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640B1 -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640B1
KR100651640B1 KR20040024134A KR20040024134A KR100651640B1 KR 100651640 B1 KR100651640 B1 KR 100651640B1 KR 20040024134 A KR20040024134 A KR 20040024134A KR 20040024134 A KR20040024134 A KR 20040024134A KR 100651640 B1 KR100651640 B1 KR 10065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ervice
wired
wireless terminal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064A (ko
Inventor
구용회
황해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to KR2004002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6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64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코드(E-CODE, Enum CODE)를 입력받아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로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단말기와;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번역 요청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코드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코드 서비스가 구동되면, 유무선 단말기에서 이-코드를 입력받아 인터넷망과 연동하여 이-코드 제어부로 번역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코드 제어부에서 번역 요구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유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 후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접속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문, 잡지, 옥외 광고판, 쿠폰 페이지, 일반 상품 등에 차세대 통합 식별 체계 서비스인 이넘(ENUM, tElephone NUmber Mapping)을 바코드(Barcode) 형태로 인쇄한 이-코드(E-CODE, Enum COD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유무선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해 이-코드의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접속 방 식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유무선 단말기에 따라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하여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아울러, 그 선택된 서비스 접속 방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곧바로 연결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E-CODE SERVIC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도1은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한 망의 구성 예를 보인 망구성도.
도2는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코드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무선 단말기 20 : 이-코드 제어부
30 : 유선망 40 : 제1 패킷 호 종단장치
50 : 무선망 60 : 제2 패킷 호 종단장치
본 발명은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문, 잡지, 옥외 광고판, 쿠폰 페이지, 일반 상품 등에 인쇄된 이-코드(E-CODE, Enum COD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유무선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해 이-코드의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의 발달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급되면서, 이동 중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연의 기능보다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송수신,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특히, 초기에 고액의 통신 요금으로 인해 이용자가 적었던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패킷당 통신 요금이나 컨텐츠에 대한 정보 이용료 등이 저렴해지고 다양한 요금상품이 등장하면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용 기기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기존의 유선망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던 것과 동일하게 메일 확인, 정보 검색, 다운로드 등을 할 수 있어 그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로 문의하거나,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 유선망 접속을 위한 단말기나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 등 무선망 접속을 위한 휴대용 기기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문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ARS의 안내에 따라 일일이 키버튼을 눌러 메뉴를 이동하여야 하거나 웹사이트 내에서 웹페이지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자신의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시간이나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광고,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문, 잡지, 옥외 광고판, 쿠폰 페이지, 일반 상품 등에 인쇄된 이-코드(E-CODE, Enum COD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유무선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해 이-코드의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코드(E-CODE, Enum CODE)를 입력받아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로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단말기와;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번역 요청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코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코드 서비스가 구동되면, 유무선 단말기에서 이-코드를 입력받아 인터넷망과 연동하여 이-코드 제어부로 번역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코드 제어부에서 번역 요구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유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 후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접속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한 망의 구성 예를 보인 망구성도로서, 유선 단말기(10) 사용자는 유선망(30)으로 이루어진 인터넷망(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을 통해, 무선 단말기(10) 사용 자는 무선망(50)으로 이루어진 인터넷망(TCP/IP)을 통해 이-코드 제어부(20)에 접속하여 이-코드에 대한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를 수신받으며, 그 번역 결과에 따라 해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중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 혹은 인터넷망과 연동하면서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무선 단말기(10)는 유선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통하여 무선 혹은 유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통신기기로 가정하며, 상기 유무선 단말기(10)가 이-코드 제어부(20)에 접속하는 방법으로는 해당 단말기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유선 단말기(10)가 전화선을 이용하는 경우 모뎀(31)을 통해, 전용선을 이용하는 경우 디지털가입자회선(xDSL)(32)을 통해 제1 집선장치(33) 및 제1 패킷 호 종단장치(40)를 거쳐 이-코드 제어부(20)에 접속하고, 이-코드에 대한 번역 결과를 수신한 후에는 해당 유선 단말기(1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을 통해 공중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 혹은 인터넷망과 연동하면서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무선 단말기(10)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인 경우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iever Subsystem)(51),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52) 및 제2 패킷 호 종단장치(60)을 통해 이-코드 제어부(20)에 접속하고, 무선랜이 장착된 노트북 등인 경우 무선인터넷랜(WiFi, Wireless Fidelity)(53) 및 제2 집선장치(54)의 스위칭에 의해 제2 패킷 호 종단장치(60)를 거쳐 이-코드 제어부(20)에 접속하며, 이-코드에 대한 번역 결과를 수신한 후에는 해당 무선 단말기(1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을 통해 공중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 혹은 인터넷망과 연동하면서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한편, 도2는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코드(E-CODE)를 입력받아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로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단말기(10)와;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상기 유무선 단말기(10)로부터 번역 요청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이-코드 제어부(20)로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이넘(ENUM, tElephone NUmber Mapping)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인터넷에서 인식 가능한 주소체계로 변환,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의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규약으로 이루어진 차세대 통합 식별 체계 서비스를 말한다.
본 발명은 광고,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문, 잡지, 옥외 광고판, 쿠폰 페이지, 일반 상품 등에 상기 이넘을 바코드(Barcode) 형태로 인쇄하여 이-코드(E-CODE, Enum CODE)라는 것을 생성하고, 이에 사용자가 그 생성된 이-코드가 의미하는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공중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 혹은 인터넷망에서 제공하는 각 서비스 접속 방식 중에서 임의의 접속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코드는 이넘을 바코드 형태로 코드화한 것으로, 도3a 내지 도3d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각 PDF417,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맥시 코드(Maxi Code), QR 코드 등의 표준화된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넘을 코드화할 수 있으며, 바코드 영역과 문자열 영역을 함께 제공하여 유무선 단말기(10)에 이-코드를 입력할 시, 도3e와 같이 유무선 단말기(10)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코드를 입력하는 경우 상부의 바코드 영역을 촬영하고, 키패드를 이용하여 이-코드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하부의 문자열 영역을 입력하면 된다.
한편, 도2에서 유무선 단말기(10)의 이-코드 입력부(11)는 상기 유무선 단말기(10)에 장착된 카메라(미도시) 혹은 키패드(미도시)를 통해 신문, 잡지, 옥외 광고판, 쿠폰 페이지 혹은 일반 상품 등 다양한 매체에 표시된 이-코드를 입력받아 이-코드 요청부(12)로 출력한다.
여기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코드를 촬영한 경우에는, 상기 이-코드 입력부(11)에 촬영된 이미지에서 특정의 패턴을 찾아 내는 기능을 하는 모듈이 추가되어, 이미지 형태로 입력된 이-코드를 코드화된 비트열로 인식하게 된다.
이-코드 요청부(12)는 상기 입력된 이-코드를 이넘을 의미하는 비트열로 패킷화한 후 인터넷망(TCP/IP)을 통해 이-코드 제어부(20)로 전달하여 이-코드의 번역을 요청한다.
그 다음, 상기 이-코드 제어부(20)에서 이-코드의 번역 결과인 서비스 정보를 상기 유무선 단말기(10)로 전송하면, 이-코드 결과 수신부(13)에서 상기 이-코드 제어부(2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4)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정보는 이-코드가 의미하는 이넘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접속할 수 있는 수단, 즉 유선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의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서비스 정보 리스트 중에서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의 접속 방식을 선택하면, 서비스 연결 제어부(15)에서 유선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 혹은 인터넷망과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 사업자와 서비스를 연결한다.
즉, 유선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련 상품 혹은 서비스에 대한 문의를 하거나, 인터넷망을 통해 이메일을 작성하거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더 상세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제어부(15)는 유선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 데스크탑 컴퓨터 등 유무선 단말기(10)의 종류에 따라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접속 방식 및 해당 서비스 접속 방식을 통한 서비스 연결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코드 제어부(20)에서 이-코드 수신부(21)는 인터넷망(TCP/IP)을 통해 유무선 단말기(10)로부터 특정의 이-코드에 대한 번역 요청을 수신하고, 이-코드 번역부(22)는 상기 번역 요청된 패킷 형태의 이-코드를 처리하여 이-코드값으 로 변환하여 이-코드 검색부(23)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이-코드 검색부(23)는 이-코드 데이터베이스(24)에 상기 이-코드값을 질의하여 해당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 이-코드 결과 전송부(25)는 상기 추출된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유무선 단말기(10)로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이-코드 데이터베이스(24)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한다.
한편, 도4는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코드 서비스가 구동되면, 유무선 단말기(200)에서 패킷 호 종단장치(300)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단계(S40∼S42)와; 유무선 단말기(200)에서 상품 광고(100)에 인쇄된 이-코드를 입력받아 이-코드 제어부(400)로 번역을 요구하는 단계(S43,S44)와; 이-코드 제어부(400)에서 해당 이-코드의 번역 결과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유무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45)와; 유무선 단말기(200)에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서비스 접속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46∼S48)로 구성한다.
본 발명 이-코드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200)에서 특정메뉴를 선택하거나 기능키를 선택하여 이-코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 램을 실행하여 이-코드 서비스를 구동하면(S40), 상기 유무선 단말기(200)에서는 내부의 TCP/I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모듈의 동작에 의해 공중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패킷 호 종단장치(300)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망에 접속한다(S41,S42).
그 다음,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200)에 장착된 카메라 혹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신문, 잡지, 옥외 광고판, 쿠폰 페이지 혹은 일반 상품 등 다양한 매체 중에서 상품 광고(100)에 인쇄된 이-코드를 입력하면(S43), 상기 유무선 단말기(200)에서는 인터넷망을 통해 이-코드 제어부(400)로 상기 입력된 이-코드의 번역을 요구한다(S44).
그러면,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아 관리하는 상기 이-코드 제어부(400)는, 상기 번역이 요청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유무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45).
이에, 상기 유무선 단말기(200)는 이-코드의 번역 결과로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고(S46), 사용자가 서비스 정보 중에서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접속하고자 하는 방식을 선택하면(S47), 해당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S48).
즉,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 형태로 출력된 서비스 정보 중에서, 공중전화망 혹은 이동통신망 혹은 인터넷망을 통하여 음성통화,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나 팩스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거나 이메일을 발송하는 등 자신의 유무선 단말기(200)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형태를 선택하 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무선 단말기(200)에 따라 서비스 접속 방식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 선택된 서비스 접속 방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곧바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고,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문, 잡지, 옥외 광고판, 쿠폰 페이지, 일반 상품 등에 차세대 통합 식별 체계 서비스인 이넘(ENUM, tElephone NUmber Mapping)을 바코드(Barcode) 형태로 인쇄한 이-코드(E-CODE, Enum COD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유무선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해 이-코드의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유무선 단말기에 따라 서비스 접속 방식을 선택하여 유선전화, 이동전화,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아울러, 그 선택된 서비스 접속 방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곧바로 연결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코드(E-CODE, Enum CODE)를 입력받아 번역을 요청하고, 그 번역 결과로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단말기와;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번역 요청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코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무선 단말기는, 상기 이-코드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접속 서비스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 및, 상기 접속 서비스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접속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접속을 시도하기 위한 서비스 연결 제어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코드는, 이넘(ENUM, tElephone NUmber Mapping)을바코드 형태로 코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접속 가능한 유선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코드 제어부는, 인터넷망(TCP/IP)을 통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이-코드에 대한 번역 요청을 수신하는 이-코드 수신부와; 상기 번역 요청된 이-코드를 처리하여 이-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이-코드 번역부와;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코드값을 질의하여 해당 이-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이-코드 검색부와; 상기 추출된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코드 결과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6. 이-코드 서비스가 구동되면, 유무선 단말기에서 이-코드를 입력받아 인터넷망과 연동하여 이-코드 제어부로 번역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코드 제어부에서 번역 요구된 이-코드에 해당하는 다수의 접속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유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다수의 접속 서비스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접속 서비스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접속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유무선 단말기가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40024134A 2004-04-08 2004-04-08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51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4134A KR100651640B1 (ko) 2004-04-08 2004-04-08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4134A KR100651640B1 (ko) 2004-04-08 2004-04-08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064A KR20050099064A (ko) 2005-10-13
KR100651640B1 true KR100651640B1 (ko) 2006-12-01

Family

ID=3727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4134A KR100651640B1 (ko) 2004-04-08 2004-04-08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55B1 (ko) * 2007-03-05 2008-06-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ENUM(tElephone NUmberMapping)가입자정보 자동등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064A (ko)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3443B2 (en) Contents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for using a cod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agency platform, operating agency platform, on-line relation member module, and the method from the same
EP0779759B1 (en) A method and architecture for an interactive two-way data communication network
JP2001337978A (ja) デジタル情報入力システム
US20100077323A1 (en) Automatical access of internet content with a camera-enabled cell phone
KR20060096921A (ko) 문자 인식용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및그를 위한 네트워크
US200500157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ient aware content aggregation and rendering in a portal server
US71499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a portion of non-focusable object presented by a browser application
JP2001243231A (ja) 移動機への個人情報登録方法および移動機
WO2004077309A1 (en)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 using code and method for providing crm related the service
US20020087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business card
US77689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with string
JP2003271650A (ja) 携帯電話Webサイト画像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サーバーとそのプログラム
EP2485121A2 (en) Alphanumeric keypad arrangement for handheld devices
JP2003345815A (ja) Url検索サーバ及びurl検索システム並びに画像加工サーバ及び画像加工システム
JP4788016B2 (ja) カメラで撮影した画像をサーバで表示するシステム、そのサーバ及びそのサーバ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51640B1 (ko) 이-코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1626628B (zh) 数字号码与网址映射及推送系统
CN101262358A (zh) 信息发布装置及方法
KR101009974B1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지리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0365884B1 (ko)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KR100570269B1 (ko) Rfid 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p2p 중개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865419B1 (ko) 멀티미디어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79497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of wireless-internet using domain based numeral
JP2003209632A (ja) Url送信サーバ、url送信方法、url送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622644B1 (ko) 인터넷 연결 로그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