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126B1 -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126B1
KR100652126B1 KR1020050069708A KR20050069708A KR100652126B1 KR 100652126 B1 KR100652126 B1 KR 100652126B1 KR 1020050069708 A KR1020050069708 A KR 1020050069708A KR 20050069708 A KR20050069708 A KR 20050069708A KR 100652126 B1 KR100652126 B1 KR 10065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atomaceous earth
pipeline
buoy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홍
Original Assignee
두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23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업용수, 도시하수, 분뇨, 도축, 수산물, 산업폐수, 양식장, 양어장, 수족관, 수영장, 목욕탕, 정수관련제제, 피혁, 염색, 섬유, 공해방지, 세차장 폐수, 유리, 석재, 금속가공액, 방전가공액, 압연유, 도장, 도금액, 비자성체 연마가공액 등의 액상 오염물질을 규조토 층에 의해 정화시키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의 위 아래쪽에 상한 접점과 하한접점을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한접점과 하한접점 사이에 부표를 끼워 넣으며, 몸체의 한쪽에는 공기 배출포트를 형성한 것인바, 부표가 액체에 잠겼을 때에 부력에 의해 부표가 떠오르도록 하고 액체가 없을 때에는 부표가 하한접점에 닿아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며 파이프라인에 유입되는 기체는 공기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하여 비정상적인 에러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규조토, 정화, 정제, 여과, 필터, 환경오염, 액체 검출

Description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Liquid detection device of diatomaceous earth filter}
도 1은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계통도.
도 2a는 종래의 액체검출장치의 설치상태를 단면예시도.
도 2b는 종래의 액체검출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검출장치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믹싱탱크 2: 규조토 투입수단
3: 교반기 4: 여과수단
5: 탈액수단 6: 받침리프트
7: 액체검출장치 8: 정제액탱크
8a: 정제 후 파트 8b: 정제 전 파트
9, 12, 13, 16, 17, 20, 22, 25, 28: 밸브
10: 체크밸브 14, 15: 수위 감지 수단
18: 유량조절수단 21: 여과펌프수단
30: 액체검출장치 31: 몸체
32: 고정판 40: 축
41: 부표 42: 하한접점
43: 상한접점 50: 공기배출포트
본 발명은 공업용수, 도시하수, 분뇨, 도축, 수산물, 산업폐수, 양식장, 양어장, 수족관, 수영장, 목욕탕, 정수관련제제, 피혁, 염색, 섬유, 공해방지, 세차장 폐수, 유리, 석재, 금속가공액, 방전가공액, 압연유, 도장, 도금액, 비자성체 연마가공액 등의 액상 오염물질을 규조토 층에 의해 정화시키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에 잠기는 부표에 의해 액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규조토는 백색 또는 회백색으로 그 입자 크기가 수㎛부터 수십㎛의 미세한 조류(藻類)의 화석으로 규산이 주성분이고, 분말입자는 다수의 조그만 구멍이 있어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여과재, 흡착제 등으로 널리 쓰인다.
규조토를 이용한 여과기는 이러한 규조토의 성질을 이용하여 금광과 여포 등의 여재 표면에 규조토를 층 모양으로 부착시켜서 여과하는 프리코트 여과법과, 여과하는 액에 소량의 규조토를 혼입해 여과하는 보디피드 여과법이 있는데 주로 가압식이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소량의 황산알루미늄을 병용한 규조토 여과가 상수도에 이용되며, 국내나 일본에서는 풀장이나 공중목욕탕 등의 용수 순환처리와 그 밖의 특수 용도에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한 바와 같이 규조토를 투입하여 섞는 믹싱탱크(1), 규조토를 여과기에 프리코트하여 정제액을 정화하는 여과수단(4), 정제액에서 슬러지와 액체로 분리하는 탈액수단(5), 정제할 원액과 정제한 액을 저장하는 정제액탱크(8), 정제액을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여과펌프수단(21), 공기압을 가하는 공압수단(미도시) 및 각 라인의 유체흐름을 제어하는 여러 개의 밸브(9, 12, 13, 16, 17, 20, 22, 25, 28)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믹싱탱크(1)의 상측에는 규조토 투입수단(2)과 교반기(3)를 설치하고, 내부에는 피정제액과 동일 성분의 오염되지 않은 원액을 투입하는 것이다.
상술한 규조토 투입수단(2)은 위쪽에 호퍼를 장착하고, 호퍼의 아래쪽에 스크루를 굴대장착하며, 스크루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호퍼에 있는 규조토를 믹싱탱크(1)에 주입하는 것이다.
상술한 교반기(3)는 교반날개를 믹싱탱크(1)의 한쪽에 위치하도록 도립장착하고 교반날개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시켜 상술한 규조토와 정제액 원액을 섞는 것이다.
또한 믹싱탱크(1)의 상면에는 고압공기를 공급받는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고, 믹싱탱크(1)의 상면 한쪽에는 여과수단(4)의 상측과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며, 믹 싱탱크(1)의 저면 한쪽에는 여과수단(4)의 저면과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고, 믹싱탱크(1)의 상면 한쪽에는 탈액수단(5)의 저면과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한 것이다.
또한 믹싱탱크(1)의 옆면에는 위아래로 이격시켜 믹싱탱크(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14)(15)을 이격시켜 형성한 것이다.
상술한 여과수단(4)은 상면 한쪽에 정제액탱크(8)의 정제 후 파트(8a)에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고, 저면한 쪽에는 탈액수단(5)의 상면과 파이프라인을 연결하며, 측면의 외부에는 여과수단(4)의 내부압력을 알 수 있도록 압력계(4a)를 장착하고, 믹싱탱크(1)의 저면과 여과수단(4)의 저면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에는 유체를 강제로 압송하기 위한 여과펌프수단(21)을 구비한 것이다.
상술한 탈액수단(5)은 탈액조(5b)와 탈액조(5b)를 개폐하는 탈액조베이스(5c)로 구성하되, 탈액조(5b)의 상면 한쪽에는 고압공기를 공급받는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고, 탈액조베이스(5c)의 저면에는 탈액조베이스(5c)를 받치는 받침리프트(6)를 장착하며, 탈액조의 측면에 내부압력을 알 수 있도록 압력계(5a)를 장착하고, 탈액조(5b)의 저면에는 분리/장착하는 탈액조베이스(5c)를 장착하고, 탈액조베이스(5c)의 한쪽에는 상술한 믹싱탱크(1)의 상측에 연결한 것이다.
상술한 정제액탱크(8)는 정제 전 파트(8b)와 정제 후 파트(8a)로 나눌 수 있고, 정제 전 파트(8b)는 믹싱탱크(1)와 여과수단(4)의 저면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에 다른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되, 정제 전 파트(8b) 쪽에는 유량조절수단(18)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파이프라인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9, 12, 13, 16, 17, 20, 22, 25, 28)를 장착한 것이고, 이 밸브들은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자밸브와, 인위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수동밸브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통상적인 규조토 여과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초기에는 모든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작동을 개시하는 것이다.
① 프리코트 단계.
믹싱탱크(1)에 피정제액과 동일한 성상의 액상을 채우고 규조토 투입수단(2)에 의해 규조토를 투입하며 교반기(3)에 의해 액상과 규조토를 혼합시킨다.
믹싱탱크(1)와 여과수단(4)을 연결하는 모든 밸브(13)(16)(20)를 개방하고 여과펌프수단(21)을 구동하여 믹싱탱크(1)에 있는 규조토 액상 혼합물을 여과수단(4)에 공급한다.
이후 여과수단(4)에서는 여과기에 규조토를 프리코트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여과기(30)에 프리코트하는 동안에는 규조토 알갱이가 여과기 표면에 눌러 붙으며 소정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이고, 액상은 믹싱탱크(1)와 여과수단(4)을 계속 순환하는 것이며, 타이머에 의해 프리코트 진행 시간을 설정하여 자동 종료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투시창(미도시)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프리코트과정을 강제 종료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프리코트를 종료 할 때에는 여과펌프수단(21)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리코트 과정이 완료되면, 믹싱탱크(1)와 여과수단(4)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중에 설치된 밸브(13)(16)를 폐쇄시킨다.
② 여과(정제) 단계.
정제액탱크(8)와 여과수단(4)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중에 설치된 밸브(12)(17)(20)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며, 유량조절수단(18)을 제어하여 피정제액의 유량을 조절하고, 여과펌프수단(21)을 구동하여 피정제액을 여과수단(4)에 공급하는 것이다.
여과수단(4)에서는 규조토 층에 의해 피정제액에 혼합된 슬러지와 액상을 분리하여 액상은 정제액탱크(8)의 정체 후 파트(8a)에 보내고, 슬러지는 규조토 층의 외부에서 거르는 것이다.
피정제액에 포함된 슬러지에 액상이 순환을 할 수 없을 때에는 여과수단(4)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고, 이때의 압력은 압력계(4a)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슬러지에 의해 규조토 층이 더 이상 필터로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의미이므로 여과수단(4)과 정제액탱크(8)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중에 설치한 밸브(12)(17)(20)를 닫고 정제과정을 종료한다.
③ 역세과정.
상술한 바와 같이 여과수단(4)에서 더 이상 여과를 실시할 수 없을 때에 역세과정을 통해 여과기에서 규조토를 포함한 슬러지를 떼어 내는 것이다.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밸브(9)를 개방하고, 여과수단(4)과 탈액수단(5)을 연결하는 밸브(22)를 개방하여 고압공기를 여과수단(4)에 공급하는 것이며 이때 밸브 (10)는 체크밸브로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주입한 고압공기는 여과수단(4)의 상측으로 주입되고, 이 고압공기에 의해 규조토 층과 슬러지는 여과기에서 분리되며, 규조토와 슬러지를 포함한 액상은 고압공기와 함께 탈액수단(5) 쪽으로 옮겨진다.
압력계(4a)를 통해 확인하거나 내부 투시창(미도시)를 통해 여과수단 내부가 맑은 상태가 확인 될 때에 역세과정을 종료하는 것이고, 이때 고압공기를 공급했던 밸브(9)를 닫고, 여과수단(4)과 탈액수단(5)을 연결하던 파이프라인에 설치한 밸브(22)를 닫는 것이다.
④ 탈액 과정.
탈액수단(5)의 위쪽에 연결되어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밸브(25)를 개방하고, 탈액수단(5)과 믹싱탱크(1)를 연결하는 밸브(28)를 개방한다.
고압공기에 의해 규조토와 슬러지를 포함한 액상은 탈액수단(5)에 저장되어 고압공기의 압력을 가하여 탈액을 실시하는 것이고 이때 베이스에 필터를 깔아둔 것으로 규조토와 슬러지는 필터에 걸러지며, 액상은 통과하여 믹싱탱크(1)에 회수되는 것이다.
탈액수단(5) 내의 압력은 압력계(5a)에 표시되며 이 압력 검출 값에 의해 탈액이 완료되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것이고, 액체검출장치(7)에 의해 탈액이 이동하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며, 액체검출장치(7)에서 액이 검출되지 않은 시점부터 계산하여 고압공기를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공급할지 판단하는 것이고, 탈액시간은 피정제액의 성상에 따라 천차만별로서 제시기본 값에 의해 산출하는 것이다.
탈액수단(5)에 의해 슬러지와 규조토에서 액이 탈액된 후에는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밸브(25)와 믹싱탱크(1)와 연결하는 쪽의 밸브(28)를 닫고, 탈액수단(5)의 아래쪽에 구비한 받침리프트(6)를 하강시켜 탈액수단(5)의 탈액조베이스(5c)를 하강 분리시켜 케이크 형태의 규조토와 슬러지를 꺼내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여과기에 규조토를 프리코트하고, 피정제액을 규조토층에 의해 정제하며, 정제된 피정제액은 정제액탱크(8)의 정제 후 파트(8a)에 보내고, 슬러지와 규조토는 케이크형태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기에 규조토 층을 형성시키고, 규조토 층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여과기는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정화시스템은 정화하는 단계마다 매우 많은 밸브들을 개폐 조작해야 하고, 이렇게 개폐하는 것을 수동으로 조작할 때에는 전문적인 지식이 있거나 숙련된 작업자 외에 일반인은 조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하여 자동화가 가능한 정화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자동화가 가능한 것은 각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검출장치를 구비하고 밸브를 전자밸브로 대체하여 정제하는 순서대로 각 장치들을 운전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탈액수단(5)에서 탈액되어 배출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탈액수단(5)의 운전시간의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체검출장치(7)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액체검출장치(7)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액수단(5)의 저면 한 쪽에 연결된 파이프라인(5b)에 액체검출장치(7)를 장착한 것이다.
상술한 액체검출장치(7)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핀(7a)(7b)을 이격시켜 형성하여 액체가 지나가는 곳에 담그는 형태로 장착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액체검출장치(7)는 한 쌍의 검출핀(7a)(7b)에 미세한 진동을 가하고 그 진동을 검출핀(7a)(7b)을 통해 얻어지는 진동 값에 의해 액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액체검출장치(7)에 의해 파이프라인(5b)에서 액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그 시점을 기준으로 탈액수단(5)에서 고압공기를 소정의 시간동안 가하여 건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검출장치(7)는 대부분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고, 제품의 가격은 예컨대 개당 25만원을 상회하는 매우 비싼 것으로 제조업체로서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었다.
특히 쾌적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관심대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오염물질 배출에 대해서 규제를 받는 것이고, 예컨대 폐수처리장에서는 방류수를 최종단계에서 수질 속에 포함된 고형물의 기준치에 적합하도록 정화하여 배출하여야 하는데 고가의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은 매우 큰 부담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축의 위 아래쪽에 상한 접점과 하한접점을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한접점과 하한접점 사이에 부표를 끼워 넣으며, 몸체의 한쪽에는 공기 배출포트를 형성한 것인바, 부표가 액체에 잠겼을 때에 부력에 의해 부표가 떠오르도록 하고 액체가 없을 때에는 부표가 하한접점에 닿아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며 파이프라인에 유입되는 기체는 공기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하여 비정상적인 에러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의 유무 판단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계산함으로서 탈액수단의 운영시간을 한정할 수 있도록 하여 탈액수단의 과다한 운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규조토, 슬러지 및 액체의 혼합물을 담아 고압공기에 의해 액체를 배출시키고 규조토와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탈액수단; 상기 탈액수단의 저면 한쪽에 연결하여 탈액수단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유통시키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유통되는 액체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의 한쪽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 한쪽에 형성되어 기체를 배출시키도록 된 공기배출포트; 상기 몸체의 상면에 덮여져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안쪽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축; 상기 축에 끼워져 부력에 의해 오르내리는 부표; 및 상기 축에 형성되되 부표와 이격된 상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부표와 접하였을 때에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상, 하한접점; 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검출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검출장치(30)는 탈액수단(5)의 저면 한쪽에 연결한 파이프라인(5b)을 연결하고, 그 파이프라인(5b)의 한쪽에 수직방향으로 몸체(31)를 돌출 형성하고, 그 몸체(31)의 위쪽에는 덮여져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고정판(32)을 형성하며, 고정판(32)에는 축(40)을 몸체(31)의 중앙방향으로 장착하고, 축(40)에는 하한접점(42)과 상한접점(43)을 이격시켜 형성하며, 하한접점(42)과 상한접점(43)사이에 부표(41)를 끼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몸체(31)의 상부 한쪽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포트(50)를 형성한 것이다.
상술한 부표(41)는 액체에 담겨졌을 때에 부력에 의해 떠오르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하한접점(42)과 상한접점(43)은 상술한 부표(41)가 접했을 때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고, 이렇게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는 정화시스템의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탈액수단(5)에서 고압공기에 의해 기체와 액체가 파이프라인(5b)을 따라 유통되고, 이렇게 유통하는 액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액체검출장치(30)의 부표(41)는 액체에 잠기고 부력에 의해 상한 접점(43)쪽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와 같이 떠오른 부표(41)는 액체의 유통이 중단되면 하한접점(42) 쪽으로 떨어지고 다시 액체가 유통하면 부포(41)는 상승하여 상한접점(43)에 닿게 된다.
파이프라인(5b)을 통과하는 유체(기체와 액체)는 탈액수단(5)의 내에 저장된 슬러지와 규조토에 포함된 액체가 고압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것으로 무한정 배출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액체는 더 이상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가 더 이상 흐르지 않을 때에는 부표(41)는 하한접점(42)에 닿아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한 전기적인 신호는 정화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술한 전기적인 신호는 탈액수단(5)을 얼마 정도의 시간동안 운전할지를 결정하는 기준시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정제하는 피정제액에 따라 건조되는 시간이 다른 것으로, 피정제액이 점성이 강하고 탈액이 늦는 성상이라면 탈액수단(5)의 운전시간이 길어질 것이고, 탈액이 비교적 빠른 성상은 탈액수단(5)의 운전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피정제액의 성분에 따라 탈액수단(5)의 운전시간을 설정하여 불필요하게 과다한 운전을 예방하고 가장 바람직한 가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입된 기체는 몸체(31)의 한쪽에 형성한 공기배출포트(5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고, 이때 부표(41)는 기체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몸체(31)내에 기체만 존재할 때에 하한접점(42)에 닿아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검출장치는 몸체의 안쪽에 고정한 축에서 부표가 부력에 의해 오르내리도록 하고, 부표가 올라갔다가 내려가 하한접점에 접촉하면 그 시점에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몸체의 한쪽에 공기배출포트를 형성하여 부표의 위치는 기체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인바, 탈액수단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액체가 없는 시점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탈액수단의 가장 바람직한 운전시간의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종래의 고가 수입품을 대체하면서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산업 활동을 통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염물 예컨대 공업용수, 도시하수, 분뇨, 도축, 수산물, 산업폐수, 양식장, 양어장, 수족관, 수영장, 목욕탕, 정수관련제제, 피혁, 염색, 섬유, 공해방지, 세차장 폐수, 유리, 석재, 금속가공액, 방전가공액, 압연유, 도장, 도금액, 비자성체 연마가공액 등의 액상 오염물질 을 정제, 정화시킴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시간동안 탈액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산업공작기계업체에서 절삭유, 냉각유는 정제하여 청결한 상태로 환원하여 유효기간동안 순환사용하게 되는데,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매우 정밀하게 슬러지 또는 불순물 등을 걸러줌으로서 절삭유, 냉각유의 교체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절삭유, 냉각유의 폐기처리 주기를 최대한 연장함으로서 산업폐기물의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규조토와 슬러지가 함유된 혼합물을 담아 고압공기에 의해 혼합물에 함유된 액체를 배출시키고 규조토와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탈액수단; 상기 탈액수단의 저면 한쪽에 연결되어 탈액수단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유통시키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유통되는 액체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과 연통되도록 파이프라인의 적소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 한쪽에 형성되어 기체를 배출시키도록 된 공기배출포트;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측에 덮여져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축;
    상기 축에 끼워져 부력에 의해 오르내리는 부표; 및
    상기 부표와 이격된 축의 상, 하방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부표와 접촉하였을 때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상, 하한접점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KR1020050069708A 2005-07-29 2005-07-29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KR10065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708A KR100652126B1 (ko) 2005-07-29 2005-07-29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708A KR100652126B1 (ko) 2005-07-29 2005-07-29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126B1 true KR100652126B1 (ko) 2006-12-01

Family

ID=3773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708A KR100652126B1 (ko) 2005-07-29 2005-07-29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419A (ko)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두리에프에스 여과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43A (ko) * 1987-07-15 1989-04-11 지.에이치.텔퍼 액체 레벨 검출기
KR19990009168A (ko) * 1997-07-08 1999-02-05 윤종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20000040178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저수 레벨 측정장치
KR200346468Y1 (ko) 2004-01-05 2004-03-30 주식회사 기술환경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규조토 여과시스템
JP2004283707A (ja) 2003-03-20 2004-10-14 Kurimoto Ltd 水質浄化装置
KR100553696B1 (ko) 2005-07-29 2006-02-24 두리산업 주식회사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에서 탈액수단의 받침리프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43A (ko) * 1987-07-15 1989-04-11 지.에이치.텔퍼 액체 레벨 검출기
KR19990009168A (ko) * 1997-07-08 1999-02-05 윤종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20000040178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저수 레벨 측정장치
JP2004283707A (ja) 2003-03-20 2004-10-14 Kurimoto Ltd 水質浄化装置
KR200346468Y1 (ko) 2004-01-05 2004-03-30 주식회사 기술환경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규조토 여과시스템
KR100553696B1 (ko) 2005-07-29 2006-02-24 두리산업 주식회사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에서 탈액수단의 받침리프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9000916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419A (ko)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두리에프에스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9746B2 (en)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me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FI83864B (fi) Foerfarande foer renande av en vaetska fraon fasta och upploesta foeroreningar med ett flotationsklarning-flockningsfoerfarande.
KR20160101019A (ko) 흡착성 분말 물질 상의 흡착 및 막의 마모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막형 수처리 시설 및 방법
CN110846121A (zh) 切削液回收净化处理装置及方法
CN107473464A (zh) 一种工业废水净化处理机器人
KR100626405B1 (ko)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여과기
KR100652126B1 (ko)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액체검출장치
KR100553696B1 (ko) 규조토를 이용한 정화시스템에서 탈액수단의 받침리프트
KR100419351B1 (ko)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050034105A (ko) 응집식 오폐수 정화장치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CN201400615Y (zh) 循环水排污水的处理系统
CN211339415U (zh) 切削液回收净化处理装置
KR100294992B1 (ko) 외주형일체식가압부상에의한수처리장치
KR20140028669A (ko) 규조토를 이용한 여과 장치
CN208594168U (zh) 精密玻璃废水处理系统
CN110590008A (zh) 一种废切削液处理工艺
RU23477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CN110723838A (zh) 集中式液体处理方法
JPS63162088A (ja) 廃水の浮上・濾過・濃縮装置
RU2241681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фильтрованием
CN209065602U (zh) 钢铁、煤化工废水深度处理系统
KR102641918B1 (ko) 분뇨 및 가축분뇨 처리시설 탈리여액 여과장치
CN106927643B (zh) 一种光饰机污水处理装置
CN208829430U (zh) 一种工业废水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