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149B1 -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149B1
KR100650149B1 KR1020060077483A KR20060077483A KR100650149B1 KR 100650149 B1 KR100650149 B1 KR 100650149B1 KR 1020060077483 A KR1020060077483 A KR 1020060077483A KR 20060077483 A KR20060077483 A KR 20060077483A KR 100650149 B1 KR100650149 B1 KR 10065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ballast wagon
ballast
continuous bridge
wa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을호
김량균
이용기
강태식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현장 타설 방법은,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공사 구간 교각 상부 전체에 강거더를 설치하는 강거더설치단계와; 강거더 상부에 폼트레블러와, 내부에 하중물이 적재되며, 강거더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밸러스트왜건을 설치하는 밸러스트왜건설치단계와; 강거더의 일측 상부로부터 타측 상부까지 폼트레블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슬래브를 연속으로 타설하되, 밸러스트왜건을 콘크리트슬래브타설 위치보다 앞선 지간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정모멘트 구간에 위치시켜 정모멘트와 부모멘트가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슬래브의 변형을 방지하는 콘크리트슬래브타설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를 순차적으로 타설할 수 있고, 콘크리트슬래브 타설시 선행 강거더에 발생되는 과도한 응력과 콘크리트슬래브의 균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장경간, 강합성, 교량, 슬래브, 밸러스트왜건

Description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THE CASTING METHOD OF CONCRETE SLAB FOR CONTINUOUS BRIDGE USING BALLAST WAGON}
도 1은 종래의 일반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분할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A) 제1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 제2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 제3 ~ 제5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D) 제1지점부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E) 제2 ~ 제3지점부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F) 타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일반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순차적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A) 제1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 제2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 제3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D) 제4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E) 타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일반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순차적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으로 장경간 교량에 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A) 강거더 설치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 제1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 제2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D) 타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분할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A) 강거더 설치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 제1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 제2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D) 제3경간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E) 제1지점부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F) 타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A) 강거더 설치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 밸러스트왜건 및 폼트레블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 제2경간에 밸러스트 하중을 재하한 상태에서 제1경간 콘크리트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D) 제3경간에 밸러스트 하중을 재하한 상태에서 제2경간 콘크리트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E) 밸러스트왜건을 해체한 상태에서 제3경간 콘크리트 타설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F) 타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러스트왜건이 레일 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강거더 20 : 콘크리트슬래브
30 : 폼트레블러 40 : 교각
50 : 밸러스트왜건 60 : 레일
a : 경간
본 발명은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합성형 연속 교량은 콘크리트슬래브와, 콘크리트슬래브를 지지하는 강거더가 합성구조로 설치되는 교량을 말한다.
경간(a)이 40 ~ 60 m 인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타설 방법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멘트도에 의거하여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지간 중앙부를 선 타설하고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부를 후 타설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위와 같은 부분 타설 방법은 시공 이음부가 과다 발생하여 슬래브 평탄성이 불량하고, 콘크리트의 불연속적인 타설로 인한 인접 슬래브간의 양생 재령 차이로 품질관리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데크피니셔 또는 폼트레블러의 복잡한 이동 시공으로 시공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여 요즘에는 사용하지 않고 도 2와 같이 분할 타설 방법의 단점을 개선한 순차적 타설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순차적 타설 방법은 데크피니셔(deck finisher) 또는 이동식 작업차(form traveller)를 이용하여 시점에서 종점까지 순차적으로 타설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40 ~ 60 m의 경간을 갖는 교량의 경우 가설시(슬래브 타설 및 양생시) 보다 공용중(활하중 재하시) 일때 강형과 슬래브의 단면력 및 균열이 일반적으로 크고 경간이 짧아 시공과정에서 처짐 등에 의한 슬래브의 균열이 허용 균열폭 내에 있으므로 손쉽게 순차적으로 타설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간이 70 ~ 250m 인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는 시점에서 종점까지 순차적으로 타설시 강거더와 콘크리트슬래브의 단면력 및 균 열이 공용중일때 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장경간의 강합성형 연속 교량에서는 순차적으로 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할 경우 하중 변동 발생으로 선행 경간의 강거더에 과도한 응력과 콘크리트슬래브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이 불가능했다.
장경간의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를 순차적으로 타설할 경우에 발생되는 구조적 거동을 보다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거더 설치 단계에서 강거더는 캠버를 고려하여 제작되므로 모든 지간에 상향의 캠버가 발생된다.
제1경간에 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하게 되면 제1경간에는 하향의 캠버가 발생되고, 제2경간은 상향 변동 캠버가 발생된다.
또, 제1경간의 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한 후 제2경간에 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할 때는 제1경간에는 상향의 캠버가, 제2경간에는 하향의 캠버가 발생하는데, 이때, 제1경간의 콘크리트슬래브에는 인장응력에 의한 과도한 균열이 발생되게 된다.
제2경간의 타설이 끝난 후 제3경간 타설시에는 제1경간, 제3경간에는 하향캠버가, 제2경간에는 상향 변동 캠버가 발생하는데, 제2경간의 콘크리트슬래브에 인장응력에 의해 과도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 때문에 종래 장경간의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경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8319호 '하중을 이용한 연속보교량의 시공 및 보수공법'에서와 같이 모멘트도에 의거하여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지간 중앙부를 선 타설하고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부를 타설하는 분할 타설 방법을 적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구간별 분할 타설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공 이음부가 과다 발생하여 슬래브 평탄성이 불량하고, 콘크리트의 불연속적인 타설로 인한 인접 슬래브간의 양생 재령 차이로 품질관리가 저하될 뿐 아니라 이동식 작업차(form traveller) 또는 데크피니셔(deck finisher)의 복잡한 이동 시공으로 시공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를 순차적으로 타설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해 콘크리트슬래브 타설시 발생되는 선행 강거더에 발생되는 과도한 응력과 콘크리트슬래브의 균열 발생을 감소시키려는 목적도 있다.
특히, 밸러스트왜건은 시공 환경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 토사, 모래, 자갈, 물 등 다양한 하중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시공 환경에도 시공이 원할한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은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은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해 장경간의 강합성형 연속 교량에 콘크리트슬래브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밸러스트왜건을 선행 강거더에 설치함으로써 선행 강거더에 발생되는 과도한 응력과 콘크리트슬래브의 균열 발생이 감소된다.
또한, 밸러스트왜건은 콘크리트 블록, 토사, 모래, 자갈, 물 등 다양한 하중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은,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공사 구간 교각 상부 전체에 강거더를 설치하는 강거더설치단계와; 강거더 상부에 폼트레블러와, 내부에 하중물이 적재되어 있으며, 강거더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밸러스트왜건을 설치하는 밸러스트왜건설치단계와; 강거더의 일측 상부로부터 타측 상부까지 폼트레블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슬래브를 연속으로 타설하되, 밸러스트왜건을 콘크리트슬래브 타설 위치보다 앞선 지간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정모멘트 구간에 위치시켜 정모멘트와 부모멘트가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슬래브의 변형을 방지하는 콘크리트슬래브타설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단계는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공사 구간 교각(40) 상부 전체에 강거더(10)를 설치하는 강거더설치단계이다.
도5의 (A)를 보면 공사 구간의 각 교각(40) 상부 전체에 강거더(10)가 완전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두번째는 강거더(10) 상부에 폼트레블러(30)와 밸러스트왜건(50)을 설치하는 밸러스트왜건설치단계이다.
폼트레블러(30)(Form Traveller)는 보통 이동식 거푸집차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타설 공사에 사용되는 것이다.
밸러스트왜건(50)(Ballast wagon)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싣고 레일(60)을 따라 이동하는 기차를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밸러스트왜건(50)은 콘크리트 블록, 토사, 모래, 자갈 물 등 다양한 하중물을 싣고 이동 가능하도록 된 수송차량의 의미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밸러스트왜건(50)은 내부에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이동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내부에 구동장치 없이 외부의 힘에 의해 이동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일반적인 폼트레블러(30)가 레일(60)을 따라 이동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에 대응되도록 강거더(10) 상부에 폼트레블러(30)가 이동하기 쉽게 레일(6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러스트왜건(50) 역시 동일한 레일(6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밸러스트왜건(50)과 폼트레블러(30)가 별도록 구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레일(6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밸러스트왜건(50)은 다양한 공사 현장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한 시공회사에서 담당한 공사 구간이 해상에 독립적으로 위치한 경우 밸러스트왜건(50)은 해상을 통해 강거더(10) 상부로 공급되는데, 이때 밸러스트왜건(50)의 중량이 큰 경우 운반 및 사용에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편하도록 조립 및 분해가 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러스트왜건(50)에 적재되는 하중물은 공사 현장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구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막 공사 현장의 경우 하중물은 모래 등이 될 것이고, 해상 공사 현장의 경우 하중물은 해수를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밸러스트왜건(50)의 하중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왜건(50)에 하중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방법은 크레인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펌핑하는 방법, 덤핑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왜건(50)은 하중물의 중량을 변화시키거나 설치 위치, 설치 대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의 변수가 되는 것은 경간구성, 지간장, 교폭, 상부구조 형식, 강거더와 콘크리트슬래브의 고정하중 비율 등이 있는데, 이러한 변수를 이용해 밸러스트왜건(50)의 설치 위치, 설치 대수, 하중물의 중량을 변화시키는 것은 반복적인 구조계산과 설계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세번째는 강거더(10)의 일측 상부로부터 타측 상부까지 폼트레블러(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슬래브(20)를 연속으로 타설하는 콘크리트슬래브타설단계이다.
이때, 밸러스트왜건(50)은 콘크리트슬래브(20) 타설 위치보다 앞서 부모멘트 발생 위치에 위치시켜 타설된 콘크리트슬래브(2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의 (C)를 보면 제1경간에 콘크리트슬래브(20)를 타설할 때 하중물이 적재된 밸러스트왜건(50)을 제2경간에 위치시켜 제1경간 콘크리트슬래브(2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볼 수 있다.
또, 도 5의 (D)를 보면 제2경간에 콘크리트슬래브(20)를 타설할 때 하중물이 적재된 밸러스트왜건(50)을 제3경간에 위치시켜 제2경간 콘크리트슬래브(2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제2경간에 밸러스트왜건(50)을 위치시킬 때와 제3경간에 밸러스트왜건(50)을 위치시킬 때 밸러스트왜건(50)에 적재되는 하중물의 중량은 구조물의 변 형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예와 같은 경우 제2경간보다 제3경간에서 밸러스트왜건(50)의 하중물 중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E)는 제2경간의 타설이 끝난 후 밸러스트왜건(50)을 해체하고, 제3경간에 콘크리트슬래브(20)를 타설하는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F)는 타설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에 의해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20)를 타설하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를 보면 제1경간 타설시 제1경간에 집중된 하중에 의해 제1경간이 하향 처짐이 발생되고, 도 3의 (B)와 같이 제2경간 타설시 제1경간에 과도한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제1경간의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도 5의 (C), (D) 처럼 제1경간 타설시 제2경간에, 제2경간 타설시 제3경간에 하중물이 적재된 밸러스트왜건(50)을 설치하게 되면 해당 경간에 콘크리트슬래브(20)를 타설할 때 처짐이 발생되지 않을 뿐더러 제2경간 타설시 제1경간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이 적게 되어 제1경간의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를 순차적으로 타설할 수 있게 된다.
또,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해 콘크리트슬래브 타설시 발생되는 선행 강거더에 발생되는 과도한 응력과 콘크리트슬래브의 균열 발생이 감소된다.
특히, 밸러스트왜건은 시공 환경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 토사, 모래, 자갈, 물 등 다양한 하중물을 적재할 수 있어 각종 시공 환경에도 시공이 원할한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7)

  1.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에 있어서,
    장경간 강합성형 연속 교량의 공사 구간 교각(40) 상부 전체에 강거더(10)를 설치하는 강거더설치단계와;
    상기 강거더(10) 상부에 폼트레블러(30)와, 내부에 하중물이 적재되며, 강거더(10)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밸러스트왜건(50)을 설치하는 밸러스트왜건설치단계와;
    상기 강거더(10)의 일측 상부로부터 타측 상부까지 폼트레블러(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슬래브(20)를 연속으로 타설하되, 밸러스트왜건(50)을 콘크리트슬래브(20) 타설 위치보다 앞선 지간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정모멘트 구간에 위치시켜 정모멘트와 부모멘트가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슬래브(20)의 변형을 방지하는 콘크리트슬래브타설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왜건(50)에 적재된 하중물은 콘크리트 블록, 토사, 모래, 자갈, 물 중 선택된 1종 내지 5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거더설치단계에서 강거더(10)를 설치한 후 강거더(10) 상부에 레일(60)을 설치하고, 밸러스트왜건(50)은 레일(60)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슬래브(20) 타설 시 일정 구간의 콘크리트슬래브(20)를 타설할 때마다 밸러스트왜건(50)의 하중물 중량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왜건(50)은 내부에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왜건(50)에 적재되는 하중물의 상차 및 하역은 크레인을 이용한 방법, 덤핑, 펌핑 중 선택된 1 내지 2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왜건(50)은 설치 위치 또는 설치 대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KR1020060077483A 2006-08-17 2006-08-17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KR10065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483A KR100650149B1 (ko) 2006-08-17 2006-08-17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483A KR100650149B1 (ko) 2006-08-17 2006-08-17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149B1 true KR100650149B1 (ko) 2006-11-30

Family

ID=3771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483A KR100650149B1 (ko) 2006-08-17 2006-08-17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0649B (zh) * 2008-04-21 2012-02-1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一种钢-混凝土组合结构连续梁桥施工工法
CN112030761A (zh) * 2020-09-01 2020-12-04 浙江世润建创科技发展有限公司 钢桥全断面清洁、喷漆、撒石装拆一体机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0649B (zh) * 2008-04-21 2012-02-15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一种钢-混凝土组合结构连续梁桥施工工法
CN112030761A (zh) * 2020-09-01 2020-12-04 浙江世润建创科技发展有限公司 钢桥全断面清洁、喷漆、撒石装拆一体机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427B2 (en) Bridge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JP5266291B2 (ja) 橋梁床版の施工方法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CN107178042B (zh) 一种大跨度倒三角型钢管混凝土拱桥钢拱的施工方法
KR10034986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교량의 구조적 연속화 공법
CN101691742B (zh) 斜腿刚构桥背索平衡单边悬臂灌筑梁体的施工方法
KR101208231B1 (ko)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시공방법
CN111236720B (zh) 无施工缝浇筑筒仓减压锥的施工方法
KR101127130B1 (ko) 교량의 프리케스트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박스 거더교시공방법
KR20070010449A (ko) 아치교의 시공 방법
CN113322771B (zh) 一种基于超高韧性水泥基复合材料的无缝桥梁结构及施工方法
KR101034973B1 (ko) 프리캐스트 블록 연결에 의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650149B1 (ko) 밸러스트왜건을 이용한 연속 교량의 콘크리트슬래브 현장 타설 방법
KR101688517B1 (ko)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CN211312164U (zh) 节段预制拼装盖梁
KR20040017772A (ko) 강 피시합성교량의 가설방법
KR20120054832A (ko) 아이형 거더를 이용한 에프씨엠 교량시공방법
KR20040100083A (ko)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한 교량시공방법
Däbritz Movable scaffolding systems
CN114561875A (zh) 一种钢箱梁顶推及高位落梁方法
CN109629454B (zh) 一种单侧提升节段梁的架桥设备和架桥方法
JP2000045229A (ja) 橋梁の建設方法
JP4493245B2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Fasching et al. Building box girder bridges using thin-walled pre-fabricated elements
CN111395167B (zh) 一种连续刚构桥的施工方法
Vanek et al. Pensacola Bay Bridge crown jewel of northwest Flor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