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319B1 -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319B1
KR100653319B1 KR1020060019790A KR20060019790A KR100653319B1 KR 100653319 B1 KR100653319 B1 KR 100653319B1 KR 1020060019790 A KR1020060019790 A KR 1020060019790A KR 20060019790 A KR20060019790 A KR 20060019790A KR 100653319 B1 KR100653319 B1 KR 100653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cutting machine
bar
garlic stem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창
Original Assignee
권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창 filed Critical 권영창
Priority to KR1020060019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72Rota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rontal body-plane of the user, i.e. moving the arms in the plane of the body, to and from the side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줄기를 절단하는 마늘줄기절단기의 동력을 경운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늘줄기절단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한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동력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타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마늘줄기절단기에 있어서:
마늘줄기절단기(1)의 상면에 모타(M)와는 별도로 기어박스(G)에 밸트(a)로 연결되는 연결풀리(5a)를 장치하여 연결풀리(5)는 경운기(2)의 구동풀리(6)와 연결하고 이음장치(3)로 마늘줄기절단기(1)와 경운기(2)를 연결하여 고정하되 이음장치(3)는 마늘줄기절단기(1)의 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바(302)와 연결된 장치바(301)에 회전축봉(306)을 가진 조정바(301)를 결합하여 회전축봉(306)과 장치바(301)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며 연결대(308)의 일측에 결합바(401)를 가진 결합구(4)를 회전축봉(306a)과 결합하여 연결대(308)에 회동되게 결합하고 연결대(308)의 결합구(4) 타측은 조정바(307)에 결합되는 회전축봉(306)에 연결하여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경운기(2)의 동력을 이용하여 마늘줄기절단기(1)를 구동할 수 있음으로써 마늘줄기절단기(1)의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아 마늘의 추수장소인 밭 등으로 마늘줄기절단기(1)를 이동하여 마늘을 추수함과 동시에 마늘줄기를 절단하여 마늘만을 운반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마늘줄기절단기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경운기, 마늘줄기절단기, 회전칼, 마늘

Description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Cultivator power connection structure of garlic trunk cutt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경운기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경운기이음장치의 작동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마늘줄기절단기에 이음장치를 결합한 예시도
도 4는 마늘줄기절단기와 경운기의 동력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마늘줄기절단기
2 : 경운기
3 : 이음장치
301 : 장치바
302 : 고정바
303 : 풀리작동바
304 : 텐션풀리
305 : 인장스프링
306,306a : 회전축봉
307 : 조정바
308 : 연결대
4 : 결합구
401 : 결합바
5,5a: 연결풀리
6 : 구동풀리
본 고안은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동력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늘줄기를 절단하여 상품인 마늘을 분리하는 마늘줄기절단기의 동력을 경운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늘줄기절단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의 추수시에는 마늘에 줄기가 붙은 채로 추수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마늘에 불필요한 마늘줄기가 붙어 있게 되면 중량이 무거워 운송 및 보관이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수확된 마늘은 줄기를 절단하여 줄기를 제거한 상태로 마늘을 유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마늘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낫과 같은 절삭농기구를 이용하여 마늘줄기를 절단하였으나 이는 인력에 의존하는 수작업임으로 생산성이 떨어져 근래에는 마늘을 정렬하여 투입함으로써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마늘의 줄기를 절단하는 마늘줄기절단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마늘줄기절단기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칼날을 사용하여 마늘의 줄기를 절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마늘의 공급 및 회전칼날의 구동을 위하여 모타의 회전력을 이용하게 되며 모타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반드시 전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즉 종래의 마늘줄기절단기는 전기를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모타를 회전시키고 모타의 회전동력을 밸트 및 체인을 이용하여 회전칼날등에 공급함으로써 마늘의 줄기를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모타를 이용하여 마늘줄기절단기를 구동하는 것은 전기의 공급 유,무에 따른 제한 즉 마늘줄기절단기의 설치장소에 제한을 많이 받게 된다.
마늘줄기절단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기의 공급이 가능한 곳에 마늘절단기를 설치하여야 함으로 마늘을 수확하는 밭 등은 전기의 공급이 원활하기 않아 설치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마늘을 수확하여 마늘의 줄기가 붙은 채로 마늘줄기절단기가 설치된 위치로 운반하여 마늘줄기를 절단하여 마늘과 마늘줄기를 분리선별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게 되어 마늘농사의 노동강도가 높아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코자 안출한 것으로 전기를 이용한 모터의 구동에 더하여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도 마늘줄기절단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하여 농가에 보편적으로 공급되어 있는 경운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여 마늘의 수확장소로 마늘줄기절단기를 이동하여 운전이 가능토록 하여 마늘의 수확시에 마늘의 줄기절단 및 운반 등에 따른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늘줄기절단기를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늘줄기절단기에 경운기의 동력을 연결하는 풀리 및 마늘줄기절단기와 경운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이음장치를 부설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타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마늘줄기절단기에 있어서:
마늘줄기절단기(1)의 상면에 모타(M)와는 별도로 기어박스(G)에 밸트(a)로 연결되는 연결풀리(5a)를 장치하여 연결풀리(5)는 경운기(2)의 구동풀리(6)와 연결하되 경운기(2)와 마늘줄기절단기(1)는 이음장치(3)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연결한다.
상기에서 이음장치(3)는 마늘줄기절단기(1)의 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바(302)와 연결된 장치바(301)에 회전축봉(306)을 가진 조정바(301)를 결합함으로서 회전축봉(306)과 장치바(301)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고 연결대(308)의 일측에 결합바(401)를 가진 결합구(4)를 회전축봉(306a)과 결합하여 연결대(308)에 회동되게 결합하고 연결대(308)의 결합구(4) 타측은 조정바(307)에 결합되는 회전축봉(306)에 연결하여 결합한 구성이다.
한편 고정바(302)의 상부에는 일측에 텐션풀리(304)를 가진 풀리작동바(303)의 타측을 회동가능케 결합하고 고정바(302)의 하단과 풀리작동바(303)를 인장스프링(305)으로 연결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마늘줄기절단기와 경운기연결 실시예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마늘줄기절단기(1)에 용착 및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이음장치(3)의 결합구(401)를 경운기(2)의 전면에 위치하는 외부작업기연결구(201)와 대향되게 하여 결합바(401)를 통공(202)에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하여 마늘줄기절단기(1)와 경운기(2)를 연결하고 경운기(2)의 구동풀리(6)와 마늘줄기절단기(1)의 상면에 부설되는 연결풀리(5)와 밸트(b)로 연결하는 한편 텐션풀리(304)를 가진 풀리작동바(303)를 회동시켜 텐션풀리(304)가 밸트(b)의 상면에 접촉되게 위치시킴으로서 인장스프링(305)의 장력에 의해 텐션풀리(304)가 밸트(b)를 당겨주게 하여 구동풀리(6)와 연결풀리(5)에 장치되는 밸트(b)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음장치(3)의 장치바(301)를 기준하여 연결대(308)가 회동되게 하고 결합구(4) 또한 연결대(308)를 기준하여 회동하게 함은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마늘줄기절단기(1)와 경운기(2)의 위치가 불균일하여도 연결대(308) 및 결합구(4)를 회동시켜 마늘줄기절단기(1)와 경운기(2)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경운기(2)의 동력을 이용하여 마늘줄기절단기(1)를 구동할 수 있음으로써 마늘줄기절단기(1)의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아 마늘의 추수장소인 밭 등으로 마늘줄기절단기(1)를 이동하여 마늘을 추수함과 동시에 마늘줄기를 절단하여 마늘만을 운반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마늘줄기절단기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모타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마늘줄기절단기에 있어서:
    마늘줄기절단기(1)의 상면에 모타(M)와는 별도로 기어박스(G)에 밸트(a)로 연결되는 연결풀리(5a)를 장치하여 연결풀리(5)는 경운기(2)의 구동풀리(6)와 연결하고 마늘줄기절단기(1)의 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바(302)와 연결된 장치바(301)에 회전축봉(306)을 가진 조정바(301)를 결합하여 회전축봉(306)과 장치바(301)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며 연결대(308)의 일측에 결합바(401)를 가진 결합구(4)를 회전축봉(306a)과 결합하여 연결대(308)에 회동되게 결합하고 연결대(308)의 타측은 조정바(307)의 회전축봉(306)에 결합되는 이음장치(3)로 마늘줄기절단기(1)와 경운기(2)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동력연결구조.
KR1020060019790A 2006-03-02 2006-03-02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 KR100653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790A KR100653319B1 (ko) 2006-03-02 2006-03-02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790A KR100653319B1 (ko) 2006-03-02 2006-03-02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319B1 true KR100653319B1 (ko) 2006-12-04

Family

ID=3773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790A KR100653319B1 (ko) 2006-03-02 2006-03-02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3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2484B2 (ja) 草刈り機
US20130075122A1 (en) Work machine having main pole
US20110258859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US7647756B2 (en)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auxiliary drive on reel mower cutting unit
US8607461B2 (en) Bush cutter
EP2596699B1 (en) Apparatus for tree pruning
CN109287271B (zh) 机电一体荔枝采收机
US7647757B2 (en) Auxiliary drive shaft connection on reel mower cutting unit
AU2009299098B2 (en) Drive shaft joiner system
KR100653319B1 (ko) 마늘줄기절단기의 경운기 동력연결구조
US11432467B2 (en) Reciprocating blade apparatus and handheld working machine
US20190015914A1 (en) Reciprocating Cutting Device
CN200994259Y (zh) 大棚作业机
CN211531842U (zh) 一种大蒜收获机定长蒜杆切除装置
KR101416055B1 (ko) 회전커터를 구비하는 농작물 커팅 및 이송장치
CN112005714A (zh) 一种环绕切割式整枝果叶采摘机
CN219577875U (zh) 茶园修剪机
KR20050045952A (ko) 조절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예초기
KR20080098780A (ko) 다목적 농기계
KR200343103Y1 (ko) 조절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예초기
CN219843932U (zh) 一种省力型翻地机
CN219780955U (zh) 一种多功能便携式采摘机
CN211378850U (zh) 一种收割机分株装置
KR101679806B1 (ko) 예초기를 이용하는 버섯종균 삽입구멍 천공용 드릴장치
KR200297810Y1 (ko) 전동식 전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