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768B1 -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768B1
KR100651768B1 KR1020040090922A KR20040090922A KR100651768B1 KR 100651768 B1 KR100651768 B1 KR 100651768B1 KR 1020040090922 A KR1020040090922 A KR 1020040090922A KR 20040090922 A KR20040090922 A KR 20040090922A KR 100651768 B1 KR100651768 B1 KR 10065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riving
management 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316A (ko
Inventor
송동석
Original Assignee
(주)이라스정보
송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라스정보, 송동석 filed Critical (주)이라스정보
Priority to KR102004009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7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운행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중교통수단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운행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운행에 따른 시비를 명확히 가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객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카메라(110), 차량 제어기(130) 및 차량단말기(160)를 장착하여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운행을 개시하면 차량에 장착된 차량단말기(160)가 운전자 및 탑승객의 영상, 요금수납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운행정보를 획득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단말기(160)가 차량운행관리서버(170)와 통신을 개설하여 상기 저장된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제어기. 차량단말기, 카메라. 차량운행관리서버.

Description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ACQUISITION SYSTEM FOR MOVING INFORMATION OF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량운행정보 획득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량운행정보 획득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카메라 120 : 카드 리더기
130 : 차량 제어기 140 : 모니터
150 : 메모리 160 : 차량 단말기
170 : 차량운행관리 서버
본 발명은 교통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운행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차량 보급으로 이동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있지만, 차량이 증가하면서 교통사고도 증가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통 사고는,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가 한정되고, 대다수의 운전자와 보행자가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므로 인해 위험을 신속하게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최근 차량의 주위, 예로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는 감시시스템이 개발되어 장착되고 있는데, 일한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와, 운전석 근처에 장착되어 상기 감시 카메라에서 얻은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한다.
한편, 최근에는 지능형 교통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에 적용된 교통시스템을 예로 들면, 운전자에게 차량 경유지의 트래픽(traffic) 상태 정보 등 차량 운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교통 이용객에게 대중교통수단의 노선 정보,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안내, 배차간격, 환승 정보 등에 대한 관련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현재 교통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전자 또는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여전히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책임소재가 불분명하여 시비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운행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을 창안한 것으로, 대중교통수단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운행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운행에 따른 시비를 명확히 가릴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객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장착된 카메라, 교통카드 리더기 및 차량제어기를 제어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의 영상, 요금수납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운행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차량 단말기와, 운행이 완료된 차량에 탑재된 상기 차량단말기로부터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운행을 관리하는 차량운행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량단말기와 차량운행관리서버간의 통신방식은 무선랜, 블루투스(Bluetooth),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 단거리 무선 전용 통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에 카메라 또는 차량단말기를 장착하여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운행을 개시하면 차량에 장착된 차량단말기가 운전자 및 탑승객의 영상, 요금수납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운행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단말기가 차량운행관리서버와 통신을 개설하여 상기 저장된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행정보는 요금수납정보 또는 차량 내외부의 영상정보 또는 차량상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택시,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에 적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버스의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차량운행정보 획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 부호 '110'은 카메라로서,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110)는 도1에서 1개만을 도시하였으나, 차량 내,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버스에 장착되는 카메라(110)는 운전자와 탑승객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운전석에 근접한 위치, 버스의 전면, 측면, 후면 및 승객 하차 위치에 장착한다.
상기에서 버스의 전면, 측면, 후면에 장착되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은 교통사고 등으로 시비가 발생하는 경우 명확하게 책임소재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20'은 승객이 카드로 지불하는 요금을 수납하기 위한 카드리더기이다.
도면 부호 '130'은 버스에 장착된 시동, 도어열림, 운행에 관련한 장치를 제어하고 그 제어에 따른 버스기동상태를 수집하기 위한 차량 제어기이다.
상기 차량 제어기(130)에서 수집한 정보는 버스 정비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
도면 부호 '140'은 카메라(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이다. 상기 모니터(140)에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버스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50'은 버스에 관련한 정보 예로, 버스 내외부 영상, 수납요금데이터, 버스 기동상태데이터, 운행경로정보(각 정류장의 정차, 발차 시간)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여기서, 메모리(150)은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이 바람직하지만, 하드디스크(HDD), 광기록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면 부호 '160'은 차량 단말기로서, 카메라(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140)에 표시하며, 카메라(110)의 촬영영상, 카드리더기(120)의 수납데이터, 차량제어기(130)에서 수집한 차량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 부호 '170'은 차량운행관리서버(170)로서, 차량단말기(160)가 수집하여 메모리(150)에 기록한 차량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종류별로 구분하여 스토리지(storage)장치(180)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비, 승객에 대한 서비스 개선 등을 위한 자료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버스의 전면, 후면, 측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운전석 근처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와 탑승객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차량 제어기 (130)는 버스 출입문 부근에 설치한 도어열림검출센서가 검출한 신호를 차량 단말기(160)에 전달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160)는 카메라(1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기(160)는 카메라(110)이 촬영한 탑승객과 운전자의 영상을 압축 등의 처리한 후 메모리(150)에 기록한다. 이때, 영상 기록 동안 음성도 녹음할 수 있으며, 기록 영상에는 기록일자, 시간이 문자 또는 숫자로 함께 기록된다. 그리고 카메라(110)로 촬영하는 동안 카드 리더기(120)는 탑승객의 카드로부터 수납한 요금수납정보를 차량 단말기(160)에 전달하여 메모리(150)에 저장시킨다. 요금수납정보는 카드번호, 탑승위치, 하차위치 등을 포함한다.
이후, 차량 제어기(130)에서 도어닫힘에 따른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단말기(160)는 카메라(110)의 동작을 오프시킨다.
그런데, 상기에서 카메라(110)를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한 동안만 작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현재 메모리 소자가 소형, 고용량으로 개발되고 있으므로 카메라(110)를 운행 개시 시점부터 계속 작동시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의 내,외부 상황을 동영상으로 촬영한다면 메모리(150) 용량이 부족할 수도 있으므로 소정주기(예로, 1~2초)마다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10)를 소정주기마다 작동시키는 경우 카메라 수명단축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필요로 하는 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운전자 및 승객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차후에 운전자의 안전수칙여부 및 승객 행동을 분석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이나 차내의 소매치기나 절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전면, 후면, 측면 및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150)에 기록함으로써 교통사고 등으로 시비가 발생하는 경우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카메라(110)로 촬영된 영상은 차량 단말기(160)에 의해 모니터(140)에 전달되어 표시되는데, 운전자의 설정에 의해 전면, 후면, 측면, 버스 내부에 대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해당 위치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니터(140)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면, 후면, 측면, 버스 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130)는 버스가 운행하는 동안에 버스에 설치된 전기장치의 제어와 함께 버스기동상태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 단말기(160)에 전달하여 메모리(150)에 기록시키는 동작을 수행함은 물론 차고지 등에서 버스에 시동이 걸린 동안에도 버스기동상태를 수집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160)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단말기(160)는 버스에 시동이 걸린 상태라면 차량 제어기(130)에서 전달된 버스기동상태 정보를 메모리(150)에 기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차량 단말기(160)에 의해 메모리(150)에 기록된 차량정보는 차량운행관리서버(170)에 무선으로 전송되어 스토리지장치(180)에 기록되는데,이 과정을 도2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차량 단말기(160)와 차량운행관리서버(170)는 무선랜, 블루투스, DSRC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단말기(160)와 차량운행관리서버(170)사이에는 중계기가 설 치되어 상호간 송수신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하는데, 중계기의 동작을 잘 알려져 있으므로 차량 단말기(160)와 차량운행관리서버(170)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버스에 시동이 걸리면 카메라(110), 카드 리더기(120), 차량 제어기(130), 모니터(140) 및 차량 단말기(16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게 되고, 차량 단말기(160)은 카메라(110), 카드 리더기(120) 및 차량 제어기(13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메모리(150)에 기록하게 된다.
이후, 차량 단말기(160)는 차량운행관리서버(170)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서 채널을 할당받아 무선통신을 개설한다.
이때, 차량 단말기(160)는 무선통신이 개설되면 메모리(150)에 기록된 차량정보를 자신의 ID와 함께 차량운행관리서버(170)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운행관리서버(170)는 차량 단말기(160)가 전송한 ID를 참조하여 해당 버스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160)에서 전송되는 차량정보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스토리지 장치(180)에 기록하게 된다.
이후, 차량운행관리서버(170)에 의해 스토리지 장치(180)에 기록된 정보 중 특정 정보는 외부의 서비스업체로 전송되는데, 예를 들어 요금수납정보의 경우 각 버스에서 일정기간 수납된 정보가 통합되어 교통카드 사업체로 전달되고 이로부터 해당 요금을 정산받을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10)로 촬영한 영상은 교통사고 등으로 시비가 발생하는 경우 책임소재를 파악하는데 사용되거나 혼잡도 등을 파악하여 배차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고, 차량 제어기(130)에서 수집한 정보는 차량 상태를 판단하는 자료로 이용되어 차량의 정비시기 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시기에 차량을 정비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교체 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차량 단말기(160)와 차량운행관리서버(170)간의 무선 통신을 DSRC 방식으로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운행관리서버(170)는 방송메시지를 송출하고 있으며, 버스에 시동이 걸리면 전원을 공급받은 차량 단말기(160)는 상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운행관리서버(170)에 채널 할당을 요구하면서 자신의 ID를 함께 전송한다.
이때, 차량운행관리서버(170)는 채널 할당을 요구한 차량 단말기(160)의 ID를 확인한 후 정당한 요구로 확인되면 채널을 할당한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기(160)는 차량정보(차량기동상태, 요금수납정보, 운행 중에 획득한 차량 내외부의 영상정보)를 차량운행관리서버(170)에 전송한다.
이후, 정보송수신이 완료되면 차량 단말기(160)과 차량운행관리서버(170)간의 통신연결은 해지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에 관련한 정보(차량 내외부의 영상, 교통요금수납, 차량상태 등)를 획득하여 기록하고 이를 차량운행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불법운행을 방지함은 물론 승객과의 마찰 또는 교통사고에 따른 시비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 운행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운행서비스를 관리하는 운행관리서버와,
    차량운행중에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카드 리더기, 차량제어기를 이용하여 차량 내외부 영상, 운전자 및 탑승객의 영상, 요금수납정보, 차량상태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에 기록하고, 운행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 운행관리서버와 무선 통신을 개설하여 상기 수집된 차량 운행정보를 상기 운행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정보 획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단말기와 차량운행관리서버간의 통신방식은
    무선랜, 블루투스(Bluetooth), DSRC(단거리 무선 전용 통신)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정보 획득 시스템.
  3. 차량에 카메라, 차량 제어기 및 차량단말기를 장착하여 차량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운행을 개시하면 상기 차량단말기가 차량 내외부 영상, 운전자 및 탑승객의 영상, 요금수납정보, 차량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운행정보를 획득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와,
    운행 완료 시점에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차량운행관리서버와 통신을 개설하여 상기에서 기록한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차량운행정보 획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차량운행정보는 요금수납정보 또는 차량 내외부의 영상정보 또는 차량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정보 획득 방법.
KR1020040090922A 2004-11-09 2004-11-09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065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22A KR100651768B1 (ko) 2004-11-09 2004-11-09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22A KR100651768B1 (ko) 2004-11-09 2004-11-09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16A KR20060042316A (ko) 2006-05-12
KR100651768B1 true KR100651768B1 (ko) 2006-12-04

Family

ID=3714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922A KR100651768B1 (ko) 2004-11-09 2004-11-09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71B1 (ko) 2012-11-30 2014-03-26 주식회사 이비시스 차량 단말기를 통한 운전자 운전습관 실시간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0538B2 (ja) * 2018-01-11 202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撮影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71B1 (ko) 2012-11-30 2014-03-26 주식회사 이비시스 차량 단말기를 통한 운전자 운전습관 실시간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16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729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ling parking charge using DSRC
CN105590454B (zh) 一种车辆违规行为举证的方法及其系统
US9359018B2 (en) Modula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N112348992B (zh) 基于车路协同系统的车载视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639729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20010093320A (ko) 컴퓨터화된 주차시설 운영시스템
KR101624991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1430155B1 (ko) 차량 사고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632182A (zh) 一种车辆违规行为举证的方法及其系统
KR101876239B1 (ko) 주차 시스템
KR101624997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20180102284A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6960279B2 (ja) 車載装置、基地局装置、映像情報提供システム、映像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802344A (zh) 一种车载式智能联网实时交通违章监控装置及系统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JPH11505945A (ja) 設立物における遠隔通信のための車両搭載型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986303B1 (ko) 이동식 주정차 단속시스템
JP7067876B2 (ja) 車載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651768B1 (ko) 차량 운행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2312695B1 (ko) 영업용 차량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CN210895846U (zh) 牵引车挂车进出管理系统
CN113345260A (zh) 一种基于停车场的智能停车方法及智能停车系统
CN113438624A (zh) 一种车辆救援方法及其装置
JP5095334B2 (ja) 通信システム、車載器、及び、路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