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952B1 -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952B1
KR100651952B1 KR1020040092430A KR20040092430A KR100651952B1 KR 100651952 B1 KR100651952 B1 KR 100651952B1 KR 1020040092430 A KR1020040092430 A KR 1020040092430A KR 20040092430 A KR20040092430 A KR 20040092430A KR 100651952 B1 KR100651952 B1 KR 10065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ngle
image
information
screen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913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9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4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영상표시기 화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원래의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읽기에 최적 상태로 배향하며, OSD 정보도 배향된 원래의 영상신호와 동일한 조건으로 배향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각도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상표시기의 사용자 환경정보의 화면방향을 상기 원래의 영상정보의 배향과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영상표시기, 시스템 제어부, 디스플레이 제어부, 센서, OSD

Description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OSD Information Orientation Controlling System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Orient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OSD정보를 나타낸 화면의 일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에서 영상표시기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2에 보인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에 따른 영상표시기의 화면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배향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OSD 정보의 배향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영상표시부 20 : 회전각도 검출부
21 : 센서 22 : 디스플레이 제어부
23 : 디스플레이 메모리 30 : 영상배향 제어부
31 : 시스템 메모리 32 : 시스템 제어부
33 : 구동부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방향 회전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에 있어서, 영상표시기 화면의 회전상태에 따라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가 배향되는 경우, OSD(On Screen Display) 사용자 환경 정보도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와 같은 영상표시기는 그래픽, 캐릭터(character), 문서 등을 포함한 모든 영상(image) 정보를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한다.
대부분의 영상표시기는 랜드스케이프 포맷(landscape format)으로 영상정보를 영상표시기의 화면에 표시한다. 랜드스케이프 포맷은 영상표시기에 표시되는 영상의 높이보다 영상의 폭이 더 넓도록 예를 들면 6:4 또는 16:9와 같은 비율로 표시하는 형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포맷은 표시될 영상정보가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오히려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주고, 영상표시기의 화면의 측면 공간을 낭비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될 영상정보의 폭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도록 표시하는 포트리트 포맷(portrait format)으로 영상정보를 보고 싶을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서 영상표시기 화면의 회전 상태에 따라 랜드스케이프 포맷과 포트리트 포맷을 모두 만족하는 영상표시기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초기에 개발된 영상표시기는 화면이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으며, 화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영상정보의 표시방향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구비한다. 이러한 영상표시기에서는 사용자가 영상표시기의 화면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포트리트 포맷의 영상을 볼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바탕 화면에 제공되는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설정해야만 한다. 그러면, 영상 회전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통해 영상은 90도 회전되어 포트리트 포맷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90도 회전된 화면을 다시 회전시켜 랜드스케이프 포맷으로 영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을 0도 회전 모드로 설정한다.
그러면, 영상 회전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통해 영상은 다시 원래 상태로 회전되어 랜드스케이프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표시기에서는 화면의 회전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는 있었지만, 영상표시기의 밝기, 명암, 위상, 수평 및 수직위치, 색온도 등을 조절하기위한 OSD정보의 표시방향은 현재 영상표시기의 화면의 회전 상태에 맞게 매번 재설정하여 사용해야 하였다. 여기서, OSD 정보는 On Screen Display의 약어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알아야할 정보, 즉 모니터 사용 환경을 모니터 화면에 직접 표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의 경우는 화면의 조정상태등의 조정진행상태를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기능으로서 일반적으로 15인치 고급형 모니터 이상의 기종에 이 기능이 탑재되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표시기 화면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사용자가 OSD정보를 통해서 사용환경을 조정하기를 원하는 때에는 영상표시기의 화면을 원래의 상태로 돌린 후에 사용환경을 조정을 하거나, OSD 초기화면을 현재 회전된 영상표시기의 화면에 상응하게 회전시킨 후 사용환경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영상표시기의 회전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번 영상표시기의 화면을 회전시키거나, 영상표시기의 화면을 원래의 상태로 돌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표시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영상표시기 화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원래의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읽기에 최적 상태로 배향하며, OSD 정보도 배향된 원래의 영상신호와 동일한 조건으로 배향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 에 상응하도록 배향된 복수개의 OSD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현재의 표시될 원래의 영상신호의 배향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알맞은 OSD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영상표시기와; 상기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각도검출부와; 상기 회전각도검출부의 회전각도 검출값에 상응하도록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정보를 영상표시기에 배향하여 표시하는 영상배향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영상배향 제어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상표시기의 사용자 환경정보(OSD:On Screen Display)를 상기 배향된 원래 영상정보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영상표시기와; 상기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각도검출부와;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배향된 복수개의 사용자 환경정보(OSD:On Screen Display)를 저장하며, 상기 회전각도검출부의 회전각도 검출값에 상응하도록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정보를 영상표시기의 화면에 배향하여 표시하는 영상배향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영상배향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저장된 사용자 환경정보중 상기 영상표시기의 현재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된 사용자 환경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영상표시기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방법은,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각도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상표시기의 사용자 환경정보의 화면방향을 상기 원래의 영상정보의 배향과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방법은, 영상표시기 화면의 기울기가 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가 변한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기울기 값에 상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회전각도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된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방향이 배향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사용자 환경정보(OSD:On Screen Display)중에서 현재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와 상응하는 사용자 환경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배향된 사용자 환경정보를 상기 영상표시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영상표시기의 화면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영상표시기 화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읽기에 최적 상태로 원래 영상신호를 배양하며, 이때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OSD정보를 배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기의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모니터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여도,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OSD 정보도 자동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OSD의 화면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없는 잇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은, 원래 영상신호 및/또는 OSD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영상표시기(10)와; 영상표시기(10)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각도검출부(20)와; 회전각도검출부(20)의 회전각도 검출값에 상응하도록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 및/또는 OSD정보를 배향하여 영상표시기(10)에 표시하는 영상배향 제어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OSD 정보는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DDC C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도 있지만, 영상배향 제어부(30)의 메모리 내에 미리 설정된 영상처리기의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배향된 복수개의 OSD정보를 저장시킨 후, 현재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의 배향에 상응하도록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영상표시기(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10)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원래 영상신호나 OSD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높이가 세로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패널이바람직하다.
또한, 영상표시기(10)는 창에 표시되는 내용의 형태에 따라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동작으로 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제1방향 또는 제 2방향 회전모드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 1방향 회전모드는 영상표시기(10)를 정면으로 볼 때 화면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제 2방향 회전모드는 영상표시기(10)의 장축 또는 단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도2에 보인 회전각도 검출부(20)는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1)와; 센서(21)에서 검출한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 변화값을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값으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2)와; 디스플레이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회전각도값을 저장하거나 필요시 독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메모리(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21)는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자이로 센서, 메탈 쉘 스위치, 전도 검출 스위치, 기계식 전환 스위치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영상표시기(10)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면,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변하기 때문에 해당 센서는 이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기울기를 검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22)는 센서(21)가 검출한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 변화값에 따라 0도, 90도, 180도, 270도 중 어느 하나의 회전각도값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보인 영상표시기(10)의 회전각도에 따른 화면의 모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의 패널은 회전각도가 0도인 정상 모드이고, 제 2 방향 180도 회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의 패널은 제 1 방향 90도 회전 모드로서, 정상 모드로부터 90도 회전되었고, 제 2 방향 180도 회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c의 패널은 제 1 방향 180도 회전 모드로서, 정상 모드로부터 180도 회전되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영상배향 제어부(30)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영상배향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회전각도 검출부(20)에서 검출한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배향이 변경된 원래 영상신호 또는 OSD정보를 저장하거나 필요시 독출하기 위한 시스템 메모리(31)와; 회전각도 검출부(20)에서 제공하는 검출된 회전각도값을 획득하고,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된 회전각도 검출부(20)에서 검출한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 또는 OSD정보를 영상표시기(10)에 표시하는 시스템 제어부(32)와;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원래 영상신호 또는 OSD정보의 배향을 회전각도 검출부(20)에서 검출한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변경하는 구동부(33)로 구성된다.
이때, 영상배향 제어부(30)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영상표시기의 OSD정보를 현재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하고, 이 배향된 OSD정보를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영상표시기(10)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영상배향 제어부(30)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가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될 때마다, OSD정보를 현재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하고, 시스템 메모리(31)에 새롭게 저장시킨다.
그러나, OSD정보가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예를 들어, 0도, 90도, 180도, 270도, 등)에 상응하도록 미리 배향된 상태로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시켜 전체 시스템을 운영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가 영상표시기(10)의 회전각도에 맞게 배향된 경우, 영상배향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장된 복수개의 OSD정보중 현재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된 OSD정보를 영상표시기(10)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영상배향 제어정보는 검출된 회전각도에 해당하는 영상신호의 표시 시작점, 영상신호의 표시 끝점, 주사방향(scan direc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상배향 제어정보는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된 영상 배향 모드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8 배향 모드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영상 배향 모드는 크게 정상 모드와 거울 모드로 나뉘며, 정상모드는 제 1 내지 제 4 배향 모드로 나뉘고, 거울 모드는 제 5 내지 제 8 배향 모드로 나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향 모드는 원 영상이고, 제 2 배향 모드는 제 1 배향 모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영상이며, 제 3 배향 모드는 제 1 배향 모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영상이고, 제 4 배향 모드는 제 1 배향 모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된 영상이다. 그리고, 제 5 배향 모드는 원 영상의 거울 영상이고, 제 6 배향 모드는 제 5배향 모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영상이며, 제 7 배향 모드는 제 5 배향 모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영상이고, 제 8 배향 모드는 제 5 배향모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된 영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 절차를 첨부된 도 2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영상표시기(10)의 바탕화면에 제공된 터치패널 기능이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영상표시기 화면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
이때, 영상표시기(10)의 주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된 센서(21)는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S2). 센서(21)는 감지된 기울기 변화값을 디스플레이 제어부(22)를 통하여 영상배향 제어부(30)의 시스템 제어부(32)로 전달한다(S3).
시스템 제어부(32)는 검출된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에 상응하는 회전각도를 인식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32)는 검출된 영상표시기(10)의 기울기에 상응하는 회전각도를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회전각도중 하나의 회전각도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0도, 90도, 180도, 270도 중 하나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
이어, 시스템 제어부(32)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영상배향 제어정보를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하며, 또한 영상배향 제어정보를 참조하여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를 영상표시기(10)의 회전 각도에 상응하게 배향하여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한다(S5).
이어, 시스템 메모리(31)는 인식된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원래 영상신호의 배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
S6단계의 판단결과, 원래 영상신호의 배향이 완료된 경우,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영상표시기의 OSD정보를 현재 배향된 원래의 영상신호의 배향조건과 동일하게 배향하여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한다(S7).
이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10)의 바탕화면에 제공된 터치패널 기능이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OSD정보의 표시를 명령하면(S8), 시스템 제어부(2)는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된 최근의 OSD정보를 영상표시기(10)의 화면에 표시한다(S9).
이어, 영상배향 제어부(30)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가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될 때마다, OSD정보를 현재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시키고, 새롭게 배향된 OSD정보를 시스템 메모리(31)에 새롭게 저장시킨다(S10).
그러나, OSD정보가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예를 들어, 0도, 90도, 180도, 270도, 등)에 상응하도록 배향된 상태로 시스템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전체 시스템이 운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신호가 영상표시기(10)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된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영상배향 제어부(30)는 저장된 복수개의 OSD정보중 현재 배향된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된 OSD정보를 선택하여 영상표시기(10)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영상표시기의 화면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영상표시기 화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읽기에 최적 상태로 원래 영상신호를 배양하며, 이때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OSD정보를 배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니터와 같은 영상표시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여도,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OSD 정보도 자동으로 배향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OSD의 화면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는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하거나 거울에 투영된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한 영상표시기와;
    상기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각도검출부와;
    상기 회전각도검출부의 회전각도 검출값에 상응하도록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정보를 영상표시기에 배향하여 표시하는 영상배향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영상배향 제어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상표시기의 사용자 환경정보(OSD:On Screen Display)를 상기 배향된 원래 영상정보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된 사용자 환경정보는 상기 영상배향 제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장 최근에 저장된 사용자 환경정보가 상기 영상표시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정보 및 영상정보 배향제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배향 제어부는 상기 외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정보가 상기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 환경정보는 상기 배향된 원래 영상정보와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되고, 상기 영상배향 제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4.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는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하거나 거울에 투영된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한 영상표시기와;
    상기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각도검출부와;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배향된 복수개의 사용자 환경정보(OSD:On Screen Display)를 저장하며, 상기 회전각도검출부의 회전각도 검출값에 상응하도록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정보를 영상표시기의 화면에 배향하여 표시하는 영상배향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영상배향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저장된 사용자 환경정보중 상기 영상표시기의 현재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배향된 사용자 환경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영상표시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5.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는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하거나 거울에 투영된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한 영상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각도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회전각도에 상응하게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상표시기의 사용자 환경정보의 화면방향을 상기 원래의 영상정보의 배향과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방법.
  6.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는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하거나 거울에 투영된 화면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가능한 영상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 화면의 기울기가 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가 변한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기울기 값에 상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회전각도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원래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정보의 화면방향이 배향된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방향이 배향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사용자 환경정보(OSD:On Screen Display)중에서 현재 배향된 원래 영상신호와 상응하는 사용자 환경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배향된 사용자 환경정보를 상기 영상표시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방법.
KR1020040092430A 2004-11-12 2004-11-12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제어방법 KR10065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430A KR100651952B1 (ko) 2004-11-12 2004-11-12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430A KR100651952B1 (ko) 2004-11-12 2004-11-12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913A KR20060046913A (ko) 2006-05-18
KR100651952B1 true KR100651952B1 (ko) 2006-12-07

Family

ID=3714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430A KR100651952B1 (ko) 2004-11-12 2004-11-12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9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913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38B1 (ko) 영상 배향 제어장치, 방법 및 매체
US6169535B1 (en) Monitor adjustment control
US20060097986A1 (en) Image display system
KR20030097310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상크기조절방법 및 그화상크기조절시스템과 화상크기조절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080150921A1 (en) Supplementing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ata set
EP181284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CN102333191A (zh) 摄像控制系统、用于摄像设备的控制设备和方法
US200401837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control method
JP2011113128A (ja) ペンタブレット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入力方法
CN101043597A (zh) 根据图像信息方位调整osd信息方位的系统及控制方法
KR1010465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779231A1 (en) Method of rotating image, computer, and recording media
KR100651952B1 (ko) 영상정보의 배향에 따른 osd정보 배향 제어시스템 및제어방법
JP4016380B2 (ja) 電子機器
JP531590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EP2289063B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US20110169728A1 (en) Rotatabl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200135B1 (ko)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KR20060065767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osd 기능 알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1859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전환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컴퓨터 시스템
KR20070047622A (ko) 디스플레이장치
CN1968368A (zh) 图像显示器的osd功能提示控制系统及方法
KR101059027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90068B1 (ko) 회전검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디스플레이시스템
KR101260309B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