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917B1 -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917B1
KR100652917B1 KR1020050021043A KR20050021043A KR100652917B1 KR 100652917 B1 KR100652917 B1 KR 100652917B1 KR 1020050021043 A KR1020050021043 A KR 1020050021043A KR 20050021043 A KR20050021043 A KR 20050021043A KR 100652917 B1 KR100652917 B1 KR 100652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rminals
contact
switc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670A (ko
Inventor
윤치순
Original Assignee
경남산업건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산업건기(주) filed Critical 경남산업건기(주)
Priority to KR102005002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9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중량 이하에서 모터의 여유효율을 사용하여 모터의 최고속도를 증가시킴으로 모터의 효율을 최대화시키고 리프트의 상하강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케이지내에 로드리미트, 모드전환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에 있어서, AC440V 60Hz의 3 상 교류전원(RST)이 3상 캠스위치를 통해 노휴즈브레커에 공급되고, 이 노휴즈브레커는 서키트브레커를 통해 트랜스포머, 위상릴레이 및 마그넷스위치의 a 접점이 각각 연결되며, 이 a 접점은 교류전원이 인버터의 단자(L1 - L3)와 3 상 교류전원(R0, S0, T0)으로 각각 공급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인버터는 단자(+10, C0M, VIN)에 콘트롤박스의 콘트롤러가 연결되고, 단자(DI3, DI1, DI2, DI4,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스타트, 업, 다운 및 업 저속 a접점이 각각 연결되며, 단자(DI5, DI6, DI8,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다운 저속 및 점검 a접점이 각각 연결되고; 다른 단자(DO1.A, D01.C D01B)에는 인버터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 브레이크가 연결되고, 단자(DO2.A, D02.C, D02B)에는 인버터트립이 연결되며, 단자(D03, 24V)에는 비상시나 리프트가 동작되지 말아야할 때 인버터를 정지시키고 모터 브레이크를 닫도록 콘트롤릴레이의 인버터트립 콘텍터가 연결되며, 단자(R+, R-)에는 병렬의 제동저항에 의해 다른 콘트롤릴레이가 연결되며; 출력단자(U, V, W)로부터의 출력단자(U1, V1, W1)에는 70Hz 속도의 모터와 모터보호계전기가, 다른 출력단자(U2, V2, W2)에는 60Hz 속도의 모터와 모터보호계전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로드셀에 의해 최대속도를 70/60Hz를 가변시키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건설용 리프트, 속도제어장치, 속도제어, 모터효율, 인버터

Description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SPEED CONTROL APPARATUS OF LIFT FOR CONSTRUCTION}
도 1 은 본 발명의 건설용 리프트에 설치되는 판넬 및 박스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메인판넬을 설명하기 위한 부품 배치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를 도시해 놓은 회로도,
도 4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판넬
200 : B 판넬
300 : 운전박스
400 : 케이지 죠인트박스
본 발명은 산업용 중속리프트에서 설정중량에 의한 최고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중량 이하에서 모터의 여유효율을 사용하여 모터의 최고속도를 증가시킴으로 모터의 효율을 최대화시키고 리프트의 상하강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반용 기계일종으로 엘리베이터(ELEVATOR)는 광산, 공장, 그리고 고층 건물 등에서 화물이나 사람을 운반하는 기계인 것이다. 예컨데, 리프트(LIFT)의 운반기기는 건축공사 등에서 각종 자재 등을 운반하는 기계나 설비인 것이다.
따라서, 고층건물 건설현장에서의 층별로 사람, 화물 운반을 위해 사용하는 화물운반용 리프트 또는 호이스트장비 등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산업용 리프트인 경우에는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방식으로, 적재용량을 측정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 않다. 이를 테면, 속도제어를 고정 속도로 하여 저속리프트(37.5m/min), 중속리프트(60m/min) 및 고속리프트(85m/min) 등을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특별한 속도의 제어 없이 일정한 속도로 상하강하고 있으며, 또한 초과중량을 측정하는 리미트 이외에는 별다른 속도나 중량을 측정 또는 제어하는 장비 등은 설치되지 않았었다.
종래의 산업용 리프트는 적재 중량에 관계없이 최고 속도가 일정하게 되어 있음으로, 과적된 상태에서나 중량이 실리지 않는 상태에서의 최고속도가 일정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중량이 과적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중량이 과적되었을 때에 비하여 모터의 효율을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건설현장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재 용량에 따라 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강구하여 현장에서 보다 빠른 운반하역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요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들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케이지에 설치된 로드셀(LOAD CELL)의 신호를 사용하고 인버터의 디지털 입력접점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출력접점으로 구분함으로 제어속도를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에서의 제어속도의 변화기울기를 조정하여 최고주파수와 전체적인 속도 기울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구성을 갖도록 한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지내에 로드리미트, 모드전환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에 있어서, AC440V 60Hz의 3 상 교류전원(RST)이 3상 캠스위치를 통해 노휴즈브레커에 공급되고, 이 노휴즈브레커는 서키트브레커를 통해 트랜스포머, 위상릴레이 및 마그넷스위치의 a 접점이 각 각 연결되며, 이 a 접점은 교류전원이 인버터의 단자(L1 - L3)와 3 상 교류전원(R0, S0, T0)으로 각각 공급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인버터는 단자(+10, C0M, VIN)에 콘트롤박스의 콘트롤러가 연결되고, 단자(DI3, DI1, DI2, DI4,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스타트, 업, 다운및 업 저속 a접점이 각각 연결되며, 단자(DI5, DI6, DI8,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다운 저속 및 점검 a접점이 각각 연결되고; 다른 단자(DO1.A, D01.C D01B)에는 인버터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 브레이크가 연결되고, 단자(DO2.A, D02.C, D02B)에는 인버터트립이 연결되며, 단자(D03, 24V)에는 비상시나 리프트가 동작되지 말아야할 때 인버터를 정지시키고 모터 브레이크를 닫도록 콘트롤릴레이의 인버터트립 콘텍터가 연결되며, 단자(R+, R-)에는 병렬의 제동저항에 의해 다른 콘트롤릴레이가 연결되며; 출력단자(U, V, W)로부터의 출력단자(U1, V1, W1)에는 70Hz 속도의 모터와 모터보호계전기가, 다른 출력단자(U2, V2, W2)에는 60Hz 속도의 모터와 모터보호계전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로드셀에 의해 최대속도를 70/60Hz를 가변시킨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지내의 케이지도어1 스위치는 안전장치스위치, 스톱 인케이지 스위치 및 케이지 루프스톱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고, 케이지도어2 스위치는 인버터트립접점과 릴레이 a접점을 통해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가 연결되고, 로드 리미터의 접점들과 상기 모터보호계전기의 접점이 각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도어1 스위치와 케이지도어2 스위치에는 케이지 죠인트박스의 케이지도어1, 2램프에 연결되고, 로드리미터 오버로드와 모터보호계전기 오버로 드 램프는 해당 릴레이 a접점을 통해 연결되며, 오버로드 부져에는 상기 릴레이 a접점이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로드리미터는 릴레이접점과 마그넷스위치의 콘텍터, 각 릴레이접점과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 릴레이접점과 마그넷스위치의 콘텍터, 릴레이접점을 통한 업/다운 저속스위치, 릴레이접점과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가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전환스위치에는 정상시 운전박스 콘트롤러가 연결되고, 점검시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 릴레이접점을 통해 업/다운 푸쉬버턴이 연결되며, 이 업/다운 푸쉬버턴은 상기 콘트롤러와 업/다운스위치가 각각 연결되고, 이 업스위치는 릴레이접점을 통해 업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가, 상기 다운스위치는 릴레이접점을 통해 다운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와 다운부져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건설용 리프트에 설치되는 판넬 및 박스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메인판넬을 설명하기 위한 부품 배치도이다.
본 발명의 리프트에서는 적재용량 설정치 400Kg미만 또는 400Kg이상의 케이지(CAGE)에 따라 70Hz 또는 60Hz의 속도로 제어하여 안전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메인판넬(100)과 B 판넬(200), 운전박스(300)와 케이지 죠인트박스(400) 등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판넬(10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인버터(1), 노휴즈 브레커(2), 마그넷스위치(3), 3 개의 서키트브레커(4 - 6), 페이스(PHASE) 릴레이(7), 1.5KVA의 트랜스포머(8), 1000V, 35A의 정류기(9), 2 개의 모터보호계전기(10, 11), 다수의 콘트롤 릴레이(12 - 15)(17 - 25), 마그넷스위치(16), 2 개의 온도계(26, 28), 팬(27), 히터(29), 터미널블록(30) 및 접지(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B 판넬(200)은 노휴즈브레커(NFB), 마그넷스위치, 2 개의 서키트브레커, 100VA의 트랜스포머 및 터미널블록 등이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운전박스(300)는 전원스위치, 케이지도어의 온/오프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지 죠인트박스(400)는 로드리미터(LOAD LIMITER) 오버로드, 2 개의 모터보호계전기(EOCR), 케이지 도어1, 2 및 부져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주는 각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를 도시해 놓은 회로도이고, 도 4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은 산업용 중속리프트에서 설정중량(400Kg미만 또는 400Kg이상)에 의한 최고속도(70Hz 또는 60Hz)를 제어하는 속도제어 리프트인 바, 이는 설정중량 이하에서 70Hz로 모터의 여유효율을 사용하여 모터의 최고속도를 증가시킴으로 모터의 효율을 최대화하고 리프트의 상하강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인 것이다.
상기 로드셀에서는 400Kg미만에서 아무 신호가 없다가 400Kg이상이 되면 로 드셀에서 신호를 발생시켜 인버터(1)로 보내지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신호는 인버터(1)의 디지털입력 접점신호(DI8)를 보내게 되는 바, 이 인버터(1)에서는 아날로그 출력접점신호(U1, V1, W1 : U2, V2, W2)로 구분하여 400Kg미만에서 70Hz 모터(52)의 속도로 동작되고, 400Kg이상에서 60Hz 모터(53)의 속도로 동작되도록 설정된다.
메인 판넬에는 도 3 에 도시된 AC440V 60Hz의 3 상 교류전원(RST)이 3상 캠스위치(56)를 통해 노휴즈브레커(2)에 공급되고 있는 바, 이는 서키트브레커(4)를 통해 1.5KVA의 트랜스포머(8), 위상릴레이(7) 및 마그넷스위치(3)의 a 접점(M0)이 각각 연결되고 있고, 이 a 접점(M0)은 상기 마그넷스위치(3)가 온(ON)시 b 접점으로 변경되어 교류전원이 인버터(1)의 단자(L1 - L3)와 3 상 교류전원(R0, S0, T0)으로 각각 공급되고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8)에서는 2 차 전원(220V)이 서키트브레커(6)를 통해 정류기(9)에 공급되었다가 마그넷스위치(16)의 a 접점(DB1)을 거쳐 DC 브레이크(54, 55)로 각각 공급되고 있고, 메인판넬의 내부온도에 따라 도 2 에 도시된 온도계(26, 28)가 작동되어 접점(TH1)에 의해 팬(27)이 온/오프되어 리프트 운전에 적당한 온도상태로 유지해준다.
또한, 메인판넬내의 조명이 어두울 때에는 스위치(SS1)를 온시켜 램프(51)를 점등시켜 내부를 밝혀준다.
상기 트랜스포머(8)의 2 차 콘트롤전원(110V)은 서키트브레커(5)를 통해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시퀀스의 제어전원으로 각각 공급되고 있다.
상기 서키트브레커(2, 4 - 6)는 이상 전원이나 해당 조건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류기(9)의 입력측에는 콘트롤릴레이(21, 22)의 a접점(R8, R9)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버터(1)는 단자(+10, C0M, VIN)에 콘트롤박스의 콘트롤러(50)가 연결되고, 단자(DI3, DI1, DI2, DI4,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스타트, 업, 다운 및 업 저속 a접점(R0, R8, R9, R5)이 각각 연결되며, 단자(DI5, DI6, DI8,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다운 저속 및 점검 a접점(R6, R7, R4)이 각각 연결된다.
다른 단자(DO1.A, D01.C, D01B)에는 인버터(1)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브레이크가 연결되고, 단자((DO2.A, D02.C, D02B)에는 인버터트립이 연결되고, 단자(D03, 24V)에는 비상시나 리프트가 동작되지 말아야할 때 인버터(1)를 정지시키고 모터브레이크를 닫도록 콘트롤릴레이(23)의 인버터트립 콘텍터(INVERTER TRIP CONTACTOR : D1)가 연결되고, 단자(R+, R-)에는 병렬의 제동저항에 의해 다른 콘트롤릴레이(24, 25)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1)의 출력단자(U, V, W)로부터 70/60Hz 속도로 가변시킬 수 있는 모터(52, 53)와 모터보호계전기(10, 11)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출력단자(U1, V1, W1)에는 70Hz 속도의 모터(52)와 모터보호계전기(10)가, 다른 출력단자(U2, V2, W2)에는 60Hz 속도의 모터(53)와 모터보호계전기(11)가 병렬로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모터(52)에는 모터 브레이크(54)가, 다른 모터(53)에는 모터 브레이크(5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B 판넬(200)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AC440V 60Hz의 3 상 교류전원(RST)이 노휴즈브레커(41)에 공급되고 있는 바, 이는 서키트브레커(43)를 통해 100VA의 트랜스포머(45), 마그넷스위치의 a 접점(M1)이 각각 연결되고 있고, 이 a 접점(M1)은 메인판넬의 교류전원(RST)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45)의 2 차측 전원(110V)은 서키트브레커(44)를 통해 도어 리미트스위치(42)와 마그넷스위치의 콘텍터(M1)가 직렬로 연결되고 있다.
케이지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도어1 스위치(61)와 케이지도어2 스위치(64)가 각각 설치되는 바, 이 케이지도어1 스위치(61)는 안전장치스위치(62), 스톱 인케이지(STOP IN CAGE) 스위치(63) 및 케이지 루프스톱(CASE ROOF STOP)스위치(60)가 직렬로 연결되고, 케이지도어2 스위치(64)는 인버터트립접점(INV TRIP)과 a접점(R0, R12)을 통해 콘트롤릴레이(12)의 콘텍터(R0)가 연결된다.
그리고, 로드리미터(56)의 접점(LL)들과 도 3 에 도시된 모터보호계전기(10, 11)의 접점(10a, 11a)이 콘트롤릴레이(13 - 15)의 콘텍터(R1 - R3)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케이지도어1 스위치(61)와 케이지도어2 스위치(64)에는 도 5 에 도시된 케이지 죠인트박스(400)의 케이지도어1, 2램프(35, 36)에 연결된다.
로드리미터 오버로드와 모터보호계전기 오버로드 램프(32 - 34)는 릴레이 a접점(R3, R1, R2)을 통해 연결되고, 오버로드 부져(H1)에는 릴레이 a접점(R3, R1, R2)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6 에 도시된 로드리미터(56)는 릴레이접점(PMR)과 마그넷스위치(3)의 콘 텍터(M0), 릴레이접점(R0, LL, R4)과 콘트롤릴레이(17)의 콘텍터(R4), 릴레이접점(D1, INV)과 마그넷스위치(16)의 콘텍터(DB1), 릴레이접점(R7)을 통한 업/다운 저속스위치(65, 66), 릴레이접점(R8, R9)과 콘트롤릴레이(18, 19)의 콘텍터(R5, R6)가 병렬로 연결되어져 있다.
여기서, 마그넷스위치(3)는 메인, 콘트롤릴레이(17)는 400Kg미만의 70Hz, 그리고 다른 마그넷스위치(16)는 DC 브레이크, 콘트롤릴레이(18)는 업 저속, 콘트롤릴레이(19)는 다운 저속을 각각 나타낸다.
도 7 에 도시된 모드전환스위치(37)에는 정상시 운전박스 콘트롤러(38)가 연결되고, 점검시 콘트롤릴레이(20)의 콘텍터(R7), 릴레이접점(R0)을 통해 업/다운 푸쉬버턴(UP PB1, DOWN PB1)이 연결된다.
이 다운 푸쉬버턴(DOWN PB1)은 상기 콘트롤러(38)와 업/다운스위치(67, 68)가 각각 연결되고 있는 바, 이 업스위치(67)는 릴레이접점(R9)을 통해 업 콘트롤릴레이(21)의 콘텍터(R8)가, 상기 다운스위치(68)는 릴레이접점(R8)을 통해 다운 콘트롤릴레이(22)의 콘텍터(R9)와 다운부져(H2)가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릴레이(20)가 점검(INSPECTOR : 40Hz), 콘트롤릴레이(21)는 업, 다른 콘트롤릴레이(22)는 다운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를 도 3 내지 도 8 에 의거하여 작동 설명을 한다.
메인 판넬에서 마그넷스위치(3)가 정상적으로 동작된 상태로부터 도 3 에 도시된 a 접점(M0)이 b접점으로 변화하여 인버터(1)에 교류단자(L1 - L3)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때 도 4 에 도시된 콘트롤릴레이(12)의 콘텍터(R0)도 통전되어 각 a 접점(R0)이 b 접점으로 변화하게 된다.
케이지(도시되지 않음)의 로드셀에서는 400Kg미만에서 아무 신호가 없다가 400Kg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도 6 에 도시된 로드리미터(56)에서 측정하게 된다.
먼저, 400Kg미만에서는 스위치접점(LL)이 변화하여 도 6 에 도시된 콘트롤릴레이(17)의 콘텍터(R4)가 통전하여 각 a 접점(R4)이 b 접점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콘트롤릴레이(12, 17)들이 통전된 상태에서 발생된 신호는 인버터(1)의 디지털입력 접점신호(DI8)를 보내게 되는 바, 이 인버터(1)에서는 아날로그출력신호(U1, V1, W1 : U2, V2, W2)로 구분하여 400Kg미만에서 70Hz의 모터(52)속도로 동작되고, 400Kg이상에서 60Hz의 모터(53)속도로 동작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인버터(1)의 디지털입력 접점신호(DI8)는 로우레벨일 때 아날로그출력(U1, V1, W1)에 의해 22KW의 모터(52)가 작동되어 70Hz의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달리 하이레벨일 때에는 상기 콘트롤릴레이(12, 17)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써 아날로그출력(U2, V2, W2)에 의해 22KW의 모터(53)가 작동되어 60Hz의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1)의 아날로그출력(U, V, W)은 60Hz일 때 예컨대 0 ~ 10V를 리니어(LINEAR)하게 22KW 모터(53)가 작동되고, 70Hz일 때에도 여기에 맞는 기울기로 변환하여 다른 모터(5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최고주파수만 변화한게 아니라 전체적인 기울기도 동일하게 변 화하게 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한편, 로드리미터(56)에 오버로드가 걸리게 되면 도 4 에 도시된 콘트롤릴레이(15)의 콘텍터(R3)가 통전되어 도 5 에 도시된 오버로드부져(H1)가 울림과 동시에 로드리미터 오버로드램프(32)가 점등되어 외부로 시청각적으로 알려주어 차후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상기 모터(52, 53)가 오버로드가 걸릴 경우에는 콘트롤릴레이(13, 14)의 콘텍터(R1, R2)가 통전되어 오버로드부져(H1)가 울림과 동시에 로드리미터 오버로드램프(33, 34)가 점등되어 외부로 시청각적으로 알려주어 차후 조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지도어1(61)나 케이지도어2(64)가 이상한 경우에는 케이지도어1램프(35)나 케이지도어2램프(36)를 점등시켜주고, 도 4 와 도 5 에서 24a와 25a로 연결되어져 있다.
도 6 에 도시된 업 저속스위치(65)나 다운 저속스위치(66)를 사용할 경우에는 릴레이접점(R8, R9)이 b 접점으로 된 상태에서 콘트롤릴레이(18, 19)의 콘텍터(R5, R6)가 통전되어 인버터(1)에 연결된 접점(R5, R6)에 의해 업 저속운전이나 다운 저속운전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정상 또는 점검으로 상승 운전 또는 하강 운전하기 위해서는 도 7 에 도시된 모드전환스위치(37)를 사용하게 되는 바, 점검모드는 콘트롤릴레이(20)의 콘텍터(R7)가 작동되어 업/다운스위치(67, 68, UP PB1, DOWN PB1)에 의해 콘트롤릴레이(21, 22)의 콘텍터(R8, R9)가 작동되어 인버터(1)에 연결된 접점(R7, R8, R9)에 의해 업 운전이나 다운 운전을 점검하게 된다. 이때 다운 운전시에는 다운부져(H2)가 울리게 된다.
이와 달리 정상모드에는 운전박스의 콘트롤러(38)의 접점변환과 더불어 업/다운스위치(67, 68, UP PB1, DOWN PB1)에 의해 콘트롤릴레이(21, 22)의 콘텍터(R8, R9)가 작동되어 인버터(1)에 연결된 접점(R8, R9)에 의해 업 운전이나 다운 운전을 실행하여 400Kg미만의 70Hz 속도 모터(52)나 400Kg이상의 60Hz 속도 모터(5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도 다운 운전시에는 다운부져(H2)가 울리게 된다.
상기 모터(52, 53)의 브레이크가 작동될 때나 콘트롤릴레이(23)의 콘텍터(D1)에 따른 인버터 트립시에는 인버터(1)에 의해 모터(52 ; 53)가 동작되지 않게 해준다.
본 발명의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에 의하면, 모터의 여유효율을 사용하는 것으로 모터에 전혀 무리가 가지 않음으로 안전하면서도 보다 신속하게 작업을 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로드셀이나 인버터를 통하여 중량 및 속도 등의 확인도 가능하므로 종래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리프트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케이지내에 로드리미트, 모드전환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에 있어서, AC440V 60Hz의 3 상 교류전원(RST)이 3상 캠스위치를 통해 노휴즈브레커에 공급되고, 이 노휴즈브레커는 서키트브레커를 통해 트랜스포머, 위상릴레이 및 마그넷스위치의 a 접점이 각각 연결되며, 이 a 접점은 교류전원이 인버터의 단자(L1 - L3)와 3 상 교류전원(R0, S0, T0)으로 각각 공급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인버터는 단자(+10, C0M, VIN)에 콘트롤박스의 콘트롤러가 연결되고, 단자(DI3, DI1, DI2, DI4,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스타트, 업, 다운 및 업 저속 a접점이 각각 연결되며, 단자(DI5, DI6, DI8, COM)에는 콘트롤릴레이의 다운 저속 및 점검 a접점이 각각 연결되고;
    다른 단자(DO1.A, D01.C D01B)에는 인버터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 브레이크가 연결되고, 단자(DO2.A, D02.C, D02B)에는 인버터트립이 연결되며, 단자(D03, 24V)에는 비상시나 리프트가 동작되지 말아야할 때 인버터를 정지시키고 모터 브레이크를 닫도록 콘트롤릴레이의 인버터트립 콘텍터가 연결되며, 단자(R+, R-)에는 병렬의 제동저항에 의해 다른 콘트롤릴레이가 연결되며;
    출력단자(U, V, W)로부터의 출력단자(U1, V1, W1)에는 70Hz 속도의 모터와 모터보호계전기가, 다른 출력단자(U2, V2, W2)에는 60Hz 속도의 모터와 모터보호계전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로드셀에 의해 최대속도를 70/60Hz를 가변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내의 케이지도어1 스위치는 안전장치스위치, 스톱 인케이지 스위치 및 케이지 루프스톱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고, 케이지도어2 스위치는 인버터트립접점과 릴레이 a접점을 통해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가 연결되고, 로드리미터의 접점들과 상기 모터보호계전기의 접점이 각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도어1 스위치와 케이지도어2 스위치에는 케이지 죠인트박스의 케이지도어1, 2램프에 연결되고, 로드리미터 오버로드와 모터보호계전기 오버로드 램프는 해당 릴레이 a접점을 통해 연결되며, 오버로드 부져에는 상기 릴레이 a접점이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리미터는 릴레이접점과 마그넷스위치의 콘텍터, 각 릴레이접점과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 릴레이접점과 마그넷스위치의 콘텍터, 릴레이접점을 통한 업/다운 저속스위치, 릴레이접점과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가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스위치에는 정상시 운전박스 콘트롤러가 연결되고, 점검시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 릴레이접점을 통해 업/다운 푸쉬버턴이 연결되며, 이 업/다운 푸쉬버턴은 상기 콘트롤러와 업/다운스위치가 각각 연결되고, 이 업스위치는 릴레이접점을 통해 업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가, 상기 다운스위치는 릴레이접점을 통해 다운 콘트롤릴레이의 콘텍터와 다운부져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KR1020050021043A 2005-03-14 2005-03-14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KR10065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43A KR100652917B1 (ko) 2005-03-14 2005-03-14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43A KR100652917B1 (ko) 2005-03-14 2005-03-14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815U Division KR200385661Y1 (ko) 2005-03-14 2005-03-14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670A KR20060099670A (ko) 2006-09-20
KR100652917B1 true KR100652917B1 (ko) 2006-12-01

Family

ID=3763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043A KR100652917B1 (ko) 2005-03-14 2005-03-14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2011A (zh) * 2018-07-02 2018-11-27 四川建设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变频施工升降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278B1 (ko) * 2006-12-14 2009-01-28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건설/산업용 중고속 리프트의 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212A (ja) * 1993-06-10 1994-12-20 Murata Mach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速度制御装置
KR19980073033A (ko) * 1997-03-11 1998-11-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40016838A (ko) * 2001-12-10 2004-02-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212A (ja) * 1993-06-10 1994-12-20 Murata Mach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速度制御装置
KR19980073033A (ko) * 1997-03-11 1998-11-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40016838A (ko) * 2001-12-10 2004-02-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2011A (zh) * 2018-07-02 2018-11-27 四川建设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变频施工升降机
CN108892011B (zh) * 2018-07-02 2020-08-07 四川建设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变频施工升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670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328B2 (en) Operation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KR100652917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KR200385661Y1 (ko) 건설용 리프트의 속도제어장치
US11697574B2 (en) Elevator
CN103693517A (zh) 施工升降机用变频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830008916A (ko) 패센저 컨베이어(trolley conveyor)의 제어장치
EP1394097B1 (en) Man conveyor controller, and man conveyor
JP200516244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476949B1 (ko) 전자회로로 모듈화된 호이스트 브레이크용 과부하방지장치
CN113593808B (zh) 一种除铁器励磁电路及励磁电压控制方法
GB2107538A (en) Device for driving an elevator using an a-c motor
JPS58280B2 (ja) 静止レオナ−ド装置
KR100880278B1 (ko) 건설/산업용 중고속 리프트의 안전장치
US20200255268A1 (en) Controller for hoist capable of multi-stage speed control and hoist including the same controller
CN101465525B (zh) 高压变频器隔离小车式高压开关柜
US10781088B2 (en) Controller for hoist capable of multi-speed control and hoist including the same controller
CN205294644U (zh) 一种起重机控制装置
JPH0238507B2 (ko)
CN201109674Y (zh) 一种提升机安全闭锁装置
KR102236955B1 (ko) 전류 개폐기 타입별 소프트 스타터 장치
KR200296796Y1 (ko) 전자회로로 모듈화된 호이스트 브레이크용 과부하방지장치
RU212143U1 (ru) Низковольтное компле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главного привода лифта
KR200459920Y1 (ko) 전동기 테스트 장치
JPH08231193A (ja) 長揚程インバータホイスト
SU8967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асинхронного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шахтных подъемных машин от коротких замыканий при коммутаци 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