 2024-02-23 深圳沸石科技股份有限公司 多功能机的控制电路、多功能机及多功能通信系统
CN113031030A (zh) * 2021-02-23 2021-06-25 武汉芯行创智科技有限公司 基带信号处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129B2 (ja) 1986-07-18 1997-02-12 ソニー株式会社 送受信装置
JP2982354B2 (ja) 1991-03-20 1999-11-22 ソニー株式会社 送受信装置
US5289464A (en) * 1992-09-21 1994-02-22 At&T Bell Laboratories Frequency-multiplexed cellular telephone cell site bas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5867535A (en) * 1995-08-31 1999-02-02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Common transmit module for a programmable digital radio
US6091715A (en) * 1997-01-02 2000-07-18 Dynamic Telecommunications, Inc. Hybrid radio transceiver for wireless networks
KR100243028B1 (ko) 1997-02-26 2000-02-01 구자홍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3271927B2 (ja) 1997-04-21 2002-04-0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モデム付無線機
EP1048124A2 (en) 1998-01-13 2000-11-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289218B1 (en) * 1998-06-11 2001-09-11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for communicating handsets
CN1243410A (zh) 1998-07-23 2000-02-02 葳峰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无线对讲机功能的无线电话机组
US6052600A (en) * 1998-11-23 2000-04-18 Motorola, Inc. Software programmable radio and method for configuring
US6154658A (en) * 1998-12-14 2000-11-2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Vehicle information and safety control system
KR100557176B1 (ko) 1999-07-2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화기에서 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US7260369B2 (en) * 2005-08-03 2007-08-21 Kamilo Feher Location finder, tracker, communication and remote control system
WO2002017073A1 (en) * 2000-08-22 2002-02-28 Novatel Wireless, Inc. Over the air rf wireless data modem programming
US6937877B2 (en) * 2000-12-21 2005-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asset employing dynamic configuration of a software defined radio
US6882828B1 (en) * 2001-04-02 2005-04-1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issed call notification to cellular telephone using short text messaging
US7151925B2 (en) * 2001-09-10 2006-12-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oftware defined radio (SDR) architecture for wireless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JP3908545B2 (ja) 2002-01-28 2007-04-2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異無線方式間の通信装置
JP4146145B2 (ja) 2002-03-19 2008-09-03 三星電子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無線機及びソフトウェア無線機の信号処理方法
JP3925632B2 (ja) 2002-04-19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方式変更方法
US7404074B2 (en) * 2002-07-12 2008-07-22 Sca Technica, Inc. Self-booting software defined radio module
JP4215193B2 (ja) 2002-10-31 2009-01-28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ソフトウェア無線機とそのソフトウェア情報処理方法
US8737981B2 (en) * 2002-12-19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Downloadable configuring application for a wireless device
JP2004208074A (ja) 2002-12-25 2004-07-22 Asahi Kasei Corp 間欠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間欠無線通信方法
US7403556B2 (en) * 2003-06-30 2008-07-22 Via Technologies Inc. Radio receiver supporting multiple modulation formats with a single pair of AD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764A1 (ko) * 2020-02-07 2021-08-12 ㈜알고코리아 휴대 단말 일체형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무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6070A (zh) 2006-08-09
US7630726B2 (en) 2009-12-08
US20060172748A1 (en) 2006-08-03
EP1689086A2 (en) 2006-08-09
JP4464358B2 (ja) 2010-05-19
EP1689086A3 (en) 2008-01-23
KR20060089011A (ko) 2006-08-08
EP1689086B1 (en) 2015-09-09
JP2006217620A (ja)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450B1 (ko) 소프트웨어 방식에 의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동작하는 통신 장치
US9722660B1 (en)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radio frequency channels
KR101234007B1 (ko) 재구성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라디오
JP4481303B2 (ja) 単一ペアのadcにより多数の変調フォーマットをサポートする無線受信機
CA2154756C (en) Method and apparatus of frequency generation for use with digital cordless telephones
US8355752B2 (en) Using LO shifting to prevent a local transceiver from interfering with an FM radio
US8867509B2 (en) Integrated bluetooth and wireless LAN transmitters having simultaneous bluetooth and wireless LAN transmissions
US20090052500A1 (en) Multi-band signal detection
JP3073687B2 (ja) フィルタに遮断周波数切替手段を備えた直接変換受信機
KR20070066674A (ko) 서브샘플링 구조를 갖는 저전력 무선 송수신기
JPH1066156A (ja) モード対応型電話機
JP2007527648A (ja) 共通のサンプリング速度を伴う多重通信プロトコル
CN101917206A (zh) 具有双音多频编解码功能的集成对讲芯片及集成对讲系统
JP5144121B2 (ja) ラジオ環境に適合する低if受信機回路構成を有するモバイル無線通信デバイス
US20040235444A1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ranscei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RU23983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радиочастотного сигнал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радиочастотного сигнала
TWI420832B (zh) 雙頻帶接收系統及其應用之電子裝置
JOSHI Software Defined Radio
Villarruel et al. DSP digital modulation software implementation and RF impairments analysis
Jondral et al. Evolution of digital radios
JPH10308681A (ja) 携帯電話機
TW200408206A (en) Frequency down conversion method of wireless receiver
JP2006135729A (ja) デジタル無線回路、及び該デジタル無線回路が設けられた無線通信機器
KR20070050205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이어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