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450B1 -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450B1
KR100649450B1 KR1020050103720A KR20050103720A KR100649450B1 KR 100649450 B1 KR100649450 B1 KR 100649450B1 KR 1020050103720 A KR1020050103720 A KR 1020050103720A KR 20050103720 A KR20050103720 A KR 20050103720A KR 100649450 B1 KR100649450 B1 KR 10064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s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장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10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제3 사용자가 확인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내용 기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할 제3 통신 단말기에 대한 권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권한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하고,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 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를 인증 후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허가된 제3 사용자는 시간 및 장소의 제약 없이 상기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통화내용, 공유, 녹음, 핸드폰,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Description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방법{TELEPHONE CONVERSATION RECORDING SERVER OF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DATA TO AUTHENTICATED US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R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3 통신 단말기가 통화내용 공유서버에 기록된 통화내용을 확인하는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통화내용 공유서버 610: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
6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630: 판단부
640: 통화내용 제공부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제3 사용자가 확인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내용 기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할 제3 통신 단말기에 대한 권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권한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하고,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 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를 인증 후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인 1대1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일례로, 통신 단말기는 부가기능으로써, 세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컨퍼런스 콜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컨퍼런스 콜 기능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호 설정된 이후 또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음성 채널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컨퍼런스 콜 기능은 사용자로 하여금 종래 두 명의 사용자에게만 제공되었던 통화기능을 세 명 이상의 사용자로 확장하면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컨퍼런스 콜 기능은 제3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음성 채널 이용 중에만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기록하고, 이를 확인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화내용 기록 서비스는 제3 사용자가 상기 통화내용을 기록한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전달 받거나 또는 상기 통화내용이 기록된 통신 단말기로부터 직접 상기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화 중 통화내용을 녹음하고, 상기 통화내용을 제3 사용자와 공유하는 것으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허가된 제3 사용자가 시간 및 장소의 제약 없이 상기 통화내용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동작방법은 하나 이상의 통화내용 및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기록하는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내 용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권한 정보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입력 받으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를 연관지어 기록하는 단계,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열람이 요청된 경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식별 정보는 비밀번호 정보,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에서 어느 하나임 -, 및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하나 이상의 통화내용 및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기록하는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권한 정보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입력 받으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를 연관지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열람이 요청된 경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접근권한 정보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 상기 식별 정보는 비밀번호 정보,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에서 어느 하나임 -, 및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통화내용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단말기(110)는 통신사 시스템(140)을 통해 제2 통신 단말기(120)와 음성 채널을 설정하여 통화를 수행한다. 제1 통신 단말기(110)는 통신사 시스템(140)으로 제2 통신 단말기(120)와의 통화내용을 요청한다. 통신사 시스템(140)은 상기 통화내용을 통화내용 공유서버(150)로 전달하여, 기록 요청한다. 통화내용 공유서버(150)는 통신사 시스템(140)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통화내용을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또한, 제1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제2 통신 단말기(120)와의 통화 종료 후 통화내용 공유서버(150)에 기록된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등록 요청한다. 상기 접근권한 정보는 일례로,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제3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즉, 제1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통화내용 공유서버(150)로 제1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하는 제1 통신 단말기(110)는 통화내용 공유서버(150)로 통화내용의 공유요청 및 접근권한 정보 요청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는 제2 통신 단말기(1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통화내용 공유서버(150)는 상기 통화내용의 기록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의 기록이 완료되어, 상기 통화내용이 제3 통신 단말기(130)와 공유된 경우에 제1 통신 단말기(110), 제2 통신 단말기(110), 또는 제3 통신 단말기(110)로 상기 통화내용의 공유사실을 통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150)는 상기 공유사실이 문자 메시지로써 통보되도록 통신사 시스템(140)을 제어한다. 즉, 제1 통신 단말기(110) 및 제2 통신 단말기(120)는 상기 통화내용이 제3 통신 단말기(130)와 공유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또한, 제3 통신 단말기(130)는 상기 문자 메시지로써 상기 통화내용이 기록된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의 네트워크 주소로 콜백(call-back)하여 상기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사 시스템(140)은 제3 통신 단말기(130)가 상기 통화내용을 확인한 경우에 제1 통신 단말기(110) 및 제2 통신 단말기(120)로 상기 통화내용의 확인 사실을 소정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01)에서, 제1 통신 단말기는 O_MSC(발신측 MSC: Mobile Switching Center)로 호 설정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O_MSC는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가입을 문의 한다(단계(202)). 상기 HLR은 상기 O_MSC로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을 회신(단계(203))하고, 상기 O_MSC는 상기 회신에 따라 T_MSC(착신측 MSC: Mobile Switching Center)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단계(204)). T_MSC는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제2 통신 단말기로 착신 호를 전송한다(단계(205)). 이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착신 호에 대해 Hook OFF(단계(206))하며, 상기 Hook OFF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 호가 설정된다(단계(207)).
다음으로, 단계(208)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내용을 기록요청하고,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에 대한 기록요청을 입력 받는다. 또한, 단계(209)에서,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의 접근권한 정보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입력 받는다. 이로써,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를 연관지어 기록한다(단계(210)).
상기 접근권한 정보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 정보,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상 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로 통화내용의 기록 요청과 더불어 상기 통화내용을 공유할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를 접근권한 정보로 입력한다. 상기 전화번호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하나 이상의 통화내용 및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기록하는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는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통화내용을 청취할 수 있는 제3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유지한다.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는 통화내용 정보 필드 및 권한정보 필드를 유지한다.
먼저, 통화내용 정보 필드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통화내용을 유지한다. 상기 통화내용은 음성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고, '통화내용1'의 레이블로써 고유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정보 필드는 상기 '통화내용1'에 대응되는 권한정보로서, 사용권한 정보 및 접근권한 정보를 유지한다. 일례로,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통화내용1'을 공유하기 위한 제3 통신 단말기의 권한정보로써, 접근권한 정보 '010-555-5555'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010-555-5555'에 대응되는 제3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화내용의 '읽기' 권한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010-555-5555'에 대응되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통화내용1'을 청취할 수 있을 뿐, 해당 통화내용1에 대한 수정, 삭제 등은 수행할 수 없다.
도 4는 제3 통신 단말기가 통화내용 공유서버에 기록된 통화내용을 확인하는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01)에서,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를 통해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 공유 사실을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는 통신사 시스템으로 상기 문자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을 전송(단계(402))하고, 상기 통신사 시스템은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로 상기 통화내용을 요청한다(단계(403)). 상기 확인 응답은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인 비밀번호 정보,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포함하고,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다(단계(404)). 즉,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접근권한 정보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전송한다(단 계(405, 40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열람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통하여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통신 단말기(500)는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통화내용의 확인 메시지(510)를 수신한다. 상기 통화내용은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를 기록한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에 상기 통화내용의 기록 사실을 제3 통신 단말기(500)에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통보할 수 있다. 이에 제3 통신 단말기(500)의 사용자는 제3 통신 단말기(500)의 '확인' 버튼을 푸쉬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네트워크 주소로 왑 접속(520) 후 상기 통화내용을 청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서버(600)는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620), 판단부(630), 및 통화내용 제공 부(640)를 포함한다.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는 하나 이상의 통화내용 및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기록한다.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는 제1 통신 단말기 또는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의 기록요청에 따라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접근권한 정보와 연관지어 기록한다. 상기 접근권한 정보의 일례로, 제3 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 정보,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의 식별정보이다. 또한,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내용의 읽기, 삭제, 편집, 또는 저장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620)는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권한 정보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입력 받으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에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를 연관지어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의 읽기, 삭제, 편집, 또는 저장 등의 동작이 요청된 경우에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접근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에 따라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를 관리한다.
판단부(630)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열람이 요청된 경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접근권한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청취요청은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즉, 판단부(630)는 상기 청취요청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 및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610)에 기록된 상기 식별정보의 대응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접근권한 정보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에 접근권한 정보가 부여된 경우에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사용권한을 확인한다. 상기 사용권한은 읽기, 삭제, 편집, 또는 저장 등의 권한을 포함한다.
통화내용 제공부(640)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전송한다. 이와 더불어 통화내용 제공부(640)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한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화내용 확인 사실을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 청취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 공유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7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720)과 롬(ROM: Read Only Memory)(7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를 포함 한다. 프로세서(7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 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7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720) 및 롬(7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7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 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허가된 제3 사용자는 시간 및 장소의 제약 없이 상기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지능망에서 통화 내용을 기록하고 상기 통화 내용을 권한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화내용 및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기록하는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권한 정보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입력 받으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를 연관지어 기록하는 단계;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열람이 요청된 경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식별 정보는 비밀번호 정보,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에서 어느 하나임 -; 및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의 공유요청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 상기 공유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공유확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을 제3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를 연관지어 기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소정의 메시징 시스템을 제어하여 상기 전화번호 정보로 식별되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의 기록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통화내용이 기록된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의 네트 워크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화내용 확인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의 동작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지능망에서 통화 내용을 기록하고, 상기 통화 내용을 권한있는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화내용 및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접근권한 정보를 기록하는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권한 정보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입력 받으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접근권한 정보를 연관지어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열람이 요청된 경우,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통화내용에 대한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접근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 상기 식별 정보는 비밀번호 정보, CTN(Customer Telephone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중에서 어느 하나임 -; 및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접근권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통화내용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의 공유요청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으로 상기 공유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공유확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통화내용 공유서버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상기 통화내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을 제3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 제공부는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3 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화내용 확인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KR1020050103720A 2005-11-01 2005-11-01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KR10064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720A KR100649450B1 (ko) 2005-11-01 2005-11-01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720A KR100649450B1 (ko) 2005-11-01 2005-11-01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450B1 true KR100649450B1 (ko) 2006-11-27

Family

ID=3771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720A KR100649450B1 (ko) 2005-11-01 2005-11-01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54B1 (ko) * 2006-12-04 2008-09-16 이윤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55454A (ko) 2017-11-15 2019-05-23 판카즈 아갈왈 음성 통화 공유 장치
KR102053917B1 (ko) * 2018-10-29 2019-12-09 주식회사 포드론 녹음파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54B1 (ko) * 2006-12-04 2008-09-16 이윤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55454A (ko) 2017-11-15 2019-05-23 판카즈 아갈왈 음성 통화 공유 장치
KR102053917B1 (ko) * 2018-10-29 2019-12-09 주식회사 포드론 녹음파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0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tic device connectivity
KR20050086862A (ko) 서버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TW201830949A (zh) 共用使用者身份模組卡的方法和行動終端
WO2018014683A1 (zh) 一种可视通信管理方法及装置
KR20190040933A (ko) 정보처리 시스템,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EP297415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communication
US8576834B2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649450B1 (ko)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US7711344B1 (en) Network-based subscriber calling restrictions
CN112000493B (zh) 一种数据处理系统、方法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5044710B1 (ja) 電話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電話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制御方法
JP2004364312A (ja) 遠距離通信番号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719432B1 (ko) 특정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 및 지능망서버의 동작 방법, 상기 방법을 채용한 교환기 및 지능망서버
CN113572906B (zh) 一种呼叫中心用通信系统中的设备接入终端
KR20120057921A (ko) 에스오아이피 단말기에서 통화중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CN112804403B (zh) 信息交互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0596003B1 (ko) 할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ip교환기 시스템
KR102510177B1 (ko) Sip 단말의 내선번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107672B2 (ja) 移動通信端末、サービスポイント付与サーバ及びサービスポイント付与方法
KR100726478B1 (ko)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착신 응답을 제공하는 발신교환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발신 교환기와착신 알림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가입 확인 응답을제공하는 지능망 서버
KR100673512B1 (ko) 회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ip교환기 시스템
JPH11282803A (ja) 不正アクセス防止システム
KR100836259B1 (ko)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42474B1 (ko) 평생식별 인터넷프로토콜 주소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5