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350B1 - 지폐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350B1
KR100650350B1 KR1020050069820A KR20050069820A KR100650350B1 KR 100650350 B1 KR100650350 B1 KR 100650350B1 KR 1020050069820 A KR1020050069820 A KR 1020050069820A KR 20050069820 A KR20050069820 A KR 20050069820A KR 100650350 B1 KR100650350 B1 KR 10065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banknote
shaft
blades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이건창
장현수
김준영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스택 날개가 형성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결합되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택 휠과, 지폐를 스택 날개 사이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스택 날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부와, 제 1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이 지폐의 이송선상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제 2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지폐가 스택 날개 사이에 인입되었음이 감지되면 또 다른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이 지폐의 이송선상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지폐가 인입되는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을 정확하게 지폐 이송선상에 위치시키고 이송되는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스택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지폐를 1장 씩 안정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지폐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지폐, 적재, 스택 휠, 스택 날개, 센서, 발광, 회전판

Description

지폐 적재장치{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도 1은 스택 휠에 지폐가 한 장씩 공급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제 1 감지부가 결합된 본 발명에 의한 스택 휠과 샤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지폐가 스택 휠 사이로 인입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지폐가 이송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택 휠 110 : 스택 날개
200 : 샤프트 300 : 회전판
310 : 관통구 400 : 제 1 센서
410 : 제 1 발광부 420 : 제 2 수광부
500 : 제 2 센서 510 : 제 2 발광부
520 : 제 2 수광부 600 : 이송부
610 : 이송롤러 620 : 이송벨트
700 : 가이드롤러
본 발명은 스택 휠을 구비하는 지폐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폐의 이송 위치에 따라 스택 휠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지폐를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폐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 적재장치는 주로 현금 입출금기 내부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지폐 이송롤러에 의해 일렬로 이송된 다수의 지폐를 가지런히 정렬하여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일렬로 이송되는 지폐를 차례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지폐를 한 장씩 잡아 적재위치로 이송시켜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지폐를 한 장씩 잡아 적재위치로 이송시킬 때에는 스택 휠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택 휠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스택 휠에 지폐가 한 장씩 공급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 휠(20)은 나선형으로 방사되는 다수의 스택 날개(22)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회전 샤프트(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샤프트 홀(24)이 형성된다.
하나의 회전 샤프트(30)에는 다수의 스택 휠(20)이 상호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스택 휠(20)로 이송되는 지폐(10)는 스택 날개(22) 사이로 인입된다. 스택 날개(22) 사이로 지폐가 인입되면, 회전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해 스택 휠(1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폐(10)가 가지런해 적재된다.
그런데, 지폐(10)가 한 장씩 스택 날개(22) 사이로 이송되기 위해서는 이송롤러(미도시)가 스택 휠(20)의 회전속도에 맞춰 지폐(10)를 한 장씩 이송해야 하는데, 이송롤러의 지폐(10) 이송속도와 스택 휠(20)의 회전속도를 정확히 맞추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폐의 위치와 스택 날개의 위치를 감지하여 지폐 이송수과 스택 휠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지폐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폐적재장치는, 다수의 스택 날개가 형성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결합되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택 휠과, 지폐를 스택 날개 사이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스택 날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부와, 제 1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이 지폐의 이송 선상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제 2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지폐가 스택 날개 사이에 인입되었음이 감지되면 또 다른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이 지폐의 이송선상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제 1 감지부는, 스택 휠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지폐가 인입되는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과 동일한 개수 및 회전각을 갖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관통구를 통해 빛을 주고받음으로써 회전판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판은 회전중심이 샤프트에 결합되고, 제 1 센서는 회전판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 1 발광부와 제 1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감지부는, 지폐의 선단이 스택 휠 사이에 인입되었을 때 지폐의 후단이 위치되는 지점에 지폐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 2 발광부와 제 2 수광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제 1 감지부가 결합된 본 발명에 의한 스택 휠과 샤프트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판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는, 다수의 스택 날개(110)가 형성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200)에 의해 결합되어 샤프 트(20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스택 휠(100)과, 지폐(10)를 스택 날개(110) 사이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610) 및 이송벨트(620)를 포함하는 이송수단과, 지폐(10)가 스택 날개(110) 사이로 정확히 인입되도록 지폐(10)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700)와, 스택 날개(1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지폐(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부와, 제 1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이 지폐(10)의 이송선상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00)를 회전시키고 제 2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지폐(10)가 스택 날개(110) 사이에 인입되었음이 감지되면 또 다른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이 지폐(10)의 이송선상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스택 휠(10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샤프트(200)에 상호 평행하게 다수 배열되는데, 스택 휠(100)의 구조 및 동작은 종래의 지폐 적재장치에 적용되는 스택 휠(1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감지부는, 스택 휠(100)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회전중심이 샤프트(200)에 결합되고 지폐(10)가 인입되는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과 동일한 수의 관통구(310)가 형성되는 회전판(300)과, 회전판(300)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 1 발광부(410)와 제 1 수광부(420)를 구비하여 관통구(310)를 통해 빛을 주고받음으로써 회전판(300)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제 1 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 관통구(310)는 각 스택 날개(110)의 회전각 즉, 각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이 배열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고, 제 1 센서(400)는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이 지폐(10)의 이송선상에 위치되었 을 때 관통구(310)를 통해 빛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회전판(300)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 1 발광부(410)와 제 1 수광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택 휠(100)에 6개의 스택 날개(110)가 상호 60도의 회전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폐(10)가 인입되는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 역시 60도의 회전각을 이루도록 6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회전판(300)의 관통구(310) 역시 상호 60도의 회전각을 이루도록 6개 형성된다. 스택 날개(110)의 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관통구(310)는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 개수 및 위치에 맞춰 형성된다.
또한 제 2 감지부는, 지폐(10)의 선단이 스택 휠(100) 사이에 인입되었을 때 지폐(10)의 후단이 위치되는 지점에 지폐(10)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 2 발광부(510)와 제 2 수광부(520)를 구비하는 제 2 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송부(600)와 가이드롤러(700)는 지폐(10)가 스택 휠(100)을 향해 이송되어 후단이 제 2 발광부(510)와 제 2 수광부(520) 사이를 지날 때 즉, 제 2 발광부(510)에서 발산된 빛이 제 2 수광부(520)에 인가되기 시작할 때 지폐(10)의 선단은 스택 날개(110) 사이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발광부(510)의 빛이 가장 먼저 공급되는 제 1 지폐(12)에 의해 차단되어 제 2 수광부(520)에 인가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제 1 지폐(12)가 아직 스택 날개(110) 사이로 인입되지 아니하였음을 알 수 있고, 제 1 지폐(12)가 제 2 발광부(510)와 제 2 수광부(520)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제 2 발광부(510)의 빛이 제 2 수광부(520)에 인가되기 시작하는 때에는 제 1 지폐(12)의 선단이 스택 날개(110) 사이에 인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센서(400)와 제 2 센서(500)는 각각 포토 센서로 적용되고 있지만, 회전판(300)의 회전각도 및 지폐(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다면 포토 센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는 지폐가 스택 휠 사이로 인입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또 다른 지폐가 이송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송부(600)에 의해 가장 앞에 위치한 제 1 지폐(12)가 가이드롤러(700)를 지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스택 날개(110) 사이로 인입되면, 제 2 발광부(510)에서 발산되는 빛은 제 2 수광부(520)로 인가된다. 이와 같은 제 2 센서(500)의 신호를 전달받은 구동부는 샤프트(200)를 회전시켜 스택 날개(110) 사이에 인입된 제 1 지폐(12)를 적재 장소로 이송한다.
이때 샤프트(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300)도 회전을 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판(300)이 회전되면 관통구(310)가 제 1 발광부(410)와 제 2 발광부(510) 사이를 벗어나게 된다. 회전판(300)의 회전이 계속되면 또 다른 관통구(310)가 제 1 발광부(410)와 제 2 발광부(510)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발광부(410)에서 발산된 빛이 관통구(310)를 통해 제 1 수광부(420)에 전달되고, 구동부는 이와 같은 제 1 센서(4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샤프트(200)의 회전을 중지시킨 다. 제 1 센서(400)의 신호에 의해 샤프트(200)가 중지되었을 때에는 지폐(10)가 인입되어있지 아니한 또 하나의 스택 날개(110) 사이의 공간이 지폐(10)의 이송선상에 위치되므로, 뒤 이어 이송되는 제 2 지폐(10)는 스택 휠(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부의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제 2 지폐(14)와 제 3 지폐(16)가 차례로 적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는 제 1 센서(400)를 이용하여 지폐(10)가 인입되는 부위를 정확하게 지폐(10)의 이송선상에 위치시키고, 제 2 센서(500)를 이용하여 지폐(10)가 1장 씩 스택 휠(100)에 인입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지폐(10)를 적재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적재장치는, 지폐가 인입되는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을 정확하게 지폐 이송선상에 위치시키고 이송되는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스택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지폐를 1장 씩 안정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스택 날개가 형성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택 휠;
    지폐를 상기 스택 날개 사이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상기 스택 날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부;
    상기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부;
    상기 제 1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이 지폐의 이송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 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지폐가 상기 스택 날개 사이에 인입되었음이 감지되면 또 다른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이 지폐의 이송선상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적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스택 휠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폐가 인입되는 상기 스택 날개 사이의 공간과 동일한 개수 및 회전각을 갖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관통구를 통해 빛을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적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회전중심이 샤프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적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회전판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 1 발광부와 제 1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적재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부는,
    지폐의 선단이 상기 스택 날개 사이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지폐의 후단이 위치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지폐의 후단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적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지폐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 2 발광부와 제 2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적재장치.
KR1020050069820A 2005-07-29 2005-07-29 지폐 적재장치 KR10065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20A KR100650350B1 (ko) 2005-07-29 2005-07-29 지폐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20A KR100650350B1 (ko) 2005-07-29 2005-07-29 지폐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350B1 true KR100650350B1 (ko) 2006-11-29

Family

ID=3771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820A KR100650350B1 (ko) 2005-07-29 2005-07-29 지폐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3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299B1 (ko) 2008-12-31 2011-08-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CN106127931A (zh) * 2016-06-15 2016-11-16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堆叠机构
CN109712309A (zh) * 2018-12-17 2019-05-0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装置、薄片堆叠装置及金融自助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299B1 (ko) 2008-12-31 2011-08-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CN106127931A (zh) * 2016-06-15 2016-11-16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堆叠机构
CN109712309A (zh) * 2018-12-17 2019-05-0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装置、薄片堆叠装置及金融自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1357B (zh) 纸币堆积装置
JP5223613B2 (ja) 羽根車機構及び媒体取扱い装置
KR100650350B1 (ko) 지폐 적재장치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WO2016004886A1 (zh) 踢纸机构、纸币处理机和薄片类介质处理装置
WO2010086994A1 (ja)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JP4146776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6186004B2 (ja) 紙葉類集積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2010195552A (ja) 紙葉類集積装置
JP2008071248A (ja) 媒体処理装置
EP2586738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igned bunch of items of media, and method of using said apparatus to provide an aligned bunch of items of media
KR102028178B1 (ko) 종방향 지폐 배출장치
JP2003312895A (ja) 重走検知装置
JP5403102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55822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장치
WO2010026647A1 (ja) 紙葉類集積装置、紙葉類集積方法及び紙葉類集積プログラム
KR100572859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방법 및 장치
KR101628215B1 (ko) 금융 자동화기기
KR20070072257A (ko) 축 고정용 후크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JP266509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9043014A (ja) 紙葉類識別装置
KR20070079636A (ko)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이매검출시스템
JPH07137858A (ja) 紙幣繰出し装置
KR20160139758A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JP6748801B2 (ja) 紙葉類整列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